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211U - 소형 자동 만두제조기의 반죽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자동 만두제조기의 반죽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211U
KR19980025211U KR2019980007594U KR19980007594U KR19980025211U KR 19980025211 U KR19980025211 U KR 19980025211U KR 2019980007594 U KR2019980007594 U KR 2019980007594U KR 19980007594 U KR19980007594 U KR 19980007594U KR 19980025211 U KR19980025211 U KR 199800252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dumpling
screw
kneading
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우 filed Critical 김건우
Priority to KR2019980007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211U/ko
Publication of KR199800252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211U/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 자동 만두제조기의 반죽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형 자동 만두제조기에 실시된 반죽공급장치는 반죽통의 하단에 설치된 반죽 압출스크류의 일측방에 압출스크류와 일정비율로 회전하는 반죽 이송스크류를 병열 설치한 구성이였는 바, 이러한 반죽공급장치는 초기에 넣어진 반죽은용이하게 노즐측으로 압출시킬 수 있었으나 보충되는 반죽은 호퍼와 반죽통의 사방내벽면에 달라 붙고 늘어나는 반죽특성에 의하여, 반죽통의 하단에서 하측 반죽을끌어 당겨도 호퍼와 반죽통 상측 반죽들은 원활하게 당겨주지 못하므로서, 인위적인 반죽 압입작업을 실시하였고, 반죽 압출스크류의 단위시간당 반죽 압출력(량)이 불균일하여 만두피 두께가 불균일해지고, 만두피와 만두속이 허실되며 성형불량율이 높으며, 단위시간당 만두성형속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단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죽 공급장치의 단점들을 해결하고져 제공되는것 으로서, 반죽통의 중간에 반죽 압출스크류와 일정비율로 연동회전하는 반죽압입용 이송스크류들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여, 호퍼와 반죽통에 넣어진 반죽을 수작업으로 압박하지 않더라도 반죽 압출스크류에 일정량으로 원활하게 공급되게하므로서, 반죽 압출스크류의 단위시간당 반죽 압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만두피의 성형품질을 높이고, 반죽압출스크류의 회전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하여서 단위시간당 만두성형량을 증대시킬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소형 자동만두제조기의 반죽공급장치
본 고안은 소형 자동 만두제조기에서 호퍼와 반죽통에 넣어진 반죽을 만두피 성형용 노즐측으로 압출하는 반죽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소형 자동만두제조기는, 밀가루 반죽과 만두속을 각각별도의 소형 호퍼와 공급장치로 공급하되, 반죽은 반죽통 하단에 설치된 압출스크류로 반죽통 선단에 설치된 원통형 노즐로 압출하여 튜브형의 만두피로 연속적으로압출하고, 만두속은 반죽 압출스크류의 중심축선상에 형성된 중공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별도의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노즐에서 압출되는 튜브형 만두피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공급하여서, 만두속이 삽입된 부분의 만두피를 일정형태의 성형 로울러로 튜브형 만두피의 외부 일측면 가장자리를 눌러 접합하면서 동시에 절단하는 방식으로 만두를 자동으로 연속 성형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 만두제조기에서 만두제조성능은 각 부분의 장치구성에 의하여 종합적으로 형성되나, 특히 밀가루 반죽을 노즐측으로 압출하여 만두피를 성형하는 반죽 공급장치는 만두피의 압출형태와 압출속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자동 만두제조기의 전체적인 만두제조성능에 있어서 만두 성형속도와 품질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소형 자동 만두제조기에 설치된 제반 반죽 공급장치는 반죽을 공급하는 작용에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어서 인위적인 압입작업이 요구될 뿐 아니라 단위 시간당 만두 성형속도를 저하시키고, 만두피와 만두속의 허실 및 성형불량율을 높이는 등의 단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종래의 소형 자동 만두제조기에서의 반죽공급장치의 문제점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형 자동만두제조기는, 밀가루 반죽과 만두속을 각각 공급하는 별도의 소형 호퍼(11)(30)들이 설치되고, 반죽 호퍼(11)의 하단에는상광하협형 반죽통(12)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며, 반죽통(12)의 하단에는 반죽을 반죽통(12)의 선단에 설치된 원통형 노즐(15)측으로 압출하여 튜브형의 만두피로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압출스크류(13)가 설치되어 있고, 노즐(15)의 전방측에는 만두성형로울러장치(23)가 설치되며, 그 선단측에는 성형된 만두를 이송하는 만두이송벨트장치(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죽 압출스크류(13)는 선단은 반죽통의 전면에 설치되는 원통형 노즐(15)의 내부에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후단은 반죽통의 후단판(12b)을 관통하여 전동기어박스(16)에 설치된 구동축(17)에 동축상으로 축설되어 있으며, 구동축(17)은 전동기어박스의 전후 측벽간에 베어링부재(B4)로 회전자유롭게 축설되어 후단 일측에는 체인기어(Ga)가 고정축설되어 동체하단에 설치된 구동모터(M)와 구동체인(CV)으로 연동되어 있다.
만두피 호퍼(30)의 하단에는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하는 만두속 이송스크류(31)가 설치되어서, 이 만두속 이송스크류(31)는 상기 반죽 압출스크류(13)의 중심축선상에 형성된 중공부를 관통하여 노즐(15)의 선단까지 연장된 길이로 설치되어서, 노즐(15)에서 압출되는 튜브형 만두피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만두속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자동 만두제조기의 구성에서 종래의 반죽공급장치의 구성은,
도 5-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반죽통(12)의 하단 일측을 확장하여 상기 반죽 압출스크류(13)와 일측방에 병열로 반죽 이송스크류(14)를 설치하고, 이 반죽이송스크류(14)는 선단은 반죽통(12)의 전면판(12a)에 베어링(Bx)으로 회전자유롭게 축수되고 후단은 반죽통의 후단판(12b)을 관통하여 전동기어박스(16)에 설치된구동축(17)의 구동기어(G)와 전동기어(Gx)로 연동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예 반죽 공급장치에 의하면, 호퍼(11)를 통하여 반죽통(12)내부에 까지 가득차게 일정량의 밀가루 반죽을 넣어 준 후 만두제조기를 가등시키면, 반죽통(12)의 하단에 설치된 반죽 압출스크류(13)와 반죽 이송스크류(14)들이 서로 마주보는 내측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면서 그 사이에 꺼워져 있는 밀가루 반죽을 반죽 압출스크류(13)에 의하여 노즐(15)측으로 압출시키는 소정의 반죽공급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반죽 공급작동은 이론상으로는 호퍼(11)에 계속적으로 반죽을 공급하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호퍼(11)에 투입된 반죽은 점성에 의하여 호퍼(11)와 반죽통(12)의 사방 내벽면에 달라 붙는 특성이 있고, 또한 2개의 스크류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촉되는 하측 반죽을 끌어 당겨 전방측으로 압출하는 과정에서도 반죽의 늘어나는 특성에 의하여 반죽 스크류들에 의한 당김력은 호퍼와 반죽통의 상측 반죽들에까지 일정하게 작용되지 못하므로서, 실제적으로는 반죽 압출스크류(13)에 의한 노즐측으로의 단위시간당 반죽 압출력(량)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반죽 압출스크류(13)에 의한 노즐측으로의 단위시간당 반죽 압출력(량)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면, 반죽 압출스크류(13)의 압출력에 의하여노즐에서 튜브형태로 연속하여 압출되는 만두피의 두께가 불균일해지며, 심한 경우에는 튜브형 만두피가 국부적으로 매우 얇거나 터진 부분을 갖고 압출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만두피의 두께 불균일 압출현상은, 만두속 공급장치는 별도의 공급라인에 의해서 일정량의 만두속을 정상적으로 공급하게 되고, 노즐 전방측에서는 곧바로 성형로울러에 의하여 만두속이 투입된 만두피 부분을 만두형상으로 자동 성형하는 기구적특성에 의하여 만두가 성형 완료된 이후에만 식별할 수 있는 바,
성형후 만두피 두께가 불균일한 것은 폐기하여야 하므로 만두속과 만두피가허실되는 단점이 있으며, 그 불량성형 여부의 식별이 매우 곤란하면서 식별작업을 위한 별도의 공수가 소요되므로서 만두제조기의 자동성형 특성을 저하시키고, 단위시간당 만두생산량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인건비가 높아지고 만두 품질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반죽압출력의 불균일에 의한 제반 단점을 보완하고져, 종래에는 반죽스크류들의 회전속도를 저속으로 유지하고, 호퍼와 반죽통에서 상측 반죽을 수작업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밀어 넣어 주는 작업을 병행하였는 바, 이러한 방법들에 의하면 상기한 단점들은 일부 해소할 수 있었으나, 반죽 압출스크류의 회전속도 저하에 비례하여 노즐에서의 단위시간당 만두피 압출량도 줄어들게되어, 단위시간당 만두성형량도 저하되고 만두제조기의 가동에 인위적인 작업량이 늘어나는 또 다른 단점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죽 공급장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져 제공되는 것으로서, 호퍼와 반죽통에 넣어진 반죽을 수작업으로 압박하지 않더라도 반죽 압출스크류에 원활히 공급하여 반죽 압출스크류의 단위시간당 반죽 압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반죽이송스크류들의 회전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하여서도 만두피의 압출두께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반죽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반죽 압출스크류의 단위시간당 반죽 압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여 만두피의 압출두께를 균일하게 형성하므로서 성형후 만두피 두께가 불균일하여 만두피와 만두속이 허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반죽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반죽 압출스크류의 단위시간당 반죽 압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므로서 만두 불량성형률을 낮추어 단위시간당 만두성형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반죽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반죽 압출스크류의 단위시간당 반죽 압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토록하므로서 만두 불량성형률을 낮추어 만두성형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반죽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반죽 압출스크류의 단위시간당 반죽 압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토록하므로서 만두 성형불량 검사에 따른 작업공수를 제거하여 생산인건비와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반죽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일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반죽공급장치의 구성은,
반죽공급장치의 일 요소들인 반죽 스크류들의 구성에 있어서 반죽통의 하단에서 노즐과 동축상으로 설치되는 반죽 압출스크류의 구성은 그대로 유지하되, 반죽통의 중간에는 상기 반죽 압출스크류와 평행하게 2개의 반죽 이송스크류들을 서로간에 넓은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이들의 스크류형태는 일측의 것은 오른방향으로 타측의 것은 왼방향으로 각각 형성하여서, 상기 2개의 이송스크류들이 각각 반죽 압출스크류와 일정회전비율로 연동하여 서로간에 내측으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 은 본 고안이 실시된 일예 자동 만두제조기의 전체 구성도
도2 는 본 고안의 반죽공급장치 요부 발췌 평면도
도3 은 도2 중 A-A 선 단면도
도4 는 도2 중 B-B 선 단면도
도5 는 종래의 반죽공급장치 요부 발췌 평면도
도6 은 종래의 반죽공급장치 스크류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 반죽 호퍼 12 : 반죽통 12a : 반죽통의 전면판
12b : 반죽통의 후단판 13 : 반죽 압출스크류
14 : 종래의 반죽이송스크류 15 : 원통형 노즐 16 : 전동기어박스
17 : 구동축 20,21 : 반죽 이송스크류 20a : 반죽 이송스크류의 후단축
21a : 반죽 이송스크류의 후단축 23 : 만두성형로울러장치
23a : 만두성형로울러장치의 성형로울러 24 : 만두이송벨트장치
30 : 만두속 호퍼 31 : 만두속 이송스크류 B1, B2, B4 : 베어링부재
Bx : 베어링 G : 구동기어 Ga : 체인기어 Gx,G1,G2 : 전동기어
G3 : 아이들전동기어 M : 구동모터 CV : 구동체인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일실시예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일예의 자동 만두제조기의 전체 구성이고, 도 2-4는 상기 자동 만두제조기에 실시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반죽 공급장치의 평면 및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 반죽공급장치는, 밀가루 반죽을 투입하는 소형 호퍼(11)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광하협형 반죽통(12)과, 이 반죽통(12)의내부 하단에서 노즐(15)과 동축상으로 설치되는 반죽 압출스크류(13)가 구비되는 점에서는 종래의 반죽공급장치와 동일하다.
본 고안에서 개시되는 중요구성은 상기 반죽통(12)의 하단에 설치되는 반죽압출스크류(13)에 대하여 호퍼(11)와 반죽통(12)에 있는 반죽을 기구적으로 압입하는 구성을 반죽통의 중간에 구비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은 도 2-3과 같이, 반죽통(12)의 중간 일측에서 상기 반죽 압출스크류(13)와 평행하게 2개의 반죽 이송스크류(20)(21)들을 서로간에 넓은 간격을 두고반죽통(12)의 양측벽에 근접하여 설치하되, 이들의 선단축들은 각각 반죽통(12)의전면판(12a)에 베어링부재(B1)들로 회전자유롭게 축설하고, 후단축들은 각각 반죽통(12)의 후단판(12b)을 관통하여 전동기어박스(16)에서 구동측(17)과 기어열로 연동시킨다.
전동기어박스(16)내에서는 도 2-4와 같이, 반죽 압출스크류(13)의 후단축이 동축상으로 끼워져 축설된 구동측(17)에 대하여, 일측 반죽 이송스크류(20)의 후단측(20a)은 전동기어박스의 전후 측벽간에 베어링부재(B2)들로 회전자유롭게 축설시켜서 중간에 전동기어(G1)를 고정축설하여 구동축(17)의 선단 일측에 고정축설된 구동기어(G)와 치합하고, 타측 반죽 이송스크류(21)의 후단축(21a)은 전동기어박스의 전후 측벽간에 베어링부재(B3)로 회전자유롭게 축설시켜서 중간에 전동기어(G2)를 고정축설하여 상기 구동기어(G)와 아이들전동기어(G3)를 게재하여 치합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반죽 이송스크류(20)(21)들의 전동기어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도3 기준으로 볼 때, 반죽 압출스크류(13)가 반죽의 압출방향인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각각의 2개의 반죽 이송스크류(20)(21)들은 화살표와 같이 서로간에 내측으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반죽공급장치 구성에 의하면, 일정량의 만두속은 만두속 호퍼(30)에, 밀가루 반죽은 반죽 호퍼(11)를 통하여 각각 반죽통(12)내부 하단까지 가득차게 일정량 넣어 준 후 만두제조기를 가동시켜 자동으로 만두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구동모터(M)의 구동제어에 의하면 반죽 압출스크류(13) 및 반죽 이송스크류(20)(21)들은 각각 일정 각속도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바, 반죽 호퍼(11)에 넣어진 밀가루 반죽은 반죽통(12)의 상방에 설치된 2개의 반죽 이송스크류(20)(21)들에 의하여 중앙측에서 하방으로 압입된다.
반죽이 2개의 반죽 이송스크류(20)(21)들의 사이 중앙측에서 하방으로 압입되면 그 하단에서 회전하는 반죽 압출스크류(13)에 접촉되면서 압출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하여 일정압력으로 전방의 원통형 노즐(15)측으로 압출하게 된다.
노즐(15)측으로 압출되는 반죽은 노즐에 의하여 원통형 튜브형태의 만두피로 성형되어 연속적으로 압출되고, 동시에 호퍼(30)에 넣어진 만두속은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하고 반죽 압출스크류(13)의 중심축선상에 형성된 중공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별도의 만두속 이송스크류(31)에 의하여 노즐(15)에서 압출되는 튜브형 만두피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공급된다.
이와같이 노즐(15)에서 연속적으로 튜브형 만두피가 성형되면서 그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만두속이 공급되면, 그 선단을 노즐(15)의 전방측에 설치된 만두성형로울러장치(23)의 성형로울러(23a)에 물려서, 만두속이 삽입된 부분의 만두피를 성형로울러(23a)로 튜브형 만두피의 외부 일측면 가장자리를 눌러 접합하면서 동시에 절단하는 방식으로 만두를 자동으로 연속 성형하면, 성형된 만두는 만두이송벨트장치(24)로 낙하되어 전방측으로 이송되는 방식으로 자동 만두성형이 실시되는 바, 작업자가 밀가루 반죽과 만두속을 만두 성형상태에 따라서 일정량을 지속적으로 보충하면 만두 자동성형공정은 지속적으로 실시된다.
호퍼(11)에 연속적으로 보충되는 반죽을 계속적으로 일정압력을 갖고 하방의 반죽 압출스크류(13)측으로 압입시키므로, 호퍼(11)를 통하여 보충되는 반국의 외표면이 점성 특성에 의하여 호퍼(11)와 반죽통(12)의 사방 내벽면에 달라 붙어도 이를 강제적으로 반죽통의 중간에서 원활하게 반죽 압출스크류(13)측으로 공급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만두 자동성형공정에서 호퍼(11)에 연속적으로 보충되는 반죽들은 그 외표면이 점성에 의하여 호퍼(11)와 반죽통(12)의 사방 내벽면에 달라 붙는 현상이 발생하나, 본 고안의 상기 반죽공급장치에 의하면 2개의 반죽 이송스크류(20)(21)들이 반죽 압출스크류(13)와 일정한 회전비율로 항상 회전하면서 반죽통(12)의 중간부에서 보충되는 반죽의 하단부를 강제적으로 일정 압입력으로 반죽 압출스크류(13)의 상단측으로 공급하게되어, 반죽통(12)에 보충되는 반죽을 단위시간당 일정량을 원활하게 반죽 압출스크류(13)에 공급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반죽공급장치의 작용효과는 궁극적으로는 반죽 압출스크류(13)에 의한 노즐측으로의 압출력(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노즐(15)에서 튜브형으로 압출되는 만두피의 두께를 균일하게 성형시키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반죽 공급장치는 종래의 반죽공급장치가 반죽공급을 원활히 공급시키지 못하여 노즐에서 만두피의 두께가 국부적으로 매우 얇거나 터진 부분을 갖는 불균일 성형현상을 해결하여 만두피의 두께를 균일하게 압출 성형 시킴은 물론, 만두피의 허실을 방지하고, 만두피 불량성형에 의한 만두속의 허실도 방지하여 재료비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만두성형 불량률을 줄여 성형 신뢰성을 높여주므로 검사공수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만두제조기의 자동성형 특성을 높여주며, 반죽 이송스크류들에의해 증가되는 반죽의 단위시간당 공급량에 비례하여 반죽 압출스크류의 회전속도를 높여서 단위시간당 압출력(량)을 높일수 있으므로서, 자동만두제조기의 중요한 성능인 단위시간당 만두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Claims (1)

  1. 밀가루 반죽과 만두속을 각각 별도의 소형 호퍼와 공급장치로 공급하여, 반죽은 상광하협형 반죽통(12)의 하단에 설치된 압출스크류(13)로 반죽통 선단에 설치된 원통형 노즐(15)로 압출하여 튜브형의 만두피로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소형 자동 만두제조기에 적용하는 반죽공급장치의 구성으로,
    반죽통(12)의 중간 일측에서 상기 반죽 압출스크류(13)와 평행하게 2개의 반죽 이송스크류(20)(21)들을 서로간에 넓은 간격을 두고 반죽통(12)의 양측벽에 근접하여 설치하되, 이들의 선단축들은 각각 반죽통(12)의 전면판(12a)에 베어링부재(B1)들로 회전자유롭게 축설하고, 후단측들은 각각 반죽통(12)의 후단판(12b)을 관통하여 전동기어박스(16)의 전후벽간에 베어링부재(B2)(B3)로 회전자유롭게 축설시켜서, 일측 반죽 이송스크류(20)의 후단축(20a)은 중간에 전동기어(G1)를 고정축설하여 구동측(17)의 선단 일측에 고정축설된 구동기어(G)와 치합하고, 타측 반죽 이송스크류(21)의 후단축(21a)은 중간에 전동기어(G2)를 고정축설하여 상기 구동기어(G)와 아이들전동기어(G3)를 게재하여 치합하여, 반죽 압출스크류(13)가 반죽의 압출방향인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각각의 2개의 반죽 이송스크류(20)(21)들은 서로간에 내측으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소형자동만두제조기의 반죽 공급장치.
KR2019980007594U 1998-05-11 1998-05-11 소형 자동 만두제조기의 반죽공급장치 KR199800252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594U KR19980025211U (ko) 1998-05-11 1998-05-11 소형 자동 만두제조기의 반죽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594U KR19980025211U (ko) 1998-05-11 1998-05-11 소형 자동 만두제조기의 반죽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211U true KR19980025211U (ko) 1998-07-25

Family

ID=6951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594U KR19980025211U (ko) 1998-05-11 1998-05-11 소형 자동 만두제조기의 반죽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21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296B1 (ko) * 2001-09-20 2004-08-16 이병석 국수형 만두 제조장치
KR100779873B1 (ko) * 2004-10-29 2007-11-28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음식 재료 연속 압출 장치 및 생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296B1 (ko) * 2001-09-20 2004-08-16 이병석 국수형 만두 제조장치
KR100779873B1 (ko) * 2004-10-29 2007-11-28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음식 재료 연속 압출 장치 및 생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416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tirrers
EP1991409B1 (de) Herstellung von artikeln mit verschiedenem gehalt an zusatzstoffen
KR19980025211U (ko) 소형 자동 만두제조기의 반죽공급장치
KR102033677B1 (ko) 면 제조장치
US4948612A (en) Continuous production of cookie-like product
US8621989B2 (en)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DE69723654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ormen eines kontinuierlichen Teigstreifens
US217300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rackers, biscuits, and the like
GB2031328A (en) Improvements in the production of biscuit dough
DE19749324A1 (de)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akaobutterhaltigen oder ähnlichen fetthaltigen Massen, insbesondere Schokolademasse
DE112017005288B4 (de) Wickelvorrichtung und backmaschine
JP2559286B2 (ja) 海苔巻成形機における米飯の圧縮移送機構
DE971776C (de) Ein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olien aus Gummi oder Kunststoffen
DE2421145B2 (de)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von Zucker- und Karamelmasse
DE361741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gefuellter massen
DE3703758C2 (ko)
CN111955658A (zh) 一种鲜面的生产方法及其生产装置
KR940006731Y1 (ko) 떡 제조기
US997554A (en) Removable hopper for dough-pressing machines.
KR101605180B1 (ko) 쿠키 제조장치
KR200289627Y1 (ko) 자동 만두성형기
JP7388736B2 (ja) 串刺食品製造装置
JPS6430B2 (ko)
JPS5831511Y2 (ja) デポジツタ−
CN220242339U (zh) 一种双螺杆挤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