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802A - 펌프 선택 논리 회로 - Google Patents

펌프 선택 논리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802A
KR19980024802A KR1019970047880A KR19970047880A KR19980024802A KR 19980024802 A KR19980024802 A KR 19980024802A KR 1019970047880 A KR1019970047880 A KR 1019970047880A KR 19970047880 A KR19970047880 A KR 19970047880A KR 19980024802 A KR19980024802 A KR 19980024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pumps
reactor
trip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제이. 윌코즈
데버 알. 샤리
제임스 이. 로버트손
Original Assignee
존 에이치. 물홀랜드
컴버스천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에이치. 물홀랜드, 컴버스천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 에이치. 물홀랜드
Publication of KR1998002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80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4Pump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핵 증기 공급의 운영자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정상 리액터 동작을 위한 한 두 개 또는 세 개의 주요 피드워터 펌프 구성을 주로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은 의도된 펌프 동작을 나타내는 각각의 펌프를 위한 상태 래치를 세트하거나 또는 리세트한다. 리액터의 파워 출력의 단계 감소를 실행하는 시스템(RPCS)은 하나 이상의 펌프를 시동 시킴을 표시하는 신호를 결합시키는 결합 논리 회로를 포함하며, 다음 결과를 이루기 위해 펌프 상태 래치를 갖는다.
(a) 한 펌프를 선택할 때, 이러한 한 펌프의 시동은 RPCS 시동 요구 신호를 생성시키지 않는다(리액터가 시동될 것이기 때문).; (b) 두 펌프를 선택할 때, (i) 한 펌프의 시동은 RPCS 시동 요구 신호를 생성시키며, 반면에 (ii) 이러한 두 펌프들의 시동은 RPCS 시동 요구 신호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c) 세 개의 펌프를 선택할 때, (i) 한 펌프의 시동은 RPCS 시동 요구 신호를 생성시키지 않고(그러한 과도 현상은 기본 제어 시스템에 의해 다루어질 수 있기 때문), (ii) 두 펌프의 시동은 RPCS 시동 요구 신호를 생성시키지 않으며, (iii) 세 펌프의 시동은 RPCS 시동 요구 신호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펌프 선택 논리 회로
본 발명은 원자력 플랜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원자로 제어 시스템의 자동 반응에 관한 것이며, 주요 플랜트 구성 요소들의 갑작스럽고도 예상치 않았던 기능의 상실에 관한 것이다.
가압 수형 원자력 플랜트의 원자력 플랜트 증기 공급 시스템(NSSS)은 보통 전력과 흐름에 있어서 동작할 때 작은 섭동이 있다. 이러한 섭동들은 기본 원자로 제어 시스템에 의해 조종될 수 있다. 임의의 큰 플랜트의, 예컨대 큰 터빈 로드 거부 또는 터빈 트립 또는 온라인 주요 급수 펌프 용량의 부분적 손실과 같은 불균형 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제어 밴드 범위는 정상 고속 제어 로드 삽입에 의해 제공된 것보다 더 큰 비율로 NSSS 전력의 빠른 감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빠른 NSSS 전력 감소는 원자로 트립없이 내부 제어 로드 일탈(의사 로드 드롭 포함)을 수용하도록 충분한 열 마진을 모으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공지 시스템 중 하나는 미국 코네티것 윈저 소재의 컴버스천 엔지니어링(Combustion Engineering, Inc.)에서 원자로 출력 컷백 시스템(RPCS)으로서 구입 가능하다. 원자로 출력 감소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1978년 2월 21에 발행된 미국 특허 제 4,075,059호는 그러한 RPCS를 기재하고 있다. 이 특허는 이것으로써 참고 문헌중 하나로 기재한다. 본 시스템은 큰 로드 거부 또는 한 급수 펌프 손실 또는 제어 로드의 내부 일탈 등을 원자로 출력에 있어서의 단계를 감소시킴으로써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원자로 출력에 있어서의 단계감소는 하나 이상의 미리 선택된 그룹의 전강도 조절 제어 로드를 코어 내로 동시에 드롭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어 로드 그룹은 삽입의 정상 시퀀스에서 드롭된다. RPC는 또한 터빈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증기 발생기 수분 레벨 및 정상 제어된 값에 대한 압력을 복구시킬 뿐만 아니라 원자로 출력에 있어서의 최초의 감소에 이은 터빈 및 원자로 출력의 균형을 다시 잡는다.
종래의 NSSS는 원자로 도관에 대해 두 개의 주요 급수 펌프를 갖는다. 한 개의 펌프를 손실했을 때 RPCS는 원자로에 의해 발생된 전력을 빠르게 감소시키지만 두 개의 펌프를 손실했을 때는 원자로는 트립되며 핵분열에 의해 발생된 원자로 출력이 중지한다. 세 개의 주요 급수 펌프를 NSSS에 제공할 필요성이 증명된다. 즉 세 개는 스페어 또는 다른 두 개와 함께 분할(sharing) 모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RPCS는 세 개의 주요 급수 펌프아 함께 NSSS 구성으로 쉽게 병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RPCS 논리 회로에 대한 향상을 착상하였으며, 그것은 세 개의 펌프가 있는 NSSS에 의해 생긴 더 많은 동작 유연성을 이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세 개의 주요 급수 펌프를 갖는 NSSS를 위한 향상된 RPCS 논리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RPCS 논리 회로가 두 펌프의 라인업 및 세 펌프의 라인업 사이를 식별하는 것이며, 이때 자동으로 RPCS 요구 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NSSS의 오퍼레이터는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정상 원자로 동작을 위한 하나 또는 둘 또는 세개의 급수 펌프의 라인업을 수동으로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은 의도된 펌프 동작을 나타내는, 각각의 펌프에 대한 상태 래치를 세트하거나 또는 리세트한다. 논리 회로는 펌프 상태 래치로 하나 이상의 펌프의 트리핑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결합하여 다음 결과를 이룩한다.
(a) 한 펌프를 선택할 때, 이 한 펌프의 트립은 RPCS 트립 요구 신호를 생성시키지 않는다(원자로가 트립되기 때문).
(b) 두 펌프를 선택할 때, (i) 한 펌프의 트립은 RPCS 트립 요구 신호를 생성시키며, 반면에 (ii) 이들 두 펌프들의 트립은 RPCS 트립 요구 신호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c) 세 개의 펌프를 선택할 때, (i) 한 펌프의 트립은 RPCS 요구 신호를 생성시키지 않으며(과도 현상이 기본 제어 시스템에 의해 조종되기 때문), (ii) 두 펌프의 트립은 RPCS 트립 요구 신호를 생성시키며, (iii) 세 펌프의 트립은 RPCS 트립 요구 신호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이 논리는 두 리던던트하고 확증적인 서브로직으로 실행되어 양호하다. 예컨대 각각의 급수 펌프 트립은 두 개의 독립적인 급수 펌프 트립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각각의 펌프 상태 선택은 두 개의 명료한 상태 래치를 인에이블한다. 이러한 펌프 트립 신호 및 펌프 상태 래치는 분리 논리 게이트 어레이에서 짝이되어 동작을 위해 선택된 특정 펌프중 하나의 트립은 리던던트한 RPCS 트립 제어신호의 발생을 나타낸다. 그러나 RPCS는 논리 게이트 어레이의 두 짝에 의해 발생된 RPCS 트립 제어 신호로 확증되지 않으면 트립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원자로, 원자로에 물을 공급하는 최소한의 세 급수 펌프, 원자로 코어의 전력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로드 시스템, 최소한의 한 급수 펌프의 펌핑 동작 손실에 대해 초기 레벨에서 넌-제로 레벨 까지의 전력 출력을 감소 시키기 위해 원자로 코어 내로 몇몇 제어 로드를 빠르게 삽입하는 시스템을 갖는 원자력 플랜트에서 사용하도록 일반화 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어느 펌프가 펌핑동작하도록 의도되는가 및 어느 펌프가 펌핑 동작으로부터 제거되었는가의 오퍼레이터 선택에 의해 몇몇 제어 로드를 빠르게 삽입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요구 신호를 발생시킨다. 트립 신호는 동작하도록 의도된 각각의 펌프로부터 발생하며, 그것은 펌핑 동작의 손실을 경험한다. 몇몇 제어 로드를 빠르게 삽입하도록 시스템을 가동시키기 위한 요구 신호는 트립 신호가 선택된 펌프중 하나만을 제외한 각각에 의해 발생될 때만 발생된다.
도 1은 핵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리액터 파워 컷백 시스템을 도시하는 기능 논리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세 개 까지의 주요 피드워터 펌프로부터 하나 이상의 손실에 의해 나타나는 리액터 파워 컷백 요구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를 도시하는 논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원자로 출력 컷백 시스템(RPCS)16 : 터빈 제어 시스템
18 : 요구 블록22 : NSSS 데이터
100 : 펌프 선택 논리 회로
도 1은 원자로 출력 컷백 시스템(RPCS)(12)과 관련된 기능적 구성 요소의 개관(10)을 도시한다. 활성화될 때 원자로 출력 컷백 시스템은 제어 로드 구동 메카니즘(14)에 제어 신호들을 보내며, 감소는 되었으나 넌-제로인 레벨에서 NSSS의 출력을 안정화 시키도록 터빈 제어 시스템(16)과 상호작용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논리 구성이 원자로 출력 컷백 시스템 트립 요구 신호가 RPCS(12)에서의 처리를 위해 요구 블록(18)에서 발생된다는 조건과 관련된다. 기능 블록(12)에서의 처리는 예컨대 제어 로드 선택 기준(20)을 포함하며, 그것을 차례로 플랜트에서의 센서에 의해 공급된 NSSS 데이터(22)에 의존한다. NSSS의 다른 계산된 조건들은 블록(24)에서 RPCS(12)까지 공급된다. RPCS(12)는 또한 원자로 출력 컷백 제어 패널(26)에서 취해진 실행을 거치고, (28)에서 오퍼레이터 콘솔의 경보 섹션에 디스플리이하도록 RPCS(12)에 의해 경보가 발생된다.
도 2는 세 개의 주요 급수 펌프(A, B, C)를 위한 펌프 선택 논리 회로(100)를 도시한다. 이 회로는 네 개의 기능적 부분으로 즉, (1) 펌프 선택 및 인에이블 먼트 부분(102), (2) 급수 펌프 트립 신호 부분(104), (3) 논리 실행부분(106), (4) RPCS 트립 요구 부분(18)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2의 요구 부분(18)의 기능은 본 설명을 위해 도 1의 블록(18)의 기능과 동일하게 간주될 수 있다.
부분(102)은 각각의 주요 급수 펌프(A, B, C)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108)를 가지며, 양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110)를 가지며, 그로써 오퍼레이터는 플랜트에서 그 특정 펌프가 정상 출력 생성을 위해 동작되도록 의도되는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실증적인 실시예에서 주요 급수 펌프(A)는 플랜트 제어실 내의 주요 패널 또는 국부적으로 예컨대, 급수 펌스 시스템과 관련된 모터 제어 센터에서, 시작 또는 멈춤 위치에 수동으로 토글될 수 있는, 연결 스위치(108A)를 갖는다. 각각의 스위치(108A, 110A)의 국부 상태는 한 쌍의 국부 OR 게이트(112A, 114A)에 전달되고, 그 출력은 플립-플롭 회로(116A)에 전달된다. 라인(118A) 상의 회로(116A)의 출력(Q)은 오퍼레이터가 스위치(108A) 또는 (110A)에서 펌프(A)에 대한 시작 조건을 선택할 때 논리 1이 된다. 이러한 논리 1은 AND 게이트 (120A)에 전달되며, 그것은 인에이블링 래치로서 동작하고, 동작되도록 의도된 특정 펌프 상태인 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각각의 주요 급수 펌프(B, C)는 연결 스위치(108B와 C, 110B와 C, 112B와 C, 114B와 C, 116B와 C, 118B와 C, 120B와 C)갖는다.
상태 래치들은 또한 출력(118A, 118B, 118C)에서의 논리 상태가 각각의 제 2 AND 게이트(122A, 122B, 122C)에 각각 전달되도록 리던던트하게 배열되어 양호하다. 따라서 예시의 방법으로써 만약 오퍼레이터가 스위치(108A 또는 110A), 래치(120A 및 122A)에 의해 주요 급수 펌프(A)에 대한 개시 상태를 수동으로 선택하면, 둘 다 리던던트하게 인에이블된다.
급수 펌프 트립 신호 부분(104)은 각각(124A, 124B, 124C)로 표시되는 세 개의 주요 급수 펌프(A, B, C)를 포함하며, 그 각각은 (128)에 나타낸 하나 이상의 급수 제어 시스템 뿐만 아니라 (126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주요 제어 패널로 부터의 입력에 응답한다. 급수 제어 시스템(128) 및 트립 신호를 발생시키는 연결제어 논리 회로는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124A와 같은 각각의 펌프를 위해 그 펌프의 트립은 래치(120A 및 122A)에 각각 전달되는 두 트립 신호(130A, 132A)를 발생시킨다. 유사한 방식으로 트립 신호(130B, 132B, 130C, 132C)들은 래치(120B, 122B, 120C, 122C)에 각각 전달된다. 임의의 특정 래치 게이트(120A, B, C) 또는 (122A, B, C)에 대한 입력이 둘 다 논리 1일 때 각각의 논리 1은 각각의 라인(134A, B, C) 또는 (136A, B, C) 상에 발생한다.
논리 실행부(106)는 특정 상태에서 라인(142) 상의 RPCS 트립 제어 신호를 RPCS 시스템(18)에 통과시키는 RPCS 트립 제어 게이트(138)를 포함한다. 다른 RPCS 트립 제어 게이트(140) 또한 존재하며, 그로부터 트립 제어 신호가 요구 블록(18)으로 라인(144)을 따라 통과된다. 따라서 양호한 실시예에서 실제의 RPCS 트립 요구 신호는 트립 제어 신호가 두 라인(142 및 144) 상에 존재하지 않으면, 원자로 출력 컷 백 시스템(12)(도 1참조)으로의 전달을 위한 (18)에서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는다.
OR 게이트(138)는 세 개의 AND 게이트(146, 148, 1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만약 이 AND 게이트 중 임의의 하나가 논리 1 출력을 발생시키면, 게이트(138)는 라인(142) 상에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앞서 설명한 리던던시의 일부로서, 만약 AND 게이트(152 또는 154 또는 156) 중 임의의 한 개의 출력이 논리 1이면, OR 게이트(140)는 라인(144)상에 트립 제어 신호를 통과시킨다. 만약 논리 1이 AND 게이트에 출력되면, 두 개의 다른 펌프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로 부터 각각의 AND 게이트(146-156)가 논리 1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세 개의 급수 펌프중 두 개만 동작시키는 최초의 상태와 세 개의 급수 펌프 모두를 동작시키는 상태를 구분하는 데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AND 게이트(120, 122) 및 (146-156) 사이에 삽입된 OR 게이트(160-182)는 예컨대 두 사용중인 펌프중 하나만 트립되면 RPCS 트립 요구 신호 발생의 역할을 하며, 반면에 세개의 사용중인 펌프중 하나만 트립되면 트립 요구 신호 발생을 제지한다.
본질적으로 AND 게이트(146-156)는 OR 게이트(138, 140)에 논리 1 신호를 통과시키기 위해 세 개의 펌프 트립 상태 중 두 개만을 필요로 한다. 예컨대 만약 주요 급수 펌프 A가 동작 서비스 내에 있지 않으면, 즉 스페어로서 사용되고 있으면, 세 개의 펌프들이 동작되도록 하는 구성의 트립된 펌프와 동일하게 간주된다. 그러므로 두 스위치(108A, 110A)가 멈춤 상태에 있을 때 플립 플롭(116A)에서의출력 신호는 라인(158A) 상에서 논리 1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출력 신호 Q는 논리 0이고 그러므로 게이트(120A)는 인에이블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펌프(B) 또는 (C)가 트립할 때 라인(142)(및 라인(144))상의 트립 제어 신호를 양호하게 발생시키기 위해, 세 펌프(A, B, C) 모두가 동작되도록 하는 플랜트 동작 동안 펌프(A, B) 트리핑의 상태하에 있어야하는 바와 같이 논리부(106)는 반드시 동일한 출력을 생성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플립 플롭(116A)의 출력로 부터의 논리 1은 논리 1이 AND 게이트(146)에 통과될 수 있도록 OR 게이트(160)에 전달된다. 펌프 B의 트립의 경우 만약 AND 게이트(120B)가 OR 게이트(162)를 통해 AND 게이트(146)에 논리 1을 통과 시키면, 게이트(146)는 논리 1을 OR 게이트(138)에 통과 시키며, 라인(142)에 의해 요구부(18)로 통과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게이트(146)는 두 펌프(A, B)의 상태에 응답한다. 앞서 설명한 리던던시 때문에 게이트(152)는 펌프(A, B)의 상태에 의해 마찬가지의 영향을 받는다. 게이트(146, 152)의 출력은 (a) 펌프(A 또는 B)가 부분(102)에서 멈춤설정의 결과 비동작으로 간주되고, 펌프(B 또는 A)의 트립이 각각 발생하거나, (b) 펌프(A, B)가 부분(102)에서 스위치상의 개시 설정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동작되도록 의도되고 펌프(A, B)로 부터 트립 신호가 발생되면 논리 1이 된다.
동작되도록 의도되는 모든 펌프들이 동시에 트립하면, 게이트(138 또는 140)중 어느 것도 트립 요구부(18)에 RPCS 트립 제어 신호를 통과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원자로는 완전히 트립하고 그로써 핵분열로부터의 힘을 본질적으로 0으로 감소시키며, RPCS(12)의 발동 작용의 결과로서 영은 아닌 낮은 값으로 힘을 줄이기만 한다.
앞서 설명한 기능은 이러한 기술 분야의 보통 기술중 하나에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제어기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한 다른, 프로그램된 논리 회로가 대체될 수 있다.
내용 없슴.

Claims (8)

  1. 원자로, 상기 원자로에 물을 공급하는 다수의 급수 펌프, 상기 원자로 코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로드 시스템, 최소한 하나의 급수 펌프의 펌핑 동작의 손실에 대해 최초의 레벨에서 넌-제로 레벨까지 상기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원자로 코어로 상기 몇몇 제어 로드를 빠르게 삽입하는 시스템이 있는 원자력 플랜트로서, 상기 원자로를 위한 세 개의 급수 펌프를 갖는 원자력 플랜트에 있어서,
    어느 펌프가 펌핑 동작을 하게 될 것인지와 어느 펌프의 펌핑 동작이 제거될 것인지를 수동적으로 선택하는 스위치 수단과,
    동작하게 될 특정 펌프가 펌핑 동작을 손실할 때, 각각의 동작하게 될 펌프로부터 트립 신호를 각각 발생시키는 수단과,
    두 펌프가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펌프 중 하나로 부터만 트립 신호가 발생되거나 또는,
    세 개의 펌프가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펌프의 전부는 아니고 임의의 두 개 각각으로부터 트립 신호가 발생될 때만 몇몇의 상기 제어 로드를 빠르게 삽입하는 상기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도록 요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스위치 수단 및 상기 트립 신호 발생 수단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플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단 및 상기 트립 신호 발생 수단에 응답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펌프가 선택되면 제 1 라인 상에 제 1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상기 펌프가 제거되면 제 2 라인 상에 제 2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각각의 펌프를 위해 상기 스위치 수단에 연결된 플립 플롭 회로와,
    제 1 신호 및 트립 신호가 일치할 때만 각각의 인에이블링 AND 게이트가 논리 1 출력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플립 플롭 수단의 상기 제 1 라인 및 상기 트립 신호 발생 수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인에이블링 AND 게이트와,
    각각의 상기 인에이블링 AND 게이트의 상기 출력 및 각각의 상기 제 2 라인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OR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플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단 및 상기 트립 신호 발생 수단에 응답하는 상기 수단은,
    두 개의 펌프의 모든 가능한 각각의 조합에 대한 논리 AND 게이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논리 AND 게이트는 한 펌프와 연결된 상기 제 2 라인에 접속된 상기 OR 게이트 중 하나의 상기 출력에 응답하고, 상기 펌프 중 다른 것에 연결된 상기 제 2 라인에 접속된 상기 OR 게이트의 다른 출력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플랜트.
  4. 원자로, 상기 원자로에 물을 공급하는 적어도 세 개의 급수 펌프, 상기 원자로 코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로드 시스템, 최소한 하나의 급수 펌프의 펌핑 동작의 손실에 대해 최초의 레벨에서 넌-제로 레벨까지 상기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원자로 코어로 상기 몇몇 제어 로드를 빠르게 삽입하는 시스템이 있는 원자력 플랜트로서, 상기 몇몇 제어 로드를 빠르게 삽입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대한 요구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어느 펌프가 펌핑 동작을 하게 될 것인지와 어느 펌프의 펌핑 동작이 제거될 것인지를 수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펌핑 동작을 손실하는, 동작하게 될 각각의 상기 펌프로부터 트립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펌프중 하나만 제외한 각각의 펌프에 의해 트립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몇몇 제어 로드를 빠르게 삽입하는 상기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도록 요구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 신호 발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는 세 개의 급수 펌프를 가지며,
    (a) 한 펌프가 선택되어 트립될 때 요구 신호는 발생하지 않고,
    (b) 두 펌프가 선택될 때는 한 펌프의 트립만 요구 신호를 발생시키고,
    (c) 세 개의 펌프가 선택될 때는 두 펌프의 한 트립만 요구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 신호 발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는 상기 원자로 출력을 제로 레벨까지 감소시키도록 상기 원자로에 모든 제어 로드를 빠르게 삽입하는 원자로 트립 시스템을 가지며, 상기 원자로는 모든 선택된 펌프가 트립 신호를 발생시키면 트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 신호 발생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각각의 펌프와 연결된 스위치를 수동으로 설정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 신호 발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신호 발생 단계는 각각의 펌프와 연결된 펌프 상태 래치를 갖는 논리 회로에서 실행되며, 각각의 래치는 각각의 펌프가 동작하게 될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를 가지며, 스위치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각각의 래치 내에 인에이블링 상태를 발생시킴으로써 각각의 펌프로부터 트립 신호가 상기 논리 회로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 신호 발생 방법.
KR1019970047880A 1996-09-30 1997-09-20 펌프 선택 논리 회로 KR199800248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2408196A 1996-09-30 1996-09-30
US724,081 1996-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802A true KR19980024802A (ko) 1998-07-06

Family

ID=249089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880A KR19980024802A (ko) 1996-09-30 1997-09-20 펌프 선택 논리 회로
KR1019980011933A KR100293612B1 (ko) 1996-09-30 1998-03-30 원자력발전설비및그내부시스템명령신호발생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933A KR100293612B1 (ko) 1996-09-30 1998-03-30 원자력발전설비및그내부시스템명령신호발생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60049A (ko)
KR (2) KR19980024802A (ko)
CN (1) CN11855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7491B2 (en) * 2006-07-28 2013-06-18 Kabushiki Kaisha Toshiba Feedwater controller, nuclear power pla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feedwater
JP5964029B2 (ja) * 2011-10-26 2016-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発生器の補助給水弁制御装置
KR102173808B1 (ko) * 2019-02-12 2020-11-03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복수기 진공 상실시 원자로 정지 방지 방법
CN112420232B (zh) * 2020-11-18 2022-07-15 华能山东石岛湾核电有限公司 一种高温气冷堆核电厂二回路给水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5059A (en) * 1976-04-28 1978-02-21 Combustion Engineering, Inc. Reactor power reduction system and method
US5293411A (en) * 1989-07-14 1994-03-08 Hitachi, Ltd. Nuclear reactor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60049A (en) 1999-09-28
KR100293612B1 (ko) 2001-09-17
CN1185549A (zh) 1998-06-24
KR19990071337A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787B1 (ko) 발전소 보호 시스템
EP0275362A2 (en) Safety control system
US5293411A (en) Nuclear reactor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9980024802A (ko) 펌프 선택 논리 회로
JP2625569B2 (ja) 原子力発電プラント用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JPH0944203A (ja) 冗長化制御システム
EP0238079A2 (en) Emergency core cooling apparatus
CN1145975C (zh) 泵选择逻辑
JPS625402A (ja) プラント制御装置
KR950008093B1 (ko) 제어보호장치
RU2734072C1 (ru) Способ для разделения риска отказа пары автоматических процессоров основной рсу
JP2815591B2 (ja) 再循環ポンプの保護装置
JPH0518506A (ja) 給水制御装置
JPH04120601A (ja) 多重化コントローラ制御システム
Hellmerichs Extensions and renovations of reactor protection systems
JPS6249103A (ja) 原子力発電設備
JP2000121770A (ja) 原子力発電プラントの出力制御装置
JP2856158B2 (ja) 原子炉安全保護装置
JPS61262695A (ja) 原子力発電プラント
JPH0664184B2 (ja) 原子炉出力制御方法及び原子炉出力制御装置
JPH06109892A (ja) 原子炉出力制御装置
JPS6165193A (ja) 原子炉再循環流量制御装置
JPS61223697A (ja) 原子力発電所における原子炉の出力制御装置
JPH0566292A (ja) 原子炉スクラム抑制装置
JPH06194494A (ja) 原子炉給水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