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8493U -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8493U
KR19980028493U KR2019960041509U KR19960041509U KR19980028493U KR 19980028493 U KR19980028493 U KR 19980028493U KR 2019960041509 U KR2019960041509 U KR 2019960041509U KR 19960041509 U KR19960041509 U KR 19960041509U KR 19980028493 U KR19980028493 U KR 199800284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actuator
curvature
side mirr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우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1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8493U/ko
Publication of KR199800284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49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2Application rear view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사이드 미러의 미러 곡률을 필요에 따라 변경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습관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목적으로, 곡률 변경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미러와, 이 미러의 후면 중심부에 힘을 작용시켜서 이 미러의 곡률을 변경시키고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액추에이터와, 축전기로부터 이 액추에이터에 제공되는 전기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의 미러 곡률을 변화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습관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에게 후방 시계를 제공하도록 차량의 전방 양측에 장착되는 사이드 미러가 제공된다.
상기한 사이드 미러는 접혀지는 하우징, 이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하 좌우로 반사각이 조절되는 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래서 운전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한 사이드 미러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중에 후방의 시계를 확보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한 미러는 볼록하게 형성되므로 실제 사물의 크기보다 작게 보이기 대문에 후방의 넓은 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래서 운전자는 상기한 사이드 미러를 통하여 후방의 운전 상황을 판단하여 운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사이드 미러의 곡률이 다르기 때문에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에 대한 사이드 미러의 미러 곡률에 익숙해져 다른 차량을 운전할 경우에 판단의 착오로 안전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이드 미러의 미러 곡률을 필요에 따라 변경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습관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곡률 변경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미러와, 이 미러의 후면 중심부에 힘을 작용시켜서 이 미러의 곡률을 변경시키고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액추에이터와, 축전기로부터 이 액추에이터에 제공되는 전기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사이드 미러는 제어 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전기에 의하여 액추에이터가 작동하며, 이 액추에이터의 작용력이 미러의 후면에 작용되어 미러 곡률이 변경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 미러가 적용되는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미러5; 액추에이터
9; 가변 저항기11; 스위치
13; 코일15; 케이스
17; 작동 로드19; 탄성 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 미러가 적용되는 자동차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 부호 1은 사이드 미러를 지칭한다.
상기한 사이드 미러(1)는 차선 변경 등을 할 경우에 후방의 상황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며, 운전자의 습관에 맞는 미러 곡률을 조정할 수 있다.
그래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사이드 미러(1)는 변형이 가능한 미러(3)의 후면에 액추에이터(5)가 배치되며, 이 액추에이터(5)를 내재시키고 미러(3)의 원주를 지지하는 하우징(7)이 차량의 양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사이드 미러(1)는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액추에이터(5)에 제공되는 전기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가변 저항기(9)와 전기를 단속하는 스위치(1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액추에이터(5)는 상기한 미러(3)의 원주면을 지지 고정시키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이 홀의 원주면에 코일(13)을 배치시키는 케이스(15)와, 이 케이스(15)의 홀에 배치되며 이 코일(13)의 기전력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돌출되는 일단으로 상기한 미러(3)의 한쪽 면에 힘을 작용시키는 작용 로드(17)와, 이 케이스(15)의 홀에 배치되어 이 작용 로드(17)를 탄지하여 리턴시키는 탄성부재(19)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한 코일(13)은 가변 저항기(9)와 직렬로 연결되어 가변 저항기(9)의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한 작용 로드(17)에 제공되는 기전력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미러(1)는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미러 곡률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운전자가 스위치(11)를 온시키고 가변 저항기(9)를 조작하면 축전기(21)로부터 코일(13)로 제공되는 전기의 크기가 조정된다.
상기한 전기에 따라 코일에 기전력이 발생되어 작용 로드(17)가 탄성 부재(19)를 극복하여 이동됨과 동시에 미러(3)의 후면 중심부에 힘을 작용시킨다.
그러면 상기한 미러(3)는 중심부가 이동되면서 곡률이 변경되며, 이 미러 곡률은 상기한 가변 저항기(9)의 조작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화된다.
운전을 하지 않을 경우 또는 미러의 곡률을 변경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한 스위치(11)를 오프하면 탄성 부재(19)에 의하여 미러 곡률이 리턴되어 초기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이드 미러는 미러 곡률은 운전자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습관적인 후방 시계 판단 착오에 따른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3)

  1. 곡률 변경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미러(3)와, 이 미러(3)의 후면 중심부에 힘을 작용시켜서 이 미러(3)의 곡률을 변경시키고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액추에이터(5)와, 축전기(21)로부터 이 액추에이터(5)에 제공되는 전기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엑추에이+터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한 미러(3)의 외주면을 고정 지지하며 이 홀의 원주면에 코일(13)이 고정 배치되는 케이스(15)와, 이 케이스(15)의 홀에 배치되어 이 코일(13)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고 이 케이스(15)의 홀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9)에 의하여 탄지되며 상기한 미러(3)의 후면 중앙부에 작용력을 작용시키는 작동 로드(17)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 수단은 상기한 액추에이터(5)에 접속되는 전선에 직렬로 연결되는 가변 저항기(9)와, 상기한 액추에이터(5)에 제공되는 전기를 단속하는 스위치(11)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2019960041509U 1996-11-22 1996-11-22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199800284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509U KR19980028493U (ko) 1996-11-22 1996-11-22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509U KR19980028493U (ko) 1996-11-22 1996-11-22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493U true KR19980028493U (ko) 1998-08-05

Family

ID=5398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509U KR19980028493U (ko) 1996-11-22 1996-11-22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849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6522B2 (en) Sliding roof panel control apparatus
US6672728B1 (en) Exterior rearview mirror with automatically adjusted view angle
CA1261375A (en) Multiple function control stalk having linearly movable wiper delay rheostat
EP1726483B1 (en) Outer rear-view mirror unit for a motor-vehicle with shape memory actuating means
KR19980028493U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JPH03132421A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US6601905B1 (en) Convertible power top and power window switch
EP1375260B1 (en) Vehicular switch
FR2672259B1 (fr) Appui-tete reglable a commande electriqu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KR970004481Y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각도위치 표시장치
KR200170694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 조절장치
US10300857B2 (en) Interior mirror for a motor vehicle
KR910007995Y1 (ko) 평면경과 곡면경을 선택전환 사용케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Side Mirror)
KR100299212B1 (ko) 다목적용 콘트롤스위치
KR960004741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KR0140685Y1 (ko)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작동 한계 위치 경고장치
KR100250087B1 (ko) 차량용 아웃 사이드 리어뷰 미러
GB2288653A (en) Manual windscreen wiper control arrangement with two switches
KR19980045968A (ko) 자동차의 후사경
EP0509969A1 (en) A lever control for electrical equipment in a motor vehicle
ITTO20000216U1 (it) Interruttore multifunzionale per specchi retrovisori esterni di veicoli.
KR19990001685U (ko) 자동차의 후방 주시 미러 조립체
KR19990029220U (ko) 사각지대 보상용 가변식 사이드 미러
KR19980051823U (ko) 룸미러 구조
KR19990026007U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