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149B1 - 합성수지제 퇴적가능한 마개통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퇴적가능한 마개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149B1
KR950011149B1 KR1019920004213A KR920004213A KR950011149B1 KR 950011149 B1 KR950011149 B1 KR 950011149B1 KR 1019920004213 A KR1019920004213 A KR 1019920004213A KR 920004213 A KR920004213 A KR 920004213A KR 950011149 B1 KR950011149 B1 KR 950011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inlet
stopper
faucets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916A (ko
Inventor
쉿츠 우도
Original Assignee
쉿츠-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쉿츠 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4108655A external-priority patent/DE4108655C2/de
Application filed by 쉿츠-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쉿츠 우도 filed Critical 쉿츠-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92001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6Drums or barrels
    • B65D11/08Arrangements of filling or discharging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수지제 퇴적가능한 마개통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마개통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의한 통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III-III선에 따른 마개통 덮개부재의 종단면도.
제 4 도 내지 제6도는 제 2 도의 IV-IV, V-V 및 VI-VI선에 따른 덮개부재의 확대부분 단면도.
제 7 도는 마개통의 잔류물 배출위치에서의 덮개부재의 종단면도.
제 8 도는 덮개부재를 변경실시한 통마개의 평면도.
제 9 도 및 제10도는 제 8 도의 IX-IX 및 X-X선에 따른 덮개부재의 확대부분단면도.
제 11 도는 추가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재를 가진 마개통의 확대평면도.
제 12 도 및 제13도는 제 11 도의 XII-XII 및 XIII-XIII선에 따른 덮개부재의 확대부분단면도.
제 14 도 다시 변경된 덮개부분의 종단면도.
제 15 도는 나사마개 및 안정 및 밀봉캡으로 폐쇄된 다른 덮개부재의 주입 및 유출꼭지를 통한 확대종단면도.
제 16 도는 추가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재를 가지 네묶인 마개통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개통 2 : 외통
3 : 바닥부재 4 : 덮개부재
8 : 퇴적면 9 : 주입 및 유출꼭지
10 : 통기 및 배기꼭지 11 : 요홈
14 : 바닥면 15 : 마개구멍
17, 18 : 웨브 21, 22 : 유출유로
본 발명은 취입성형된 외통부재, 바닥부재 및 퇴적면을 가진 덮개부재, 주입 및 유출꼭지와 통기 및 배기꼭지 그리고 잔류물 배추장치를 갖추고 있고, 합성수지로 제조된 퇴적가능한 마개통에 관한 것으로, 꼭지는 덮개부재의 요홈내에 하강위치해 있고 주입 및 유출꼭지의 수납을 위해 덮개부재내에 형성된 요홈은 직경방향으로 대향위치된 마개들의 연결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 마개구멍을 가진 바닥면을 갖고 있고 그 바닥면은 단부를 통해서 덮개부분의 퇴적면과 연결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DE 90 01 802 U1에 의한 그런 마개통의 덮개부재는 안쪽에 통몸체를 향해서 배향된 활모양의 경사면을 갖고 있고 그 경사면은 외통의 측면에 가장 낮은 위치를 갖고 있고 통기 및 배기마개의 낮은 바닥면에 순탄하게 접합되고 마개의 바닥면에 의해 두 개의 평면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잔류물 배출을 위해서는 덮개부재의 내측에 모이는 잔류액체가 경사면의 양 평면부분을 경유해서 마개뒤의 경사면과 외통과의 사이에 형성된 요홈에 흘러들어가 그곳에서 마개구멍을 통해 유출될 수 있도록 그 통을 헤드위치로부터 20°의 각도만큼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일상적인 조작에 있어서 이 공지의 마개통은 흔히 잔류물 배출시 헤드위치로부터 잔류물을 완전히 배출시키는데 필요한 적어도 20°의 경사위치로 충분히 심하게 기울여지지 않고 따라서 통속에는 약간량의 액체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헤드위치에 있어 약간의 경사 상태에서도 이미 완전히 잔류물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마개통을 개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 목적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가진 통마개에 의해 달성된다.
곧 본 발명은 취입성형된 외통, 바닥부재, 및 퇴적면, 주입 및 유출꼭지 그리고 통기 및 배기꼭지를 가진 덮개부재, 또한 잔류물 배출장치를 가진 합성수지제 퇴적가능한 마개통으로서, 꼭지는 덮개부재 요홈에 하강형성되어 있고 주입 및 유출꼭지를 수납하기 위해 덮개부재에 형성된 요홈은 직경방향으로 대향 위치된 꼭지들의 연결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단부를 통해 덮개부분의 퇴적면에 연결된 마개구멍을 가진 바닥면을 갖고 있고 마개통에 있어서, 퇴적면은, 사출성형된 덮개부재의 테두리 영역에 그 둘레방향으로 뻗어 있고 주입 및 유출꼭지를 위한 요홈의 바닥면을 둘러싸는 경사로 형의 두 웨브로 이행되며, 그 웨브는 약한 하강경사로 덮개부재의 퇴적면으로부터 주입 및 유출꼭지를 위한 요홈의 바닥면까지 뻗고, 통마개의 약간 기울어진 헤드위치에 있어 덮개부재의 내면 위에 고여 있다가 주입 및 유출꼭지의 마개구멍을 통해 유출하는 잔류액체를 위한 유출유로를 형성되게 함으로써 그 목적이 달성된다. 청구의 범위의 종속항은 본 발명의 추가양태에 관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마개통은 설정 목적을 간단하고도 합리적으로 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을 아래에 도면에 표시된 수개의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합성수지로 제조된 마개통(1)은 외통부재(2), 바닥부재(3) 및 덮개부재(4)로 구성되어 있는데, 덮개부재(4)는 합성수지 사출성형체로 만들어져 있고, 한편 외통부재(2) 및 바닥부재(3)는 압출취입성형에 의해 만들어진다. 2a에서 둘레에 걸쳐 외통부재(2)와 용접되어 있는 덮개부재(4)는 지지 및 구름링(5)을 갖고 있고 그링에는 덮개바닥(6)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덮개바닥과 지지 및 구름링(5) 사이에는 환상홈(7)이 둘레로 뻗어 있다. 덮개바닥(6)은 퇴적면(8)을 형성하고 이 퇴적면은 통길이 방향으로 지지 및 구름링(5) 위로 돌출해 있다.
덮개부재(4)에는 주입 및 유출꼭지(9)와 통기 및 배기꼭지(9)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고 이들 꼭지는 덮개부(4)의 요홈(11, 12)에 보호되어 직경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고 표시안된 나사마개에 의해 폐쇄된다.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수납하기 위한 덮개부재(4)내 요홈(11)은 직경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꼭지(9, 10)의 연결축(13-13)에 대칭으로 배치된 바닥면(14)을 갖고 있는데 이 바닥면에는 마개구멍(15)이 있고 단부(16)를 통해 덮개부재(4)의 퇴적면(8)과 연결되어 있다.
퇴적면(8)은 덮개부재(4)의 둘레방향으로 뻗어있고 주입유출 꼭지(9)를 위한 요홈(11)의 바닥면(14)을 감싸는 경사로 모양의 두 웨브(17, 18)로 이행되는데, 이 웨브는 약한 경사로 덮개부재(4)의 퇴적면(8)으로부터 요홈(11)의 바닥면(14)으로 뻗는다. 웨브(17, 18)는 경사가 역전하고 비대칭적이고 V형상인 단면윤곽(19)을 갖고 있고, 이 단면 윤곽은 덮개부재(4)의 퇴적면(8)으로부터 주입유출 꼭지(9)를 위한 요홈(11)의 바닥면(14)까지의 하강에 대응하여 감소하는 높이(20)를 갖고 있다. 웨브(17, 18)의 V형상 단면윤곽(19)은, 주입유출꼭지(9)를 위한 요홈(11)의 바닥면(14)에 대한 경사각(α, β)이 상이한 여러 길이의 다리(19a, 19b)가 그 특징이다.
제 7 도에 따라 마개통(1)을 약간 기울인 통헤드 부분의 위치에 있어서, 덮개부분(4)의 웨브(17, 18)는 덮개부분(4)의 내면(23) 위에 고여 있는 잔류액체(24)의 유출유로(21, 22)를 형성하며 그 액체는 덮개부분(4)의 내벽을 따라 흘러 주입 유출꼭지(9)의 마개구멍(15)을 지나 수집용기(25)에 유입된다.
두 꼭지(9, 10)의 연결축(13-13)에는 리브형의 융기부(26)가 있는데, 이융기부는 지지 및 굴림링(5)과 덮개부재(4)의 바닥(6) 사이에서 환상홈(7)으로부터 약간 상승하여 주입 및 유출꼭지(9)의 기저부에 이르며 마개통(1)의 헤드위치(1')에 있어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수납하는 요홈(11)의 내면(27)상에 약간의 하강경사로 주입 및 유출꼭지(9)까지 뻗는 유출유로(28)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잔류액체(24)가 덮개부분(4)으로부터 수집용기(25)내로 완전히 배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제 8 도 내지 제10도에 의한 마개통 실시예의 경우에는 덮개부재(4)의 경사로형 웨브(17, 18)는 마개통(1)의 헤드위치(1')에 있어 유출유로(21, 22)를 형성하기 위해 사다리꼴 윤곽(29)을 갖고 있는데, 이 사다리꼴 윤곽은 덮개부재(4)의 퇴적면(8)으로부터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위한 요홈(11)의 바닥면(14)까지의 배출유로(21, 22)의 하강에 따라 완만히 하강한다.
제 11 도 내지 제13도에 의한 매개통은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수납하는 덮개부분(4)의 요홈(11)의 내면(27)상에 마개구멍(15) 둘레로 활모양으로 뻗어 있는 장벽(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장벽은 유출유로(21, 22)의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위한 요홈(11)내로의 합류영역(31, 32)에까지 뻗쳐있어 마개통(1)의 경사헤드(1') 위치에서는 잔류액체(24)의 포집쉘을 형성한다. 장벽(30)은 주입 및 유출꼭지(9)로부터 유출유로(21, 22)까지 약간 올라간다. 장벽(30)에 의해 형성된 포집쉘은 마개통(1)이 경사 헤드위치(1')로부터 수직헤드위치로 도루 기울어질때 잔류액체(24)가 유출유로(21, 22)를 통해 덮개부재(4)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리하여 자연스런 헤드위치로부터 기울어진 헤드위치(1')로 마개통(1)을 한번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번 기울이면 포집된 액체(24)가 주입 및 유출꼭지(9)의 마개구멍(15)을 통해 덮개부분(4)으로부터 완전히 배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배출과정을 뒷받침하기 위해 제 14 도에 의한 덮개부재(14)는 덮개부재(4)의 바닥(6)이 약 3°의 작은 하강경사로 통기 및 배기꼭지(10)로부터 주입 및 유출꼭지(9)까지 뻗도록 형성된다. 이 덮개 실시예에서는 덮개부재(4)의 바닥(6)의 바깥쪽에 퇴적된 통을 위한 지지웨브(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웨브의 지지면(34)은 외통(2)에 대해 수직으로 뻗은 퇴적평면(35-35)에 놓여 있다.
마개통(1)의 덮개부재(4)의 주입 및 유출꼭지(9) 및 통기 및 배기꼭지(10)는 합성수지제의 나사마개(36)에 의해 폐쇄된다(제15도). 추가하여 금속시이트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고 안쪽으로 위치한 패킹링(38)을 갖고 있는 안전 및 밀봉캡(37)이 꼭지(9, 10)위에 놓여 있는데 이 캡은 꼭지 플랜지(39)와 결합된다.
제 16 도에 의한 마개통 실시예에서는 마개통(1)에 그의 주입 및 유출꼭지(9)는 간격을 가지고 지지 및 보호웨브(40, 41)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그 웨브의 지지면(42, 43)은 퇴적면(8)의 평면에 놓여 있는 덮개부재(4)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 및 보호웨브(40, 41)에는 십자걸이(45)를 걸기 위한 개구부(44)가 있으며 그 걸이의 도움으로 공병수송을 위해 네개씩 마개통(1)이 묶음될 수 있다. 이 소송상의 도움으로 공병수송은 훨씬 용이해진다.

Claims (16)

  1. 취입성형된 외통, 바닥부재, 및 퇴적면, 주입 및 유출꼭지 그리고 통기 및 배기꼭지를 가진 덮개부재, 또한 잔류물 배출장치를 가진 합성수지제 퇴적가능한 마개통으로서, 꼭지는 덮개부재 요홈에 하강형성되어 있고, 주입 및 유출꼭지를 수납하기 위해 덮개부재에 형성된 요홈은 직경방향으로 대향 위치된 꼭지들의 연결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단부를 통해 덮개부분의 퇴적면에 연결된 마개구멍을 가진 바닥면을 갖고 있고 마개통에 있어서, 퇴적면(8)은, 사출성형된 덮개부재(4)의 테두리 영역에 그 둘레방향으로 뻗어 있고,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위한 요홈(11)의 바닥면(14)을 둘러싸는 경사로 형의 두 웨브(17, 18)로 이행되며, 그 웨브는 약한 하강경사로 덮개부재(4)의 퇴적면(8)으로부터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위한 요홈(11)의 바닥면(14)까지 뻗고, 통마개(1)의 약간 기울어진 헤드위치(1')에 있어 덮개부재(4)의 내면(23) 위에 고여 있다가 주입 및 유출꼭지(9)의 마개구멍(15)을 통해 유출하는 잔류액체(24)를 위한 유출유로(21, 2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퇴적가능한 마개통.
  2. 제 1 항에 있어서, 마개통(1)의 헤드위치(1')에서 유출유로(21, 22)를 형성하기 위한 덮개부재(4)의 경사로형 웨브(17, 18)는, 덮개부재(4)의 퇴적면(8)으로부터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위한 요홈(11)의 바닥면(14)까지의 웨브의 하강에 대응하여 감소하는 높이(20)를 갖고 있는 역전 V형 단면윤곽(19)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웨브(17, 18)는 비대칭의 V형 단면윤곽(19)을 갖고, 그의 여러 길이의 다리(19a, 19b)는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위한 요부(11)의 바닥면(14)에 대해 상이한 경사각(α, β)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4. 제 1 항에 있어서, 마개통(1)의 헤드위치(1')에서 유출유로(21, 22)를 형성하기 위한 덮개부재(4)의 경사로형 웨브(17, 18)는, 덮개부재(4)의 퇴적면(8)으로부터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위한 요부(11)의 바닥면(14)까지의 유출유로(21, 22)의 하강에 대응하여 평탄하게 하강하는 사다리꼴 윤곽(2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5. 제 1 항 내지 4항중의 한 항에 있어서, 유출유로(21, 22)를 형성하는 덮개부재(4)의 웨브(17, 18)는 6 내지 14°의 하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6. 제 1 항에 있어서, 두 꼭지(9, 10)의 연결선(13-13)상에 리브형의 융기부(26)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융기부는 지지 및 구름링(5)과 덮개부재(4)의 바닥(6) 사이의 환상홈(7)으로부터 주입 및 유출꼭지(9)까지 뻗어 있고, 통의 헤드위치(1')에서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수납하는 요부(11)의 내면(27) 위에 주입 및 유출꼭지(9)에 이르는 유출유로(2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7. 제 6 항에 있어서, 리브형 융기부(26)는 환상홈(7)으로부터 주입 및 유출꼭지(9)의 바닥까지 약간 상승하고 그리하여 통의 헤드위치(1')에서 유출유로(28)는 약간 하강하면서 주입 및 유출꼭지(9)까지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8.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및 보호웨브(40, 41)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웨브는 간격을 두고 주입 및 유출꼭지(9)를 둘러싸고, 웨브의 지지면(42, 43)은 덮개부재(4)의 퇴적면(8)의 평면에 놓여 있고, 4개의 마개통(1)을 묶기 위해 십자걸이(45), 밧줄 등과 같은 연결요소를 부착할 개구(44)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9. 제 1 항에 있어서,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수납하는 덮개부재(4)의 요부(11)의 내면 위에는 마개구멍(15)을 둘러싸고 활모양으로 뻗는 장벽(30)이 일체로 성형 연결되어 있으며, 이 장벽은 유출유로(21, 22)가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위한 요부(11)에 합류하는 영역(31, 32)내까지 뻗쳐 있고 마개통(1)의 기울어진 헤드위치(1')에서 잔류 액체(24)의 포집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10. 제 9 항에 있어서, 장벽(30)은 유출유로(21, 22)가 주입 및 유출꼭지(9)를 위한 요부(11)내로 합류하는 지점(31, 32)에서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11. 제 9 항에 있어서, 장벽(30)이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12. 제 9 항에 있어서, 장벽(30)은 주입 및 유출꼭지(9)로부터 유출유로(21, 22)까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13.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부분(4)의 바닥(6)은 통기 및 배기꼭지(10)로부터 주입 및 유출꼭지(9)까지 약간 하강(γ)하며, 바닥(6)의 외측으로 퇴적된 마개통(1)을 위한 지지웨브(33)가 성형 연결되어 있고 그 웨브의 지지면(34)은 외통(2)에 수직으로 뻗은 퇴적평면(35-35)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14. 제 1 항에 있어서, 주입 및 유출꼭지(9) 및 통기 및 배기꼭지(10)을 폐쇄하기 위해, 합성수지로 된 나사마개(36) 및 패킹링(38)이 내측에 장착된 금속박판으로 된 안전 및 밀봉 캡(37)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15. 제 14 항에 있어서, 안전 및 밀봉 캡(37)은 주입 및 유출꼭지(9) 및 통기 및 배기꼭지(10)의 꼭지플랜지(39)와 함께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16. 제 1 항에 있어서, 주입 및 유출꼭지(9) 및 통기 및 배기꼭지(10)를 폐쇄하기 위해, 합성수지로 된 나사마개(36) 및 패킹링(38)이 내측에 장착된 합성수지로 된 안전 및 밀봉캡(37)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통.
KR1019920004213A 1991-03-16 1992-03-14 합성수지제 퇴적가능한 마개통 KR950011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08655.4 1991-03-16
DEP4108655.4 1991-03-16
DE4108655A DE4108655C2 (de) 1991-03-16 1991-03-16 Stapelbares Spundfaß aus Kunststoff
DE4203422.1 1992-02-06
DE4203422 1992-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916A KR920017916A (ko) 1992-10-21
KR950011149B1 true KR950011149B1 (ko) 1995-09-28

Family

ID=6726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213A KR950011149B1 (ko) 1991-03-16 1992-03-14 합성수지제 퇴적가능한 마개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11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916A (ko) 199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7422A (en) Pouring cap
US4550862A (en) Liquid product pouring and measuring package with self draining feature
CA2003875C (en) Dispensing cap with means for controlled flow rate and multiple seals
US4762241A (en) Container with supplemental opening for extracting contents
KR930009876A (ko) 분배용기의 스냅힌지 마개
US4625884A (en) Jug, more particularly insulating jug
WO1998029310B1 (en) Multi use funnels
SK138494A3 (en) Neck with thread on outlets of liquid containers from sheet
JPH0645373B2 (ja) チューブ、びんおよび同様の容器の密閉装置
NO178996B (no) Lokksammenstilling og lokk
KR890012867A (ko) 자가배수용기 및 패키지
EP0617695A1 (en) Filling unit preventing the overfilling of small tanks or the like
US3434637A (en) Fitting for containers
US20080230573A1 (en) Vessel
CA1309383C (en) Self draining container
US4179044A (en) Closure cap for pouring or dispensing tops of bottles or similar receptacles
US5647415A (en) Funnel for a drum
US5217142A (en) Stackable bunghole barrel of synthetic resin
US5117878A (en) Drainfield funnel
JPH0678095B2 (ja) 注ぎ口付き樽
JPH072500B2 (ja) 液体容器
KR950011149B1 (ko) 합성수지제 퇴적가능한 마개통
US2848142A (en) Container
IL101224A (en) Cork barrel made of stackable synthetic material
KR890012868A (ko) 자가 배수 플라스틱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