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168A -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168A
KR19980024168A KR1019970040510A KR19970040510A KR19980024168A KR 19980024168 A KR19980024168 A KR 19980024168A KR 1019970040510 A KR1019970040510 A KR 1019970040510A KR 19970040510 A KR19970040510 A KR 19970040510A KR 19980024168 A KR19980024168 A KR 19980024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coupling element
bearing bush
bolt
clea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6504B1 (ko
Inventor
지메르 조아침
라프 헤럴드
카첸메이에르 프란크
Original Assignee
랄프 홀거 베렌스; 호르스트 베에르스펙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랄프 홀거 베렌스; 호르스트 베에르스펙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랄프 홀거 베렌스; 호르스트 베에르스펙크
Publication of KR1998002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02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 B60S1/3409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the wiper arms consisting of two or more articulat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아암을 구비하고 있고 구동소자와 제어소자에 의해 선회왕복 운동을 하게되는 장치로서, 거기에 있어서의 결합소자는 각각의 베어링을 통해 구동소자와 제어소자에 회전가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특히 차량에 있는 유리창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동소자(18)와 제어소자(20)는 각각 베어링(30, 40)의 영역에, 베어링(30, 4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맞물리는 형상부(44)를 갖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세척장치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특징부에 의한, 특히 차량 유리창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징부에 의한 종류의 세척장치는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세척아암과 여기에 고정된 세척판을 가진 결합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소자는 회전가동적으로 구동소자 및 제어소자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소자와 제어소자는 각각 레버로 형성되어있으며, 레버는 한편으로는 구동축 내지는 제어축과 회전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베어링을 통해서 결합소자와 회전가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베어링영역에서는 구동 및 제어소자, 그리고 결합소자가 차례로 배치되어있고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있다. 여기서 볼트는 베어링부시를 통해 도입되어있고, 베어링부시는 대응하는 결합소자의 통과구내에 배치되어있다. 공지의 세척장치의 경우, 축방향의 전체 베어링 높이가 결합소자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점이 결점이다. 차량에는 한정된 설치공간만이 이용될 수 있고 결합소자는 중량문제로 인해 임의로 두껍게 제작될 수 없기 때문에, 극히 제한된 축방향 베어링 길이만이 이용가능하다. 그리하여 그런경우에는 세척장치의 설치중 베어링에 비교적 높은 부하가 인가됨으로 인해 베어링이 편의하게되고, 그 결과 베어링의 경사유동이나 축방향유동이 신뢰할 수 없는 방식으로 확대된다. 그 위에 베어링의 제작이 비교적 고가로 되는데, 그 이유는 보통 압력주조부재로 만들어지는 구동소자 또는 제어소자내로 베어링부시를 주입(사출성형)해야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종래기술의 결점을 제거하여 간단한 구조에 의해 큰 축방향 베어링길이가 얻어질 수 있도록 종래의 세척장치를 개량하는 것이다.
도 1 은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는 제 1 실시예에 있어 베어링영역의 단면도,
도 3 은 제 2 실시예에 있어 베어링영역의 단면도,
도 4 는 제 3 실시예에 있어 베어링영역의 단면도,
도 5 는 제 4 실시예에 있어 베어링영역의 단면도,
도 6a 내지 6c는 구동 소자와 제어소자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결합소자18 : 구동소자
20 : 제어소자30,40 : 베어링
본 발명에 의한 세척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을 가짐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간단한 구성으로 축방향 베어링길이의 확대를 달성하게하는 이점을 갖는다. 구동소자와 베어링소자가 각각 베어링영역에 있어 결합소자의 적어도 일부분이 맞물리는 형상부를 갖게함으로써, 세척장치의 전체높이는 확대됨이 없이 축방향의 베어링 길이가 확대될 수 있다. 축방향 베어링길이가 확대됨으로써 (힘) 전달안내가 개선되고 이는 베어링에 최적의 힘도입을 허용한다. 그럼으로써 베어링의 비 부하(比 負荷)가 저감하고 그에 의해 베어링의 마모가 감소한다. 베어링은 이제 더 이상 편의할 정도로 기울어지지도 않고, 그리하여 경사유동이나 축방향유동은 현격하게 줄어든다. 그럼으로써 베어링, 따라서 전체 세척장치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된다. 그 위에 확대된 축방향 베어링길이에 의해 베어링은 더 큰 힘을 수용할 수 있고, 그리하여 동작부의 증대된 가속 또는 확대된 행정을 위한 본 발명에 이한 세척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세척기 성능, 특히 세척장치로 획득할 수 있는 세척면이 개선 또는 확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종속항에 기재된 특징에서 생긴다.
이하 본 발명을 관련 도면에 따라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 은 전체적으로 10으로 표시된 세척장치를 약시한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요한 부재만을 설명할 것이며, 따라서 상세구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을 것이다.
세척장치(10)는 세척아암(14)을 담지한 결합소자(12)를 가지고 있다. 세척아암(14)은 공지된 방법으로 결합소자(12)에 플래핑가능하게 (펄럭거릴수있게) 연결되어있고, 인장스프링(16)에 의해 인장력하에서 도시되지 않은 차량의 유리창에 눌러 질 수 있다. 결합소자(12)에는 구동소자(18)와 제어소자(20)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소자(18)는 그 일단(22)에 구동축(26)을 위한 수용부(24)를 갖고 있다. 구동축(26)은 차체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구동소자(18)는 그의 타단부(28)에서 베어링(30)을 통해 결합소자(12)와 회전가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후의 도면에 따라 베어링(30)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어소자(20)의 일단부(32)에는 제어축(36)의 수용부(34)가 배치되어 있다. 제어축(36)도 마찬가지로 차체에 고정배치되어 있다. 제어소자(20)는 그의 타단부(38)에 베어링(40)을 통해 결합소자(12)와 회전가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베어링(40)의 구조는 베어링(30)의 구조에 상당하고 상기와 같이 이후의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세척장치(10)는 다음의 기능을 발휘한다: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을 통해 구동축(26)이 역회전운동을 하게한다. 화살표방향(42)에 따라 약 120°만큼 시계방향으로 이쪽 저쪽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한다. 구동축(26)과 함께 회전할 수 없도록 그의 수용부(24)내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소자(18)도 구동축(26)의 회전운동에 의해 역시 이쪽 저쪽으로 회전된다. 그럼으로써 결합소자(12) 및 거기에 고정된 세척아암(14)은 제어소자(20)에 의해 결정되는 선회왕복운동을 얻는다. 다음 설명의 범주내에서는 기능이 개별적으로 상세히 언급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구동소자(18) 및 제어소자(20)가 베어링(30 또는 40)을 통해 결합소자(12)와 회전가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은 명백하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베어링(30 또는 40)의 여러 실시형이 표시되어 있다. 각 표시도면은 도 1 에 도시된 베어링(30)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베어링(30,40)의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베어링(30)에 대해서만 설명을 할 것인데, 물론 이것이 베어링(40)에도 적용되는 것은 명확하다.
도 2 의 단면도는 결합소자(12) 및 구동소자(18)의 단면도를 표시한다. 구동소자(18)는 박판이형재로 제조되는 것으로, 그 제조는 공지의 가공법, 예컨대 스탬핑법, 절곡법 또는 내고압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소자(18)는 그 단부(28)에 액적형 형상부(44)를 갖고 있다. 이 형상부(44)는 구동소자(18)내측으로 함몰되어 있고, 그리하여 상면(46)으로 부터 보면 구동소자(18)내로 요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48)는 평면도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다. 형상부(44)는 요부(48)에 중심에 통과구(관통구)(50)를 갖고 있다. 통과구(50)는 바람직하게는 중심축선(52)을 가진 구멍으로 설치되어 있다.
결합소자(12)는 베어링위치(30)의 부위에 육중한 후육부(54)를 갖고 있다. 결합소자(12)는 예컨대 압력주물(알루미늄 압력주물)로 만들어지고, 그리하여 후육부(54)로부터 이루어지는 형상을 결합소자(12)의 제조중에 간단히 감시조정할 수 있다. 후육부(54)는 실질적으로는 요부(48)에 적합하는 윤곽을 갖고 있어, 후육부(54)의 하방폐쇄단부(5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요부(48)내에 맞물린다. 후육부(54)의 영역에는 통과구(58)가 결합소자(12)에 배치되어 있고, 그 관통구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되어 있다. 통과구(58)내에는 베어링부시(60)가 배치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베어링부시(60)가 통과구(58)내로 주입된 합성수지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부시(60)의 주입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사출성형기법으로 행해진다. 이를 위해 통과구(58)에는 코어와 통과구(58) 사이에 공극이 남도록 사출성형장치의 코어를 도입하고, 이 공극에는 가소화된 합성수지를 충전한다. 합성수지의 경화후, 성형된 합성수지 베어링부시(60)가 통과구에 잔류하는 것과 동시에 코어를 제거한다. 베어링부시(60) 및 후육부(54)는 일정한 형상 특징을 갖는데, 상기한 주입과정과 관련해서는 여기에 그것에 관해 더 이상 상세히 토의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후육부(54)는 그의 구동소자(18)쪽 측면에 환형 숄더(62)를 형성한다, 환형 숄더(66)는 베어링부시(60)의 밴드(64)에 의해 후크형으로 둘러맞물리고, 그리하여 베어링부시(60)와 결합소자(12)의 후육부(54) 사이에는 형상쇄정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럼으로써, 마찬가지로 존재하는 후육부(54)의 환형 숄더(62)와 베어링부시(60)의 밴드(68)가 결합소자(12)의 구동소자(18) 반대쪽과 결합할 때 베어링부시(60)의 축방향고정(제동)이 달성된다. 그와 동시에 베어링부시(60)를 대응하는 결합소자(12)의 절결부내에 맞물릴 수 있게 하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돌기에 의해, 회전(틀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밴드(64)는 시일수단(72)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환형 홈(70)을 갖고 있다. 밴드(64, 68)에 의해 베어링부시(60)의 축방향길이는 통과구(58)의 축방향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그리하여 밴드(64)는 구동소자(18)의 요부(48)내로 뻗게 된다.
베어링의 조립은 원통상 본체(75)를 가진 볼트(74)에 의해 행해진다. 볼트(74)의 중심축은 통과구(58)의 중심축(52)과 치합된다. 볼트(74)는 본체(75)에는, 베어링부시(60)의 환영 단부(78)에 배치된 접시모양의 플랜지(76)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플랜지(76)는 방사형으로 뻗은 환형 플랜지(80)위에 지지되어 있다. 본체(75)의 축방향길이는 베어링부시(60)의 축방향길이에 상당한다. 본체(75)는 축형의 연장부(82)로 이행되고, 이 연장부는 구동소자(18)의 통과구(50)를 통해 뻗어있다. 연장부(82)의 축방향길이는, 조정 또는 하부디스크(88)를 사이에 끼운채로도 연장부(82)의 헤드(84)를 이용하여 볼트(74)를 기계적으로 제동시킬 수 있을 만큼 헤드(84)가 형상부(44)의 바닥(86)에서 돌출하도록 선정된다. 이를 위해 헤드(84)는 예컨대 가소성을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제동수단, 예컨대 스플린트 등을 헤드(84)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어링부시(60)의 밴드(68)는 추가적으로 방사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환형 숄더(90)를 갖고 있고, 이 숄더는 시일수단(92)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있다. 베어링(30)은 전체가 여기에는 하나만 도시된 캡(94)에 의해 외부에 대해 덮여있다. 캡(94)는 동시에 전체 결합소자(12)를 지나서도 뻗어있어, 베어링(40)도 동시에 완전히 같은 식으로 덮여있다.
도 2 에 명시된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30)의 구조에 의해, 이용가능한 유효축방향 베어링길이는 결합소자(12)의 두께 또는 폭보다 길게 뻗을 수 있게된다. 이것은 후육부(54), 베어링부시(60) 및 형상부(44)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베어링(30)은 요부(48)내로 뻗을 수 있다. 따라서 외치수, 즉 구동소자(18)의 하단으로 부터 캡(94)의 상면까지의 외치수는 그대로 불변유지되는 경우 종래 기술에 비하여 유효 베어링 길이의 확실한 연장이 달성된다. 베어링길이가 확대됨으로써 우선 접촉면, 본체(75)의 외각면 및 베어링부시(60)의 외각면으로 구성된 확대된 베어링면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베어링(30)을 과부하시키는 일이 없이 최적의 힘이 베어링(30)에 도입될 수 있다. 그 위에 베어링의 확대된 길이에 의해 볼트가 기울어질 우려가 감소된다. 결합소자(12)의 거기에 고정된 세척 아암을 구비하고 있고 구동수자와 제어소자에 의해 선회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장치로서, 거기에 있어서의 결합소자는 각각의 베어링을 통해 구동소자와 제어소자에 회전가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특히 차량에 있는 유리창의 세척을 위한 세척장치에 있어서, 구동소자(18)와 제어소자(20)는 각각 베어링(30, 40)의 영역에 베어링(30, 4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맞물리는 형상부(44)를 갖고 있는 아암(14)은 볼트(74)의 전체길이에 대한 관계에서 보아 큰 길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지레작용으로 인해 베어링(30, 40)에 의해 증가된 힘이 전달 인수된다. 구조물 외부치수 일정의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30)의 형상에 의해 상기한 힘 전달은 최적화되고, 따라서 베어링(30, 40)을 가진 세척장치(10)에는 큰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개선된 선회왕복운동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시일수단(72, 92)은 외부의 오염, 예컨대 우수에 대해 베어링(30)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그 위에 베어링부시(60)를 합성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전에 베어링(30, 40)의 내식성이 개선된다.
도 3 에는 추가실시예의 베어링(30)이 도시되어 있는데, 그 기본구조와 기능은 첫번째 실시예의 것이 그대로 유지되어 있다. 도 2 에서와 일치하는 부재들은 같은 기호로 표시되어 있어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도 2 의 도시와는 반대로 베어링부시(60)는 금속부시로 되어있는데, 이것은 결합소자(12)의 후육부(54)의 통과구(58)에 삽입되어있다. 베어링부시(60)는 여기서는 금속재료, 예컨대 놋쇠로 구성된 중공원통(96)으로 되어있다. 중공원통(96)은 그의 구동소자(18)쪽 측면에 방사방향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밴드(98)를 갖고있고 이 밴드는 후육부(54)를 상측으로부터 맞물리고 있다. 중공원통(96)은 하부 디스크(88)에 의해 제동이 행해지는데, 이 디스크는 볼트(74)가 제동될 때 중공원통(96)을 통과구(58)내에 고정시킨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베어링부시(60)도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비틀림(회전) 될 수 없게 위치된다. 중공원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구동소자(18)의 요부(48)내로 뻗어있는데, 이렇게 축방향으로 뻗음으로써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베어링(30)의 유효 축방향길이는 상당히 커진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의 특별한 점은, 형상부(44)의 숄더(100)가 동시에 시일수단(72)의 밀폐시이트의 역할을 하는 점이다.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결합소자(12)도 또한 박판이형재로 만들어져 있다. 결합소자(12)는 역시 단으로 형성된 통과구(58)를 갖고 있다. 통과구(58)는 대직경 셕션(102)으로부터 단(104)를 거쳐 소직경셕션(106)으로 이행된다. 베어링부시(60)는 이미 도 3에서 도시된 중공원통(96)과 추가의 중공원통(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공원통(96)은 통과구(58)의 소직경셕션(106)내에 삽입되어 있다. 단(104)과 통과구(58)의 대직경셕션(102)에 의해 형성된 환형공간은 중공원통(110)에 의해 충전되어 있어, 결합소자(12)의 벽(112)과 중공원통(96)내에 도입되어 있는 볼트(74)의 본체(75) 사이에는 형상쇄정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원통(110)은 방사방향 외측으로 뻗은 밴드(114)를 형성하고 있다. 밴드(114)는 결합소자(12)에 접해있고 볼트(74)의 플랜지(76)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에 표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구동소자(18), 제어소자(20)(도 1) 및 결합소자(12)를 박판이형재로 형성한다. 그리하여 간단한 절곡 또는 스탬핑법에 의해 간단하게 이들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중량절감이 달성된다. 그 위에 본 발명에 따라 베어링(30, 40)의 축방향길이가 확대됨으로써 전체 세척장치(10)의 안정성 및 내구강도가 향상된다.
도 5 는 베어링(30, 40)의 추가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한 도 2 에 관한 설명을 다시 적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베어링부시(60)는 역시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특별한 것은, 볼트(74)의 본체(75)가 직경(d1)을 가진 대경셕션(116)과 직경(d2)을 가진 소경셕션(118)을 가진점이다. 셕션(116, 118)은 방사방향으로 뻗은 환형면(120)을 통하여 서로 이행된다. 볼트(74)의 기하적형상에 따라 결합소자(12)의 통과구(58)와 베어링부시(60)도 거기에 대응적으로 적합하게 형성된다.
도 5 에 도시된 볼트(74)의 형상에 의해 이용할 수 있는 베어링(30)의 축방향길이는 더욱 증가된다. 그렇지 않았으면 플랜지(76)(도 2)에 의해 요구되었을 볼트(74)의 높이가 여기서는 유효베어링길이에 이용되고 있다. 볼트(74)는 환형면(120)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베어링(30)의 축방향길이가 확대됨으로써, 볼트(74)의 본체(75)의 외주면에 의해 결정되는 보다 큰 베어링면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c에는 단순히 완전한 설명을 위해 구동소자(18) 또는 제어소자(20)의 수용부(24)의 여러가능한 형태가 표시되어 있다. 각각의 경우 그 단부(28)에 형상부(44)를 가진 구동소자(18)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의 경우에는 구동축(26)의 수용부(24)가 원추대 포트(122)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b의 경우에는 수용부(24)가 디이프드로우잉 원추(124)로 되어있다. 도 6c는, 구동소자(18)의 단부(22)가 삽입부재(128)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다리(128)를 가진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삽입부재(128)는 예컨대 압력주조 부재일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재(128)는 구동축(26)의 수납부(24)를 구성하는 원추(130)를 갖고 있다.
내용 없음.

Claims (12)

  1. 세척아암을 구비하고 있고 구동소자와 제어소자에 의해 선회왕복운동을 하게되는 장치로서, 거기에 있어서의 결합소자는 각각의 베어링을 통해 구동소자와 제어소자에 회전가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특히 차량에 있는 유리창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에 있어서,
    구동소자(18)와 제어소자(20)는 각각 베어링(30, 40)의 영역에서 베어링(30, 4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맞물리는 형상부(44)를 갖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소자(12)는 베어링(30, 40)의 영역에 후육부(54)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후육부는 형상부(44)내로 맞물려있고 베어링부시(6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통과구(58)에 의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베어링부시(60)는 통과구(58)내로 주입된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에 있어서, 베어링부시(60)는 밴드(64)를 갖고 있으며, 그 밴드는 후육부(54)를 덮어 맞물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형상부(44)내로 돌출되어 있고 베어링(30, 40)의 유효축방향길이를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밴드(64)는 시일수단(72)을 수용하기 위한 축방향개방 환형홈(70)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베어링부시(60)는 베어링볼트(74)를 갖고 있으며, 그 베어링볼트는 한편으로는 그의 플랜지(76)가 베어링부시(60)의 환형단(78)에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연장부(82)가 형상부(44)의 통과구(50)를 접촉통과하여, 거기서 볼트(74)를 효과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헤드(8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베어링볼트(74)는 그의 축방향길이가 베어링(30, 40)의 유효길이를 결정하는 본체(75)를 갖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본체(75)는 적어도 상이한 직경의 두 션션(116, 118)을 갖고 있으며, 대직경셕션(116)이 볼트(7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형상부(44)의 숄더(100)는 베어링(30, 40)을 밀폐하기위한 밀폐시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구동소자(18)와 제어소자(20)는 각각 박판이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소자(12)는 압력주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소자(12)는 박판이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KR1019970040510A 1996-09-26 1997-08-25 세척장치 KR100236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9593.3 1996-09-26
DE1996139593 DE19639593B4 (de) 1996-09-26 1996-09-26 Wischer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168A true KR19980024168A (ko) 1998-07-06
KR100236504B1 KR100236504B1 (ko) 2000-01-15

Family

ID=780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510A KR100236504B1 (ko) 1996-09-26 1997-08-25 세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236504B1 (ko)
DE (1) DE19639593B4 (ko)
ES (1) ES2148046B1 (ko)
FR (1) FR2753667B1 (ko)
GB (1) GB23178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7070C2 (de) * 1997-08-26 2000-11-30 Bosch Gmbh Robert Gelenkverbindung
DE19856961A1 (de) * 1998-12-10 2000-06-15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mit gelenkig verbundenen Bauteil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1735A (en) * 1953-12-24 1958-02-04 Warren E Perkins Windshield wiper
GB2102061B (en) * 1981-06-24 1985-03-06 Gen Motors Ltd Windscreen wiper linkage ball and socket joint assembly
FR2562975B1 (fr) * 1984-04-16 1986-08-01 Marchal Equip Auto Dispositif d'embiellage, du type quadrilatere articule en croix, notamment pour essuie-glace
DE3439645A1 (de) * 1984-10-30 1986-04-30 SWF Auto-Electric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Scheibenwischeranlage
BE901052A (fr) * 1984-11-14 1985-05-14 Andre Leroy Un systeme d'essuie-glace a mecanisme de guidage spatial.
JPS63227447A (ja) * 1987-03-17 1988-09-21 Jidosha Denki Kogyo Co Ltd クロスリンク式ワイパリンク装置
FR2682339B1 (fr) * 1991-10-09 1993-12-03 Journee Sa Paul Essuie-glace a balayage non circulaire comportant des moyens de reglage de sa position de repos.
JP2552932Y2 (ja) * 1992-10-30 1997-11-05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装置
DE9306529U1 (de) * 1993-04-30 1994-09-15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pendelnd angetriebenen, ein auf der zu wischenden Scheibe angelegtes Wischblatt tragenden Wischerarm
FR2719009B1 (fr) * 1994-04-26 1996-05-31 Journee Paul Sa Mécanisme d'essuie-glace comportant un dispositif d'articulation perfectionné entre une bielle et une manivelle du mécanisme.
DE4436373A1 (de) * 1994-10-12 1996-04-18 Teves Gmbh Alfred Viergelenkwischarm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eines Kraftfahrzeuges
DE19501211A1 (de) * 1995-01-17 1996-07-18 Teves Gmbh Alfred Wischarm für eine hubgesteuerte Scheibenwisch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39593A1 (de) 1998-04-02
FR2753667B1 (fr) 2001-06-22
ES2148046B1 (es) 2001-03-01
ES2148046A1 (es) 2000-10-01
GB2317818A (en) 1998-04-08
GB9720355D0 (en) 1997-11-26
DE19639593B4 (de) 2010-08-19
FR2753667A1 (fr) 1998-03-27
GB2317818B (en) 1999-03-10
KR100236504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578B1 (en) Vibration absorber for vehicle wiper devices
JPS6311185B2 (ko)
JPH02502622A (ja) 自動車のワイパーシステムの駆動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19010A (ja) ピストンポンプ
FR2675853A1 (fr) Boulon d'arre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P1744082B1 (de) Stellantrieb,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5896778A (en) Operating lever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s for motor vehicles
EP0414690A1 (de) Drucksensor zur erfassung des reifendrucks.
KR100236504B1 (ko) 세척장치
EP0879971B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ensemble sur la caisse d'un véhicule automobile et module d'essuyag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KR960702397A (ko) 스프링브레이크 엑추에이터, 이 엑추에이터를 위한 고정볼트 조립체 및 이 조립체의 조립방법(spring brake actuator, caging bolt assembly therefor,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6196754B1 (en) Driv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especially for vehicle window panes
KR100689645B1 (ko) 와이퍼 시스템의 구동 샤프트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JP2004513837A (ja) 特に自動車のためのウィンドガラスワイパ装置および該ウィンドガラスワイパ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GB2109674A (en) Windscreen wiper pivot assembly
US5076725A (en) Strut mount
US6611987B1 (en) Pipe frame for wiper apparatus
FR2848738A1 (fr) Moteur electrique notamment pour un dispositif d'essuie-glace ainsi realise, notamment pour un vehicule automobile
JP4171043B2 (ja) ウインドワイパ装置、特に自動車用のウインドワイパ装置
JPH0747929A (ja) ワイパー用リンク機構のピボットジョイント
US6863858B2 (en) Windshield wiper motor with molded sleeve and thrust elements
KR0139446Y1 (ko) 자동차의 볼팅타입 도어 힌지구조
KR100808389B1 (ko)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RU2281426C2 (ru) Натяжитель цепи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вал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0289061Y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리버스아이들샤프트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