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8244A - 퓨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퓨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8244A
KR19980028244A KR1019960047242A KR19960047242A KR19980028244A KR 19980028244 A KR19980028244 A KR 19980028244A KR 1019960047242 A KR1019960047242 A KR 1019960047242A KR 19960047242 A KR19960047242 A KR 19960047242A KR 19980028244 A KR19980028244 A KR 19980028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display member
assembly
fuse assembly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의선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7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8244A/ko
Publication of KR19980028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244A/ko

Link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퓨즈 조립체가 퓨즈의 단선 상태를 확인하기가 어렵고 그 착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부에 공동(12)이 형성되어 있는 퓨즈몸체(11)와; 상기 퓨즈몸체(11)에 일단부가 돌출되게 고정설치되는 금속전극(15,15')과; 상기 공동(12)의 내부에서 상기 금속전극(15,15') 사이를 연결하여 주는 퓨즈(16)와; 상기 공동(12)의 내부에 다리부(22)가 탄지부재(17)에 의해 탄지됨과 동시에 상기 퓨즈(16)에 의해 걸려지게 설치되고 상기 퓨즈몸체(11)의 외부에 상기 다리부(22)와 일체로 형성된 머리부(21)가 설치되는 단선표시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퓨즈 조립체(1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퓨즈(16)의 단선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일단 단선이 된 퓨즈 조립체(10)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퓨즈 조립체
본 발명은 퓨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퓨즈의 단선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퓨즈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퓨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퓨즈 조립체는 규정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전기회로를 자동적으로 차단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퓨즈 조립체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퓨즈 조립체(1)는 몸체(2)와, 상기 몸체(2)에 삽입 설치되어 회로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하는 금속전극(3)과, 상기 몸체(2)의 내부에서 상기 금속전극(3)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규정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단선되는 퓨즈(4)로 구성된다.
상기 퓨즈(4)는 일정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가열되어 녹아 끊어지도록 된 것으로, 사용되는 전기회로에 필요한 정격 전류에 따라 그 규격이 달라진다.
그러나, 차량에서 많이 사용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조립체(1)는 퓨즈(4)가 상기 몸체(2)의 내부에 있어 퓨즈(4)의 단선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퓨즈(4)의 단선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퓨즈 조립체(1)를 설치된 부분으로부터 분리시켜 단선 확인을 위한 기구를 사용하여야 확인하여야 했다. 그리고, 상기 퓨즈 조립체(1)를 설치된 부분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퓨즈 탈거 도구(미도시)를 사용하여야 했다.
따라서, 퓨즈(4)의 단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퓨즈 조립체(1)를 설치된 부분으로부터 뽑아내어 검사하는 작업은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퓨즈의 단선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퓨즈가 단선되었을 때,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퓨즈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퓨즈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퓨즈몸체12: 공동
15,15': 금속전극15S: 스토퍼
16: 퓨즈17: 탄지부재
20: 단선표시부재21: 머리부
22: 다리부23: 걸고리
24: 걸림홈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는 퓨즈몸체와; 상기 퓨즈몸체에 일단부가 돌출되게 고정설치되는 금속전극과; 상기 공동의 내부에서 상기 금속전극 사이를 연결하여 주는 퓨즈와; 상기 공동의 내부에 다리부가 탄지부재에 의해 탄지됨과 동시에 상기 퓨즈에 의해 걸려지게 설치되고 상기 퓨즈몸체의 외부에 상기 다리부와 일체로 형성된 머리부가 설치되는 단선표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단선표시부재의 다리부에는 상기 퓨즈가 삽입설치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단선표시부재의 돌출을 한정하도록 상기 금속전극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부에 걸려지게 되는 걸고리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퓨즈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퓨즈 조립체(10)는 크게 퓨즈몸체(11), 금속전극(15,15'), 퓨즈(16), 단선표시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퓨즈몸체(11)에는 그 내부에 공동(1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퓨즈몸체(11)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전극(15,15')은 일단부가 상기 퓨즈몸체(11)의 외부로 돌출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퓨즈몸체(11)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동(12)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단선표시부재(20)의 걸고리(23)가 걸려지는 스토퍼(15S)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퓨즈(16)는 상기 금속전극(15,15') 사이를 연결하고 정격 전류 이상이 흐르게 되면 열에 의해 녹아 단선되어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퓨즈(16)는 상기 금속전극(15)과 금속전극(15')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할 단선표시부재(20)가 퓨즈몸체(1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단선표시부재(20)를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단선표시부재(20)는 상기 퓨즈몸체(11)의 외부에 위치되는 머리부(21)와, 상기 퓨즈몸체(11)의 내부, 즉 상기 공동(12)에 위치되는 다리부(22)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21)는 퓨즈 조립체(10)를 탈착시킬 때, 작업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 진다.
상기 다리부(22)는 상기 머리부(2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머리부(21)에서 2개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22)에는 걸림홈(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24)에는 상기 퓨즈(16)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단선표시부재(20)를 고정시켜 준다. 한편, 상기 다리부(2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4)에는 상기 단선표시부재(20)를 외측으로 탄지하여 주는 탄지부재(17)의 일단부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탄지부재(17)의 타단부는 상기 공동(12)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다리부(22)에는 또한 상기 금속전극(15,15')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스토퍼(15S)에 걸려지는 걸고리(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15S)와 걸고리(23)는 상기 퓨즈(16)가 단선되었을 때 서로 걸려져, 상기 단선표시부재(20)가 퓨즈몸체(11)의 외측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퓨즈 조립체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 조립체(10)는 상기 단선표시부재(20)의 다리부(22)가 그 걸림홈(24)에 걸려져 설치되어 있는 상기 퓨즈(16)에 의해 상기 탄지부재(17)의 탄성력을 억제하면서 공동(12)의 내측으로 수납 설치되어 있어 단선표시부재(20)의 머리부(21)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몸체(11)에 밀착설치되어 있다.(이와 같은 상태는 퓨즈(16)가 단선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에 의한 퓨즈 조립체(10)는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되는데, 사용중에 회로에 필요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단선표시부재(20)의 다리부(2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24)에 설치된 퓨즈(16)가 녹아 단선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탄지부재(17)의 탄성력을 억제하면서 상기 퓨즈(16)의 힘에 의해 상기 공동(12)의 내부에 수납 설치되어 있던 단선표시부재(20)의 다리부(22)가 상기 탄지부재(17)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다리부(22)와 일체인 머리부(21)를 퓨즈몸체(11)로부터 상승시켜 준다. 이때, 상기 단선표시부재(20)의 돌출이 일정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단선표시부재(20)의 다리부(22)에 형성되어 있는 걸고리(23)가 금속전극(15,15')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15S)에 걸려짐에 의해서 수행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선표시부재(20)의 머리부(21)가 퓨즈몸체(11)로부터 떨어져 상승되어 있게 되면 퓨즈(16)가 단선된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머리부(21)의 위치를 보아 퓨즈(16)가 단선된 것을 알게 되고, 상기 머리부(21)를 잡고 퓨즈 조립체(10)를 탈착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머리부(21)는 상기 퓨즈몸체(11)로부터 일정 정도 상승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퓨즈 조립체(1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퓨즈 조립체는 퓨즈가 단선되면 단선표시부재의 머리부가 퓨즈몸체로부터 상승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퓨즈의 단선 상태를 단지 단선표시부재의 머리부의 위치만으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퓨즈가 단선된 퓨즈 조립체는 상기와 같이 상승되어 있는 단선표시부재의 머리부를 잡고 제거하여 주면 되므로 단선된 퓨즈 조립체의 교환을 위해 별도의 공구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는 퓨즈몸체와; 상기 퓨즈몸체에 일단부가 돌출되게 고정설치되는 금속전극과; 상기 공동의 내부에서 상기 금속전극 사이를 연결하여 주는 퓨즈와; 상기 공동의 내부에 다리부가 탄지부재에 의해 탄지됨과 동시에 상기 퓨즈에 의해 걸려지게 설치되고 상기 퓨즈몸체의 외부에 상기 다리부와 일체로 형성된 머리부가 설치되는 단선표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표시부재의 다리부에는 상기 퓨즈가 삽입설치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단선표시부재의 돌출을 한정하도록 상기 공동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부에 걸려지게 되는 걸고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조립체.
KR1019960047242A 1996-10-21 1996-10-21 퓨즈 조립체 KR19980028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242A KR19980028244A (ko) 1996-10-21 1996-10-21 퓨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242A KR19980028244A (ko) 1996-10-21 1996-10-21 퓨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244A true KR19980028244A (ko) 1998-07-15

Family

ID=6628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242A KR19980028244A (ko) 1996-10-21 1996-10-21 퓨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82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76B1 (ko) * 2007-06-21 2008-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퓨즈 박스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76B1 (ko) * 2007-06-21 2008-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퓨즈 박스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6510A (en) Thermal protector housing for lighting fixtures
JP3864559B2 (ja) 電源コネクタ
KR19980028244A (ko) 퓨즈 조립체
KR200430291Y1 (ko) 전기컨넥터용 클립
KR100387533B1 (ko) 퓨즈 착탈용 기구
WO2000077888A1 (en) Electric plug
JP3622884B2 (ja) ヒューズプラーの保持構造
KR19980017808U (ko) 휴즈 고정장치
KR200169769Y1 (ko) 엘이드를 부착한 퓨즈 내장 플러그
KR940000058Y1 (ko) 전자레인지의 퓨우즈홀더
CN220569629U (zh) 一种熔断器
GB1596438A (en) Fuse-mate or carrier for a cartridge-type electrical fuse
WO2023156892A1 (en) In-line fuse holder
KR200411544Y1 (ko) 자동차용 퓨즈
GB2154074A (en) Electric plug having part-insulated pins
JP2000184557A (ja) 電気接続箱
KR19980018101U (ko) 브이시알의 휴즈홀더 장치
KR940003285Y1 (ko) 전자개폐기의 전자접촉기 착탈장치
KR200275795Y1 (ko) 커넥터의 터미널단자 조립구조
KR200194841Y1 (ko) 카메라 플래쉬 접속용 직류전기케이블
KR200162463Y1 (ko) 퓨즈 조립체
KR960005480Y1 (ko) 차량용 퓨우즈
KR19990021014A (ko) 컨넥터
JPS6031147Y2 (ja) 小型ヒユ−ズ
JP3713846B2 (ja) 電気機器のプラグ離脱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