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128A - 낙하산을 이용한 비행기의 비상착륙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낙하산을 이용한 비행기의 비상착륙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128A
KR19980027128A KR1019960045797A KR19960045797A KR19980027128A KR 19980027128 A KR19980027128 A KR 19980027128A KR 1019960045797 A KR1019960045797 A KR 1019960045797A KR 19960045797 A KR19960045797 A KR 19960045797A KR 19980027128 A KR19980027128 A KR 19980027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ver
parachute
shaft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8751B1 (ko
Inventor
우이기
Original Assignee
우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이기 filed Critical 우이기
Priority to KR101996004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8751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80Parachutes in association with aircraft, e.g. for brak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40Packs
    • B64D17/46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40Packs
    • B64D17/52Opening, e.g. manual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산을 이용한 비행기의 비상착륙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릴레이스위치(103)를 누르면 직류발전장치(100)에서 생산된 직류전기가 과전압과전류방지장치(101)를 거쳐 타이머(104) 까지 도통되고 즉시 타이머(104)가 수초동안 작동되면서 감속모타(23)를 작동, 워엄(24)이 회전하여 워엄기어(31)를 90도 회전시키면 카바(70)의 다리(72)는 90도 회전한 캠(32)으로 부터 빠져나갈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되며, 수초동안 작동한 타이머(104)가 작동정지되면 전원차단감지장치(105)가 이를 감지하여 즉시 뇌관(82)에 전기를 공급, 압축공기탱크(81)의 압축공기가 케이싱(85)의 구멍(84)을 통해 방출됨으로서 카바(70)가 장치수납실(11)로 부터 튕겨나감과 동시에 낙하산(500)이 펼쳐져 비행기의 비상착륙을 보조할 수 있음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낙하산을 이용한 비행기의 비상착륙보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된 비행기의 외관을 나타낸 참고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입체적 얼개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평면에서 바라본 참고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5,6,7,8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전기적 계통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비행기동체11. 장치수납실
20. 구동장치카바21. 절개구멍
22. 판체23. 감속모타
24. 워엄25. 밧데리
30. 축31. 워엄기어
32. 캠40. 함체
41. 구멍42. 절개구멍
50,60 : 부싱70. 카바
71. 프레임72. 다리
73. 원형구멍74. 절개구멍
80. 공기분사장치81. 압축공기탱크
82. 뇌관83. 지지대
84. 구멍85. 케이싱
90. 낙하산끈연결고리100. 직류발전장치
101.過전압過전류방지장치102. 충전장치
103, 106. 릴레이스위치104. 타이머
105. 전원차단감지장치500. 낙하산
501. 낙하산끈700. 전선
본 발명은 낙하산을 이용한 비행기의 비상착륙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행기는 비교적 안전한 이동수단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고공을 고속으로 비행하게 되는 근원적인 문제로 인해 일단 사고가 발생하면 고공에서 급강하하여 지상으로 추락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대부분이 사망할 수 밖에 없는 큰폐단이 있는데 전투기 등의 군용 비행기는 비상시에 개인용 낙하산으로 탈출을 시도할 수 있지만 많은 인원이 탑승하는 민항기의 경우에 있어서는 낙하산을 이용한 개인적 탈출은 불가능하며 현재 시도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낙하산을 이용하여 비행기가 비상착륙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키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구성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비행기동체(10)의 전반과 후방, 중앙에 장치수납실(11)을 형성시킨 후 워엄(24)을 가지는 감속모타(23)와, 밧데리(25)가 조립된 판체(22) 위로는 좌우에 절개구멍(21)을 가지는 구동장치카바(20)를 덮되 원주길이의 약 1/4만 이빨이 있는 워엄기어(31)를 가지는 축(30)이 상기한 절개구멍(21)을 통과하도록 한 다음 좌우에서 부싱(50)을 조립하여 워엄(24)과 워엄기어(31)가 조립되면서 축(30)이 구동장치카바(20)에 고정되도록 하는 판체(22)와 구동장치카바(20)를 장치수납실(11) 좌우에 대칭되도록 고정시키며, 축(30)의 좌우로는 구멍(41)과 절개구멍(42)을 가지는 함체(40)를 위치시키되 축(30)이 절개구멍(42)을 관통하도록 하고 좌우에서 부싱(60)을 조립하는데 축(30) 양쪽의 캠(32)이 구멍(4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며, 구동장치카바(20)의 전방으로는 전선(700)이 연결된 뇌관(82)을 가지는 압축공기탱크(81)가 위로 구멍(84)을 가지는 케이싱(85)의 내부에 지지대(83)로서 연결된 공기분사장치(80)를 대칭되도록 조립시키고, 상기한 4개의 함체(40) 옆에는 낙하산끈연결고리(90)를 조립한 후 낙하산끈(501)을 연결하며 상기한 공기분사장치(80)의 위에 낙하산(500)이 위치하도록 한 다음, 원형구멍(73)과 절개구멍(74)을 가지는 4개의 다리(72)를 가지는 카바(70)를 장치수납실(11) 위로 덮어 조립시키되 다리(72)를 함체(40)의 구멍(41) 속으로 통과시켜 축(30)의 캠(32)이 다리(72)의 원형구멍(73) 속에서 수평으로 위치토록 하여서; 릴레이스위치(103)를 누르면 직류발전장치(100)에서 생산된 직류전기가 과전압과전류방지장치(101)를 거쳐 타이머(104)까지 도통되고 즉시 타이머(104)가 수초동안 작동되면서 감속모타(23)를 작동, 워엄(24)이 회전하여 워엄기어(31)를 90도 회전시키면 카바(70)의 다리(72)는 90도 회전한 캠(32)으로 부터 빠져나갈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되며, 수초동안 작동한 타이머(104)가 작동정지되면 전원차단감지장치(105)가 이를 감지하여 즉시 뇌관(82)에 전기를 공급, 압축공기탱크(81)의 압축공기가 케이싱(85)의 구멍(84)을 통해 방출됨으로서 카바(70)가 장치수납실(11)로 부터 튕겨나감과 동시에 낙하산(500)이 펼쳐져 비행기의 비상착륙을 보조할 수 있음이 특징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수납실(11) 내부에 정돈되어 있던 낙하산(500) 이 펼쳐짐으로서 비행기의 급속한 추락현상을 막을 수 있고 비상착륙을 시도할 때는 비행기의 착륙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어 최대한으로 인명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비행기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주요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의 상태는 함체(40) 내부에 카바(70)의 다리(72)가 삽입되어 있고 다리(72)의 원형구멍(73) 속에는 제7도와 같이 축(30)의 캠(32)이 수평위치를 유지한 채 다리(72) 자체로서는 함체(40)를 빠져나갈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다리(72)의 원형구멍(73) 속에 캠(32)을 삽입시킬 때는, 제5도를 기준하여 볼때 감속모타(23)를 역회전시켜 워엄기어(31)의 이빨 a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위치에 오도록 한다.
따라서 캠(32)도 90만큼 회전을 하여와 같이 직립이 되는 것이다.
그 다음, 다리(72)를 함체(40)의 구멍(41) 속으로 삽입시키는데 절개구멍(74)을 통해 캠(32)이 삽입되면 감속모타(23)를 정회전시켜서 워엄기어(31)의 이빨 a가 반시계방향으로 90 만큼 회전되도록 한다. (제5도의 도시상태)
따라서 캠(32)도 90도 만큼 회전하여 다리(72)의 원형구멍(73) 속에서 수평유지가 되는 것이다.
이 상태는 캠(32)에 의해 다리(72)가 함체(40)로 부터 빠져나갈 수 없다.
다음, 비행기의 비상착륙상황이 발생되거나 기타의 이유로 동체착륙을 해야할 경우가 발생될 때 또는 고장을 일으켜 급강하할 경우 조종석에 설치된 릴레이스위치(103)를 누르게 된다.
릴레이스위치(103)에 의해 수초동안만 작동되도록 설계된 타이머(104)에 전기가 공급되면 즉시 감속모타(23)가 작동을 하고 감속모타의 워엄(24)이 회전함에 따라 워엄기어(3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워엄기어(31)는 원주길이의 약 1/4만큼 이빨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빨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90도 만큼 위치이동을 하여도 더 이상의 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캠(32) 역시 워엄기어(31)와 함께 90도 만큼 회전하여와 같이 직립된 채 고정되는 것이다.
이 상태는 다리(72)가 캠(32)의 구속력에서 해지됨으로 카바(70)는 비행기동체(10)로 부터 이탈될 수 있는 상태이다.
이상과 같은 작동은 불과 수초이내에 이루어지는데 이 수초간의 시간은 타이머(104)가 작동되는 수초간의 시간과 동일하다.
타이머의 작동이 수초후 정지되면 감속모타(23)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데 이를 전원차단감지장치(105)가 감지를 하게 된다.
전원차단감지장치(105)가 작동함과 동시에 이에 내장된 콘덴서로 부터 전기가 방출되어 뇌관(82)을 폭파시키고 뇌관이 폭파됨에 따라 압축공기탱크(81) 내부의 압축공기는 순간적으로 고압방출되어 케이싱(85)의 구멍(84)을 통해 방출되어서 결국 카바(70)를 공중으로 튕겨보내면서 낙하산(500)이 순조롭게 펼쳐질 수 있도록 공중으로 펼쳐 올리게 된다.
다음, 낙하산이 즉시 펼쳐짐에 따라 비행기의 가속력이 급격히 감소되어서 비상착륙시 비행기동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을 대폭 완화시키고 비상착률 거리를 크게 줄여줄수 있어 인명을 최대한 보호함은 물론 비행기의 파손 또는 최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낙하산(500)은 제10도와 같이 2단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고 더 많은 개수를 내장시킬 수도 있는데 비행기의 중량과 크기에 따라 비례적으로 채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비행기에 비상사태가 발생되었을 때 최대한으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비행기동체(10)의 전방과 후방, 중앙에 장치수납실(11)을 형성시킨 후 워엄(24)을 가지는 감속모타(23)와, 밧데리(25)가 조립된 판체(22) 위로는 좌우에 절개구멍(21)을 가지는 구동장치카바(20)를 덮되 원주길이의 약 1/4만 이빨이 있는 워엄기어(31)를 가지는 축(30)이 상기한 절개구멍(21)을 통과하도록 한 다음 좌우에서 부싱(50)을 조립하여 워엄(24)과 워엄기어(31)가 조립되면서 축(30)이 구동장치카바(20)에 고정되도록 하는 판체(22)와 구동장치카바(20)를 장치수납실(11) 좌우에 대칭되도록 고정시키며, 축(30)의 좌우로는 구멍(41)과 절개구멍(42)을 가지는 함체(40)를 위치시키되 축(30)이 절개구멍(42)을 관통하도록 하고 좌우에서 부싱(60)을 조립하는데 축(30) 양쪽의 캠(32)이 구멍(4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며, 구동장치카바(20)의 전방으로는 전선(700)이 연결된 뇌관(82)을 가지는 압축공기탱크(81)가 위로 구멍(84)을 가지는 케이싱(85)의 내부에 지지대(83)로서 연결된 공기분사장치(80)를 대칭되도록 조립시키고, 상기한 4개의 함체(40) 옆에는 낙하산끈연결고리(90)를 조립한 후 낙하산끈(501)을 연결하며 상기한 공기분사장치(80)의 위에 낙하산(500)이 위치하도록 한 다음, 원형구멍(73)과 절개구멍(74)을 가지는 4개의 다리(72)를 가지는 카바(70)를 장치수납실(11) 위로 덮어 조립시키되 다리(72)를 함체(40)의 구멍(41) 속으로 통과시켜 축(30)의 캠(32)이 다리(72)의 원형구멍(73) 속에서 수평으로 위치토록 하여서; 릴레이스위치(103)를 누르면 직류발전장치(100)에서 생산된 직류전기가 과전압과전류방지장치(101)를 거쳐 타이머(104) 까지 도통되고 즉시 타이머(104)가 수초동안 작동되면서 감속모타(23)를 작동, 워엄(24)이 회전하여 워엄기어(31)를 90도 회전시키면 카바(70)의 다리(72)는 90도 회전한 캠(32)으로 부터 빠져나갈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되며, 수초동안 작동한 타이머(104)가 작동정지되면 전원차단감지장치(105)가 이를 감지하여 즉시 뇌관(82)에 전기를 공급, 압축공기탱크(81)의 압축공기가 케이싱(85)의 구멍(84)을 통해 방출됨으로서 카바(70)가 장치수납실(11)로부터 튕겨나감과 동시에 낙하산(500)이 펼쳐져 비행기의 비상착륙 보조할 수 있음이 특징인 낙하산을 이용한 비행기의 비상착륙보조장치.
KR1019960045797A 1996-10-09 1996-10-09 낙하산을 이용한 비행기의 비상착륙보조장치 KR100218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797A KR100218751B1 (ko) 1996-10-09 1996-10-09 낙하산을 이용한 비행기의 비상착륙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797A KR100218751B1 (ko) 1996-10-09 1996-10-09 낙하산을 이용한 비행기의 비상착륙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128A true KR19980027128A (ko) 1998-07-15
KR100218751B1 KR100218751B1 (ko) 1999-10-01

Family

ID=1947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797A KR100218751B1 (ko) 1996-10-09 1996-10-09 낙하산을 이용한 비행기의 비상착륙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8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39A (ko) * 2000-12-16 2002-06-22 백병룡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89B1 (ko) * 2007-01-19 2008-09-05 김종원 비행기 및 선박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39A (ko) * 2000-12-16 2002-06-22 백병룡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8751B1 (ko) 199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1664B (zh) 具备气囊装置的小型飞行体
US10569890B2 (en) Airbag assembly for leg flail protection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5810293A (en) Emergency landing auxiliary apparatus for an aircraft using a parachute
RU2284284C2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вертолета
JPH08192796A (ja) 安全航空機
RU2002119549A (ru) Самолет,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сохранение жизней пассажиров в случае аварии в воздухе
JP2003529495A (ja) 強制分離可能の乗客避難キャビンを有する航空機
US10730632B2 (en) Aircraft
CN101476847B (zh) 客机试飞应急泄压时机身蒙皮的切割方法
JPH08268059A (ja) 車両のドア分離装置
RU268420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брасывания топливного бака
KR19980027128A (ko) 낙하산을 이용한 비행기의 비상착륙보조장치
US202103236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jecting batteries from an electric flying vehicle
EP3907135B1 (en) A life raft system for an aircraft
CN109927913B (zh) 一种飞机智能逃生座椅
US3409254A (en) Safety aircraft
RU2672220C1 (ru) Система спасения пассажиров и экипажа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при его разрушении
RU2021164C1 (ru) Аэробус "люси"
JPH09315394A (ja) 飛行体の軟着陸装置
ES2321050B1 (es) Mejoras introducidas en la patente de invencion n 200603118 por sistema de recuperacion y salvamento para aeronaves.
CN206857012U (zh) 飞机及飞行员自救装备
JP3067959U (ja) エアバッグを利用したヘリコプター墜落時の搭乗員保護装置
CN109502031A (zh) 电子式应急分离装置
RU2200688C2 (ru) Способ аварийной эвакуации пассажиров с самолета
RU2177441C2 (ru) Способ аварийной эвакуации пассажиров с самоле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