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037U - 장의용 차량 - Google Patents

장의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037U
KR19980025037U KR2019980006923U KR19980006923U KR19980025037U KR 19980025037 U KR19980025037 U KR 19980025037U KR 2019980006923 U KR2019980006923 U KR 2019980006923U KR 19980006923 U KR19980006923 U KR 19980006923U KR 19980025037 U KR19980025037 U KR 199800250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uneral
case
stora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백희
홍길표
Original Assignee
이강수
한국정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수, 한국정밀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강수
Priority to KR2019980006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037U/ko
Publication of KR19980025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37U/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국적 정서에 맞는 장례의식을 위해 냉각장치를 구비한 관 보관공간과 충격완충장치로 관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의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10)의 후방에 형성된 관출입문(1)과 관 보관 케이스(2)가 형성된 장의용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꽃을 진열하기 위한 꽃 진열대(31)와 장례용품 보관을 위한 용품보관함(32)과 상여 보관을 위한 상여보관실(33) 및 관(37) 보관을 위한 케이스(34)를 구비한 적재함(30)과, 상기 적재함(30)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가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한 충격완충장치(39)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34)의 측면벽에는 토출구(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55)를 통하여 냉기를 공급하여 상기 케이스(34)의 내부를 냉방시키는 냉각팬(51)은 상기 용품보관함(32)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팬(51)은 상기 차량의 냉각장치에 연결관(52)으로 연통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충격완충장치(39)는 상기 적재함(30)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가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해서 판스프링(41)이 부착된 상기 차량의 후륜(38)과 상기 차량의 프레임(42)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34)의 바닥면(54)에는 상기 적재함(30)의 후방으로 관(37)을 적재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타입의 관 거치대(6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차량.

Description

장의용 차량
본 고안은 장의용 차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장례후에 시신을 장지로 운반할 경우에 좁은 도로의 진입이 가능하고 시신을 냉장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며, 안전운행장치가 장착된 장의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장례식은 상을 치르는 상가집이나 병원의 영안실에서 시신을 염한후에 상을 치르게 된다. 그런 다음 3일째 되는 날 발인하여 시신을 장지로 우송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장지는 시에서 운영하는 시립묘지나 가족묘가 있는 선산으로 옮기게 되며, 이때, 이런 묘지들이 대부분 좁은 도로를 갖는 산을 끼고 있어서 장례를 치르는 가족들과 친지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또한, 이때 사용되는 차량은 관을 후방이나 측방에서 삽입가능하게 개조한 중대형 버스 및 캐딜락 차량을 이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장례식에 사용되는 상기 차량들은 관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과 장례식 참가인원을 수송할 수 있게 특수차량의 형식으로 내부공간이 변형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장의용 차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업계에 널리 알려진 중대형 버스(10)를 개조한 것으로서, 버스(10)의 후면에 관출입문(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관출입문(1)이 형성된 상기 버스(10)의 내부에는 관을 수평하게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2)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런 케이스(2)의 내부에 관이 수평하게 보관되어 있다. 또한, 이런 버스(10)의 외부표면에는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에게 장의차임을 표시하기 위해서 철망을 설치하여 고비용의 다수의 장의용 화초(도시안됨)들을 설치하며, 이런 화초들은 서로다른 색으로 배열되어서 종교적인 문양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관을 보관하는 케이스(2)는 승객의 버스(10)의 좌석부분(3)과 버스(10)의 복도 부분을 개조한 소정공간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런 케이스(2)는 버스(10)의 후면에 형성된 관출입문(1)으로 개폐되며, 관을 적재시에 인력의 힘으로 관을 상기 케이스(2)의 길이방향으로 밀어 넣어서 적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장의용 차량은 통상적인 버스를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장지가 있는 좁은 산길이나 비포장 도로에 진입이 어렵기 때문에 관을 운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장의용 차량은 좁은 산길이나 비포장도로에서 움직일 경우에 충격이 그대로 시신을 담고 있는 관에 전달되므로써, 시신이나 관이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장의용 차량은 관을 차량에 적재시킬 경우에 다수의 인력을 동원하여 관을 들고 차량 내부에 형성된 케이스의 내부에 관을 밀어 넣기 때문에, 관을 차량으로 옮기거나 차량에서 관을 빼낼 경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장의용 차량은 장지가 원거리일 경우, 공기중에 개방된 시신에서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며, 시신을 청결하게 운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장의용 차량은 화초들을 외표면에 철망으로 장착하기 때문에, 운송도중에 화초들이 차량으로 부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장의용 차량은 임을 위한 의식을 위한 음악시스템이나 종교의식을 위한 문양이 없기 때문에 장의용 차량으로서 부적당하며, 이를 위해 고가의 화원으로 종교적 문양을 만들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장의용 차량으로 고안된 고가의 캐딜락이나 리무진은 전량 외국에서 수입하며, 그 차량 임대비가 호화판 장례식을 조장하기 때문에 검소하고 조용한 장례식을 하는데 경제적 부담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국적 정서에 맞는 장례의식을 위해 관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냉각장치와, 다수의 장례용품을 운반할 수 있는 수납공간과, 충격을 완충하는 부가적인 완충장치 및, 안전운행장치로 관을 장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의용 차량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의용 차량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의용 차량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의용 차량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의용 차량의 중요부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소정부위를 절단한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장의용 차량의 중요부위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소정부위를 절단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운전석 30 : 적재함
31 : 꽃 진열대 32 : 용품보관함
33 : 상여보관실 34 : 케이스
35 : 경광등 36 : 스피커
38 : 후륜 39 : 충격완충장치
51 : 냉각팬 60 : 거치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후방에 형성된 관출입문과 관 보관 케이스가 형성된 장의용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꽃을 진열하기 위한 꽃 진열대와 장례용품 보관을 위한 용품보관함과 상여 보관을 위한 상여보관실 및 관 보관을 위한 케이스를 구비한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가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한 충격완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벽에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냉기를 공급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냉방시키는 냉각팬은 상기 용품보관함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팬은 상기 차량의 냉각장치에 연결관으로 연통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차량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충격완충장치는 상기 적재함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가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해서 판스프링이 부착된 상기 차량의 후륜과 상기 차량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적재시킬 수 있게 충격흡수 재질의 거치대 고정부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대 고정부위에는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관을 적재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타입의 관 거치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는 상기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경광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용품보관함에는 장례식에서 사용되는 음악을 확성시키기 위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의 음악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상여보관실에는 중국식 관을 상기 적재함의 내부에 수직하게 세워서 적재하기 위해서, 바닥면이 상기 적재함의 내부에 측면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게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차량.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상여 보관실을 위한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상부개폐문에는 종교의식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종교적인 문양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장의용 차량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의용 차량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의용 차량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의용 차량의 중요부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소정부위를 절단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장의용 차량의 중요부위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소정부위를 절단한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은 통상적인 업계에서 사용되는 소형 트럭을 개조하여 사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차량의 운행을 위한 근본적인 차량구조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의용 차량은 운전석(20)과 적재함(30)을 갖는다. 이런 적재함(30)에는 꽃을 진열하기 위한 꽃 진열대(31)와, 제기, 촛대와 같은 장례용품 보관을 위한 용품보관함(32)과, 상여를 보관할 수 있는 소정넓이의 공간을 갖는 상여보관실(33) 및, 관 보관을 위한 케이스(3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적재함(30)의 상부에는 안전운행을 위한 다수의 경광등(35)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런 적재함(30)의 측면에는 임을 위한 의식의 음악을 들려주기 위한 스피커(36)가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된 다수의 경광등(35)은 차량의 운전석(20)에서 제어가 가능하게 경광등 작동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스피커(36)는 차량의 음악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꽃 진열대(31)는 외부에서 진열된 꽃을 볼 수 있게 유리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적재함 상부의 양 측면 상기 유리창이 개폐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런 꽃 진열대(31)의 하방향으로 배치된 용품보관함(32)은 외부에서 문을 개폐하여 장례에 필요한 제기, 음식물, 깃발, 등과 같은 장례용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적재함(30)에 형성된 상여보관실(33)에는 차량의 후방으로 개폐되는 여닫이 형식의 상부개폐문(4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런 상부개폐문(43)에는 종교적 의식을 수행하기 위한 십자가 형상이나 불교 문양과 같은 다양한 종교적인 문양(53)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적재함(30)의 관 보관 케이스(34)에는 측면방향으로 개폐되는 관출입문(44)이 형성되어 있다.
아래에서,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의 중요부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겠다.
도 3 및 도 4에 보이듯이, 상기와 같이 배치된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의 적재함(30)에는 상하로 양분된 상여보관실(33)과 관 보관 케이스(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관 보관 케이스(34)의 개구부위에는 측면방향으로 개폐하는 관출입문(44)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여보관실(33)에는 적재함(30) 내부에서 한 쪽의 측면방항(c)으로 개폐하게 바닥면(59)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적재함(30)은 상기 상여보관실(33)의 바닥면(59)에 의해서 선별적으로 적재함(30) 내부의 공간을 상여보관실(33)과 관 보관 케이스(34)로 양분하거나 통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런 적재함(33)은 상여와 일반적인 관(37)을 적재시키기 위해서 상기 상여보관실(33)의 바닥면(59)을 닫아서 상여보관실(33)과 관 보관 케이스(34)를 양분하여 사용한다. 또한, 적재함(30)은 관을 수직하게 세우는 중국식 관(58)을 적재시키기 위해서 상기 상여보관실(33)의 바닥면(59)을 측면방향(c)로 열어서 상기 상여보관실(33)과 관 보관 케이스(34)를 통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일반적인 관(37)과 중국식 관을 적재함(30)의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하기 위한 상기 관 보관 케이스(34)에는 통상적인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슬라이딩 타입의 관 거치대(60)가 배치되어 있다.
이런 관 거치대(60)는 ㄷ자 단면의 레일(61)과, 이런 레일(61)에서 길이방향(a)으로 슬라이딩 하는 롤러를 구비한 신축부재(62)와, 이런 신축부재(62)의 소정위치에서 힌지결합된 지지대(6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런 관 거치대(60)가 배치된 관 보관 케이스(34)의 바닥(54)면에는 충격흡수 재질의 거치대 고정부위(6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런 거치대 고정부위(64)에는 상기 레일(61)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결합되며, 이런 레일(61)에는 롤러를 구비한 신축부재(62)가 길이방향(a)으로 슬라이딩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런 신축부재(62)의 소정 위치에는 끝단부에 바퀴(65)가 부착된 지지대(63)의 반대편 단부가 힌지 결합되어서, 신축부재(62)를 상기 레일(61)에서 적재함(30)의 후방으로 잡아 당길 경우, 힌지 결합된 지지대(63)의 반대편 단부를 원점으로 바퀴(65)가 결합된 끝단부가 중력에 의해서 지면방향으로 자유낙하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런 지지대(63)가 힌지결합된 부위에는 통상적인 업계에 널리 알려진 스토퍼(66)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런 스토퍼(66)는 지지대(63)가 신축부재(62)로 부터 자유낙하하여 지면과 수직하게 될 경우에 지지대를 지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킨다. 또한, 이런 스토퍼(66)는 신축부재(62)를 관 거치대(60)의 레일(61)에 밀어 넣을 경우에 지지대(63)가 신축부재(62)쪽으로 접혀들어갈 수 있게 작동한다. 또한, 이런 관 거치대(60)에는 장지나 화장터에서 관을 운반하기 위해서 휴대용으로 손잡이가 측면에 형성된 핸드 캐리(hand carry ; 도시안됨)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에는 장지가 마련된 곳 까지 관(37)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차량의 후륜(38)에 부가적인 충격완충장치(39)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충격완충장치(39)는 자동차 업계에 널리 알려진 댐퍼와 스프링으로 구성된 바형식의 충격완충기로서, 일반적으로 판스프링(41)이 부착된 차량의 후륜(38)과 차량의 프레임(42)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여 비포장 도로의 주행시에 관(37)이 보관된 적재함(30)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도 5에 보이듯이,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의 적재함(30)의 내부에는 측면방향으로 다수의 용품보관함(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런 용품보관함(32)의 소정위치에는 관 보관 케이스(34)의 내부를 냉방시키기 위한 냉각팬(5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런 냉각팬(51)은 차량의 냉각장치(도시안됨)와 연결관(52)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런 냉각팬(51)은 차량의 운전석에서 관 보관 케이스(34)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런 냉각팬(51)의 냉기가 관 보관 케이스(34)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관 보관 케이스(34)의 측면벽에는 토출구(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런 냉각팬(51)이 설치된 용품보관함(32)에는 스피커(36)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런 스피커(36)는 차량의 운전석(20)에서 장례 예식에 필요한 음악을 재생시키는 카셋트 플레이어와 마이크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음악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아래에서,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의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운전석(20)에서는 장례 의식에 사용되는 음악을 들려주는 카세트를 작동시켜서 차량의 측면에 형성된 스피커(36)를 통해 음악이 외부로 흘러나오게 한다. 또한, 관(37)이 보관되는 적재함(30)의 관 보관 케이스(34)를 냉각시키기 위해서 냉각장치의 스위치를 온(ON)하여, 용품보관함(32)에 설치된 냉각팬(51)으로부터 발생된 냉기가 토출구(55)를 통해 관 보관 케이스(34)로 냉기가 공급되게 한다.
그런 다음, 일반적인 관(37)을 옮기기 위해서 적재함(30)의 후방에 형성된 관출입문(44)을 열고, 관 거치대(60)의 신축부재(62)를 잡아당긴다. 따라서, 신축부재(62)는 장착된 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레일(61)을 따라 길이방향(a)으로 부드럽게 슬라이딩 하며, 이때, 신축부재(62)에 힌지결합된 지지대(63)가 힌지점을 기준으로 유한한 원호(b)를 그리면서 자유낙하 하여, 신축부재(62)를 지면으로 부터 지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지지대(63)에 결합된 스토퍼(66)는 지지대(63)가 지면으로 부터 수직하게 유지될 수 있게 지지대(63)를 지지한다. 또한, 작업자는 이런 신축부재(62)를 일반적인 관(37)이 거치될 수 있는 길이까지 적재함(30)의 후방으로 잡아당긴후, 관(37)을 관 거치대(60)의 상부에 놓는다. 그런 다음 신축부재(62)를 적재함(30)의 내부방향으로 밀 경우에, 스토퍼(66)의 해제 작동으로 지지대(63)는 신축부재(62) 방향(b)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그런 다음, 관출입문(44)을 닫아서관(37)을 적재함(30)의 관 보관 케이스(34)의 내부에 적재시킨다.
또한, 중국식 관(58)을 적재함(30) 내부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관출입문(44)과 상여보관실(33)의 바닥면(59)을 열고, 관 거치대(60)을 차량의 후방으로 뺀다. 그런 다음 관 거치대(60)에 관을 수직하게 위치시키고, 관 거치대(60)을 밀어넣고 관출임문(44)을 닫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여보관실(33)의 상부개폐문(43)을 열어서 상여를 적재시키거나, 장례식에 필요한 제기와, 촛대와 같은 장례용품을 차량의 측면에 설치된 용품보관함(32)에 넣는다.
이런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은 관(37)을 운반하는 도중에 경광등(35)의 작동 스위치를 온(ON)하여 경광등(35)이 도로주행중인 다른 차량에 장례행렬임을 인식시키게 된다.
또한, 산길과 같은 비포장도로에서 전달되어지는 충격은 차량의 후륜(38)에 부가적으로 설치된 충격완충장치(39)에서 완충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은 한국지형에 맞게 부가적으로 충격완충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산길과 같은 비포장 도로의 주행시에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은 관을 차량에 적재시키는 관 거치대나 핸드 캐리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관을 적재함의 내부에 안전하고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은 관을 냉장상태에서 운반하기 때문에 장지가 원거리일 경우에도 시신에서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지 않으며, 시신을 청결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은 화초들을 진열할 수 있는 꽃 진열대가 적재함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송도중에 화초들이 차량으로 부터 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은 임을 위한 의식을 위한 음악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며, 종교의식을 위한 문양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교외에서도 장례의식을 거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은 관을 수직으로 세워야 하는 중국식 관을 운반할 수 있게 적재함이 고안되어 있으며, 범 국민적인 정서에 부합하게 고안되어 고 비용의 캐딜락을 사용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장례식을 치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장의용 차량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7)

  1. 차량(10)의 후방에 형성된 관출입문(1)과 관 보관 케이스(2)가 형성된 장의용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꽃을 진열하기 위한 꽃 진열대(31)와 장례용품 보관을 위한 용품보관함(32)과 상여 보관을 위한 상여보관실(33) 및 관(37) 보관을 위한 케이스(34)를 구비한 적재함(30)과, 상기 적재함(30)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가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한 충격완충장치(39)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34)의 측면벽에는 토출구(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55)를 통하여 냉기를 공급하여 상기 케이스(34)의 내부를 냉방시키는 냉각팬(51)은 상기 용품보관함(32)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팬(51)은 상기 차량의 냉각장치에 연결관(52)으로 연통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장치(39)는 상기 적재함(30)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가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해서 판스프링(41)이 부착된 상기 차량의 후륜(38)과 상기 차량의 프레임(42)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4)의 바닥면(54)에는 상기 관(37)을 상기 케이스(34)의 내부로 적재시킬 수 있게 충격흡수 재질의 거치대 고정부위(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대 고정부위(64)에는 상기 적재함(30)의 후방으로 관(37)을 적재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타입의 관 거치대(6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30)의 상부에는 상기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경광등(3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보관함(32)에는 장례식에서 사용되는 음악을 확성시키기 위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20)의 음악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피커(3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여보관실(33)에는 중국식 관(58)을 상기 적재함(30)의 내부에 수직하게 세워서 적재하기 위해서, 바닥면(59)이 상기 적재함(30)의 내부에 측면방향(c)으로 개폐될 수 있게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차량.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상여 보관실(33)을 위한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상부개폐문(43)에는 종교의식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종교적인 문양(53)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차량.
KR2019980006923U 1998-04-29 1998-04-29 장의용 차량 KR199800250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923U KR19980025037U (ko) 1998-04-29 1998-04-29 장의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923U KR19980025037U (ko) 1998-04-29 1998-04-29 장의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37U true KR19980025037U (ko) 1998-07-25

Family

ID=6950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923U KR19980025037U (ko) 1998-04-29 1998-04-29 장의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03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887B1 (ko) * 2005-12-01 2006-06-02 김용선 영구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887B1 (ko) * 2005-12-01 2006-06-02 김용선 영구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887B1 (ko) 영구차
WO1999055279A1 (es) Tanatorio movil
TW201838554A (zh) 參拜對象物的保管設備
KR19980025037U (ko) 장의용 차량
US7249795B1 (en) Flag storage compartment in a hearse
US20040000774A1 (en) Collapsible display cart
DE602006009867D1 (de) Kippeinrichtung für einen Lastkraftwagen
US7316437B2 (en) Funeral vehicles
JP7245512B2 (ja) 収納庫兼用運搬車
KR101570814B1 (ko) 자동차용 다목적 캠핑베드 장치
JP2008279908A (ja) トレーラーハウス
KR100859752B1 (ko) 디스플레이용 특장차
JP2019006190A (ja) 仮設トイレ収納用車載フレーム、及び車載用仮設トイレ設備並びに移動式仮設トイレ車両
US2640204A (en) Sleeping equipment for use in combination with motor vehicles of the pleasure type
JPH0349583B2 (ko)
US1593920A (en) Combination tire and trunk carrier
JP2558228B2 (ja) 霊柩寝台車兼用宮型霊柩車
JP3188221U (ja) 移動式霊安室
KR102068433B1 (ko) 전동 카트형 매대
US951193A (en) Funeral-car.
KR200146897Y1 (ko) 납골안치단
CN207903026U (zh) 一种苗木运输装置
JP2004203063A (ja) 霊柩車
JP2018086051A (ja) 移動葬儀車
JP2006288421A (ja) 可搬式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