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4492A -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4492A
KR20000044492A KR1019980060991A KR19980060991A KR20000044492A KR 20000044492 A KR20000044492 A KR 20000044492A KR 1019980060991 A KR1019980060991 A KR 1019980060991A KR 19980060991 A KR19980060991 A KR 19980060991A KR 20000044492 A KR20000044492 A KR 20000044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incoming
generation
portable terminal
incom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덕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60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4492A/ko
Publication of KR2000004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49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 착신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착신 링을 한번의 키버튼 입력으로 무음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대기 상태에서 호 착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착신되는 호에 응답하여 설정된 종류의 착신 링을 발생하는 착신링 발생과정과, 착신링 발생 상태에 있어 미리 정의된 소정 키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착신링의 발생을 제어하여 무음 처리하는 착신링 발생 제어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 착신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착신 링을 한번의 키버튼 입력으로 무음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동통신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이 전화 통화 수행을 이룰 수 있으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편의성은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더 급속하게 대중화시키는 촉진제가 되었다. 이에 많은 휴대용 단말기 제조자들은 보다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고 보다 대중적으로 손쉽게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발과 제조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의 급속한 대중화는 그 사용의 편의성에 상반하여 또 다른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였는데, 이는 공공 장소나 정숙을 요하는 장소 및 시간에 있어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무절제한 전화 통화에 의한 소음, 그리고 수신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발생하는 착신링에 의한 소음에 따른 문제이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로 착시되는 호의 경우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수신되어 그에 따른 착신링 발생을 일으키는데, 이에 따른 소음의 폐해는 휴대용 단말기의 급속한 대중화와 더불어 동시에 증가하는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최근에 있어 제조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착신링 발생에 따라 가청상태의 링 발생을 차단하고 사용자 자신만이 알 수 있도록 하는 진동 모드의 기능이 구현되고는 있는데, 이 기능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을 해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발생되는 착신링을 무음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그 외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무음 처리 할 수밖에 없는 문제를 가지게 되었다. 결국,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그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게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을 제어함에 있어, 호 착신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착신 링을 사용자가 한번의 키버튼 입력만을 행하여도 바로 무음 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착신링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에 있어, 휴대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호 착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착신되는 호에 응답하여 설정된 종류의 착신 링을 발생하는 착신링 발생과정과, 착신링 발생 상태에 있어 미리 정의된 소정 키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착신링의 발생을 제어하여 무음 처리하는 착신링 발생 제어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부가된 참조 부호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된 참조 부호일 지라도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원칩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구현되며,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 수행을 이룬다. 메모리(20)는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동작 수행에 따른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이 램은 통상 버퍼(Buffer)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옵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이피롬(EEPROM)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이이피롬에 수신된 단문메시지 및 작성된 단문메시지가 저장되는 SMS저장부가 구비된다. 키입력부(30)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 그리고 단문메시지서비스 기능에 따른 메시지키를 구비하며, 상기 키들에 대한 키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하여 상기 제어부(10)이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표시부(4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키입력부(30)로부터 입력된 키데이터에 대한 표시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전화기의 동작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표시한다. 신호처리부(60)는 상기 제어부(10)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하고, 마이크로폰(MIC)과 스피커(SPK)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처리하여 출력한다. 무선주파수부(이하 "RF부"라 함)(50)는 안테나(ANT)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서(55)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복조하여 상기 신호처리부(60)로 출력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신호처리부(6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송신부로 이루어진다. 착신링발생부(70)는 상기 단말기로 호 착신이 이루어지거나 소정 단문메시지 착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착신링 발생을 수행한다. 착신링 발생시 스피커(SPK)통한 가청음 상태의 링 발생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 상태에 따라 모터의 회전에 따른 진동으로 착신링의 발생이 대체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210단계에서 단말기는 대기상태를 수행한다. 대기상태는 단말기가 어떠한 통화 동작 및 그 외 구현된 기타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단지 수신되는 호의 감지를 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이다. 212단계에서는 호의 착신이 있는지를 감지한다. 즉, 수신되는 착신 호가 있는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212단계에서 호 착신이 이루어졌음이 감지되면, 214단계에서 착신링 발생 상태를 검색한다. 이는 현재의 단말기 착신링 발생 상태가 스피커를 통한 착신링 발생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 혹은 진동으로 착신링 발생 상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것이다. 상기 214단계를 수행하고, 216단계에서는 설정된 상태가 어떠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216단계에서 착신링 발생 상태인 경우는 217단계에서 스피커를 통해 소정 착신링을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216단계에서 진동 발생 상태로 판단되면, 218단계에서 진동 발생을 수행한다. 그리고 220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별도로 구현된, 또는 기존의 키패드 키 버튼에 있어 미리 지정된 한 키 버튼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핫키'라 칭한다. 상기 220단계에서 상기 핫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핫키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222단계에서 이미 착신되는 호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착신링과 진동의 발생을 정지하도록 처리한다. 이때의 착신링 및 진동 정지 처리 동작은, 스피커와 진동 모터의 전원부에 상기 핫키의 입력에 의해 스위칭 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시킨 후, 상기 핫키의 입력에 따라 스위치의 조작이 이루어져 스피커나 진동모터로의 전원인가를 단락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호 착신에 따른 호 처리 동작과 별도로 착신 링이나 진동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는 토글 기능을 가지도록 구현되어 사용자의 핫키 입력 횟수에 따라 동작/해제가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는 트랜지스터 또는 논리 게이트를 통해 구현되는 것이 구현의 단순성 및 단말기의 소형화 달성 측면에 있어서 유리할 것이다. 그리고, 224단계에서는 착신링 발생 정지와 별도로 착신된 호의 처리 동작이 그대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이 발생되어 소음의 문제를 낳는 착신링 발생과 진동 발생을 한번의 키 입력만으로 정지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배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착신 링 발생이 멈추더라도 호 처리에 따른 동작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 호 착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착신되는 호에 응답하여 설정된 종류의 착신 링을 발생하는 착신링 발생과정과,
    착신링 발생 상태에 있어 미리 정의된 소정 키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착신링의 발생을 제어하여 무음 처리하는 착신링 발생 제어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
  2.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착신링 발생 스피커와 진동모터의 전원 인가단에 토글 동작 스위치를 구비한 후, 착신되는 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와 진동모터로 전원을 인가하여 착신링 및 진동의 발생을 수행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상기 구비된 스위치의 동작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와 진동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달 경로를 단락 시켜 발생되는 착신링 및 진동을 멈추도록 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
KR1019980060991A 1998-12-30 1998-12-30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 KR20000044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991A KR20000044492A (ko) 1998-12-30 1998-12-30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991A KR20000044492A (ko) 1998-12-30 1998-12-30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492A true KR20000044492A (ko) 2000-07-15

Family

ID=1956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991A KR20000044492A (ko) 1998-12-30 1998-12-30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44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129A (ko) * 2000-09-30 2002-04-06 김대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착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129A (ko) * 2000-09-30 2002-04-06 김대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착신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1004627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2000004449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링 발생 제어 방법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JP2001103547A (ja) 無線通信端末の着信制御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の制御装置ならびに車内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194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통화우선권 부여방법
US6463297B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connecting a call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JP2928217B1 (ja) 移動端末装置
KR100918757B1 (ko) 호 수신을 알리는 방법
KR100279719B1 (ko) 휴대통신단말기의 사용자 현재 상태 알림방법
KR20010091722A (ko) 휴대폰의 착신음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227548B1 (ko) 암호코드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선택적 수신방법
KR100539873B1 (ko) 이동단말기의미확인수신단문메시지검색방법
KR19990010659A (ko) 스마트폰에서 페이저 모듈을 내장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기와 페이저 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무선 송, 수신방법
KR20000041982A (ko) 이동전화에서의 음성인식에 의한 텔레비전 리모콘 기능 구현 방법
JPH11196039A (ja) 発呼信号出力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発呼信号受信部付き電話機
JP2000244977A (ja) 無線通信機
KR970011687B1 (ko) 셀룰라폰의 위치등록 방법
KR100194470B1 (ko) 무선전화기에서 링착신음 발생방법
KR100557564B1 (ko) 폴더형 이동무선 단말기의 경보 구동 제어방법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KR2004002136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서브 바디 개폐 조작실수로 인한 착신 끊김 방지 방법
KR20000041983A (ko) 이동전화에서의 음성인식에 의한 자동통화방법
KR2004004466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날씨아이콘 표시 방법
JP2001346243A (ja)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