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264A -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264A
KR19980029264A KR1019960048511A KR19960048511A KR19980029264A KR 19980029264 A KR19980029264 A KR 19980029264A KR 1019960048511 A KR1019960048511 A KR 1019960048511A KR 19960048511 A KR19960048511 A KR 19960048511A KR 19980029264 A KR19980029264 A KR 19980029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 lock
function
portable device
lock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8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264A/ko
Publication of KR1998002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264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휴대장치는 전화기의 기능키를 잘못타치하거나 어린아이가 장난으로 전화기의 키를 잠못 눌렀을 경우 설정상태가 지워지거나 변경됨으로 인해 기능설정을 다시하여야하고, 원하지 않는 사람이 전화기를 임의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키잠금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파워키를 입력시켜 키잠금모드로 설정할 시 키잠금기능을 수행하여 휴대장치의 키매트릭스로부터 입력되는 모든 키신호의 처리를 하지 않도록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전화기에 적용한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 구현방법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기능에 대한 설정상태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키잠금기능을 구현하는 키잠금기능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전화기는 하나의 고정장치에 여러개의 휴대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고정장치는 유선에 연결되어 있어 외부와 직접 통화할 수 있고, 휴대장치는 고정장치와 무선에 의한 통신에 의해 외부와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방치하여 두었을 경우 전화기의 기능키를 잘못타치하거나 어린아이가 장난으로 전화기의 키를 잘못 눌렀을 경우 각 기능에 대한 설정상태가 지워지거나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통화키가 눌러졌을 경우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와도 통화중 상태로 감지되어 전화를 받을수 없게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는 전화기의 기능키를 잘못타치하거나 어린아이가 장난으로 전화기의 키를 잠못 눌렀을 경우 설정상태가 지워지거나 변경됨으로 인해 기능설정을 다시하여야하고, 원하지 않는 사람이 전화기를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타인이 각 기능에대한 설정상태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전화를 걸지 못하도록 하는 키잠금기능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워키를 입력시켜 키잠금모드로 설정할 시 키잠금기능을 수행하여 입력되는 모든 키신호의 처리를 하지 않도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의 블럭도이다.
CPU 290은 휴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고정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데이타를 받아 링음이나 통화를 형성하도록 제어하고, 키잠금모드 설정에 따라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 270은 휴대장치의 비밀번호(ID) 및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키매트릭스 280은 키잠금모드 선택키와 각종 기능 및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타를 CPU 290로 출력한다. 증폭부 360은 음성 신호 및 각종 송수신데이타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RF송수신부 350은 상기 CPU 290의 제어에 의해 송신 음성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증폭부 360으로 출력한다. 마이크 340은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스피커 330은 전기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출력한다. 제1 및 제2 증폭부 310, 320은 상기 마이크 340과 스피커 330의 입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표시장치 300은 상기 CPU 290의 제어에 의해 키의 입력 상태와 휴대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101단계에서 휴대장치가 대기상태일 경우 사용자가 휴대장치의 키매트릭스 280으로부터 파워키를 누르게 되면, 이때 102단계에서 휴대장치의 CPU 290은 파워키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런후 103단계에서 휴대장치의 CPU 290은 파워키가 설정된 시간, 예를들어 1초이상 눌러지는가 검색한다. 상기 파워기키 1초이상눌러지면 104단계로 진행하여 CPU 290은 현재상태가 키잠금(Key Lock)모드인가 검색하여 키잠금모드이면 입력된 파워키가 키잠금모드 해제명령어로 인식하여 1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5단계에서 휴대장치의 CPU 290은 파워키와 다른 모든 기능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 후 106단계에서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그러나 상기 104단계에서 현재상태가 키잠금모드가 아니면 상기 입력된 파워키를 키잠금모드 설정 명령어로 인식하여 107단계에서 CPU 290은 파워버튼을 제외한 모든 키가 입력되어도 처리되지 않도록 키잠금기능을 수행한다. 그런후 108단계에서 CPU 290은 키매트릭스 280으로부터 파워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파워키가 입력되면 상기 103단계로 되돌아가고, 파워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1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9단계에서 CPU 290은 RF송수신부 350을 통해 링착신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사하여 링착신신호가 수신되면 110단계로 진행하여 스피커 330을 통해 링착신음을 발생시킨다. 그런후 CPU 290은 키매트릭스 280으로부터 통화키신호가 입력되는가 검사하여 통화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110단계에서 계속해서 링착신음을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통화키가 입력되면 112단계로 진행하여 CPU 290은 RF송수신부 350을 제어하여 채널을 잡아 정상통화시와 동일하게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런후 113단계에서 CPU 290은 키매트릭스 280으로부터 통화오프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통화오프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112단계로 돌아가 계속해서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통화오프키신호가 입력되면 1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4단계에서 CPU 290은 RF송수신부 350을 제어하여 통화기능을 종료한 후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를 키잠금모드로 설정하여 놓은후 키매트릭스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될 시 입력되는 키신호에 따른 동작을 처리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따라 타인이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키를 잘못 조작하거나 어린아이가 장난으로 키를 눌렀을 경우 각 기능에 따른 설정상태가 지워지거나 변경되지 않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각 기능에 대한 설정상태를 다시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원하지 않는 타인이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임의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잡금기능 구현방법에 있어서, 파워키를 입력시켜 키잠금모드로 설정할 시 키잠금기능을 수행하여 입력되는 모든 키신호의 처리를 하지 않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 구현방법.
  2. 상기 키잠금모드 설정은 상기 파워키를 설정된 시간이상 누름에 의해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잠금기능 구현방법.
  3.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매트릭스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의 처리를 중지시키는 키잡금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가 대기상태에서 키매트릭스의 파워키를 설정된 시간동안 누르는 과정과, 상기 파워키를 설정된 시간동안 누를시 현재상태가 키잠금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키잠금모드 검출과정에서 현재상태가 키잠금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을시 키잠금모드로 설정한 후 키잠금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잡금기능 구현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잠금기능을 수행중 링착신 데이터가 수신될 시 통화키가 입력되면 전화를 받을수 있도록 통화를 채널을 연결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 구현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잠금모드 검출과정에서 현재상태가 키잠금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파워키가 설정된 시간동안 다시 눌러질 시 키잠금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 구현방법.
KR1019960048511A 1996-10-25 1996-10-25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 구현방법 KR19980029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511A KR19980029264A (ko) 1996-10-25 1996-10-25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511A KR19980029264A (ko) 1996-10-25 1996-10-25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 구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264A true KR19980029264A (ko) 1998-07-25

Family

ID=6631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511A KR19980029264A (ko) 1996-10-25 1996-10-25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2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467B1 (ko)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6055309A (en) Circuit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utting off a speech path and converting to a standby state upon completion of speakerphone speech in a cordless telephone
KR19980029264A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키잠금기능 구현방법
JP3605751B2 (ja) 電話機
KR100194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통화우선권 부여방법
KR1011963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KR100206174B1 (ko) 무선전화기에서 통화구현방법
KR0148531B1 (ko) 전화기에 있어서 핸드셋의 스피커폰 구현회로
KR100194470B1 (ko) 무선전화기에서 링착신음 발생방법
KR100594176B1 (ko) 사용자 접촉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0148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통화형성하는 방법
JP3296778B2 (ja) 電話機
KR0177317B1 (ko)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
KR19980065581A (ko) 무선전화기에서 송화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
KR19980022355A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선택적인 링착신방법
KR19980046093A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내선통화방법
KR920005048Y1 (ko) 온 후크 자동 다이얼링 장치
JP2000278388A (ja)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携帯可能な通信装置
JP296580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機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KR100208763B1 (ko) 전화단말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전화수신방법
KR100227548B1 (ko)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방법
KR19980023371U (ko) 벨 및 수신메세지 오프/온 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19980075442A (ko) 통신장치에 구비된 휴대장치에서 오디오기기 음소거 방법.
KR19990052445A (ko) 무선전화기에서 링신호를 송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