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023U - 카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 - Google Patents

카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023U
KR19980029023U KR2019960042077U KR19960042077U KR19980029023U KR 19980029023 U KR19980029023 U KR 19980029023U KR 2019960042077 U KR2019960042077 U KR 2019960042077U KR 19960042077 U KR19960042077 U KR 19960042077U KR 19980029023 U KR19980029023 U KR 199800290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knob
volume
lamp
opera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홍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42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023U/ko
Publication of KR19980029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023U/ko

Link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 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에 관한 것으로, 원형 리플렉터(5)의 중심부에는 볼륨(40)에 결합된 샤프트(41)가 삽입되도록 관통공(1)을 형성하고, 외주면 일측의 돌출부(3)에는 램프 삽입공(3A)을 형성하였으며, 상기한 돌출부(3)의 상부에는 조작패널(50)에 형성된 문자 표시부(53)의 후면과 밀착하는 장방형의 보조 리플렉터(9)를 관통공(1)의 중심축선과 직교시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램프(L)에 의해 볼륨 노브(45)의 접촉부위에 형성된 노브 표시부(51)에 대한 조명과 함께, 문자 표시부(53)에 대한 조명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하여 각 부품간의 조립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카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
본 고안은 카 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에 관한 것으로, 카 오디오 정면에 구비된 조작패널의 후면에 부착되어 볼륨 노브와의 접촉부위에 형성된 노브 표시부를 통해 램프의 입사광을 발산시킴으로써 볼륨 노브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한 원형 리플렉터의 일측에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보조 리플렉터를 형성시킴으로써 하나의 램프에 의해 볼륨 노브의 접촉부위에 대한 조명과 함께 문자 표시부에 대한 조명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하여 각 부품간의 조립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 오디오의 정면에 구비된 조작패널의 일측에는 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한 볼륨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볼륨조절 수단은 조작의 편이를 위해 회전에 따라 음량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통상의 조작패널에는 원통형상을 갖는 볼륨 노브가 부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볼륨 노브의 주연과 인접한 조작패널의 정면에는 카 오디오의 내부에 구비된 램프의 입사광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원형의 노브 표시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야간에 볼륨 노브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갖록 하게 되며, 또한 상기한 노브 조명부의 상부에는 조작버튼의 명칭이나 볼륨의 조작방향을 나타내도록 한 문자 표시부가 형성되어 램프의 점등에 따라 상기한 노브 표시부와 같이 램프의 입사광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여 조작패널로부터 문자를 부각시키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노브 표시부 및 문자 표시부의 조명에 대한 예로써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조작패널(50)의 정면 일측에 형성된 노브 표시부(51)의 배면에 원반 형상을 갖는 리플렉터(30)를 부착시키고, 상기한 리플렉터(30)의 상부에는 문자 표시부(53)의 조명을 위한 리플렉터(35)를 부착시킴으로써 각 리플렉터(30,35)에 구비된 램프(L)의 점등에 따라 램프(L)의 입사광이 노브 표시부(51) 및 문자 표시부(53)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여 조작패널(50)의 노브 조명부 및 문자 표시부(53)에 대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구조의 리플렉터는, 조작패널(50)의 노브 표시부(51) 배면에 부착되도록 한 리플렉터(30)와, 문자 표시부(53)의 배면에 부착되도록 한 리플렉터(35)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됨으로써 각 리플렉터(30,35)의 조명을 위해 별도의 램프(L)를 구비해야 하는 한편, 이와 같은 램프(L)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선에 의해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며, 또한 이에 따라 각 부품의 조립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과 함께 각 리플렉터(30,35)의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가 곤란하여 카 오디오의 완성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카 오디오 정면에 구비된 조작패널(50)의 후면에 부착되어 볼륨 노브(45)와의 접촉부위에 형성된 노브 표시부(51)를 통해 램프(L)의 입사광을 발산시킴으로써 볼륨 노브(45)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한 원형 리플렉터의 일측에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보조 리플렉터를 형성시킴으로써 하나의 램프(L)에 의해 볼륨 노브(45)의 접촉부위에 대한 조명과 함께 문자 표시부(53)에 대한 조명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하여 각 부품간의 조립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기술적 과제는, 원형 리플렉터의 중심부에는 볼륨에 결합된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하고, 외주면 일측의 돌출부에는 램프 삽입공을 형성하였으며, 상기한 돌출부의 상부에는 조작패널(50)에 형성된 문자 표시부(53)의 후면과 밀착하는 장방형의 보조 리플렉터를 관통공의 중심축선과 직교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카 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부분을 절단한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노브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통공 3 : 돌출부
5 : 원형 리플렉터 9 : 보조 리플렉터
40 : 볼륨 41 : 샤프트
50 : 조작패널 53 : 문자 표시부
도 2는 일부분을 절단한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노브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본 고안의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10)는, 조작패널(50)의 정면에 형성된 노브 표시부(51)의 배면에 부착되어 램프(L)의 점등에 따라 상기한 램프(L)의 입사광이 노브 표시부(51)를 통해 발산됨으로써 볼륨 노브(45)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한 원형 리플렉터(5)의 중심부에는 볼륨(40)에 결합된 샤프트(41)가 삽입되도록 관통공(1)을 형성하고, 외주면 일측의 돌출부(3)에는 램프(L)의 삽입공간을 이루도록 한 램프 삽입공(3A)을 형성하였으며, 상기한 돌출부(3)의 상부에는 조작패널(50)에 형성된 문자 표시부(53)의 후면과 밀착함으로써 램프(L)의 점등에 따라 노브 표시부(51)와 같이 램프(L)의 입사광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보조 리플렉터(9)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원형 리플렉터(5)는 관통공(1)의 외측에 요홈(5A)을 형성시킴으로써 조작패널(50)과 밀착되는 주연부를 통해 램프(L)의 입사광이 집속되도록 하며, 돌출부(3)에 의해 상기한 원형 리플렉터(5)와 연결됨으로써 원형 리플렉터(5)와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 리플렉터(9)는 문자 표시부(53)와의 접촉면이 원형 리플렉터(5)에 형성된 관통공(1)의 중심축선과 직교되도록 함으로써 관통공(1)을 통해 볼륨(40)의 샤프트(41)를 삽입시킬 경우에 문자 표시부(53)가 조작패널(50)의 후면과 정확히 밀착되도록 하여 문자 표시부(53)에 대한 조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노브 표시부(51)와 밀착하는 원형 리플렉터(5)의 표면을 카 오디오의 종류 및 사양에 따라 백색이나 오렌지색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도색함으로써 노브 표시부(51)에 대한 조명이 보다 미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보조 리플렉터(9)는 조작패널(50)과의 접촉면 배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사면은 램프(L)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점차 좁은 폭을 갖도록 함으로써 조작패널(50)과의 접촉면의 전 길이에 걸쳐서 균일한 조도를 이루도록 하고, 또한 상기한 보조 리플렉터(9)의 각 측면에 수평돌기를 연속 형성하여 보조 리플렉터(9) 내부에서의 램프(L)의 입사광에 대한 전반사율을 증대시켜 램프(L)의 조명효율을 더욱 높이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10)는, 카 오디오의 정면에 구비된 조작패널(50)과의 결합에 따라 하나의 램프(L)에 의해 볼륨 노브(45)의 접촉부위에 위치한 노브 표시부(51)에 대한 조명과 함께 문자 표시부(53)에 대한 조명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조작패널(50)과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원형 리플렉터(5) 상부의 주연을 노브 표시부(51)가 형성된 조작패널(50)의 배면과 밀착시키고, 상기한 원형 리플렉터(5)와 일체로 형성된 보조 리플렉터(9)의 표면은 문자 표시부(53)가 형성된 조작패널(50)의 배면과 밀착시킨 상태에서 돌출부(3)의 나사공(3B)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를 조작패널(50)에 체결시킴으로써 도 4와 같이 본 고안을 조작패널(50)의 내측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의 완료후에는 회로기판에 부착된 볼륨(40)의 샤프트(41)를 원형 리플렉터(5)의 관통공(1)을 통해 삽입시켜 상기한 샤프트(41)가 조작패널(50)의 정면을 통해 돌출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한 샤프트(41)의 선단으로는 볼륨 노브(45)를 결합시킴으로써 카 오디오의 조작패널(50)과의 결합을 완료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램프(L)가 점등될 경우 상기한 램프(L)로부터 조사된 입사광이 원형 리플렉터(5)의 내부에서 전반사되어 상부의 주연을 통해 외부로 발산됨으로써 야간에 볼륨 노브(45)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또한 램프(L)로부터 조사되는 입사광의 일부는 보조 리플렉터(9)의 내부에서 전반사되어 조작버튼의 명칭이나 볼륨의 조작방향을 나타내도록 한 조작패널(50)의 문자 표시부(53)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어짐에 따라 하나의 램프(L)에 의해 조작패널(50)의 노브 표시부(51)와 문자 표시부(53)에 대한 조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10)는, 카 오디오 정면에 구비된 조작패널(50)의 배면에 부착되어 노브 표시부(51)를 통해 램프(L)의 입사광을 발산시켜 야간에 볼륨 노브(45)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한 원형 리플렉터(5)의 일측에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보조 리플렉터(9)를 형성시킴으로써 하나의 램프(L)에 의해 조작패널(50)의 노브 표시부(51)와 문자 표시부(53)에 대한 조명이 동시에 이루어 지도록 하여 구성을 단순화하는 한편, 이에 따라 각 부품간의 조립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조작패널(50)의 노브 표시부(51)와 문자 표시부(53)간의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카 오디오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원형 리플렉터(5)의 중심부에는 볼륨(40)에 결합된 샤프트(41)가 삽입되도록 관통공(1)을 형성하고, 외주면 일측의 돌출부(3)에는 램프 삽입공(3A)을 형성하였으며, 상기한 돌출부(3)의 상부에는 조작패널(50)에 형성된 문자 표시부(53)의 후면과 밀착하는 장방형의 보조 리플렉터(9)를 관통공(1)의 중심축선과 직교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
KR2019960042077U 1996-11-26 1996-11-26 카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 KR199800290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077U KR19980029023U (ko) 1996-11-26 1996-11-26 카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077U KR19980029023U (ko) 1996-11-26 1996-11-26 카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023U true KR19980029023U (ko) 1998-08-05

Family

ID=5398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077U KR19980029023U (ko) 1996-11-26 1996-11-26 카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02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9852B1 (en) Vehicle display lighting device
US5111183A (en) Third brake lamp employing optical fibers
EP1811226B1 (en) Lighting means
JP2939126B2 (ja) パチンコ機のランプ飾り
US7726850B2 (en) Light-reflecting and light-shielding apparatus of computer panel
KR19980029023U (ko) 카오디오의 볼륨 노브용 리플렉터
KR0135913Y1 (ko)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US20050162860A1 (en) Auxiliary spotlight diaphragm of an automobile light
KR0135912Y1 (ko)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CN219389497U (zh) 一种带辅助光照明的超薄天花灯
JP3095393U (ja) 発光ダイオードを具えた懐中電灯
KR100298911B1 (ko) 발광다이오드를구비한신호장치
JP3105630U (ja) 発光鍵
KR200216092Y1 (ko) 온도제어기용 포밍필름의 조명구조
KR0135914Y1 (ko)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JP2002110003A (ja) スイッチ装置
KR200361317Y1 (ko) 조명기구를 가진 열쇠
JPH0125455Y2 (ko)
KR0130399Y1 (ko) 랜턴
KR200146700Y1 (ko) 빛 발산기구가 부착된 필기구
JP2023048402A (ja) 照明ランプ及び照明器具
KR200333190Y1 (ko) 비상유도등
JPS6215832Y2 (ko)
JPS6224897Y2 (ko)
JP2000285766A (ja) 制御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