KR19980031181U -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181U
KR19980031181U KR2019960044328U KR19960044328U KR19980031181U KR 19980031181 U KR19980031181 U KR 19980031181U KR 2019960044328 U KR2019960044328 U KR 2019960044328U KR 19960044328 U KR19960044328 U KR 19960044328U KR 19980031181 U KR19980031181 U KR 199800311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ngine
driver
drunk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181U/ko
Publication of KR199800311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181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가 음주(飮酒)한 상태로 차량에 탑승하면 엔진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시동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차량에 탑승하는 운전자의 체내알콜농도를 감지하는 알콜감지센서(10)와, 그 감지된 알콜농도가 기준치이상인 상태에서 점화스위치(IG SW)가 온(ON)되면 시동모터(14)의 시동동작을 제어하는 ECU(12)로 구성되어, 음주한 상태로 엔진시동을 걸게 되면 엔진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므로, 음주운전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시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음주여부를 체크하여 엔진시동을 제어하도록 된 차량의 시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보유대수가 많아짐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사고가 발생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발생율도 무시못할 정도이다.
그에 따라, 음주운전을 단속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에 의해 발생되는 2차적인 인명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계몽운동도 함께 펼치고 있으나, 별다른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음주만취자의 경우 자신의 운전경력을 과신한 나머지 만취상태에서 운전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대형사고를 일으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운전자가 음주(飮酒)한 상태로 차량에 탑승하면 엔진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시동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탑승하는 운전자의 알콜농도를 감지하는 알콜감지센서와, 그 감지된 알콜농도가 기준치이상인 상태에서 점화스위치가 온되면 시동모터의 시동동작을 제어하는 ECU로 구성된 차량의 시동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알콜감지센서의 설치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스티어링 휠10: 알콜감지센서
12: ECU14: 시동모터
IG SW: 점화스위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알콜감지센서(10), ECU(12), 시동모터(14)로 구성된다.
상기 알콜감지센서(10)는 차량실내에 탑승한 운전자의 음주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운전자 체내의 알콜농도를 감지하는 바, 그 알콜감지센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의 소정부위(예컨대, 중앙부위)에 설치되고, 통상적으로 운전자의 구강으로부터 발산되는 입김을 이용하여 알콜을 감지하게 된다.
ECU(12)는 그 알콜감지센서(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기저장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음주여부를 판단함과 더불어 점화스위치(IG SW)의 온(ON)시 운전자의 음주여부에 따라 엔진시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시동모터(14)는 그 ECU(12)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동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게 되면 알콜감지센서(10)는 운전자의 구강으로부터 발산되는 입김을 이용하여 그 운전자 체내의 알콜농도를 감지하고서 감지신호를 ECU(12)로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 ECU(12)는 현재 입력된 감지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치(예컨대, 거의 0(zero)에 가까울 정도의 기준치임)이하이면 점화스위치(IG SW)가 온(ON)되었을 때 시동모터(14)가 동작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반면에, 현재 입력된 감지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치이상이면 운전자가 점화스위치(IG SW)를 온(ON)시켰다고 하여도 시동모터(14)의 동작이 행해지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을 할 수 없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음주한 상태로 엔진시동을 걸게 되면 엔진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므로, 음주운전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차량에 탑승하는 운전자의 체내알콜농도를 감지하는 알콜감지센서(10)와, 그 감지된 알콜농도가 기준치이상인 상태에서 점화스위치(IG SW)가 온(ON)되면 시동모터(14)의 시동동작을 제어하는 ECU(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감지센서(10)는 스티어링 휠(1)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KR2019960044328U 1996-11-30 1996-11-30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KR199800311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328U KR19980031181U (ko) 1996-11-30 1996-11-30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328U KR19980031181U (ko) 1996-11-30 1996-11-30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181U true KR19980031181U (ko) 1998-08-17

Family

ID=5398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328U KR19980031181U (ko) 1996-11-30 1996-11-30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18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592A (ko) * 2001-01-09 2001-04-06 최한태 음주운전 방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592A (ko) * 2001-01-09 2001-04-06 최한태 음주운전 방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11831A1 (en) Shift range switch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vehicle
KR19980031181U (ko)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EP0505337A1 (en) Flashing controlling device for motor vehicle lights
KR100264597B1 (ko) 자동차의 안전 시스템 제어 방법
JPH10264680A (ja) 車両用定速走行装置
KR100365235B1 (ko) 자동차의 혼 고장 진단 방법
KR100216700B1 (ko)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37815B1 (ko)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KR950004352Y1 (ko) 좌석벨트 미착용시 시동불능장치
KR200143722Y1 (ko)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KR100405475B1 (ko) 자동차용 시동 장치
KR19980021138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시 접촉 사고 방지 장치
KR100250820B1 (ko) 차량 타이밍벨트 파손 감지장치
JPH0861101A (ja) エキゾーストブレーキ回路
KR970018904A (ko)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49785A (ko) 자동차의 안전 시스템 제어방법
KR970040527A (ko) 오토 파킹 브레이브 시스템
KR970062318A (ko) 자동차 원격시동 시스템의 기어 유무 감지장치
KR19990034150U (ko)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장치
KR980001163A (ko) 음주운전 방지장치
KR960022050A (ko)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
KR20050018115A (ko) 차량 시동 안전 장치
KR19980034963A (ko) 자동차의 주간 점검 안내장치
KR19980028677A (ko) 차량 운전자 상태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970036023A (ko) 음주운전 방지장치(A decive for preventing drunken dri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