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476B1 - 퓨즈 박스 구조 - Google Patents

퓨즈 박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476B1
KR100851476B1 KR1020070060937A KR20070060937A KR100851476B1 KR 100851476 B1 KR100851476 B1 KR 100851476B1 KR 1020070060937 A KR1020070060937 A KR 1020070060937A KR 20070060937 A KR20070060937 A KR 20070060937A KR 100851476 B1 KR100851476 B1 KR 10085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elastic body
housing
box structure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 박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전기 배선과, 상기 전기 배선 사이를 연결하는 퓨즈와, 상기 퓨즈가 내부에 위치되고 걸림홈이 마련된 퓨즈 하우징과, 상기 걸림홈에 인입되는 걸림턱이 마련된 측면로드와, 상기 측면로드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가 탄성력을 가지도록 상기 퓨즈와 탄성체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전기 배선에 과전류가 흘러 퓨즈가 단락되는 순간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중앙로드가 퓨즈 하우징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걸림턱은 걸림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구조를 제공한다.
퓨즈 박스, 하우징, 단락, 걸림턱, U자형 스프링

Description

퓨즈 박스 구조{Fuse Box Structure}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퓨즈 박스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퓨즈 박스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퓨즈가 단락되는 경우의 작동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퓨즈 박스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퓨즈 박스 200: 퓨즈 유닛
210: 퓨즈 하우징 220: 퓨즈 받침대
310: 중앙로드 320: 전기 배선
340: 측면로드
본 발명은 퓨즈 박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퓨즈가 단락되면 퓨즈를 내부에 포함하는 퓨즈 하우징을 퓨즈 박스 외부로 돌출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퓨즈 박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과 같이 차량이 고급화될수록 전기장치들은 점점 늘어나고, 전기장치들이 늘어날수록 전기를 많이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자동차는 점점 복잡한 구조로 조립된다.
또한, 자동차는 늘 움직이면서 많은 장치들이 사용되고, 자동차의 배선들은 차량 곳곳에 얼기설기 연결되어 있어 장착위치가 조금만 변해도 전기화재 위험에 노출된다.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자동차에는 퓨즈 박스가 설치되어 과전류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퓨즈 박스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종래의 퓨즈 박스(10)에는 차량의 여러 부분과 연결된 전기 배선을 연결하는 복수의 퓨즈가 마련되는데, 도 1의 (a)와 같이 제 1 번 퓨즈유닛(20), 제 2 번 퓨즈유닛(30), 제 3 번 퓨즈유닛(40) 및 제 4 번 퓨즈유닛(50) 등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퓨즈유닛(20, 30, 40, 50)은 전기장치별 규정된 정격전류보다 과전류가 흐를 때 미리 끊겨 전기공급을 차단하고 배선과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화재를 예방한다.
또한, 차량에 전기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도 1의 (b)와 같이 퓨즈 박스(10)에 설치되어 있는 퓨즈를 뽑아서 퓨즈의 외관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즉, 상기 제 1 번 퓨즈유닛(20)을 제 1 번 결합부(22)로부터 뽑아서 육안으로 단락여부를 확인하고, 제 1 번 퓨즈유닛(20)이 단락되지 않은 경우 제 2 번 퓨즈유닛(30)을 뽑아서 단락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제 1 번 퓨즈유닛(20)의 단락 여부는 도 1의 (c)에서와 같이, 제 1 번 퓨즈유닛(20)을 구성하는 하우징(24)의 내부에 마련된 퓨즈(26)의 연결부분(28)이 끈어져 있는지 여부로 판가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퓨즈의 단락 여부 확인 방법은 조사해야 하는 모든 퓨즈를 퓨즈 박스에서 직접 꺼내서 관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퓨즈 박스에서 퓨즈를 꺼내지 않고 쉽게 단락된 퓨즈를 확인할 수 있는 퓨즈 박스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퓨즈 박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전기 배선과, 상기 전기 배선 사이를 연결하는 퓨즈와, 상기 퓨즈가 내부에 위치되고 걸림홈이 마련된 퓨즈 하우징과, 상기 걸림홈에 인입되는 걸림턱이 마련된 측면로드와, 상기 측면로드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가 탄성력을 가지도록 상기 퓨즈와 탄성체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전기 배선에 과전류가 흘러 퓨즈가 단락되는 순간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중앙로드가 퓨즈 하우징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걸림턱은 걸림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는 U자형 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퓨즈 하우징에는 퓨즈 상부에 받침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배선에는 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퓨즈 박스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퓨즈가 단락되는 경우의 작동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퓨즈 박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인 퓨즈 박스 구조는 이격되어 위치된 전기 배선(320)과, 상기 전기 배선(320) 사이를 연결하는 퓨즈(230)와 상기 퓨즈(230)가 내부에 위치되고 걸림홈(240)이 마련된 퓨즈 하우징(210)을 포함하는 퓨즈 유닛(200)과, 상기 걸림홈(240)에 인입되는 걸림턱(350)이 마련된 측면로드(340)와, 상기 측면로드(340)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가 탄성력을 가지도록 상기 퓨즈(230)와 탄성체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로드(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는 상방으로 만곡진 형상 또는 U자형 스프링(370)이 거꾸로 세워진 형상이다.
또한, 상기 퓨즈 하우징(210)에는 상기 퓨즈(230)의 상방으로 받침대(220)가 마련되고, 상기 걸림홈(240)은 퓨즈 하우징(210)의 외측 둘레 하부에 2개가 마련된다.
그러므로 상기 걸림홈(240)에 인입되는 걸림턱(350)이 마련된 측면로드(340)도 2개가 마련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걸림홈(240) 및 걸림턱(350)이 마련된 측면로드(340)의 수를 2개 초과로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배선(320)에는 상기 퓨즈(230)가 쉽고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안착홈(330)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전기 배선(320)이 위치된 퓨즈 박스(100)의 바닥면(360)에는 상기 측면로드(340)와 U자형 스프링(370) 사이의 연결부분(34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퓨즈 박스 구조에 퓨즈 유닛(200)이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a)와 같이 상기 퓨즈 유닛(200)이 퓨즈 박스(100)에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U자형 스프링(370)이 탄성력을 갖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퓨즈 유닛(20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퓨즈(230)를 안착홈(330)에 인입시키면, 퓨즈(230)는 중앙로드(3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중앙로드(310)가 내려가면서 상기 U자형 스프링(370)을 눌러 U자형 스프링(370)이 탄성력을 가지면서 탄성 범위 내에서 변형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턱(350)은 걸림홈(240)에 인입되어 결국 도 2의 (b)와 같은 상태로 된다.
도 2의 (b) 상태에서 상기 전기 배선(320)에 과전류가 흘러 퓨즈(230)가 단 락되는 순간 상기 탄성체인 U자형 스프링(370)의 복원력에 의하여 중앙로드(310)가 퓨즈 하우징(21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걸림턱(350)은 걸림홈(240)에서 이탈되어 퓨즈 유닛(200)이 상승하게 되는데, 도 3을 통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와 같이 전기 배선(320)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기 배선(320) 및 전자 장비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 퓨즈 유닛(200)의 퓨즈(230)가 단락된다.
상기 퓨즈(230)가 단락되는 순간 상기 탄성체인 U자형 스프링(370)에 복원력이 발생하여 U자형 스프링(370)의 형상이 탄성력 발생 이전의 형상으로 변화되며 중앙로드(310)를 상방으로 밀게되고, 상기 중앙로드(310)는 퓨즈 하우징(210) 내부에 있는 상기 퓨즈(230)의 끈어진 부분을 지나 상기 받침대(220)를 상방으로 밀게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U자형 스프링(370)의 형상이 복원력에 의하여 변화됨에 따라 상기 측면로드(340)가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턱(350)이 걸림홈(240)으로부터 이탈되어 도 3의 (b)와 같은 형상이 된다.
따라서, 퓨즈 유닛(200)은 상방으로 이동되어 퓨즈(230)가 정상적으로 전기 배선(320) 사이를 연결하고 있던 도 2의 (b)에서의 위치보다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퓨즈 박스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이 퓨즈 박스에서 쉽게 단락된 퓨즈를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퓨즈 박스(100)를 조사할 때 닥락이 된 단락퓨즈유닛(400)은 단락되지 않은 비단락퓨즈유닛(500)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쉽게 단락퓨즈 유닛(400)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220)는 퓨즈(230)를 지나는 전류가 상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절연체 역할과 중앙로드(310)가 퓨즈 하우징(210)을 상방으로 밀 때 지지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240)과 걸림턱(350)은 퓨즈(230)가 안착홈(330)에 안착되어 전기 배선(320)을 연결한 상태에서 U자형 스프링(370)의 복원력에 의하여 퓨즈 유닛(200)이 상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퓨즈 유닛(200)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측면로드(340)는 U자형 스프링(370)의 형태 변화에 따라서 상기 걸림턱(350)을 걸림홈(240)에 결합시키거나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앙로드(310)는 퓨즈(230)가 안착홈(330)에 안착된 상태에서 U자형 스프링(370)이 탄성범위 내에서 탄성력을 유지한 채 변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앙로드(310)의 길이는 소정길이를 갖는데, 이 길이는 U자형 스프링(370)이 탄성범위 내에서 탄성력을 유지한 채 변형된 상태인 도 2의 (b)에서 U자형 스프링(370)의 중앙 상단과 상기 U자형 스프링(370)의 중앙에서 수직 상방에 위치되는 퓨즈(230)부분의 하단 사이의 길이(a)와 같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 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퓨즈 박스에서 퓨즈 유닛을 개별적으로 빼내어 단락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도 쉽게 단락된 퓨즈 유닛을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받침대는 퓨즈를 지나는 전류가 상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절연체 역할과 중앙로드가 퓨즈 하우징을 상방으로 밀 때 지지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과 결합부는 퓨즈가 안착홈에 안착되어 전기 배선을 연결한 상태에서 U자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퓨즈 유닛이 상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퓨즈 유닛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측면로드는 U자형 스프링의 형태 변화에 따라서 상기 걸림턱을 걸림홈에 결합시키거나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앙로드는 퓨즈가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U자형 스프링이 탄성범위 내에서 탄성력을 유지한 채 변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Claims (4)

  1. 이격되어 위치된 전기 배선(320)과;
    상기 전기 배선(320) 사이를 연결하는 퓨즈(230)와;
    상기 퓨즈(230)가 내부에 위치되고 걸림홈(240)이 마련된 퓨즈 하우징(210)과;
    상기 걸림홈(240)에 인입되는 걸림턱(350)이 마련된 측면로드(340)와;
    상기 측면로드(340)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가 탄성력을 가지도록 상기 퓨즈(230)와 탄성체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로드(31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전기 배선(320)에 과전류가 흘러 퓨즈(230)가 단락되는 순간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중앙로드(310)가 퓨즈 하우징(21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걸림턱(350)은 걸림홈(240)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U자형 스프링(3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퓨즈 하우징(210)에는 퓨즈(230) 상부에 받침대(22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배선(320)에는 안착홈(33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구조.
KR1020070060937A 2007-06-21 2007-06-21 퓨즈 박스 구조 KR10085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937A KR100851476B1 (ko) 2007-06-21 2007-06-21 퓨즈 박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937A KR100851476B1 (ko) 2007-06-21 2007-06-21 퓨즈 박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476B1 true KR100851476B1 (ko) 2008-08-08

Family

ID=3988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937A KR100851476B1 (ko) 2007-06-21 2007-06-21 퓨즈 박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4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244A (ko) * 1996-10-21 1998-07-15 박병재 퓨즈 조립체
KR20060063109A (ko) * 2004-12-07 2006-06-1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퓨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244A (ko) * 1996-10-21 1998-07-15 박병재 퓨즈 조립체
KR20060063109A (ko) * 2004-12-07 2006-06-1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퓨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0236B2 (en) Fuse systems with serviceable connections
US8462006B2 (en) GFCI with overcurrent protection and end-of-life warning and tripping functions
JP4445016B2 (ja) 交換可能な電源プラグユニットを有するプラグイン電源
JP5730445B2 (ja) 電気的シリーズ用端子およびシリーズ端子ブロック
ES2808424T3 (es) Dispositivo de conexión para conectar un componente eléctrico a un trayecto de la corriente
US9085240B2 (en) High voltage module with circuit breaker for motor vehicles
CN110574136B (zh) 保险丝组件
EP0840397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horting circuit arrangement
CN102801017B (zh) 具有防打火功能的漏电保护插座
GB1571610A (en) Safety electric connector
KR100851476B1 (ko) 퓨즈 박스 구조
US11539177B2 (en) Vital relay assembly for modular solid-state current-limiting
US8777678B2 (en) Quick lock conductor receiver
US9385491B1 (en) Overheat auto power off socket
EP3349318B1 (en) Surge protection device base
KR101980452B1 (ko) 안전 콘센트
CN103794425A (zh) 漏电保护装置
KR20180113246A (ko) 배터리 단자 안전장치
US3685049A (en) Indicator light-resistor mounting assembly
KR101939927B1 (ko) 플러그
US3089063A (en) Panel board and circuit breaker combination
US3253106A (en) Indicating fuse constructions
CN105048215A (zh) 自动短路功能的电连接器
KR101439144B1 (ko) 퓨즈박스 커버의 체결 이상 알림 구조
CN215070540U (zh) 一种光纤箱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