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411U -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411U
KR19980030411U KR2019960043507U KR19960043507U KR19980030411U KR 19980030411 U KR19980030411 U KR 19980030411U KR 2019960043507 U KR2019960043507 U KR 2019960043507U KR 19960043507 U KR19960043507 U KR 19960043507U KR 19980030411 U KR19980030411 U KR 199800304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anel
door
door inner
wat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호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3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0411U/ko
Publication of KR19980030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41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도어 인너 패널의 포밍부로 흘러간 물이 상기 포밍부의 개구부로 스며들게 되면서 포밍부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플랜지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그대로 고여있게 되어 도어 인너 패널에 부식이 발생시키거나, 실링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을 경우에는 인너 패널과 실 트림의 사이로 스며들게 되어 결국 차내로 유입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포밍부(120)에 배수공(122a)을 형성하므로서, 일부의 물이 도어 인너 패널(110)의 포밍부(120)를 지나가게 되면서 포밍부(120)의 개구부(121)로 스며든 물이 개구부(121)를 형성하고 있는 포밍부(120)의 플랜지(122)에 형성한 배수공(122a)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게 함에 따라 물이 어느 특정부위에 고여 도어(100)의 부식을 유발하거나 차내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배수구조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힌지(경첩)을 정점으로 개폐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도어에는 힌지에 의해서 몸쪽으로 당겼을 때 열리는 도어가 대부분이지만, 1 박스 카 등에서 차체에 연 이어져 옆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 도어, 갈매기가 날개를 편 모양으로 열리는 걸윙 도어 등이 있다.
이렇게 구분되는 도어는 다시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로 나뉘며, 승용차나 트럭에 관계없이 인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 유리, 레귤레이터, 실 트림, 도어 트림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인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이 중요한 구성부이다.
상기 인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은 어느 것이나 모두 강판제이며, 인너 패널이 도어의 골조로 작용하여 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인너 패널에는 도어, 레귤레이터, 도어 록 기구 등을 장치하기 위한 단턱이나 구멍을 설치하며 하중이 걸리는 부분에는 보강판이 설치되어 있다. 또 안쪽에는 구멍을 덮기위한 실 트림 및 도어 트림이 장치되어 있으며, 아우터 패널에는 바깥 핸들 및 도어 로크용 키를 장치하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 트림에는 도어 유리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파워 윈도우 스위치나 암 레스트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세차시나, 우천으로 인하여 물이 도어(10)의 내부로 스며들게 되면, 대부분의 물은 도어(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조에 의해 도어(10)의 외부로 배수되게 되지만, 일부의 물은 상기 도어 인너 패널(11)의 포밍부(12)를 지나게 되고, 이때 포밍부(12)의 개구부(12a)로 물이 들어가게 되면서 도어 인너 패널(11)과 실 트림(13)의 틈새로 유입되게 되며, 유입된 물은 도어 인너 패널(11)과 실 트림(1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실링(13a)에 의해 상기 틈새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틈새로 유입되었던 물이 포밍부(12)의 개구부(12a)를 형성하고 있는 플랜지(12b)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그대로 고여있게 되어 도어 인너 패널(11)에 부식을 유발시키거나, 실링(13a)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을 경우에는 도어 인너 패널(11)과 실 트림(13)의 사이로 스며들게 되어 차내로 유입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인너 패널의 포밍부에 배수공을 형성하므로서, 도어로 스며든 물이 상기 도어 인너 패널 포밍부의 플랜지와 실 트림의 사이로 흘러들어가게 되면 상기 포밍부에 형성된 배수공으로 완전히 배수되어 도어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물이 상기 플랜지와 실 트림의 사이에 고여 도어가 부식되거나 차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하단 포밍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포밍부의 플랜지 하단에 다수개의 배수공을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에 물이 스며들게 되면 대부분의 물은 도어의 배수구조를 통해 외부로 전량 방출되고, 일부의 물은 도어 인너 패널의 포밍부를 지나가게 되면서 포밍부의 개구부로 스며들게 되는데, 이때 스며든 물은 포밍부의 플랜지에 형성한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수됨에 따라 물이 어느 특정부위에 고여 도어의 부식을 유발하거나 차내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a 는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1b 는 도 1a 의 A-A 선 요부 단면도.
도 2a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정면도.
도 2b 는 본 고안의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도어 인너 패널 120 : 포밍부
121 : 개구부 122 : 플랜지
122a : 배수공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a 는 본 고안의 도어 인너 패널을 예시한 요부 정면도이고 도 2b 는 본 고안의 요부 측단면도로써,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포밍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개구부(121)를 형성하고 있는 도어 인너 패널(110)의 포밍부(120) 플랜지(122) 하단에 물 등이 원할히 배수될 수 있는 배수공(122a)을 다수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0)은 도어이며, (130)은 실 트림이고, (131)은 실링이다.
즉,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1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포밍부(120)의 개구부(121)에 물이 스며들게 되면, 도어 인너 패널(110)과 그 이면의 실 트림(130)의 틈새로 물이 유입되게 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도어 인너 패널(110)과 실 트림(130)의 사이에는 실링(131)을 하여 물이 도어 인너 패널(110)과 실 트림(130)의 사이를 통해 차내로 유입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상기 개구부(121)를 통해 들어온 물은 도어 인너 패널(110)과 실 트림(130)사이에 설치된 실링(131)과 상기 개구부(121)를 형성하고 있는 포밍부(120)의 플랜지(122)에 의해 그대로 고여있게 되고 이는 도어(100)의 부식을 유발하게 되며, 상기 실링(131)이 부실하게 되면 곧 도어 인너 패널(110)과 실 트림(130)의 사이로 물이 유입되게 되어 차내에 물이 스며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물이 제대로 배수되지 않아 부식이 되거나 차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포밍부(120) 하단 플랜지(122)에 다수개의 배수공(122a)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개구부(121)로 스며든 물이 도어 인너 패널(110)과 실 트림(130)의 사이에 고이게 되게 되면, 이는 곧 포밍부(120) 하단 플랜지(122)에 형성된 배수공(122a)을 통해 원할히 배수되게 되면서 차량 외부로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에 물이 스며들게 되면 대부분의 물은 도어의 배수구조를 통해 외부로 전량 방출되고, 일부의 물은 도어 인너 패널의 포밍부를 지나가게 되면서 포밍부의 개구부로 스며들게 되는데, 이때 스며든 물은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포밍부의 플랜지에 형성한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수됨에 따라 물이 어느 특정부위에 고여 도어의 부식을 유발하거나 차내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도어 인너 패널의 포밍부에 배수공을 형성하여 도어 내부로 스며든 물이 상기 포밍부의 개구부로 스며든 후, 그대로 고여있지 않고 상기 배수공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도어의 부식을 방지하고 도어의 배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포밍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개구부(121)를 형성하고 있는 도어 인너 패널(110)의 포밍부(120) 플랜지(122) 하단에 물 등이 원할히 배수될 수 있는 배수공(122a)을 다수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배수구조.
KR2019960043507U 1996-11-29 1996-11-29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배수구조 KR199800304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507U KR19980030411U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507U KR19980030411U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배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411U true KR19980030411U (ko) 1998-08-17

Family

ID=5398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507U KR19980030411U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041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14B1 (ko) * 2004-12-03 200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배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14B1 (ko) * 2004-12-03 200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418B1 (ko) 자물쇠부착도어 웨더스트립
KR19980030411U (ko) 자동차 도어 인너 패널의 배수구조
KR0132552Y1 (ko) 자동차 도어의 누수방지 구조
JP3756698B2 (ja) 自動車用モジュールドアの防水構造
KR100402120B1 (ko) 도어 힌지의 마운팅 보강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사이드 패널
KR200154503Y1 (ko) 자동차 사이드 씰 아웃터 패널의 드레인 홈
JPS61169317A (ja) 自動車のドア
JPS58118415A (ja) サツシユレスドアにおけるウエザ−ストリツプ
JPH0225717Y2 (ko)
KR200149087Y1 (ko) 차량용 바디도어 누수방지 루프패널구조
KR0135435Y1 (ko) 승용차용 트렁크의 누수방지구조
KR19990031777U (ko) 자동차 로커트림부의 웨더스트립 구조
KR0119351Y1 (ko) 차량의 센터 필러용 웨더스트립
KR19980039636U (ko) 자동차 후드 힌지
KR0132555Y1 (ko) 자동차 도어의 실트림 설치구조
KR100301639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KR100215665B1 (ko) 도어 첵 취부 구조
JPH11180150A (ja) 車両用ドアの水抜き構造
KR19980038916A (ko) 자동차용 도어의 사이드 웨더스트립
KR19980011123U (ko) 자동차용 도어의 배수구조
KR19980031333A (ko) 슬라이드도어 장착 차량의 어퍼롤러부 취부구조
KR19980047238U (ko) 차량용 도어의 수밀구조
KR20000008178U (ko) 자동차의 프레임레스 도어용 웨더스트립
JPH05178087A (ja) 車両の車体構造
JPH05178095A (ja) 車両の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