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548B1 -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방법 - Google Patents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548B1
KR100227548B1 KR1019970040447A KR19970040447A KR100227548B1 KR 100227548 B1 KR100227548 B1 KR 100227548B1 KR 1019970040447 A KR1019970040447 A KR 1019970040447A KR 19970040447 A KR19970040447 A KR 19970040447A KR 100227548 B1 KR100227548 B1 KR 100227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encryption code
value
code
ter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501A (ko
Inventor
윤영배
하영일
권성오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정태기
주식회사신세기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기, 주식회사신세기통신 filed Critical 정태기
Priority to KR101997004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548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04M1/665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by checking the validity of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 가입자가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CT-2, 셀룰라, PCS를 포함하는 이동전화 단말기 소지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비밀번호 데이터를 프로그램 입력저장하고 상대방에게는 선택적으로 자신의 비밀번호를 알려주어 필요시 이동전화 단말기를 암호 추가입력모드로 전환시켜 놓음으로써 자신의 비밀번호를 알고있는 자로부터의 전화만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는데 있다.

Description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방법
본 발명은 이동전화 가입자가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문명의 급속한 발전은 다양한 방식의 이동전화 서비스망이 구축을 촉발하게 되었고 이에 많은 수의 사람들이 이들 이동전화망에 가입하게 되었으며, 이에 이동전화 가입자들은 하루에도 수많은 전화호출을 받게된다.
그런데 이동전화 단말기에 걸려오는 많은 수의 전화중에는 이동전화 가입자가 받고싶지 않거나 원치않는 내용이 걸려오기도 한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이동전화 단말기 자체를 오프시켜 놓거나 호출음이 발생되어도 받지않는 방법외에 달리 다른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전화 가입자가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중에서 중요한 전화만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기술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CT-2, 셀룰라, PCS를 포함하는 이동전화 단말기 소지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비밀번호 데이터를 프로그램 입력저장하고 상대방에게는 선택적으로 자신의 비밀번호를 알려주고 필요시에는 이동전화 단말기를 암호 추가입력모드로 전환시켜 놓음으로써 자신의 비밀번호를 알고있는 자로부터의 전화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신을 실행하기 위한 이동전화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RF처리부 2 : 중간주파수 처리부
3 : 디지탈신호 처리부 4 : 음성신호 처리부
5 : 전자스위치 6 : 벨
7,17 : 마이크 8,18 : 스피커
9 : 중앙처리장치 10 : 메모리부
11 : 전자 입출력포트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하드웨어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이동전화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9)와, 메모리부(10)와, 이동전화용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송출하는 RF처리부(1)와, 수신된 RF신호를 IF신호로 변환하고 또한 내부의 음성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는 중간주파수 처리부(2)와, 이동전화의 호 처리에 관련한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전송하는 디지탈신호 처리부(3)와, 주간주파수 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 음성신호를 처리하고 또한 단말기에서 송출하기 위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4)와,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벨(6)과 스피커(8)측으로 인가되게 스위치하고 또한 마이크(7)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신호 처리부(4)로 인가되게 스위치하는 전자스위치(5)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명령신호를 RF처리부, 중간주파수 처리부, 디지탈신호 처리부 및 전자스위치에 전달하고 또한 그들로부터의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중앙제어장치에 전송하는 전자 입출력포트(1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이동전화 단말시스템의 기본적인 동작을 보면, RF처리부(1)는 이동전화용 주파수신호를 수신한후 이를 중간주파수 처리부(2)에서 주파수를 낮게 변환하여 디지탈신호 처리부(3)와 음성신호 처리부(4)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디지탈신호 처리부(3)는 이동전화의 호 처리에 괸한 시스템과 단말기 간의 제어신호들을 처리하여 이를 중앙처리장치(9)에 전송한다.
음성신호 처리부(4)는 중간주파 처리부(2)에서 수신된 신호가 호와 같은 단말기 및 시스템간 제어정보가 아닌 음성신호에 해당할 경우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압축된 아날로그신호를 정상적으로 환원하고 디지탈 방식에서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전자 스위치(5)를 거쳐 단말기 스피커(8)측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는 단말기 마이크(7)를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아날로그 시스템인 경우에는 오디오를 무선전송환경에 맞게 압축하여 전송하고 디지탈 시스템인 경우에는 이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전자스위치(5)는 중앙처리장치(9)의 제어명령에 따라 전기적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증폭하는 스피커(8), 음성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7) 및 사용자에게 단말기의 상태나 송수신 등의 경보를 발생하는 벨(6)을 제어한다.
중앙처리장치(9)는 단말기의 전체소자 및 구성부분을 제어하거나 시스템과의 정보교환 및 해독을 하는 장치이고, 메모리부(1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프트웨어와 키 입력부에 의한 비밀번호에 대한 암호코드 데이터와 기타 개인정보 혹은 단말기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렇게 구성된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수신과정에 대해 도 2의 흐름도를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전화 단말기의 대기상태인 제1 단계(S1)로부터 제2 단계인 호 수신여부 판단단계(S2)를 실행하여 호 수신이 없으면 상기의 제1 단계인 대기모드로 돌아가고 여기에서 호 수신이 확인되면 제3 단계를 실행하여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입력제한 타이밍을 스타트하고 스피커와 마이크를 오프모드로 만든다음 암호코드의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제4 단계(S4)를 수행한다.
상기의 제4단계(S4)에서 암호코드의 수신이 없으면 그때까지의 타이밍 카운트 값인 입력제한 타임값이 제1 설정값(T1)에 이르렀는가를 제10 단계(S10)에서 판단하여 그때의 값이 아직 설정값에 이르지 않았으면 다시 제4단계를 실행하여 암호코드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그때의 입력제한 타이머 값이 상기 제1 설정값(T1)에 이르렀으면 제11 단계(S11)를 실행하여 호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의 제4단계(S4)에서 암호코드의 수신이 있으면 제5 단계(S5)에서 수신된 암호코드를 사전에 메모리에 설정등록한 저장암호코드에 비교한다.
상기 제5 단계에서 수신된 암호코드와 저장된 암호코드의 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11 단계를 수행하여 호를 종료한후 해당 호 수신모드를 끊내고 수신된 암호코드와 저장된 암호코드의 값이 일치하면 제6 단계(S6)에서 응답대기 카운트시간 값과 제2 설정시간 값(T2)을 비교하여 제한시간내에서의 사용자 응답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6단계의 실행결과 응답대기 카운트시간 값이 제2 설정시간 값(T2)에 이르도록 응답이 없으면 제11 단계로가서 호를 종료하고, 상기 제2 설정시간 값(T2) 이내에 응답이 있으면 제7 단계(S7)를 실행한다.
상기 제7 단계에서는 입력제한 타이머를 리세트 시키고 스피커와 마이크의 온을 실행한 다음 통화모드인 제8 단계(S8)로 넘어간다.
상기 제8단계에서의 통화수행중 통화종료여부를 제9단계(S9)에서 판단하여 통화 종료이면 해당 회차의 통화를 종료하고 다음의 통화 호 수신을 위한 대기모드로 들어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가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선택적으로 받기 위해 기존의 전화번호 외에 사전에 설정된 암호코드의 입력여부 및 입력된 암호코드의 식별이 단말기 내부의 시스템 제어용 중앙처리장치에서 이루어지도록 단말기 소지자가 해당 기능수행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자로부터의 전화 호를 무력화하고 자신의 등록된 암호코드를 알고 있는 사람으로부터의 전화 호만을 선택적으로 받을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이동전화 단말기의 대기상태로부터 호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호 수신이 있으면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입력제한 타이밍을 스타트하고 스피커와 마이크를 오프모드로 만든다음 암호코드의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암호코드의 수신이 없으면 타이밍 카운트 값이 제1 설정값(T1)에 이르렀는가를 판단하여 아직 설정값에 이르지 않았으면 다시 암호코드의 수신 여부 판단단계를 실행한 후 타이밍 카운트 값이 상기 제1 설정값(T1)에 이르렀을 때 호를 종료하고 암호코드의 수신이 있으면 이를 사전에 설정등록한 저장암호코드에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암호코드의 비교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호를 종료한후 해당 호 수신모드를 종료하고 수신된 암호코드와 저장된 암호코드의 값이 일치하면 응답대기 카운트시간 값과 제2 설정시간 값(T2)을 비교하여 제한시간내에서의 사용자 응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설정시간 값(T2) 이내에 응답이 있으면 입력제한 타이머를 리세트 시키고 스피커와 마이크의 온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한 통화도중 통화종료여부를 판단하여 통화종료이면 해당 회차의 통화를 종료하고 다음의 통화 호 수신을 위한 대기모드로 들어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방법.
KR1019970040447A 1997-08-25 1997-08-25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방법 KR100227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447A KR100227548B1 (ko) 1997-08-25 1997-08-25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447A KR100227548B1 (ko) 1997-08-25 1997-08-25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501A KR19990017501A (ko) 1999-03-15
KR100227548B1 true KR100227548B1 (ko) 1999-11-01

Family

ID=1951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447A KR100227548B1 (ko) 1997-08-25 1997-08-25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5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501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28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응급전화 통화방법
US6198942B1 (en) Telephone apparatus adaptable to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KR20050028992A (ko) 원격지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모드 변경 방법
KR100227548B1 (ko)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방법
KR100713338B1 (ko) 다자간 통신을 서비스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제통화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KR200212970Y1 (ko) 무선전화기에서 콜러아이디 수신기능을 이용한 단말기전용호출장치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JPH1117782A (ja) バイブレータ付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194414B1 (ko) 무선전화기의 비밀번호에 따른 링발생방법
KR100194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통화우선권 부여방법
KR20000001188A (ko) 모닝콜 원격 제어방법
KR100276812B1 (ko) 통신 단말기에서 라스트콜 차단방법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JP2586722Y2 (ja) 電話機
KR1010108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보안 방법
KR2005004062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알람 및 모닝콜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214649B1 (ko) 간이 전자 교환기에서의 주변소리 청취기능 제어방법
KR1007133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프리모드에서 수신된 콜을 종료하는장치 및 방법
KR10098439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KR2000004449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
JPH11196039A (ja) 発呼信号出力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発呼信号受信部付き電話機
JP2000278388A (ja)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携帯可能な通信装置
KR10067819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매너모드에서 상황을 알리는 방법
JP3088379B2 (ja) スピーカホン通話機能を備えた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