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492Y1 - 릴레이 체커 - Google Patents

릴레이 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492Y1
KR950010492Y1 KR2019930030760U KR930030760U KR950010492Y1 KR 950010492 Y1 KR950010492 Y1 KR 950010492Y1 KR 2019930030760 U KR2019930030760 U KR 2019930030760U KR 930030760 U KR930030760 U KR 930030760U KR 950010492 Y1 KR950010492 Y1 KR 950010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ntact
voltage
terminals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411U (ko
Inventor
장이익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조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조말수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30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492Y1/ko
Publication of KR950020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4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릴레이 체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의 접점 체크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의 동작 및 복귀전압 체크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의 오동작 여부 체크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전압부 20 : AC 릴레이 소켓
30 : DC 릴레이 소켓 40 : 접점 외부 출력소켓
50 : 접점 신호 콘넥터 60 : 표시부
70 : 버퍼부 71 : AC 전압레벨조정부
72 : 반전부 73 : DC 전압레벨조정부
74 : A/D 변환기 75 : 세그먼트 전압표시부
본 고안은 각종 아날로그 시스템 및 디지탈 계량제어 시스템에서 프로세스 최적값이 정상 운전중의 한계치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조기경보를 발하거나 설비를 보호차단시키는데 사용되는 릴레이의 기능테스트를 위한 장치로서, 특히 릴레이의 동작 및 복귀전압과 오동작 여부 그리고 접점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릴레이 체커에 관한 것이다.
범용 설비를 포함한 발전소, 화학, 정유, 자동차공장등 생산공정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대형공정 설비에서는 정밀하고 신속한 제어가 생산성 향상과 품질 향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기준 아날로그시스템뿐 아니라 컴퓨터 제어시스템에서도 공정의 이상유무 상태가 표시되거나 경보를 발하여 작업자가 신속히 예방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며 긴급한 경우에는 해당설비 및 단위장치를 정지하여 중고장 상태로 학산되어져 설비 훼손 및 제품의 불량요인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로는 리미트스위치, 각종(압력,온도,유량,액위) 스위치류, 마이크로스위치등의 각종 스위치가 릴레이등과 조합되어 복합요소로서 예방차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아날로그 및 디지탈 제어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중요기능에 사용되는 수많은 종류의 언터록 장치인 릴레이가 이상발생시 즉, 장시간 사용에 의한 이물질 혼입과 접점부 저항 증가시 오동작 요인이 된다. 또한 릴레이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전력계통에 의한 전압 변동과 주파수 변동이 있을때 릴레이 마다 그 특성이 각각 다르므로 그중 근접한 전압 특성을 가진 릴레이가 동작하므로서 외적요인에 의하여 가동되는 설비가 트러블 되므로 이상개소 발견은 용이하나 릴레이의 오동작 유무 또는 동작전압 및 복귀전압을 체크 할때 각종의 계기가 다량 소요되고 측정 기구가 준비가 안되었을 경우에는 관련부위와의 협조에 의하여 체크 하는등 신속한 조치가 지연되므로 생산성 향상 및 품질 저하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이 이상개소 발견 뿐만 아니라 정상시에도 미리 예상되는 문제점을 신속히 조치하여 해결키 위해서 릴레이의 동작전압 및 복귀전압 체크와 각 릴레이 접점 동작 유무 체크 그리고 오동작 발생시 해당접점의 이상유무를 신속히 체크하여 고장복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릴레이 체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고안에 따른 릴레이 접점 체크 회로 구성도로서, AC 입력전압은 가변저항(VR1)을 통하여 AC 릴레이 소켓(20)의 릴레이(RL1)의 코일 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한다.
또한 AC 입력전압은 전압 강하 트랜스(T1)를 거쳐 브릿지 다이오드(BD1) 와 콘덴서(C1)로 정류 및 평활된 후 정전압부(10)와 가변저항(VR2)을 차례로 통하여 DC 릴레이 소켓(30)의 릴레이(RL2)의 코일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AC 및 DC 릴레이 소켓(20,30)의 접점 단자의 모든 고통단자는 전부 공통으로 하여 접점 외부 출력 소켓(40)의 공통단자(COM)와 접점신호 콘넥터(50)의 공통단자(COM)에 연결하고, 상기 AC 및 DC 릴레이 소켓(20, 30)의 접점의 a 단자와 b 단자는 각각 접점 외부 출력 소켓(40)의 각 a 단자와 b 단자를 거쳐 접점 신호 콘넥터(50)의 입력단자(S1- S4)(S - S)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접점신호 콘넥터(50)의 출력단자(O1-O4)(O5-O8)에서 출력되는 B 전압 신호는 표시부(60)의 각 발광다이오드(D1-D4)(D5-D8)에 인가되게 연결한다.
여기에서는 릴레이 (RL1또는 RL2)의 접점이 4개조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릴레이의 접점수에 따라 증가 및 감소 시킬수 있으며, 이에따라 접점외부 출력소켓(40), 접점 신호 콘넥터(50) 및 표시부(60)는 제1도상의 릴레이 접점수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 되는 갯수에 맞추어 설계된다.
제2도는 본고안에 따른 릴레이 동작 개시전압 및 복귀 개시전압 체크 회로도로서, AC 릴레이(RL1) 또는 DC 릴레이(RL2)의 코일이 연결된 단자(71)(72)의 양단간 인가 전압이 저항(R1, R2)으로 분압되어 버퍼부(70)에 입력되게 연결한다. 상기 버퍼부(70)는 연산증폭기(OP1)의 인버팅 단자를 출력단자에 연결시킨 1 : 1 증폭의 버퍼 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버퍼부(7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양파정류 및 AC 전압 레벨조정부(71)에 입력되게 연결한다. 양파정류 및 AC 전압 레벨조정부(71)는 연산증폭기(OP2)와 양파 정류용 다이오드(D10, D11)와 AC 전압 출력레벨 결정용 가변저항(VR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퍼부(7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연산증폭기(OP3)와 저항(R4, R5)으로 구성된 반전부(72)를 거쳐 연산증폭기(OP4)와 가변저항(VR4)으로 구성된 DC 전압레벨 조정부(73)로 입력되게 구성한다.
상기 AC 및 DC 전압레벨 조정부(71,73)의 출력은 스위치(SW1)에 의해 선택되어 A/D 변환기(74)에서 디지탈 값으로 변환된후 세그먼트 전압 표시부(75)로 제공되게 구성한다.
제3도는 릴레이의 오동작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오동작 체크회로도써, 제1릴레이(A)는 제1릴레이의 a 접점(A1), 제2릴레이의 a 접점(B1)의 직렬 회로와 상기 제1도의 접점 신호 콘넥터(50)의 각 접점(S1-S8) 중 하나이상의 접점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하게 연결하고, 제2릴레이 (B) 알람버튼(ACK), 제1릴레이의 b 접점(A2), 제3릴레이의 b 접점(C1)에 의한 직렬 회로와 상기 알람버튼 접점(ACK), 제2릴레이의 a 접점(B2)에 의한 직렬회로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하게 연결하고, 제3릴레이(C)는 리세트 버튼 접점(RES), 제4릴레이의 a 접점(A4)에 의한 직렬회로와 리세트 버튼 접점(RES), 제3릴레이의 a 접점(C2)의 직렬회로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하게 연결하고, 제4릴레이(D)와 부져(BZ)는 공통으로 알람버트접점(ACK), 제1릴레이의 a 접점(A3), 제2릴레이의 a 접점(B3)에 의한 적렬 회로에 의해 구동하게 연결하고, 발광다이오드(D9)는 제2릴레이의 b 접점(B4), 제4 릴레이의 a 접점(C4)의 직렬회로와 테스트 버튼 접점(TEST), 제1릴레이의 b 접점(A5), 제3릴레이의 b 접점(C3)의 직렬회로와 제4릴레이의 접점(D1), 제2릴레이의 a 접점(B4), 제1 릴레이의 a 접점(A6)의 직렬회로를 선택적으로 통하여 구동하게 연결한다.
상기 제4 릴레이(D)는 일종의 한시 타이머 릴레이 인 플리커 릴레이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C 릴레이 소켓(20)에 측정대상 릴레이를 삽입하고 가변저항(VR1)을 조정하여 AC 릴레이(RL1)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이 서서히 증가되게 한다. 어느 시점에서 상기 릴레이(RL1)가 동작하게 되는데, 이때가 릴레이의 동작 개시 전압이 되며, 이러한 전압은 제2도의 버퍼부(70)를 거쳐 AC 전압 레벨조정부(71)에 입력된다.
이러한 입력전압은 다이오드(D10,D11)로 양파 정류되고 가변저항(VR3)에 의해 출력레벨이 조정된 후 스위치(SW1)의 AC 절환 접점을 통하여 A/D 변환기(74)에 입력된다. 상기 A/D 변환기에서는 입력 아날로그 신호 성분을 디지탈 값으로 바꾸어 세그먼트 전압 표시부(75)에 전달하게 되므로, 이 세그먼트 전압 표시부(75)에는 측정대상릴레이의 동작 개시 전압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변저항(VR1)을 조절하여 측정 대상릴레이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시시히 줄여 가면서 그 릴레이가 오프되는 시점의 전압을 상기 세그먼트 전압표시부(75)의 디지트를 읽는 것으로 확인할 수있다.
이러한 측정대상릴레이의 온/오프 동작 여부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표시부(60)의 발광 다이오드(D1-D8)의 점등 및 소등 개시시점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가령 릴레이(RL1)동작 개시시점에서는 그의 a 접점들이 온되므로, 이러한 접점 신호는 접점 콘낵터(50)의 입력단자(S1-S4)에 나타네게 되고, 상기 접점콘넥터(50)의 출력단자(O1- O4)에 나타나는 B2 전압신호로 표시부(60)의 각 발광다이오드(D1- D4)가 점등되게 된다.
이때 측정 대상 릴레이(RL1)의 어떠한 접점에 불량이 나타나게 되면 해당 접점의 발광 다이오드만 점등되지 않게 되므로, a 접점의 고장 발생접점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릴레이(RL1)의 복귀시점에서는 그의 b접점이 온되게 되므로 이번에는 표시부(60)의 발광다이오드(D5-D8)의 점등 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 b 접점의 고장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표시부(60)의 발광다이오드(D1-D4)(D5-D8)의 점등 유무에 의한 릴레이 접점의 식멸은 DC릴레이 소켓(30)에 DC릴레이(RL2)를 삽입한 후 그의 동작 개시 및 복귀 개시에 따른 a, b 접점의 이상 유무 체그시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점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동작 개시 전압 및 복귀 개시 전압은 제2도의 버퍼부(70)와 방전부(72) 그리고 DC 전압 레벨조정부(73)를 거친 DC 릴레이 코일의 양단간 전압을 스위치(SW1)선택을 통하여 A/D 변환기(74)에서 변환기킨후 세그먼트 전압 표시기(75)에 출력시키는 것으로 간단히 식별 할 수 있다.
한편 측정대상 릴레이의 오동작여부를 체크하는 제3도에서는 접점 신호(S1-S)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게 되면 제1릴레이(A)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제2릴레이(B)는 접점(A2,C1) 및 알람버튼 접점(ACK)에 의해 온 되어 자기의 접점(B2)으로 자기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1릴레이(A)는 접점(A1,B1)에 의해 자기 유지된다.
이에따라 제3릴레이(C)도 접점(A4)과 리세트 버튼 접점(RES)에 의해 온 되고 자기의 접점(C2)으로 자기 유지된다.
따라서 제4릴레이(D)와 부져(BZ)는 접점(A3,B3)와 알람버튼 접점(ACK)에 의해 구동하게 되므로 일정시간 동안 온되는 접점(D1) 및 접점(B4,A6)에 의해 발광다이오드(D9)가 온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알람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4릴레이(D)와 부져(BZ)가 오프되고 제1-제3 릴레이 (A-C)가 오프되어 발광다이오드(D9)가 오프되었다가 알람버튼을 놓으면 이전의 상테로 복귀되며 이때의 부져 동적여부를 체크할 수있다.
또한 리세트 버튼에 의해서는 체크 릴레이 오동작여부의 시함을 재동작 시킬 수 있다.
테스트 버튼은 릴레이 오동작 체크 회로의 정상동작 유무를 체크할 수있다. 즉, 이테스트 버튼 접점(TEST)의 오프는 발광다이오드(D9)를 소등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은 아날로그 및 컴퓨터 제어시스템에서 다양한 종류의 프로세스 값이 리미트를 벗어날 경우 경보를 알려주고 중고장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설비를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릴레이의 각 테스트 업무시 다량의 측정계기가 소요되고 수작업 반복으로 정비 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등의 정비 소요시간을 단축시킬수가 있고 모든 관련 체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을뿐 아니라 순간적 오동작 발생시에도 이를 합리적으로 체트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AC전압은 가변저항(VR1)을 통하여 AC 릴레이 소켓(20)의 릴레이 코일 단자에, 트랜스(T1)와 브릿지다이오드(BD1)와 정전앙부(10)를 거친 AC 전압은 가변저항(VR2)을 통하여 DC릴레이 소켓(30)의 릴레이코일단자에 각각 인가되기 연결하고, 상기 AC 및 DC릴레이 소켓(20,30)의 잡잡의 공통단자, a접점단자, b 접점 단자끼리 공통으로 하여 접점외부 출력 소켓(40)의 a, b단자와 접점 신호 콘넥터(50)의 입력단자(S1-S4)(S5-S8)에 연결하고, 상기 접점 신호톤넥터(50)의 출력단자(O1-O4)(O5-O8)는 표시부(60)의 발광다이오드(D1-D4)(D5-D8)에 연결하고, 상기 AC 및 DC릴레이 소켓(20,30)의 릴레이 코일단자에 나타나는 전압은 버퍼부(70), 반전부(72), AC 및 DC 전압레벨조정부(71,73)를 거쳐 스위치(SW1)에 의해 선택된후 A/D변환기(74)를 통하여 세그먼트 전압표시부(75)에 숫자로 출력되게 구성하고, 상기 접점신호(S1-S)와 접점(A1,B1)에 의해서는 제1 릴레이(A)가 온되게 연결하고, 알람버튼 접점(ACK)과 접점(A2,C1,B2)에 의해서는 제2릴레이(B)가 온되게 연결하고, 리세트버트접점 (RES)과 접점(A4,C2)에 의해서는 제3릴레이(C)가 온되게 연결하고, 제4릴레이(D)와 부져(BZ)는 알람버튼 접점(ACK)과 접점(A3,B3)에 의해 온되게 연결하고, 발광다이오드(D9)는 접점(C3,A4,A5,A6,D1,B4)와 테스트버튼접점(TEST)에 의해 온되게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체커.
KR2019930030760U 1993-12-30 1993-12-30 릴레이 체커 KR950010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760U KR950010492Y1 (ko) 1993-12-30 1993-12-30 릴레이 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760U KR950010492Y1 (ko) 1993-12-30 1993-12-30 릴레이 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411U KR950020411U (ko) 1995-07-26
KR950010492Y1 true KR950010492Y1 (ko) 1995-12-14

Family

ID=1937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760U KR950010492Y1 (ko) 1993-12-30 1993-12-30 릴레이 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49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904A (ko) * 2001-10-25 2003-05-01 한국전력공사 릴레이 특성시험장치
KR102127073B1 (ko) * 2019-07-25 2020-06-25 (주) 그린텍아이엔씨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411U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3192A (en) Fuse or circuit breaker status indicator
US5559438A (en) Composite safety switch
US4567471A (en) Monitoring system
US5155441A (en) Automatic insulation tester for grounded and ungrounded electrical equipment
US5586057A (en) Industrial equipment operating status scanner
KR950010492Y1 (ko) 릴레이 체커
US5172289A (en) Automatic insulation tester for grounded and ungrounded electrical equipment
JP3073806B2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ータ
KR200291562Y1 (ko) 릴레이 검사장치
JPS62501990A (ja) 故障状態検出方法及び回路
KR200218390Y1 (ko) 인터록 타이머 진단장치
US3686654A (en) Alarm system employing plural modules accommodating binary and analog transducers
JP3671235B2 (ja) 指示素子を有する検査装置
KR100408875B1 (ko) 시퀀스 제어회로 개발장비의 단락사고 방지용 전원공급장치
US4951030A (en) Monitoring system
SU657291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проверки сигнализаторов давлени
RU2028641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работоспособности цепей сбора измерите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KR200153866Y1 (ko) 시퀀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
KR860002610Y1 (ko) 램(ram)의 불량 검사회로
SU163867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 параметров электрических цепей
SU77774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релейных коммутаторов
JPH0560799A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ータ
CA1090901A (en) Apparatus for anodic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of metal objects in contact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media
RU1793467C (ru) Многока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гона электроаппаратов
SU1411694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монтаж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