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183A - 마개 달린 액체 용기 - Google Patents

마개 달린 액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183A
KR19980024183A KR1019970041065A KR19970041065A KR19980024183A KR 19980024183 A KR19980024183 A KR 19980024183A KR 1019970041065 A KR1019970041065 A KR 1019970041065A KR 19970041065 A KR19970041065 A KR 19970041065A KR 19980024183 A KR19980024183 A KR 19980024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liquid container
collar member
liquid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카토
타케시 쿠와나
마사시 야마다
토루 고토
Original Assignee
츠치야 히로오
니폰 산소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치야 히로오, 니폰 산소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츠치야 히로오
Publication of KR1998002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1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47J41/0016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remaining in the opening and clearing a passage way between stopper and vessel for dispen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개구부를 갖는 액체 용기 본체 1, 이 액체 용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칼라(collar) 부재 2, 상기 개구부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고 상기 액체 용기 본체 또는 상기 칼라 부재로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마개 3을 포함한다. 토출부 이외의 마개 부분으로 액체의 전달을 방지하고 용기 내에 담긴 액체를 따를 때 새는 것을 저지하려기 위한 목적으로, 이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상기 마개의 외측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도관 3a; 상기 마개와 상기 액체 용기 본체 또는 상기 칼라 부재 사이에 구비된 통로 16; 및 상기 수직 도관 상부에서 상기 마개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환상의 물 막이부 1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개 달린 액체 용기
본 발명은 진공 플라스크 또는 주전자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개구부를 갖는 액체 용기 본체, 상기 액체 용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칼라 부재, 및 상기 액체 용기 본체 또는 상기 칼라(collar) 부재로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와 관련된다.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한 예로서, 실용신안 공개 제60-123143호에 인용된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 출원에 개시된 마개 달린 용기는 개구부를 갖는 액체 용기 본체, 이 액체 용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칼라 부재, 및 상기 액체 용기 본체 또는 상기 칼라 부재로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 본체는 상기 개부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거리 내부 위치에 개부부의 직경이 감소된 곳에 위치하는 밀봉(seal) 단부를 갖는다. 상기 칼라 부재는 그 안으로 상기 마개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 및 환상 밀봉부를 갖는다. 상기 마개는 상기 칼라 부재의 나사부로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 및 상기 환상 밀봉부에 밀착될 수 있는 밀봉 링이 상기 환상 밀봉부로 밀착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용기 본체의 밀봉부로 밀착되는 밀봉 부재를 갖는다.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마개를 상기 개구부의 외부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탄성력을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선택된 재료 또는 형태로 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마개를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개방 상태에서 액체 용기 본체를 기울이는 것에 의해 물 또는 뜨거운 물과 같은 액체를 토출할 때, 토출액이 토출구를 통해서만 토출되는 것이 아니라 마개의 상부 표면 근처까지도 전달되어 액체가 쏟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용 마개 앞면의 모식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개방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액체 토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5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마개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마개를 액체 용기로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정면도.
도 9는 제 2 실시형태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개방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10은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제 3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제 4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상기 상황에 비추어 본 발명은, 액체가 토출구 이외의 마개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쏟아지지 않도록 한 마개 달린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갖는 액체 용기 본체, 상기 액체 용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칼라(collar) 부재, 및 상기 액체 용기 본체 또는 상기 칼라 부재로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도관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마개와 상기 액체 용기 본체 또는 상기 칼라 부재 사이에 액체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도관 상부에서 상기 마개의 측면에 환상의 물 막이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로 인하여, 마개가 개방 상태 상태이고 액체 용기 본체를 기울여 액체가 토출될 때 통로를 따라 흘러 나오는 액체가 물 막이부에 도달하여 흐름이 균일하게 토출되며; 통로에서 분리된 어떠한 액체도 마개의 상부까지 통과하지 않아, 액체가 토출될 때 액체의 쏟아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통로를 따라 흐르는 액체가 물 막이부에 도달하여 흐름이 균일하게 토출되기 때문에, 한꺼번에 다량의 액체가 토출되어 컵과 같은 용기로부터 넘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또한, 상기 마개의 상기 물 막이부 직하부에, 마개를 폐쇄 상태로 하였을 때 상기 칼라 부재 또는 액체 용기의 내벽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환상의 밀봉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로 인하여, 마개가 폐쇄될 때 용기 내에 저장된 액체가 토출구로부터 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상기 칼라 부재의 상기 통로 상부 위치에 통형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막이부는 토출 상태에서는 상기 토출부의 상단 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마개가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토출부의 하단 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칼라 부재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조로 인하여, 통로를 따라 흐르는 액체가 물 막이부에 도달하고 흐름이 균일화되어 토출부를 따라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토출되며; 이에 의해 다량의 물이 한꺼번에 토출되어 컵과 같은 용기로부터 넘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상기 토출부 위에 자유롭게 개폐가능하고 액체가 토출될 때 열리는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로 인하여, 토출되는 액체는 물 막이부와 플랩에 의하여 흐름이 균일하게 되어, 토출액의 흐름을 균일화시키는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액체가 토출되지 않을 때 토출부의 입구를 막을 수 있고, 따라서 토출부의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자유롭게 개폐 가능한 플랩은 토출부를 세착하는 것을 매우 쉽게 만든다.
본 발명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상기 마개의 하단부 외부 주변에 밀봉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밀봉 패킹은 상기 액체 용기 본체의 내벽에 형성되는 직경 감소 부분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여, 마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액체가 상기 통로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물 막이부 바로 하부에, 상기 칼라 부재 또는 상기 액체 용기 본체에 압력을 가하는 환상의 밀봉 패킹을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마개가 폐쇄될 때 밀봉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상기 칼라 부재 상에, 내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액체 용기 본체의 상단부는 상기 칼라 부재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상기 연장부의 내부 표면 상에 상기 마개의 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조로 인하여, 칼라 부재의 몰딩 과정에서 나사홈이 쉽게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내부 용기에서 나사홈 형성 과정이 불필요하여 액체 용기 본체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상기 물 막이부 상에 환상의 물 막이부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환상의 물 막이부 패킹은 상기 통로 상부에서 상기 칼라 부재의 내벽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여 상기 통로 이외의 부분에서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조로 인하여, 액체가 토출될 때, 토출부 이외에서 칼라 부재의 내벽에 접촉하는 물 막이 패킹에 의하여 토출부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토출시 마개의 상부 주변에서 액체가 새는 것에 기인한 어떠한 액체의 쏟아짐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설명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제 1 실시 형태를 보여준다. 이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개구부를 갖는 액체 용기 본체 1, 이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는 칼라 부재 2, 및 액체 용기 본체 1 또는 칼라 부재 2로 나사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이 조절 가능한 마개 3을 포함한다,
액체 용기 본체 1은,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내부 용기 1a와 동일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외부 용기 1b가 그 사이에 공간을 남기고 함께 결합되고,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이 진공 밀봉된 구조를 갖는 금속 이중벽 진공 용기를 사용한다. 또한, 액체 용기 본체 1은 본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고, 유기성 폼(foam), 무기성 분말 등과 같은 단열재가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단열재를 갖는 단열 용기; 또는 공기보다 열 전도도가 낮은 기체가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에 주입된, 단열 기체가 사용된 단열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기를 위한 구성 재료로서는 금속 외에도 유리, 합성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액체 용기 본체 1의 내부 용기 1a의 입구부의 내벽면에는 마개 3이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 홈 4가 형성될 수 있다.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칼라 부재 2는 액체 용기 본체 1의 개구부에 장착된다. 칼라 부재 2에는, 액체 용기 본체 1에 장착되는 거의 통형의 기저부 2a의 하부 외면상에 L 자 형의 핸들 5가 그 한 쪽을 하향으로 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핸들 5와 방사상 반대 방향의 위치에서 기저부 2a의 상단부에는 직사각형 튜브 모양의 토출부 6이 구비된다. 이 토출부 6의 내부 공간 7은 액체 용기 본체 1 내에 담긴 액체를 토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마개 3은 바닥이 있는 통형 마개 통체 11, 상기 마개 통체 11의 상부 개구를 닫도록 장착된 마개 상부 12, 및 마개 통체 11 내에 충전된 단열재 13을 포함한다. 마개 통체 11의 하부 외면에는 액체 용기 본체 1의 내부 용기 1a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홈 4의 안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 14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 통체 11 안에는, 도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수직 밴드형 요부(凹部)인 수직 도관 3a가 형성된다. 이 수직 도관 3a와 칼라 부재 2의 단차부 8 사이의 공간, 및 이 수직 도관 3a와 내부 용기 1a의 내면 사이의 공간은 액체가 토출될 때 액체가 흐르는 통로 16을 형성한다. 이 수직 도관 3a는 마개 상부 12의 주변 상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유출 방향 표시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이 유출 방향 표시는 마개 상부 12 상에 형성되는 돌기 또는 요부일 수 있고, 또는 꼭대기 표면에 형성된 화살표라든가 문자 등일 수 있다.
마개 통체 11의 거의 중앙부의 외부 표면 상에는 환상의 물 막이부 15가 방사상으로 외향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 물 막이부 15는 토출부 6의 내부 표면 7을 통하는 통로 16으로 흐르는 액체와 접촉하도록 마개 3의 수직 도관 3a의 상부 위치에 형성되고 통로 16의 상부 가장자리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서 보여주는 마개 3의 폐쇄 상태로부터 도 4에서 보여주는 개방 상태 (액체가 토출되는 것이 가능한 상태)까지, 물 막이부 15의 이동 위치 범위가 도 3에서 보여주는 토출구의 수직 높이 X에 의하여 표시되는 범위내에 있도록 조정된다. 도 3에서, 적절한 물 막이부 기능을 위해서, 물 막이부 15의 상부 표면 넓이 Y는 물 막이부 15의 끝에서 2 mm 또는 그 이상이 될 필요가 있다. 또한, 물 막이부 15의 돌출 가장자리와 토출부 6의 상부 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Z는 이 공간으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3 mm 또는 그 이하로 하고, 0-2 mm 가 바람직하다.
이 방식으로 구조된 액체 용기는 냉수, 열수, 차, 커피 등과 같은 액체를 안에 담고 마개 3으로 용기를 닫는 것에 의하여 액체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용기 내에 담긴 액체를 따르는 것은 폐쇄 상태에 있는 마개 3을 개방 상태로 돌리고 마개 3의 외부 표면에 구비된 수직 도관 3a를 토출부 6에 맞추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에 의해, 액체 용기 본체 1 내에 담긴 액체를 마개 3의 수직 도관 3a와 칼라 부재 2의 단차부 8 사이, 및 마개 3의 수직 도관 3a와 내부 용기 1a의 내벽 표면 사이의 통로 16을 통하여 토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핸들 5를 잡고 액체 용기 본체 1을 기울이는 것에 의하여, 도 4에서 보듯이 액체는 통로 16을 따라 통과하는데, 물 막이부 15에 의하여 흐름이 균일하게 되어 토출부 6의 내부 공간 7을 통과하여 액체가 토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도관 3a가 마개 3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고; 마개 3과 액체 용기 본체 1 사이, 또는 마개 3과 칼라 부재 2 사이에 통로 16이 형성되고; 환상의 물 막이부 15가 수직 도관 3a의 상부 위치에 마개 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마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액체 용기 본체 1이 기울어지면 액체가 토출되고, 통로 16 밖으로 흘러 나온 액체는 물 막이부 15에 도달하여 흐름이 균일해져서 토출부 6으로부터 토출된다. 결과적으로, 마개 3의 통로 16 내의 액체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액체도 마개 3의 상부를 통하여 스며나오지 못하므로 액체가 토출될 때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로 16으로부터 흘러 나온 액체는 물 막이부 15에 도달하여 흐름이 균일해져서 토출부 6으로부터 토출되기 때문에, 다량의 물이 한꺼번에 토출되어 컵과 같은 용기로부터 넘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칼라 부재 2의 상부 통로 16에 통형 토출부 6을 갖고, 토출 상태에서는 토출부의 상단 보다 하부 위치에, 그리고 마개가 닫힌 상태에서는 토출부의 하단 보다 상부 위치에 칼라 부재 2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물 막이부 15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통로 16으로부터 흘러나와 물 막이부 15에 의해 흐름이 균일해진 액체가 토출부 6을 따라 안내되고 토출되며 토출중 액체가 측면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형태의 물 막이부 15가 장착된 마개 3과 함께, 도 5 및 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환상 밀봉 패킹 10을 마개 3이 닫힌 상태에서 칼라 부재 2의 단차부 8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물 막이부 15의 직하부에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밀봉 패킹 10을 마개 3의 물 떨어짐 막이 15의 직하부에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마개가 닫힌 상태에서 밀봉성을 향상시키고 운반시 새는 것을 방지하고 보온성 및 공기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제 2 실시 형태를 보여준다. 이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도 1-4에서 보여주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와 거의 동일한 구조적 요소를 갖도록 구조되는데, 공통 요소는 동일한 참조 표시를 주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칼라 부재 2의 상단부에 구비된 토출부 6 위에 플랩 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플랩 20은 액체가 토출될 때 수압에 의하여 열린다. 이 플랩 20은 물 막이부 15의 상부에 구비된다.
또한, 이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마개 3의 하단부 외면 상에 밀봉 패킹 19를 포함하는데, 마개 3이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이 밀봉 패킹 19는 내부 용기 1a 상에 구비되는 직경 감소부 1c에 대하여 압력을 가한다.
또한, 도 10은 환상의 밀봉 패킹 10이 도 9에서 보여주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마개 3의 물 막이부 15의 직하부 위치에 구비되는 변형을 보여준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추가로, 액체가 토출될 때 수압에 의해 열리는 플랩 20이 구비되는 것에 의하여, 토출되는 액체의 흐름이 물 막이부 15와 플랩 20에 의하여 균일화되고, 따라서 액체가 토출될 때 흐름의 균일화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토출되지 않을 때에는 토출부 6의 입구를 닫힌 상태로 두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토출부 6의 내부 공간 7을 더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유롭게 개폐시킬 수 있는 플랩 20을 가지므로 토출부 6의 세척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마개 3의 하부 외면 상에, 마개 3이 닫혀 있을 때 내부 용기 상에 구비된 직경 감소부 1c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밀봉 패킹 19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용기가 기울어질 때에도 액체 용기 본체 1 내에 담긴 액체가 새는 일이 없다. 더욱이, 칼라 부재 2의 단차부 8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밀봉 패킹 10을 가지므로 마개가 닫힌 상태일 때 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제 3 실시 형태를 보여준다. 이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와 거의 동일한 구조적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조되는데, 공통 요소는 동일한 참조 표시를 주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칼라 부재 2 상에 내향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하향 연장된 연장부 21; 및 마개 3의 나사홈 14가 나사 결합되며 연장부 21의 내면 상에 형성되는 나사홈 22를 포함한다. 또한, 액체 용기 본체의 상단부는 연장부 21과 칼라 부재 2 사이에 삽입 장착된다.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추가로, 칼라 부재 2 상에 내향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하향 연장된 연장부 21; 마개 3의 나사홈 14가 나사 결합되고 연장부 21의 내면 상에 형성되는 나사홈 22; 및 액체 용기 본체의 상단부가 연장부 21과 칼라 부재 2 사이에 삽입 장착되는 구조를 포함하는데, 나사홈 22는 칼라 부재 2의 몰딩 과정중에 형성될 수 있어 나사홈 형성이 쉽고, 이에 따라 내부 용기 1a의 나사홈 형성 과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액체 용기 본체 1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의 제 4 실시 형태를 보여 준다. 이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와 거의 동일한 구조적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조되는데, 공통 요소는 동일한 참조 표시를 주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물 막이부 15 상에 환상의 물 막이부 패킹 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환상의 물 막이부 패킹 23은 통로 16 보다 상단의 칼라 부재 2의 내면과 접촉하여 통로 16 이외의 부분에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이 물 막이부 패킹 23은 마개 상부 12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된 원통부의 선단부 외면에 구비되는 돌출 24와, 마개통 11의 중앙부 상에 구비되는 물 막이부 15 사이에 제공된다. 이 물 막이부 패킹 23의 외경은, 마개 3의 개폐 운동중 미끄럼 가능하고 토출부 6에서를 제외하고는 칼라 부재 2의 내벽과 기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칼라 부재 2의 기저 2a의 내경 보다 크게 되도록 조절된다.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추가로, 물 막이부 15 상에 환상의 물 막이부 패킹 23을 포함하고, 환상의 물 막이부 패킹 23이 통로 16 상부의 칼라 부재 2의 내면과 접촉하여 통로 16 이외의 부분에서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하여, 액체가 토출될 때 물 막이부 패킹 23은 토출부 6에서를 제외하고는 칼라 부재 2의 내벽과 접촉하여 토출부 6을 제외한 부분에서 새는 것이 방지되고, 토출중 마개 3의 상부를 통하여 액체가 새는 것에 의한 누설이 전적으로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개 달린 액체 용기는, 내용액을 주입할 때 토출구 이외의 마개 부분에 액체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체가 쏟아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7)

  1. 개구부를 갖는 액체 용기 본체;
    상기 액체 용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칼라(collar) 부재; 및
    상기 개구부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고 상기 액체 용기 본체 또는 상기 칼라 부재의 어느 하나로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수직 도관이 구비되고;
    상기 마개와 상기 액체 용기 본체 또는 상기 칼라 부재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도관 상부에서 상기 마개의 측면에 환상의 물 막이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상기 물 막이부 직하부에, 상기 마개를 폐쇄 상태로 하였을 때 상기 칼라 부재 또는 상기 액체 용기 본체의 어느 하나의 내벽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환상의 밀봉 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부재의 상기 통로 상부 위치에 통형 토출부를 더욱 포함하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에서, 상기 물 막이부가 토출 상태에서는 상기 토출부의 상단 보다 하부 위치에, 마개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토출부의 하단 보다 상부 위치에 있도록, 그리고 상기 물 막이부의 외경이 상기 칼라 부재의 내경 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부재의 상기 통로 상부 위치에 구비된 통형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 위에 액체가 토출될 때 열리는 자유롭게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랩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하단부 외부 주변에 구비되고; 마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액체 용기 본체의 내벽에 형성되는 직경 감소 부분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고; 액체가 상기 통로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 패킹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부재 상에 구비되고, 내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칼라 부재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액체 용기 본체의 상단부; 및 상기 연장부의 내부 표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마개에 구비된 나사홈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홈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상부에서 상기 칼라 부재의 내벽과 접촉하고 상기 통로 이외의 부분에서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물 막이부 상에 구비되는 환상의 물 막이부 패킹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달린 액체 용기.
KR1019970041065A 1996-09-03 1997-08-26 마개 달린 액체 용기 KR199800241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344896A JPH1075902A (ja) 1996-09-03 1996-09-03 栓付液体容器
JPP08-233448 1996-09-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183A true KR19980024183A (ko) 1998-07-06

Family

ID=1695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065A KR19980024183A (ko) 1996-09-03 1997-08-26 마개 달린 액체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32593A1 (ko)
JP (1) JPH1075902A (ko)
KR (1) KR19980024183A (ko)
CN (1) CN1176770A (ko)
CA (1) CA22133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09B1 (ko) * 2015-05-07 2016-10-26 김학래 음료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53263B1 (es) * 1997-11-06 2001-09-01 Bericap Sa Tapon vertedor para liquidos viscosos.
EP1238918A1 (en) * 1999-11-25 2002-09-11 Bericap, S.A. Pouring stopper for viscous liquids
DE10333125A1 (de) * 2003-07-21 2005-02-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ndgriff eines Haushaltsgeräts
JP5627732B2 (ja) 2013-04-22 2014-11-19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715700A (ko) * 1967-04-29 1968-10-30
DE8400247U1 (de) * 1984-01-05 1984-04-26 Rotpunkt Dr. Anso Zimmermann, 6434 Niederaula Kanne, insbesondere isolierkanne
JPS60123143U (ja) * 1984-01-31 1985-08-20 日本酸素株式会社 栓付容器
JPS60192725U (ja) * 1984-05-31 1985-12-21 日本酸素株式会社 栓付容器
DE3513865A1 (de) * 1985-04-17 1986-10-23 Rotpunkt Dr. Anso Zimmermann, 6434 Niederaula Isolierkanne mit abgedichtetem deckel
DE3611153C1 (en) * 1986-04-03 1987-06-25 Zimmermann Anso Dr Rotpunkt Vacuum jug with a screw stopp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09B1 (ko) * 2015-05-07 2016-10-26 김학래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2593A1 (en) 1998-04-01
CN1176770A (zh) 1998-03-25
JPH1075902A (ja) 1998-03-24
CA2213392A1 (en) 1998-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7422A (en) Pouring cap
RU2676664C2 (ru) Подмешивающее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мкости
RU2104239C1 (ru) Резьбовая горловина для отверстий емкостей из листовой стали для жидкостей
US4519529A (en) Dispensing stopper
US3809275A (en) Stopper
KR20000005798A (ko) 음료용용기
KR19980024183A (ko) 마개 달린 액체 용기
KR101504428B1 (ko) 용기 마개
JP2008207867A (ja) 注出用口栓
CN111301854A (zh) 一种防漏油连体瓶盖
RU2220083C2 (ru) Затвор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жидкостей
RU2002116662A (ru) Пробка для разлива вязких жидкостей
CN211919531U (zh) 一种防漏油连体瓶盖
CN111071619A (zh) 防漏油连体瓶盖
JP2000016451A (ja) 中空容器の液体注出キャップ
JPH0437086Y2 (ko)
JP3829541B2 (ja) アダプター口栓
TWI813305B (zh) 蓋組件及帶蓋容器
CN213736547U (zh) 一种新型连体瓶盖
CN218279393U (zh) 一种防烫隔热性能良好的食品级不锈钢保温壶
CN212244524U (zh) 一种自动泄压的带盖密封容器
JPS5931159Y2 (ja) 液体汲上式液体容器の転倒止水装置
JPS5814916Y2 (ja) 魔法瓶
KR950011149B1 (ko) 합성수지제 퇴적가능한 마개통
JPS62263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