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837A -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837A
KR19980029837A KR1019960049166A KR19960049166A KR19980029837A KR 19980029837 A KR19980029837 A KR 19980029837A KR 1019960049166 A KR1019960049166 A KR 1019960049166A KR 19960049166 A KR19960049166 A KR 19960049166A KR 19980029837 A KR19980029837 A KR 19980029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mp
housing
wi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49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837A/ko
Publication of KR1998002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837A/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차체(B) 전방에 전조등(10)이 설치되고, 전조등(10)에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에 불빛을 발광시키는 램프(12)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10)의 하우징(11) 중앙 전방에 램프(12)를 설치하고, 램프(12)의 후방에 차체(B)에 고정된 축(15)으로 축지한 회전로드(14)를 구비하며, 회전로드(14)에는 장공(16)을 형성시켜 좌우 이송하는 이송로드(17)의 이송축(18)에 연결시키고, 각 이송로드(17)의 중앙부에는 와이어(W1)를 연결시켜 가이드풀리(19)에 의해 안내이송될 수 있게 하며, 이송로드(17)의 외부측에는 와이어(W1)로 연결시켜 조향핸들(H)의 샤프트(S)에 권취시킨 것으로 직진 또는 굴곡도로를 진행하는 차량의 전방을 조향핸들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과 램프가 좌우 회동하여 불빛을 밝혀주므로서 가시거리를 보다 넓게 크게 확보함에 따라 야간 운전시에 주행안정성을 높이고, 차량의 전조등 상품 신뢰도를 높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좌우측 전조등의 하우징에 설치한 램프에 각각 회전로드를 구비시켜 축지하고, 각 회전로드에는 장공을 형성시켜 이송로드와 축지시키며, 이송로드는 다수개의 롤러에 설치된 와이어와 연결시키고, 와이어는 핸들의 샤프트에 설치된 와이어 조절구에 권취시켜 직진도로 및 굴곡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회동 조작되는 핸들의 조향위치에 의해 전조등의 램프와 하우징을 회동 작동될 수 있게 한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조등은 차체의 전방 양측에 램프를 설치하여 야간 주행시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인 전방을 밝힐 수 있게 하여 도로상태의 확인과 야간운전 주행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전조등은 차체의 전방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전조등 내부에는 램프를 고정식으로 설치하며, 램프의 후방에는 불빛을 밝게 확산시켜 주는 반사경으로 된 하우징을 설치하고, 램프의 전방에는 렌즈를 설치하였다.
상기한 전조등은 차량의 야간주행시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된 램프가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을 밝게 비쳐질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전조등은 고정식으로 설치된 램프의 불빛이 차량 주행진행방향을 밝게 비쳐주므로 인해 직진도로에서는 직선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을 비춰주어 주행안정성을 크게 확보하였으나 굴곡도로에서는 차량의 전방으로 비쳐지는 램프 발광빛이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으로는 비춰지지 못하여 가시거리확보가 용이하지 못하여 굴곡도로상에서의 주행안정성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조등(1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같이 차체의 전방에 반사경을 갖는 하우징(11)을 고정식으로 설치하고, 이 하우징(11)의 중앙에 설치한 램프(12) 또한 고정식으로 설치하며, 하우징(11) 전방에는 렌즈(13)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전조등(10)은 배터리에서 전선을 인가받아 램프(12)를 발광시켜 야간의 차량주행시 운전방향인 전방을 밝게 비춰질 수 있게 하여 주행 안정성을 높였다.
그러나 상기 전조등(10)은 직진 도로에서의 주행시에는 차량의 진행방향 전방의 노면을 전조등(10)의 램프(12)가 비춰주므로 운전자가 전방을 확인할 수 있어 주행시의 안정성이 보장되었으나 도 6에서 보는 바와같이 굴곡 도로에서는 차량의 전방으로만 비춰지는 램프(12)의 밝기가 차량의 진행방향인 굴곡노면을 비춰주지 못하여 운전자의 주행가시거리가 짧아 주행안정성을 저하시켰다.
전술한 종래 기술들은 차량의 전조등에 설치한 램프가 고정식으로 되어있어 굴곡진 도로에서의 차량진행방향으로 램프의 빛을 밝혀주지 못함에 따라 야간주행 운전자의 가시거리를 최소화시켜 주행 안정성을 높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좌우측 전조등의 하우징에 램프와 램프에 각각 회전로드를 구비시켜 축지하고, 각 회전로드에는 장공을 형성시켜 이송로드와 축지시키며, 이송로드는 롤러에 설치된 와이어와 연결시키고, 와이어는 핸들의 샤프트에 설치한 와이어 조절구에 권취시켜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회동 조작되는 핸들의 조향위치에 의해 전조등의 램프와 하우징이 회동 작동될 수 있게 한 것으로 야간주행시 차량의 진행방향을 전조등의 불빛이 비춰지게 하여 주행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조등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조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상태를 나타낸 작용상태 도.
도 5는 종래의 구조도.
도 6은 종래의 작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조등11 ; 하우징
12 ; 램프14 ; 회전로드
15 ; 축16 ; 장공
17 ; 이송로드18 ; 이송축
19 ; 가이드풀리20 ; 롤러
21 ; 와이어 조절구W1, W2 ; 와이어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차체(B) 전방에 전조등(10)이 설치되고, 전조등(10)에는 불빛을 발광시키는 램프(12)와 하우징(11)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의 중앙 전방에 램프(12)를 설치하고, 램프(12)의 후방에는 차체(B)에 고정된 축(15)으로 축지한 회전로드(14)를 구비하며, 회전로드(14)에는 장공(16)을 형성시켜 좌우 이송하는 이송로드(17)의 이송축(18)에 연결시키고, 각 이송로드(17)의 중앙부에는 와이어(W1)를 연결시켜 가이드풀리(19)에 의해 안내이송될 수 있게 하여, 각 이송로드(17)의 외부측에는 와이어(W2)로 연결시키며, 와이어(W1)는 조향핸들(A)의 조작방향에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샤프트(S)에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상태도이고, 도 2는 설치상태 평면도로서 차량의 차체(B) 전방 양측에 각각 전조등(10)이 구비되고, 각 전조등(10)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사경으로 된 하우징(11)과 이 중앙전방에 램프(12)를 구비하며, 램프(12)의 후방에는 일체로 회전로드(14)를 설치하고, 회전로드(14)는 차체(B)에 설치된 축(15)에 좌 우 회동가능하게 축지하며, 회전로드(20)의 중앙 후방에는 장공(16)을 형성한다. 상기 장공(16)에는 좌 우 이송되는 이송로드(17)의 상부에 형성한 이송축(18)을 축지시키고, 각 이송로드(17)의 중앙부에는 와이어(W1)를 연결시켜 와이어(W)의 중앙에 구비한 가이드풀리(19)에 가이드 이송되도록 설치하며, 각 이송로드(17)의 외부측에는 다수개의 롤러(20)에 설치되는 와이어(W2)를 연결시킨다. 상기한 와이어(W2)는 조향핸들(H)의 샤프트(S)에 설치된 와이어 조절구(21)에 권취되어 조향핸들(H)의 조작시 와이어(W2)가 좌우 이송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보는 바와같이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조향핸들(H)을 좌우 회동시키면 샤프트(S)가 회동하면서 와이어조절구(21)를 회동시키고, 이에 와이어조절구(21)에 권취된 와이어(W2)가 롤러(20)를 따라 좌우측으로 이송된다. 이렇게 와이어(W2)가 좌우 이송되면 전조등(10)의 램프(12)에 연결된 각 이송로드(17)가 동시에 좌우측으로 이송한다. 이때 이송로드(17)의 작동성을 균일하게 하고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각 이송로드(17)의 중앙부에 연결된 와이어(W1)가 가이드롤러(19)에 의해 안내되면서 좌우 이송한다. 이와 같이 이송로드(17)가 좌우 이송되면 장공(16)에 축지된 이송축(18)이 좌우 이동하면서 차체(B)에 구비한 축(15)에 축지된 회전로드(14)가 좌우 이송하고, 동시에 램프(12)와 하우징(11)이 좌우측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직진 또는 굴곡을 따라 주행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전조등(10)의 램프(12)에서 발광되는 불빛이 비춰지므로 인해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전방 가시거리를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좌우측 전조등에 구비한 하우징과 설치한 램프에 각각 회전로드를 구비시켜 축지하고, 각 회전로드에는 장공을 형성시켜 이송로드와 축지시키며, 이송로드는 롤러에 설치된 와이어와 연결시키고, 와이어는 핸들의 샤프트에 설치한 와이어 조절구에 권취시켜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회동 조작되는 핸들의 조향위치에 의해 전조등의 램프와 하우징이 회동 작동될 수 있게 한 것으로 직진 또는 굴곡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조향핸들 조작에 따라 램프의 불빛이 차량의 진행방향의 도로에 밝혀주므로서 운전자가 가시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야간 운전시 주행안정성을 높이고, 차량의 전조등에 대한 상품 신뢰도를 높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차체(B) 전방에 전조등(10)이 설치되고, 전조등(10)에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에 불빛을 발광시키는 램프(12)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10)의 하우징(11) 중앙 전방에 램프(12)을 설치하고, 램프(12)의 후방에는 차체(B)에 고정된 축(15)으로 축지한 회전로드(14)를 구비하며, 회전로드(14)에는 장공(16)을 형성시켜 좌우 이송하는 이송로드(17)의 이송축(18)에 연결시키고, 각 이송로드(17)의 중앙부에는 와이어(W1)를 연결시켜 와이어(W1)가 가이드풀리(19)에 의해 안내이송될 수 있게 설치하며, 각 이송로드(17) 외부측에는 와이어(W1)를 연결시켜 다수개의 롤러(20)에 지지시키며, 롤러(20)에 지지된 와이어(W1)는 조향핸들(A)의 샤프트(S)에 권취시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10)의 하우징(11)과 램프(12)는 좌우 이송하는 이송로드(17)의 조작에 의해 축(15)을 중심으로 좌우 회동 이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W1)는 조향핸들(H)의 샤프트(S)에 설치한 와이어 조절구(21)에 권취되어 좌 우이송 작동성이 균일하게 시행될 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
KR1019960049166A 1996-10-28 1996-10-28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 KR19980029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166A KR19980029837A (ko) 1996-10-28 1996-10-28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166A KR19980029837A (ko) 1996-10-28 1996-10-28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837A true KR19980029837A (ko) 1998-07-25

Family

ID=6631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166A KR19980029837A (ko) 1996-10-28 1996-10-28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8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4610B2 (en) 2022-04-19 2024-04-23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Changing headlight properties to recommend vehicle spe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4610B2 (en) 2022-04-19 2024-04-23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Changing headlight properties to recommend vehicle spe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261B2 (en) Vehicle lighting system
US6634773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US7427151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and vehicle headlam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7099222A (ja) 車両用照明装置
CN1253331C (zh) 车辆用照明装置
KR20210016166A (ko) 차량용 조명 장치
US6726349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US10859228B2 (en) Variable headlamp apparatus for vehicle
KR19980029837A (ko) 차량의 주행진행방향에 따른 가변전조등 구조
US6764209B2 (en) Rotating headlight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lamp with two light sources
KR101385160B1 (ko) 헤드램프
KR0138785Y1 (ko) 차량용 헤드램프 장착 구조물
JP2004330906A (ja) 車両用前照灯
JPH0249604Y2 (ko)
JP2817603B2 (ja) 補助照明装置
KR0138789Y1 (ko) 차량용 헤드램프 장착 구조물
JPH021156Y2 (ko)
JP2907371B2 (ja) 車両用灯具
KR20240008743A (ko) 차량용 라이팅 장치
JPH04255604A (ja) 車輌用灯具
KR20240008742A (ko) 차량용 라이팅 장치
KR200160065Y1 (ko) 차량의 헤드램프용 조사빔 전환장치
KR200207686Y1 (ko) 자동차 전조등의 각도조절장치
KR0138787Y1 (ko) 차량용 헤드램프 장착 구조물
KR200147362Y1 (ko) 차량의 프로젝션 헤드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