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914Y1 -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 Google Patents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914Y1
KR0135914Y1 KR2019960042069U KR19960042069U KR0135914Y1 KR 0135914 Y1 KR0135914 Y1 KR 0135914Y1 KR 2019960042069 U KR2019960042069 U KR 2019960042069U KR 19960042069 U KR19960042069 U KR 19960042069U KR 0135914 Y1 KR0135914 Y1 KR 0135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knob
volume
groove
reflector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015U (ko
Inventor
이부길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42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91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0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0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9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05G1/105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에 관한 것으로, 볼륨(55)으로부터 돌출된 샤프트(51)가 삽입되도록 중심부에 형성한 축 삽입공(1)의 상부에는 원호형상을 갖는 요홈(2)을 형성하고 상기한 요홈(2)의 배면으로는 램프(L)가 삽입되도록 개구공(3)을 형성한 원반 형상의 리플렉터(5)와, 선단 일측에는 볼륨 노브(35)의 관통공(35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돌기(6)를 형성하고 상기한 돌기(6)의 타단으로는 리플렉터(5)에 형성된 요홈(2)의 저부가 밀착되어 볼륨 노브(35)의 회전에 따라 요홈(2)의 내측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광전도체(9)로 이루어져, 볼륨 노브(35)의 회전 각도에 관계없이 리플렉터(5)의 요홈(2)을 통해 조사된 램프(L)의 입사광이 광전도체(9)로 전달되어 볼륨 노브(35)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여 구성을 단순화 하여 각 부품간의 조립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각 부품간의 가동부위가 삭제된 관계로 볼륨 노브(35)를 장시간 반복 사용할 경우에도 단선에 따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본 고안은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작패널의 배면에 부착되어 램프의 점등에 따른 입사광을 전반사시키도록 한 리플렉터의 정면에 원호형상의 요홈을 형성시키고, 상기한 리플렉터의 요홈으로는 선단 일측이 볼륨 노브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원주형상의 광전도체를 유동가능하게 삽입시킴으로써 볼륨 노브의 회전 각도에 관계없이 램프의 입사광이 리플렉터의 요홈을 통해 광전도체로 전달되어 볼륨 노브의 일측을 통해 발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 오디오의 정면에 부착된 조작패널의 일측에는 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한 볼륨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볼륨조절 수단은 조작의 편이를 위해 회전에 따라 음량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통상의 조작패널에는 원주형상을 갖는 볼륨 노브가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이러한 볼륨 노브의 외주면이나 정면 일측에는 원형, 또는 직선형태의 요홈을 형성시키고, 상기한 요홈의 내측을 볼륨 노브의 색상과 상이한 색상으로 도색함으로써 음량과 비례한 볼륨 노브의 가변정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근래의 카 오디오에서는 볼륨 노브의 정면 일측에 발광 다이오우드 등의 광원을 부착시킴으로써 야간에 볼륨 노브의 위치 및 음량에 대한 조절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얻도록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볼륨 노브의 발광에 대한 예로써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볼륨(55)의 샤프트(51)와 결합하도록 한 조작패널(40)의 볼륨 노브(35) 일측으로는 발광 다이오우드(31)가 삽입되도록 관통공(35A)을 형성하고, 상기한 관통공(35A)에 삽입된 발광 다이오우드(31)의 리이드를 전선에 의해 회로기판과 연결시킴으로써 카 오디오의 회로기판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볼륨 노브(35)의 일측에 부착된 발광 다이오우드(31)가 직접 점등되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카 오디오의 회로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볼륨 노브(35)에 부착된 발광 다이오우드(31)를 직접 점등시킬 경우에는 각 구성부품간의 조립이 협소한 공간내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었고, 카 오디오의 회로기판과 발광 다이오우드(31)를 연결시키도록 한 전선이 볼륨 노브(35)의 회전 각도에 따라 반복 신축함으로써 카 오디오의 회로기판이나 발광 다이오우드(31)의 리드로부터 전선에 단선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발광 다이오우드(31)가 직접 발광됨에 따라 조작패널(40)에 부착된 각 부품의 발광부와의 조도차이가 발생함으로써 제품의 완성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랐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조작패널(40)의 배면에 부착되어 램프(L)의 점등에 따른 입사광을 전반사시키도록 한 리플렉터의 정면에 원호형상의 요홈을 형성시키고, 상기한 리플렉터의 요홈으로는 선단 일측이 볼륨 노브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원주형상의 광전도체를 유동가능하게 삽입시킴으로써 볼륨 노브의 회전 각도에 관계없이 램프의 입사광이 리플렉터의 요홈을 통해 광전도체로 전달되어 볼륨 노브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발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하여 각 부품간의 조립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각 부품간의 가동부위가 삭제된 관계로 볼륨 노브를 장시간 반복 사용할 경우에도 단선에 따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기술적 과제는, 볼륨으로부터 돌출된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중심부에 형성한 축 삽입공의 상부에는 원호형상을 갖는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한 요홈의 배면으로는 램프가 삽입되도록 개구공을 형성한 원반 형상의 리플렉터와, 선단 일측에는 볼륨 노브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한 돌기의 타단으로는 리플렉터에 형성된 요홈의 저부가 밀착되어 볼륨 노브의 회전에 따라 요홈의 내측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광전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부분을 절단한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 삽입공 2 : 요홈
3 : 개구공 5 : 리플렉터
6 : 돌기 9 : 광전도체
35 : 볼륨 노브 35A : 관통공
51 : 샤프트 55 : 볼륨
L : 램프
도 2는 일부분을 절단한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10)는, 카 오디오의 정면에 구비된 조작패널(40)의 후면에 부착되어 램프(L)로부터 조사된 입사광을 내부에서 전반사시켜 원호형상의 요홈(2)을 통해 외부로 조사시키도록 한 리플렉터(5)와, 선단 일측이 상기한 리플렉터(5)의 요홈(2)과 밀착되어 리플렉터(5)로부터 조사되는 램프(L)의 입사광을 볼륨 노브(35)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발산시키도록 한 광전도체(9)로 이루어진 것으로, 리플렉터(5)의 정면에 형성되는 요홈(2)은 원호형상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요홈(2)은 중심축선으로부터 양 단부까지의 각도를 볼륨(55)의 가변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예로써 볼륨(55)의 최소 출력위치에서 최대 출력위치까지의 가변각도가 180도일 경우에는 상기한 요홈(2)의 형상을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하고, 또한 요홈(2)을 리플렉터(5)의 중심축선에 형성된 축 삽입공(1)과 동일한 동심원으로 구성하여 볼륨 노브(35)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광전도체(9)가 요홈(2)의 내측을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한 요홈(2)의 배면으로는 램프(L)가 삽입되도록 한 개구공(3)을 형성함으로써 램프(L)의 점등에 따른 입사광의 집속이 요홈(2)의 저부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리플렉터(5)의 요홈(2)과 밀착되어 램프(L)의 점등에 따른 입사광을 볼륨 노브(35)를 통해 외부로 발산시킴으로써 램프(L)의 입사광에 대한 매개수단으로 이용되는 광전도체(9)는 램프(L)의 입사광에 대한 전반사율을 높이도록 레진이나 아크릴과 같이 광투과율이 우수한 수지를 소재로 하여 구성하며, 이와 같은 광전도체(9)는 일측에 볼륨 노브(35)의 관통공(35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기(6)를 형성하고 상기한 돌기(6)의 타단으로는 리플렉터(5)에 형성된 요홈(2)의 저부와 밀착됨으로써 볼륨 노브(35)의 회전에 따라 요홈(2)의 내측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볼륨 노브(35)의 관통공(35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돌기(6)의 형상을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돌기(6)의 형상을 카 오디오 및 볼륨 노브(35)의 종류에 따라 반구형이나 그 밖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리플렉터(5) 및 광전도체(9)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원이 내부에서 전반사를 되풀이 하여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게 되는데, 특히 리플렉터(5)는 요홈(2)을 제외한 표면의 각 부분을 불투명한 색상으로 착색하여 입사광의 외부 유출을 제한하여 전반사율을 높임으로써 입사광이 광전도체(9)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10)는, 카 오디오의 정면에 구비된 조작패널(40)의 노브 삽입공(41) 배면에 리플렉터(5)를 부착시키고, 상기한 리플렉터(5)의 중심부에 형성된 축 삽입공(1)으로는 볼륨(55)의 샤프트(51)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한 샤프트(51)가 조작패널(40)의 정면으로 돌출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패널(40)의 절개공(42)과 리플렉터(5)의 요홈(2)으로는 광전도체(9)를 유동가능하게 삽입시키고, 상기한 광전도체(9)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6)를 볼륨 노브(35)의 관통공(35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삽입시킨 다음, 조작패널(40)의 정면으로 돌출된 샤프트(51)의 선단에 도 4와 같이 광전도체(9)를 포함한 볼륨 노브(35)를 결합시킴으로써 회로기판(50)으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는 램프(L)의 점등에 따라 조사된 리플렉터(5)의 입사광이 요홈(2)을 통해 광전도체(9)로 전달되어 볼륨 노브(35) 일측의 돌기(6)로부터 발산되어지도록 하여 야간에 볼륨 노브(35)의 위치 및 음량에 대한 조절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얻도록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요홈(2)의 배면에 형성된 개구공(3)의 램프(L)가 점등될 경우, 상기한 램프(L)의 입사광이 리플렉터(5)의 내부에서 전반사되고, 이러한 램프(L)의 입사광이 요홈(2)의 저부와 밀착된 광전도체(9)를 통해 볼륨 노브(35)와 결합된 돌기(6)로 전달됨으로써 램프(L)의 점등에 따른 입사광이 볼륨 노브(35)의 일측에 부착된 돌기(6)를 통해 발산하게 되며, 카 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 볼륨 노브(35)를 회전시킬 경우에는 볼륨 노브(35)에 부착된 광전도체(9)가 볼륨 노브(35)의 회동에 따라 리플렉터(5)의 요홈(2)에 개재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램프(L)가 점등된 상태에서는 볼륨 노브(35)의 회전 각도에 관계없이 램프(L)의 입사광이 지속적으로 광전도체(9)를 통해 전달되어 볼륨 노브(35)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어지는 한편, 리플렉터(5)의 요홈(2)이 볼륨 노브(35)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된 구조를 갖게 되므로 램프(L)의 입사광이 볼륨 노브(35)의 관통공(35A)을 통해서만 발산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카 오디오를 조작하고자 할 경우, 볼륨 노브(35)의 위치 및 음량에 대한 조절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10)는, 조작패널(40)의 배면에 부착되어 램프(L)의 점등에 따른 입사광을 전반사시키도록 한 리플렉터(5)의 정면에 원호형상의 요홈(2)을 형성시키고, 상기한 리플렉터(5)의 요홈(2)으로는 선단 일측이 볼륨 노브(35)의 관통공(35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원주형상의 광전도체(9)를 유동가능하게 삽입시킴으로써 볼륨 노브(35)의 회전 각도에 관계없이 램프(L)의 입사광이 리플렉터(5)의 요홈(2)을 통해 광전도체(9)로 전달되어 돌기(6)를 통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하여 각 부품간의 조립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각 부품간의 가동부위가 삭제된 관계로 볼륨 노브(35)를 장시간 반복 사용할 경우에도 단선에 따른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램프(L)의 입사광과 조작패널(40)에 구비된 각 부품의 발광부와의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카 오디오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볼륨(55)으로부터 돌출된 샤프트(51)가 삽입되도록 중심부에 형성한 축 삽입공(1)의 상부에는 원호형상을 갖는 요홈(2)을 형성하고 상기한 요홈(2)의 배면으로는 램프(L)가 삽입되도록 개구공(3)을 형성한 원반 형상의 리플렉터(5)와, 선단 일측에는 볼륨 노브(35)의 관통공(35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돌기(6)를 형성하고 상기한 돌기(6)의 타단으로는 리플렉터(5)에 형성된 요홈(2)의 저부가 밀착되어 볼륨 노브(35)의 회전에 따라 요홈(2)의 내측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광전도체(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KR2019960042069U 1996-11-26 1996-11-26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KR0135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069U KR0135914Y1 (ko) 1996-11-26 1996-11-26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069U KR0135914Y1 (ko) 1996-11-26 1996-11-26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015U KR19980029015U (ko) 1998-08-05
KR0135914Y1 true KR0135914Y1 (ko) 1999-03-30

Family

ID=1947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069U KR0135914Y1 (ko) 1996-11-26 1996-11-26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9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015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8323A (en) Projector light assembly
JP2002124103A (ja) 室内照明灯
CN101438094A (zh) 多用途照明单元
KR200421550Y1 (ko) 방향지시등을 겸비한 아웃사이드 미러
JP5507373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を用いた信号灯具
JP4484753B2 (ja) マーカーランプ
JP2002157904A (ja) Led光源装置
KR0135914Y1 (ko)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KR0135913Y1 (ko)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JP6571592B2 (ja) 照明器具
KR0135912Y1 (ko) 카 오디오용 볼륨 노브의 발광구조
JPS6384329A (ja) 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
CN208862903U (zh) 移动终端
JP2005302603A (ja)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JP5060879B2 (ja) 車両用室内灯
ES2609961T3 (es) Dispositivo de control iluminable adaptado a un panel de mandos de un aparato electrodoméstico
JP3707931B2 (ja) 可変配光型照明器具
CN216743913U (zh) 一种电子调焦电筒
JP5951725B2 (ja) 照明器具
KR102240803B1 (ko) 조명 모듈
JP3095393U (ja) 発光ダイオードを具えた懐中電灯
CN216844485U (zh) 一种角度和色温可调的par灯
TWI681885B (zh) 頭燈
JP2000149620A (ja) 車両用灯具
KR101810562B1 (ko) 조명기기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