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349U -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349U
KR19980025349U KR2019960038102U KR19960038102U KR19980025349U KR 19980025349 U KR19980025349 U KR 19980025349U KR 2019960038102 U KR2019960038102 U KR 2019960038102U KR 19960038102 U KR19960038102 U KR 19960038102U KR 19980025349 U KR19980025349 U KR 199800253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contact
interlock
contact stat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8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8390Y1 (ko
Inventor
천기석
장이익
방극용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38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390Y1/ko
Publication of KR19980025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4Time supervision arrangements, e.g. real time cloc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4Director, elements to supervisory
    • G05B2219/34045Ti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록 타이머 동작에 따른 접점상태와 접점상태유지시간을 검출하여 표시하도록 한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에 의하여 인터록 타이머의 동작에 따른 타이머 접점상태와 접점상태유지시간을 검출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인터록 타이머에 대한 정상동작여부를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및 컴퓨터시스템에서 다양한 종류의 프로세서값이 리미트를 벗어날 경우 경보를 울려주고 중고장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설비를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머의 각 테스트업무시 다량의 측정기기가 소용되고 수작업 반복되고 정비시간과다 소요되는 등의 정비소요시간을 대폭단축시킬 수 있고 순간적 오동작 발생시에도 이를 합리적으로 체크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
본 고안은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록 타이머의 동작에 따른 접점상태와 접점상태유지시간을 검출하여 표시하도록한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록 타이머(interlock timer)는 각종 아날로그시스템 및 디지탈 제어시스템에 의해 운용되는 프로세서 또는 장치가 정상운전 중 한계치를 벗어날 경우와 같이, 이상발생시 이를 표시하거나 경보함으로서, 작업자가 이에 신속히 대처하도록 하여 관련설비나 장치가 중고장 상황으로 확대되어 설비가 파손되거나 제품의 불량요인을 방지하도록 수행하는 장치로서, 이는 프로세서 제어대상기기나 설비를 보호차단시키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아날로그 및 디지탈 제어시스템에서 중추역할 수행에 사용되는 다량의 인터록 장치인 타이머는 장기간 사용에 의한 주위분진 혼입과 잦은 동작에 의한 아크현상 누적으로 접점부의 저항이 증가하여 오동작하는 경우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상기 인터록 타이머에 대한 동작기능을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장치가 없는 관계로, 타이머 오동작시에는 생산라인의 마비로 생산성 하락 및 품질저하를 초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점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터록 타이머의 동작에 따른 타이머 접점상태와 접점상태유지시간을 검출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인터록 타이머에 대한 정상동작여부에 대한 진단결과를 용이하게 확인가능토록한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고안의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는 교류타이머와 직류타이머 각각에 교류전원과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교류타이머와 직류타이머의 a접점과 b접점 및 공통접점 각각에 접속된 라인을 다른 장치의 라인과 상호 접속시키는 암/수 커넥터; 상기 암/수 커넥터에서 표시부로 접속된 라인 각각을 스위칭시킬 수 있는 접점선택스위치; 상기 접점선택스위치를 통한 공통접점라인과 각각의 a 접점라인 또는 b 접점라인 간의 전위레벨에 따라서 접점상태를 표시하는 접점상태 표시부; 상기 접점선택스위치를 통한 a접점라인과 b접점라인상의 신호레벨에 따라 소정의 발진동작에 의한 시간펄스를 카운팅하여 접점상태유지시간을 표시하는 접점동작시간 표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의 전체회로 구성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접점동작시간 표시부(80)의 상세회로도이고,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접점상태 표시부(70)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전원공급부20:교류타이머
30:직류타이머40:암커넥터
50:수커넥터60:접점선택스위치
70:접점상태 표시부72:접속커넥터
74:LED부80:접점동작시간 표시부
82:발진부84:전원부
86:카운터부88:세크먼트 표시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인터록 타이어 진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터록 타이어 진단장치의 전체회로 구성도로서,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는 교류타이머와 직류타이머 각각에 교류전원과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와, 교류타이머(20)와 직류타이머(30)의 a접점과 b접점 및 공통접점 각각에 접속된 라인을 다른 장치의 라인과 상호접속시키는 암/수 커넥터(40,50)와, 상기 암/수 커넥터(40,50)에서 표시부로 접속된 라인 각각을 스위칭시킬 수 있는 접점선택스위치(60)와, 상기 접점선택스위치(60)를 통한 공통접점라인과 각각의 a접점라인 또는 b접점라인 간의 전원레벨에 따라서 접점상태를 표시하는 접점상태 표시부(70)와, 상기 접점선택스위치(60)를 통한 a접점라인과 b접점라인상의 신호레벨에 따라 소정의 발진동작에 의한 시간펄스를 카운팅하여 접점상태 유지시간을 표시하는 접점동작시간 표시부(80)를 구성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0)는 입력되는 교류(AC)전원은 교류타이머(20)의 코일(TM1)에 인가하게 구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을 전압강하트랜스(T1)를 거쳐 브리지다이오드(BD1)와 평활콘덴서(C1)를 통해 정류평활한 다음에 직류타이머(30)의 코일(TM2)에 제공하는 정전압부(15)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교류와 직류공급라인상에 교류와 직류전원레벨 조절용 가변저항(VR1,VR2)을 각각 구성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접점동작시간 표시부(80)의 상세회로도로서, 제2도를 참조하면, 상기 접점동작시간 표시부(80)는 상기 접점선택스위(60)를 통한 a점점라인과 b접점라인상의 신호레벨에 의해 발진동작하여 시간펄스를 출력하는 발진부(82)와, 상기 접점선택스위치(60)를 통한 공통접점에 접속한 전해콘덴서(C2)와, 이에 병렬로 접속한 전원(B+)을 포함하여 카운터회로부(8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84)와, 상기 발진부(82)로부터의 펄스를 10진카운터하는 카운터부(86)와, 상기 카운터부(86)에서 카운팅한 값을 10진수로 표시하는 세크먼트 표시부(88)로 구성한다.
상기 접점동작시간 표시부(80)는 상기 카운터부(86)를 리세트시키는 리세트스위치(SW2)를 더 구성하고, 상기 발진부(820는 NAND1, NAND2로 인버터를 구성하여서된 인버터 발진회로이며, 상기 전원부(84)는 전원스위치(SW1)를 포함한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접점상태 표시부(70)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도명중 미설명부호인 R1~R12는 전류제한저항이고, D1~D12는 인터록 타이머의 접점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치에 따른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먼저, 진단 대상 타이머전압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 가변저항(VR1)을 조정하여 타이머코일(TM1)에 교류(AC)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교류타이머(20)의 코일(TM1)이 통전되면 상기 코일(TM1)의 통전에 의해서 b접점에서 a접점으로 동작하고, 이와 같이 접점동작하는 교류타이머(20) 각각의 a접점과 b접점라인은 암/수 커넥터(40,50) 및 접점선택스위치(60)를 경유하여 선택된 접점은 접점상태 표시부(70)의 접속커넥터(72) 입력단(S1~S6,COM)으로 신호접속도므로, 상기 접점동작에 따라서 LED부(74)의 발광다이오드(D1~D6)가 동작하여 측정대상 타이머의 고장발생 접점을 용이하게 식별가능하게 되는데, 본 고안의 회로구성에 의해서는 상기 타이머(20)의 a접점은 소등되고, b접점은 점등된다.
이와 같은 접점상태 표시부(70) 내의 LED부(74)의 발광다이오드(D1~D6)의 점등유무에 따른 타이머의 접점상태 식별은 직류타이머(30)의 동작에 의한 a접점과 b접점에 대한 동작유무 진단시에도 상기한 교류타이머(20)에 대한 동작과 동일한다. 그리고 상기 각 타이머는 타이머소켓 각각에 삽입된 상태이다.
한편, 교류타이머(20)나 직류타이머(30) 동작상태 진단시, 교류타이머(20)인 경우에 있어서, 한시동작과 순시동작에 대한 시간은 상기 접점상태 표시부(70)의 접속커넥터(72) 입력단(COM, S1~S6)에 접속되는 접점선택스위치(60)의 출력라인에서 인출력라인에서 인출하여 상기 접점상태 표시부(70)의 접속커넥터(72) 입력단(S1~S6)에 접속된 라인은 제2도에 도시한 발진부(82)의 부정논리곱(NAND1)의 일입력단으로 입력되고, 대략 10Hz의 발진주파수 구동회로로 구성된 발진부(82)를 거친 출력카운터신호는 C-MOS IC회로로 구성된 카운터부(86)로 입력되어 타이머의 자리올림신호가 출력되어져 세크먼트표시부(88)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저항(R32~R53)을 경유하여 시간에 세크먼트표시부(80)에 나타나므로, 간단하고 정확하게 확인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점상태 표시부(70)의 접속커넥터(72) 입력단(COM)에 접속된 라인은 전원부(84)의 콘덴서(C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콘덴서는 전원스위치(SW1) 절환시 카운터수를 수초간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진단이 완료되면 리세트스위치(SW2)를 온시켜서 발진부(82)의 부정논리곱(NAND1)의 타입력단으로 입력되어 진단 대상 타이머의 접점동작시간이 리세트되어 진단시간 시험을 재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측정 대상 타이머의 오동작여부를 체크하는 제3도를 참조하면, 제3도에 도시된 상기 접점상태 표시부(70)의 접속커넥터(72), 입력단(S1~S12)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면, 제1릴레이(A)가 동작하게 되고, 이때 제2릴레이(B)는 접점(A2,C1) 및 알람버턴 접점(94)에 의해 온되어 자기의 접점(B2)으로 자기유지되어 있으므로 제1릴레이(A)는 접점(A1,B1)에 의해 자기유지된다. 이에 따라 제3릴레이(C)도 접점(A4)과 리세트버턴접점(95)에 의해 온되고 자기의 접점(C2)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4릴레이(D)와 부져(93)는 접점(A3,B3)와 알람버턴접점(94)에 의해 구동하게 되므로 일정시간 동안 온되는 접점(D1) 및 접점(B4,A6)에 의해 발광다이오드(D1~D12)가 온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알람버턴을 누르게 되면 제4릴레이(D)와 부저(93)가 오프되고 제1~제3릴레이(A,B,C)가 오프되어 발광다이오드(D1)가 오프되었다가 알람버턴을 놓으면 이전의 상태로 복귀되어 이때의 부저동작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테스트 버턴(92)은 릴레이 오동작체크회로의 정상동작 유무를 체크할 수 있다. 이 테스트 버턴(92)의 오프는 발광다이오드(D1~D12)를 소등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인터록 타이머의 동작에 따른 타이머 접점상태와 접점상태유지시간을 검출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인터록 타이머에 대한 정상 동작여부에 대한 진단결과를 용이하게 확인가능토록 하는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다른 효과는 아날로그 및 컴퓨터시스템에서 다양한 종류의 프로세서값이 리미트를 벗어날 경우 경보를 울려주고 중고장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설비를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머의 각 테스트업무시 다량의 측정기기가 소요되고 수작업 반복과 정비시간과다 소요되는 등의 정비소요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순간적 오동작 발생시에도 이를 합리적으로 체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그 구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상기 인터롭 타이머의 진단장치가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교류타이머와 직류타이머 각각에 교류전원과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
    교류타이머(20)와 직류타이머(30)의 a접점과 b접점 및 공통접점 각각에 접속된 라인을 다른 장치의 라인과 상호 접속시키는 암/수 커넥터(40,50);
    상기 암/수 커넥터(40,50)에서 표시부로 접속된 라인 각각을 스위칭시킬 수 있는 접점선택스위치(60);
    상기 접점선택스위치(60)를 통한 공통접점라인과 각각의 a접점라인 또는 b접점라인간의 전위레벨에 따라 접점상태를 표시하는 접점상태 표시부(70);
    상기 접점선택스위치(60)를 통한 a 접점라인과 b접점라인상의 신호레벨에 따라 소정의 발진동작에 의한 시간펄스를 카운팅하여 접점상태유지시간을 표시하는 접점동작시간 표시부(8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
KR2019960038102U 1996-11-01 1996-11-01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 KR200218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102U KR200218390Y1 (ko) 1996-11-01 1996-11-01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102U KR200218390Y1 (ko) 1996-11-01 1996-11-01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349U true KR19980025349U (ko) 1998-08-05
KR200218390Y1 KR200218390Y1 (ko) 2001-04-02

Family

ID=5398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8102U KR200218390Y1 (ko) 1996-11-01 1996-11-01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3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901B1 (ko) * 2001-12-03 2004-09-04 동광기연 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901B1 (ko) * 2001-12-03 2004-09-04 동광기연 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390Y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249383A (ja) Led表示灯の故障診断回路
US5387899A (en) Alarm system with monitoring circuit for detecting a cut or short in a pair of wires
KR19980025349U (ko)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
GB2513814B (en) Electrical safety device
US11176800B2 (en) Power supply device
KR200291562Y1 (ko) 릴레이 검사장치
US4929932A (en) Solid state relay having visual contact monitor
US3419857A (en) Annunciator system
US5214782A (en) Power supply monitor for personal computer
JP4327437B2 (ja) システムの動作状態を表示する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を管理する方法、特に、航空電子工学のためのもの
US10937301B2 (en) Power check and short testing indictor for a power supply
KR950010492Y1 (ko) 릴레이 체커
US4951030A (en) Monitoring system
CN210401509U (zh) 三相高压带电指示电路
KR100529549B1 (ko) 반도체설비의 원격제어회로
CN118011121A (zh) 一种兼容电平量和开关量的检测电路及装置
US5608769A (en) Pause testing circuit for dishwasher controller
KR102004170B1 (ko) 전력 제어 체크 시스템
JPH0412349Y2 (ko)
KR0128537Y1 (ko) 광소자를 이용한 분진누적 검출회로
RU1793467C (ru) Многока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гона электроаппаратов
KR200180180Y1 (ko) 릴레이 시험장치
KR920001719B1 (ko) 3p 코드의 오극성 검출회로
KR200153866Y1 (ko) 시퀀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
JP2503445B2 (ja) 農作業機の異常診断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