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052A -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및 분체조성물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및 분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052A
KR19980024052A KR1019970024540A KR19970024540A KR19980024052A KR 19980024052 A KR19980024052 A KR 19980024052A KR 1019970024540 A KR1019970024540 A KR 1019970024540A KR 19970024540 A KR19970024540 A KR 19970024540A KR 19980024052 A KR19980024052 A KR 19980024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ax
degrees
reflected light
inciden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까즈히로 니시까타
히로찌까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스즈끼 사또후미
포라 가세이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끼 사또후미, 포라 가세이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끼 사또후미
Publication of KR19980024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0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 G01N23/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by irradiating the sample with X-rays or gamma-rays and by measuring X-ra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은 메이크업 화장품을 도포한 표면에, 이 표면에 대해 입사각이 상이한 적어도 2방향으로부터 일정한 범위의 파장을 가진 가시광을 조사하고; 조사광으로부터 얻어진 복수의 반사광 스펙트럼을 각각 측정하고; 스펙트럼패턴을 상호간에 비교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피부를 아름답게 꾸미는 광학이론을 명백히 하고, 피부를 아름답게 꾸미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분체조성물의 제조시에는 분체조성물을 고르게 충전한 부드러운 표면에 이 표면에 대해 40도 85도의 입사각으로 가시광을 조사하여 얻어진 반사광의 스펙트럼강도차를 큰 쪽의 입사각의 조사광으로부터 얻어진 반사광의 스펙트럼강도로 나누어서 구한 최대치, 즉 MAX-RAO'치를 3∼8로 조정한다. 이렇게 하여 뛰어난 피부의 질감을 갖게 하는 분체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및 분체조성물
본 발명은 파운데이션의 평가에 적합한 매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이크업 등의 장식에 적합하고, 피부 질감의 재현이 우수한 분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타인에게 아름답게 보이려고 하는 것은 비단 여성뿐 아니라 누구나 바라는 바이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화장품이 개발되어 왔다. 그것들 중에는 피부의 기능을 높이는 기초화장품이나 광학적인 효과로 장식하는 메이크업 화장품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가 있다. 이들 화장품중에서도 사람을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것에 가장 기여한다고 생각되는 것은 메이크업 화장품이다. 소비자들도 메이크업 화장품을 사용하는 동기중의 하나로서 이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메이크업 화장품의 사용방법은 각 개인의 경험과 기호에 따라 결정되는 수가 많다. 따라서 화장품의 사용방법에 관한 과학적 지침이 최근에 와서 현저히 개선되었다고는 하나, 아직 충분하다고 할 수 없는 것이 현상이다.
특히 파운데이션은 색이나 은폐력 등의 물리적특성 이외에도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요소를 갖고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예를 들어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기술이 디포커싱 메이크업(defocusing make-up) 등의 광학효과를 이용한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사람을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광학효과나 메카니즘이 충분히 탐구되었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 실정이다.
즉 사람을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이론의 확인과, 이러한 이론을 이용하여 파운데이션으로 대표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이 탐구되어 왔다.
동시에 색이나 복장 등의 디자인은 장식하는 객체의 형상이나 질감에 따라 아름다움 등의 인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지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일류 모델이 착용하면 아름답게 보였던 의복을 보통의 여성이 착용했을 때에는 그 의복이 그다지 아름답게 보이지 않는 것이다. 또한 그 때문에 복장전시회의 마네킨에 착용시킨 의복을 보기만해서는 그 의복의 연색성이나 장단점을 판별할 수 없는 것이다. 입체적 구조를 갖는 마네킨조차 이와 같은 상황이므로, 평면인 사진으로는 더욱 그렇다. 그러기 때문에 카탈로그에 나타낸 상품이 실물과 아주 다르다는 불만이 제기되는 것도 수긍이 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식하는 객체에 따라 아름다움에 대한 인상이 다르게 보이는 원인의 중요한 요소는 객체인 사람 피부의 질감이 마네킨이나 평면사진의 그것과는 현저히 다르다는 사실에 입각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의 사람 피부의 질감을 재현시키는 것이 요구되지만, 실제적인 사람 피부 질감을 갖는 장식(메이크업)을 인공적으로 만들어내기란 용이하지가 않다.
지금까지 사람 피부의 질감을 재현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노력이 경주되어 왔었다. 예를 들어 편광을 이용하여 각각 우측 눈과 좌측 눈으로 빗나간 영상(offset images)을 보이게 한 3차원 화상이라든가 홀로그램등이 시도되었었다. 그러나 이것들은 어디까지나 2차원의 관점에서 시도한 것이다. 3차원으로 피부 질감을 갖는 장식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이 필요는 하지만, 현재로서는 아직 완성된 것이 없다.
한편 화장품분야에서는 Kabuki의 Kumadori와 같이 안면 전체를 진하게 칠하는 화장이 주류를 이르고 있었으나, 근년에 와서 섬세한 질감에 의한 아름다움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그와 같은 질감을 실현하기 위해서 상술한 디포커싱 메이크업 등의 화장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장술은 질감이 현저히 개선되기는 하였지만, 커버력(covering ability) 등의 문제가 남아있다. 즉 피부의 질감을 가지면서 커버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품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이론을 명백히 함과 동시에, 경험이나 주관에 입각하지 않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객관적인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의 질감을 재현하는 광학적 이론을 명백히 함과 동시에, 피부의 질감을 갖는 분체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메이크업하지 않은 피부에 입사각 85도와 40도로 가시광을 조사하여 얻어진 반사광의 분광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매트(mat)한 파운데이션으로 메이크업한 피부에 입사각 85도와 40도로 가시광을 조사하여 얻어진 반사광의 분광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표준 피부색판에 입사각 85도와 40도로 가시광을 조사하여 얻어진 반사광의 분광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맨 피부의 아름다움과 MAX-RAO치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분광광도차의 적분치와 MAX-RAO치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맨 피부와 2종의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경우의 MAX-RAO치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등은 사람의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광학적 메카니즘을 해명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사람 피부의 질감을 재현하여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게 할 수 있는 요소의 하나로서 각질층(keratin layer)의 반투명성에서 유래하는 광학효과를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발명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이다.
각질층은 반투명성이므로, 피부에 대해 90도에 가까운 가파른 각도로 입사하는 가시광은 거의 모두가 반사하나, 0도에 가까운 얕은 각도로 조사한 가시광은 흡수나 산란 등에 의해 조사광과는 다른 파장구성으로 반사하게 된다. 반사광 스펙트럼의 이와 같은 미묘한 차이는 피부 질감의 창출하여, 색이나 은페력(masking ability) 등의 물리적특성 이외의 요소로서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것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후술하는 MAX-RAO치를 반사광 스펙트럼의 그와 같은 차이를 표시하는 광학적 특성치로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메이크업 화장품을 도포한 표면에, 이 표면에 대해 입사각이 상이한 적어도 2방향으로부터 일정한 범위의 파장을 가진 가시광을 조사하고; 조사광으로부터 얻어진 복수의 반사광 스펙트럼을 각각 측정하고; 스펙트럼패턴을 상호간에 비교하는 스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에서 조사광은 표면에 대해 입사각이 10∼60도의 가시광과, 표면에 대해 입사각이 75∼90도의 가시광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조사광은 400∼70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반사광 스펙트럼은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조사광은 표면에 대해 입사각이 상이한 2방향으로부터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사광이 표면에 대해 입사각이 10∼60도의 가시광과, 표면에 대해 입사각이 75∼90도의 가시광으로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스펙트럼패턴의 비교공정은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상이한 2방향으로부터 파장범위가 400∼700nm의 가시광을 조사하고; 조사광으로부터 얻어진 2개의 반사광의 스펙트럼을 각가 측정하고; 하기의 수학식 1:
[수학식 1]
여기서 A는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큰 쪽의 조사광으로부터의 반사광의 반사율을 표시하고; B는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작은 쪽의 조사광으로부터의 반사광의 반사율을 표시하고; [(B-A)/A ]max는 파장범위내의 최대치 (B-A)/A를 표시한다.
에 의해 파장범위내의 각 반사광 스펙트럼의 반사율로부터 MAX-RAO치를 구하고; MAX-RAO치를 지표로서 이용하여 스펙트럼패턴을 비교하는 스텝으로 된다.
MAX-RAO치는 메이크업 화장품으로 장식한 조사면에 대해 입사각이 상이한 2방향으로부터 일정한 파장범위내의 가시광을 조사하여, 반사광의 스펙트럼을 측정해서, 각 파장마다 얻어지는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작은 쪽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큰 쪽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큰 쪽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의 값중 측정 파장범위 내에서의 최대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이와 같이 얻어지는 MAX-RAO치를 메이크업 화장품에 의한 화장이 자연스럽게 아름답게 보이는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결과에 의해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메이크업 화장품은 파운데이션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분체조성물로 고르게 충전한 부드러운 표면에, 이 표면에 대해 40도 및 85도의 입사각으로 파장범위가 400∼700nm인 가시광을 조사한 후에 얻어지는 2개의 반사광의 스펙트럼의 반사율로부터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산출산 값인 MAX-RAO'치가 3∼8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조성물을 제공한다:
[수학식 2]
MAX-RAO'=[(B'A'/A']max
여기서 A'는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85도인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을 표시하고; B'는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40도인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을 표시하고; [(B'A'/A']max는 파장범위내의(B'A')/A'의 최대치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은 분체조성물로 고르게 충전한 부드러운 표면에, 이 표면에 대해 40도 및 85도의 입사각으로 가시광을 입사하여 얻어지는 반사광의 스펙트럼강도의 차를 큰 쪽 입사광을 갖는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스펙트럼강도의 반사율로 나누어서 구한 값의 측정범위 내에서의 최대치인,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MAX-RAO치가 3∼8의 분체조성물이 피부의 질감을 주는 데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완성하였다.
이 조성물은 실리카겔, 세라이트, 탤크, 세리사이트등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무기분체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조성물은 화장품 또는 도료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I.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품 평가방법
본 발명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 스텝에 의해 실행된다.
1) 메이크업을 행한 표면에 1방향으로부터 가시광을 조사하고, 얻어지는 반사광의 분광스펙트럼을 측정한다. 메이크업을 행한 표면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적합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람 피부에 메이크업을 행한 후에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상술한 1)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가시광을 조사하고, 반사광의 분광스펙트럼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이 예에서는 조사하는 가시광의 한 입사각은 메이크업한 표면에 대해 바람직하기는 0∼60도, 더욱 바람직하기는 10∼60도, 특히 바람직하기는 15∼60도, 다른 하나의 입사각은 바람직하기는 75∼90도, 더욱 바람직하기는 78∼90도, 특히 바람직하기는 80∼90도이다. 그 이유는 거의 수직으로 조사하는 광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직접반사의 형태를 취하고, 거의 수평으로 조사하는 광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산란하거나 또는 대부분을 흡수하여 입사각과는 아주 달라지므로, 반사면의 광학적 특성은 이것들을 비교해야만 파악되기 때문이다.
3)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2종의 반사광의 분광스펙트럼을 비교한다.
도 1∼도 3은 피부에 40도와 85도의 입사각으로 여러 가지 파장의 광을 조사한 후에 반사광의 분광스펙트럼을 측정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은 보통 피부(대충 관찰해서 피부가 아름답다고 판단되는 평가자(panel)의 미화장 피부)의 분광스펙트럼; 도 2는 평가자에게 짙은 감(매트형의 파운데이션)을 주는 파운데이션을 바른 후에 얻어진 분광스펙트럼; 도3은 표준 피부색판을 사용하여 얻어진 분광스펙트럼을 각각 나타낸다. 도면의 점선은 입사각이 85도의 광을 사용하여 얻어진 스펙트럼을 표시하고, 실선은 입사각이 40도의 광을 사용하여 얻어진 스펙트럼을 표시한다.
도 1∼도 3에서 파운데이션 도포후의 스펙트럼패턴의 차는 메이크업하지 않은 피부에 대한 스펙트럼패턴과 표준 피부색판에 대한 스펙트럼패턴간의 차의 중간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스펙트럼패턴의 차가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스펙트럼의 차에 가까워지면 맨 피부의 질감을 갖는 마감이 성취되고, 표준 피부색판의 스펙트럼의 차에 가까워지면 매트 마감이 성취된다. 그 결과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2종의 반사광의 분광스펙트럼을 비교함으로써 메이크업의 자연스러움 및 아름다움의 마감도를 평가할 수가 있다.
스펙트럼패턴의 비교수단은 스펙트럼패턴을 질적 및 양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한, 제한받지 않는다. 그러나 다음과 같이 측정하여 지표로서 사용하는 MAX-RAO치를 구하는 것이 편리하고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메이크업을 한 표면에, 이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상이한 2방향으로부터 파장범위가 400∼700nm의 가시광을 조사하고; 이 조사광으로부터 얻어진 2종의 반사광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작은 쪽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큰 쪽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큰 쪽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의 값중 측정 파장범위 내에서의 최대치인 MAX-RAO치를 계산하고: 이 MAX-RAO치를 지표로 이용하여 스펙트럼패턴을 비교한다.
이들 2방향의 가시광에 대한 반사광의 스펙트럼패턴을 비교할 때는 측정 파장범위 내에서의 스펙트럼강도(스펙트럼 반사율)의 차의 적분치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런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분치와 MAX-RAO치간에는 우수한 직선회귀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이들 분광스펙트럼의 비교시에 MAX-RAO치를 지표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5에서 플롯한 부분은 다음 수학식 3으로 표시하는 측정 파장범위가 400∼700nm의 반사율의 차의 적분치를 나타낸다.
[수학식 3]
여기서 A는 85도의 입사각으로 조사한 반사광의 반사율을 표시하고; B는 40도의 입사각으로 조사한 반사광의 반사율을 표시하고, 임의로 선정한 20명의 평가자에 대해 입사각이 40도 및 85도의 가시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각 반사광의 분광스펙트럼의 반사율과 동일한 반사율을 이용해서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한 MAX-RAO치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여러 인종의 맨 피부의 아름다움과 MAX-RAO치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X-RAO치의 범위가 3∼5가 되면 인종에 관계없이 우수한 맨 피부의 질감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경우에 맨 피부의 아름다움은 대단히 아름다움을 평점 5로, 대단히 아름답지 않음을 평점 0으로 하여 5명의 전문 평가자에 의해 평가하고, 그 평균평점을 대표치로서 사용한다. 맨 피부의 아름다움에 대한 평가의 요소로서는 피부의 질감, 피부의 부드러움, 피부의 투명감, 피부의 광택, 피부의 유연성, 고르지 않은 색이 없는 정도 등을 들 수가 있다.
그러므로 MAX-RAO치를 측정하여, 그 값이 아름다운 피부표준에 가까운가를 판단하면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연스럽게 아름다운 맨 피부를 표준으로 삼는다면, 아름다운 피부표준의 것에 가까운 MAX-RAO치의 화장품을 맨 피부의 질감을 주는 자연스러운 메이크업을 실현하는 화장품으로 평가한다. MAX-RAO치가 적은 화장품은 매트 마무리가 되는 화장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조사하는 가시광의 입사각이 85도 및 40도의 경우에는, MAX-RAO치가 4∼7이면 맨 피부의 질감을 주는 아름다운 메이크업을 실현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입사각이 변화하면 이들 값도 변화한다. 이와 같은 평가방법은 파운데이션의 평가에 가장 적합하지만, 눈 화장, 볼 색, 입술 색 등의 평가에도 전레에 없는 표준으로서 활용할 수가 있다.
2방향을 넘는 방향으로부터의 가시광도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면 보다 많은정보를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실행하기가 복잡한 것에 비해 얻어지는 정보는 비교적 많지 않다. 따라서 2방향으로부터의 가시광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편이 실제면에서 바람직하다.
광은 여러 방향으로부터 개별로 또는 동시에 조사할 수가 있다. 그러나 개별로 조사한 후에 복수의 분광스펙트럼을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측정이 용이하고, 조작이 편리하고, 단시간의 측정이 용이한 등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물론 반사광의 분석에 있어서는, MAX-RAO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지표로서 패턴의 유사성을 분석한다거나, 적분치를 분석한다거나, 차의 제곱의 평균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것들도 본 발명의 평가방법중에 속한다. 그러나 편리하고 적합하다는 관점에서 MAX-RAO치를 이용하여 비교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분광분석은 시판의 분광기를 사용한 종래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평가방법은 은폐력지수, 감광도시험 등의 다른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과 병용해서 활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평가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II. 본 발명의 분체조성물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분체조성물을 고른 평면으로 가공할 경우에는, 화장품이나 도료의 적합한 특정 범위내의 평면에 대한 MAX-RAO치가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분체조성물은 상술한 MAX-RAO치중의 MAX-RAO'치를 지표로서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MAX-RAO'치는 분체조성물을 고르게 충전한 부드러운 판면에, 이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40도 및 85도의 2방향으로부터 파장범위가 400∼700nm의 가시광을 조사한 후에 얻어진 2종의 반사광의 반사율로부터 산출한 각 파장의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40도의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85도의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85도의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의 값중 측정 파장범위 내에서의 최대치이며; 이 MAX-RAO'치는 3∼8이 된다.
MAX-RAO'치는 다음과 같은 스텝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1) 판면에 분체조성물을 고르게 배치하고, 이 분체조성물의 판면에 대해 40도의 입사각으로 가시광을 조사하여, 얻어진 반사광의 분광스펙트럼을 측정한다.
2) 동일한 판면에 분체조성물을 고르게 배치하고, 이 분체조성물의 판면에 대해 85도의 입사각으로 가시광을 조사하여, 얻어진 반사광의 분광스펙트럼을 스텝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3) 이와 같이 얻어진 각 파장의 2개의 분광스펙트럼간의 차를 계산하고,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한 값을 MAX-RAO'치로 지정한다. 이 MAX-RAO'치는 피부의 질감을 표시하는 지표가 된다.
MAX-RAO'치가 3∼8인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분체조성물은, 이것을 도포하는 표면에 피부의 질감을 줄 수가 있다. 피부의 질감을 줄 수 있는 MAX-RAO'치는 바람직하기는 3∼8, 더욱 바람직하기는 3∼7, 특히 바람직하기는 4∼6의 범위이다.
분체조성물을 상기의 범위내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분체조성물의 혼합비를 변동시킴으로써 조정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실리카겔이나 실리카산화철 피복의 티타니아 세리사이트 등의 MAX-RAO'치가 높은 분체의 배합비율을 증가시키면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MAX-RAO'치가 높은 조성물을 미리 제조해두면, 통상품의 보간계산에 의해 용이하게 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한 분체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분체는 화장품이나 도료로 사용할 수 있는 분체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는 실리카겔, 탤크, 세리사이트, 벤토나이트, 마이카, 티탄 마이카, 아크릴수지의 소구체, 산화티탄, 산화철, 군청, 감청, 카본블랙, 산화아연,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알루미나, 규산칼슘, 탄산칼슘 등을 들 수가 있다. 물론 이들 분체는 실리콘이나, 금속성검등으로 표면처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분체조성물은 화장품이나 도료로서 적합하다. 분체조성물을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이들 제조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임의성분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임의성분로서는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등의 탄화수소류, 요요버유, 경랍 등의 에스테르류, 우지, 올리브유 등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류, 세타놀, 오레일 알콜 등의 고급 알콜류,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의 지방산, 글리세린, 1,3-부탄디올 등의 다가알콜류, 비이온 계면활성제, 아니온 계면활성제, 카티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에타놀, 카보폴 등의 증점제,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항산화제, 색소, 분체류를 화장품용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들 수가 있다. 도료용으로서는 피막형성제, 결합제, 분산제, 가소제, 방청제, 용제를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분테조성물은 화장품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메이크업 화장품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여성 평가자 10명을 임의로 선정하고, 마무리가 다른 2종의 파운데이션, 즉 매트형 파운데이션(파운데이션 1)과 투명형 파운데이션(파운데이션 2)을 사용하여 화장하였다. 그들의 맨 피부와 상술한 파운데이션으로 화장한 피부에 대해 85도 및 40도로 가시광을 조사하였다. 그 반사광을 분광광도계(U-3500 분광광도계, Hitachi Ltd.제)에 의해 분석하였다. 다음에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40도의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85도의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85도의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의 값을 산출하여, 그 최대치인 MAX-RAO치를 구하였다.
동시에 5명의 전문 평가자에 의해 투명감과 자연감의 관점에서 그 화장마감 결과를 평가하였다. 투명감의 평가에 있어서는 피부색이 타일과 같이 아주 진하게 보인 것을 평점 0으로, 평가자 자신의 피부와 같이 보이는 것 을 평점 10으로 채점하였고; 자연감의 평가에 있어서도 피부색이 타일과 같이 아주 진하게 보인 것을 평점 0으로, 평가자 자신의 피부와 같이 보이는 것 을 평점 10으로 채점하였다.
도 6은 각 파운데이션의 마무리와 맨 피부의 MAX-RAO치의 변화를 나타낸다. 투명감의 평균평점은 파운데이션 1이 5.8, 파운데이션 2가 8.4이었다. 자연스러운 화장의 평균평점은 파운데이션 1이 4.9, 파운데이션 2가 8.8이었다. 이들 결과에 의해 MAX-RAO치가 맨 피부의 값에 가까운 화장은 다른 사람이 평가할 경우에, 맨 피부의 감을 주는 아름다운 화장이 된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1명의 평가자에 의해 볼의 색에 관해 평가하였다. 매트형의 볼색(볼색 1)과 자연감을 주는 볼색(볼색 2)을 사용하였다. 볼색 1에 대한 MAX-RAO치는 1.8, 볼색 2에 대한 MAX-RAO치는 3.1이었다. 맨 피부에 대한 MAX-RAO치는 2.8이었다. 투명감의 평점은 볼색 1이 4.9, 볼색 2가 7.6이었고; 자연스러운 화장의 평점은 볼색 1이 5.3, 볼색 2가 8.1이었다. 이들 결과에 의해 MAX-RAO치가 맨 피부의 값에 가까운 화장은 다른 사람이 평가할 경우에, 맨 피부의 감을 주는 아름다운 화장이 된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실시예 3)
하기에 나타낸 처방에 의해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A)로 나타낸 성분을 평량하여 헨셀 믹서에 주입하여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충분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0.7mm 구멍들의 스크린을 장착한 분쇠기로 응집된 것을 분쇠한 후, 헨셀 믹서에 다시 복귀시키고 나서, 저속회전으로 교반하면서 성분 (B)를 적하하여 피복하였다. 그 후에 생성물을 고속회전으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1.0mm의 헤링본 스크린을 장착한 분쇠기로 응집된 것을 분쇠하고 금속접시에 충전한 다음, 가압성형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 가압성형된 제품의 표면에 대해 MAX-RAO치를 측정하였더니 3.8이었다. 특별한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원료를 조합한 것만으로도 MAX-RAO치를 3∼6로 조정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실리카산화철 피복의 티타니아 마이카를 어느 정도 가하여도 이 값을 증가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가 있다.
(A)
(단위: 중량부)
실리카산화철 피복 티타니아 마이카16
실리콘처리 마이카14
실리콘처리 세리사이트15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 4
실리콘처리 티타니아 마이카18
실리콘처리 2산화티탄12
실리콘처리 탤크 3
실리콘처리 황색산화철 2
실리콘처리 적색산화철 1
나일론분말 5
(B)
(단위: 중량부)
디메티콘 5
스칼란 5
(실시예 4)
하기에 나타낸 처방에 의해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A)로 나타낸 성분을 평량하여 헨셀 믹서에 주입하여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충분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0.7mm 구멍들의 스크린을 장착한 분쇠기로 응집된 것을 분쇠하였다. 그 후에 헨셀 믹서에 복귀시키고 나서, 저속회전으로 교반하면서 성분 (B)를 적하하여 피복하였다. 그 후에 생성물을 고속회전으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1.0mm의 헤링본 스크린을 장착한 분쇠기로 응집된 것을 분쇠하고 금속접시에 충전한 다음, 가압성형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 가압성형된 제품의 표면에 대해 MAX-RAO치를 측정하였더니 4.1이었다. 특별한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원료를 조합한 것만으로도 MAX-RAO치를 3∼6로 조정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실리카산화철 피복의 티타니아 마이카를 어느 정도 가하여도 이 값을 증가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가 있다.
(A)
(단위: 중량부)
실리콘처리 적색산화철 1
실리콘처리 황색산화철 0.9
실리콘처리 군청 0.1
실리콘처리 2산화티탄28
실리콘처리 티타니아 마이카 6
실리카산화철 피복 티타니아 세리사이트16
실리콘처리 철베이킹 2산화 티탄 1
실리콘처리 세리사이트30
실리콘처리 티타니아 마이카 5
(B)
(단위: 중량부)
디메티콘12
(실시예 5)
하기에 나타낸 처방에 의해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A)로 나타낸 성분을 평량하여 헨셀 믹서에 주입하여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충분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0.7mm 구멍들의 스크린을 장착한 분쇠기로 응집된 것을 분쇠하였다. 헨셀 믹서에 복귀시키고 나서, 저속회전으로 교반하면서 성분 (B)를 적하하여 피복하였다. 그 후에 생성물을 고속회전으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1.0mm의 헤링본 스크린을 장착한 분쇠기로 응집된 것을 분쇠하고 금속접시에 충전한 다음, 가압성형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 가압성형된 제품의 표면에 대해 MAX-RAO치를 측정하였더니 3.1이었다. 특별한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원료를 조합한 것만으로도 MAX-RAO치를 3∼6로 조정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실리카산화철 피복의 티타니아 마이카를 어느 정도 가하여도 이 값을 증가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가 있다.
(A)
(단위: 중량부)
실리카산화철 피복 티타니아 마이카10
실리콘처리 마이카16
실리콘처리 세리사이트19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 4
실리콘처리 티타니아 마이카18
실리콘처리 2산화티탄12
실리콘처리 탤크 3
실리콘처리 황색산화철 2
실리콘처리 적색산화철 1
나일론분말 5
(B)
(단위: 중량부)
디메티콘 5
스칼란 5
(실시예 6)
하기에 나타낸 처방에 의해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A)로 나타낸 성분을 평량하여 헨셀 믹서에 주입하여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충분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0.7mm 구멍들의 스크린을 장착한 분쇠기로 응집된 것을 분쇠하였다. 헨셀 믹서에 복귀시키고 나서, 저속회전으로 교반하면서 성분 (B)를 적하하여 피복하였다. 그 후에 생성물을 고속회전으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1.0mm의 헤링본 스크린을 장착한 분쇠기로 응집된 것을 분쇠하고 금속접시에 충전한 다음, 가압성형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 가압성형된 제품의 표면에 대해 MAX-RAO치를 측정하였더니 3.3이었다.
특별한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원료를 조합한 것만으로도 MAX-RAO치를 3∼6로 조정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실리카산화철 피복의 티타니아 마이카를 어느 정도 가하여도 이 값을 증가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가 있다.
(A)
(단위: 중량부)
실리카산화철 피복 티타니아 마이카10
실리콘처리 마이카14
실리콘처리 세리사이트15
연무상 실리카겔 6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 4
실리콘처리 티타니아 마이카18
실리콘처리 2산화티탄12
실리콘처리 탤크 3
실리콘처리 황색산화철 2
실리콘처리 적색산화철 1
나일론분말 5
(B)
(단위: 중량부)
디메티콘 5
스칼란` 5
(참고예)
하기에 나타낸 처방에 의해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A)로 나타낸 성분을 평량하여 헨셀 믹서에 주입하여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충분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0.7mm 구멍들의 스크린을 장착한 분쇠기로 응집된 것을 분쇠하였다. 헨셀 믹서에 복귀시키고 나서, 저속회전으로 교반하면서 성분 (B)를 적하하여 피복하였다. 그 후에 생성물을 고속회전으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1.0mm의 헤링본 스크린을 장착한 분쇠기로 응집된 것을 분쇠하고 금속접시에 충전한 다음, 가압성형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 가압성형된 제품의 표면에 대해 MAX-RAO치를 측정하였더니 2.7이었다. 이 결과에 의해 종래의 파운데이션은 MAX-RAO치가 낮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A)
(단위: 중량부)
실리콘처리 2산화티탄 12.5
실리콘처리 적색산화철 1
실리콘처리 황색산화철 2
실리콘처리 마이카37
실리콘처리 탤크 30
실리콘처리 세리사이트11
셀루로스분말 3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5
(B)
(단위: 중량부)
스칼란` 6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0.5
유산 옥틸도데실 2
디메티콘 2.5
(실시예 7)
평가시험
실시예 3∼6와 참고예에서 제조한 파운데이션을 사용하여 화장한 모델들과 5명의 평가자에 의해 하기에 나타낸 항목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화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평균평점으로서 표 1에 나타낸다. 이 결과에 의해 MAX-RAO치가 3을 넘으면, 트러블 등의 은폐효과가 증가하지만 자연스러운 화장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MAX-RAO치가 4를 넘은 것은 현저한 화장효과가 있다는 것도 알 수가 있다.
(평가항목과 평점기준)
(1) 파운데이션이 트러블을 은폐할 수 있는가:
평점 5: 은폐가 양호하다; 평점 4: 은페가 비교적 양호하다; 평점 3: 은폐할 수 있다; 평점 2: 은폐에 약간의 문제가 있다; 평점 1: 은폐에 문제가 있다; 평점 0: 전혀 은폐할 수 없다.
(2) 메이크업이 자연스럽게 보이는가:
평점 5: 대단히 자연스럽게 보인다; 평점 4: 비교적 자연스럽게 보인다; 평점 3: 자연스럽게 보인다; 평점 2: 약간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평점 1: 상당히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평점 0: 완전히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3) 메이크업이 아름다운가:
평점 5: 대단히 아름답다; 평점 4: 만족스러운 아름다움이다; 평점 3: 아름답다; 평점 2: 약간의 문제가 있다; 평점 1: 문제가 있다; 평점 0: 논외.
[표 1]
(실시예 8)
하기에 나타낸 처방에 의해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성분을 헨셀 믹서에 의해 혼합하고, 0.7mm 구멍들의 스크린을 장착한 분쇠기로 응집된 것을 분쇠하여 분체조성물을 얻었다. MAX-RAO치는 4.3이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분체조성물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마네킨인형의 표면에 부착하였다. 그 결과 마네킨인형은 사람과 같이 보였다. 이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의 분체조성물은 도료로서도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방성분
(단위: 중량부)
실리콘처리 적색산화철 1.3
실리콘처리 황색산화철 1
실리콘처리 군청 0.1
실리콘처리 2산화티탄31.8
실리콘처리 티타니아 마이카 6.8
실리카산화철처리 티타니아 세리사이트18.2
실리콘처리 철베이킹 2산화 티탄 1.1
실리콘처리 세리사이트34
실리콘처리 티타니아 세리사이트 5.7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의 질감이 나타나고 피부가 아름답게 보이는 광학적 이론을 명백히 함과 동시에,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과 피부의 질감을 주는 분체제성물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1)

  1. 메이크업 화장품을 도포한 표면에, 상기 표면에 대해 입사각이 상이한 적어도 2방향으로부터 일정한 범위의 파장을 가진 가시광을 조사하고;
    조사광으로부터 얻어진 복수의 반사광 스펙트럼을 각각 측정하고;
    상기 스펙트럼패턴을 상호간에 비교하는 스텝으로 구성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광은 상기 표면에 대해 입사각이 10∼60도의 가시광과 상기 표면에 대해 입사각이 75∼90도의 가시광으로 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광은 400∼700nm의 범위의 파장을 갖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광 스펙트럼은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광은 상기 표면에 대해 입사각이 상이한 2방향으로부터 조사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광은 상기 표면에 대해 입사각이 10∼60도의 가시광과, 상기 표면에 대해 입사각이 75∼90도의 가시광으로 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공정은
    상기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상이한 2방향으로부터 파장범위가 400∼700nm의 가시광을 조사하고;
    상기 조사광으로부터 얻어진 2개의 반사광의 스펙트럼을 각가 측정하고;
    하기의 수학식 1:
    [수학식 1]
    여기서 A는 상기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큰 쪽의 조사광으로부터의 반사광의 반사율을 표시하고; B는 상기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작은 쪽의 조사광으로부터의 반사광의 반사율을 표시하고; [(B-A)/A ]max는 상기 파장범위내의 최대치 (B-A)/A를 표시한다.
    에 의해 상기 파장범위내의 각 반사광 스펙트럼의 반사율로부터 MAX-RAO치를 구하고;
    상기 MAX-RAO치를 지표로서 이용하여 스펙트럼패턴을 비교하는 스텝으로 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은 파운데이션으로 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9. 분체조성물로 고르게 충전한 부드러운 표면에, 상기 표면에 대해 40도 및 85도의 입사각으로 파장범위가 400∼700nm인 가시광을 조사한 후에 얻어지는 2개의 반사광의 스펙트럼의 반사율로부터 다음의 수학식 2:
    [수학식 2]
    MAX-RAO'=[(B'A'/A']max
    여기서 A'는 상기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85도인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을 표시하고; B'는 상기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40도인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반사율을 표시하고; [(B'A'/A']max는 파장범위내의(B'A')/A'의 최대치를 표시한다.
    에 의해 산출산 값인 MAX-RAO'치가 3∼8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리카겔, 세라이트, 탤크, 세리사이트등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무기분체로 조성되는 분체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또는 도료에 사용되는 분체조성물.
KR1019970024540A 1996-06-13 1997-06-13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및 분체조성물 KR199800240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424096 1996-06-13
JP96-174240 1996-06-13
JP96-263443 1996-09-12
JP26354396 1996-09-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052A true KR19980024052A (ko) 1998-07-06

Family

ID=2649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540A KR19980024052A (ko) 1996-06-13 1997-06-13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및 분체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88879A (ko)
KR (1) KR19980024052A (ko)
AU (1) AU715053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4102A1 (ko) * 2015-08-26 2017-03-02 코스맥스 주식회사 근적외선 차단 효과 평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15053B2 (en) * 1996-06-13 2000-01-13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Method for evaluating make-up cosmetic product and powder composition
US6117435A (en) * 1998-06-24 2000-09-12 Color Access, Inc. Natural look cosmetic compositions
US7235230B2 (en) * 2001-10-24 2007-06-26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Leave-on compositions for personal care
FR2844516B1 (fr) * 2002-09-18 2006-06-02 Oreal Pigment interferentiel et composition cosmetique comportant un tel pigment
US8154612B2 (en) * 2005-08-18 2012-04-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for color classification, and for skin color detection
CN102331399A (zh) * 2011-09-02 2012-01-25 东华大学 通过太阳光紫外光谱检测化妆品uva防晒效果的方法
CN117517595B (zh) * 2024-01-04 2024-03-26 三立慧评(北京)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化妆品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3141A (en) * 1987-07-20 1989-01-25 Kao Corp Transparency measuring method
JPH01192332A (ja) * 1988-01-22 1989-08-02 Nicolas Foss Pierre 皮膚の変化を客観的に検出する装置
JPH01262404A (ja) * 1988-04-12 1989-10-19 Sumitomo Metal Ind Ltd 分光干渉縞法測定装置
JPH0477633A (ja) * 1990-07-19 1992-03-11 Suga Shikenki Kk 測色計
JPH057555A (ja) * 1991-07-05 1993-01-19 Kao Corp 皮膚表面解析方法
JPH05220130A (ja) * 1990-08-16 1993-08-31 L'oreal Sa 表面とくに皮膚の輝きを評価するようにした評価装置
JPH0687720A (ja) * 1992-09-08 1994-03-29 Nippon Sheet Glass Co Ltd 鱗片状のシリカを配合した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8550A (en) * 1992-11-06 1995-12-26 Nippon Inorganic Colour & Chemical Co., Ltd. Ultraviolet-shielding agent,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ounded therewith
AU715053B2 (en) * 1996-06-13 2000-01-13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Method for evaluating make-up cosmetic product and powder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3141A (en) * 1987-07-20 1989-01-25 Kao Corp Transparency measuring method
JPH01192332A (ja) * 1988-01-22 1989-08-02 Nicolas Foss Pierre 皮膚の変化を客観的に検出する装置
JPH01262404A (ja) * 1988-04-12 1989-10-19 Sumitomo Metal Ind Ltd 分光干渉縞法測定装置
JPH0477633A (ja) * 1990-07-19 1992-03-11 Suga Shikenki Kk 測色計
JPH05220130A (ja) * 1990-08-16 1993-08-31 L'oreal Sa 表面とくに皮膚の輝きを評価するようにした評価装置
JPH057555A (ja) * 1991-07-05 1993-01-19 Kao Corp 皮膚表面解析方法
JPH0687720A (ja) * 1992-09-08 1994-03-29 Nippon Sheet Glass Co Ltd 鱗片状のシリカを配合した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4102A1 (ko) * 2015-08-26 2017-03-02 코스맥스 주식회사 근적외선 차단 효과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478497A (en) 1997-12-18
US5888879A (en) 1999-03-30
AU715053B2 (en) 200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3763B2 (ja) メイクアップ補助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4698110B2 (ja) シャドー効果化粧用組成物
EP1110535A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hollow metal oxide plate powder
JP2009515946A (ja) 鮮明さを付与する組成物および方法
JP4438310B2 (ja) 化粧品用添加剤
KR19980024052A (ko) 메이크업 화장품의 평가방법 및 분체조성물
US7628998B2 (en) Colored cosmetic compositions with pearlescent and color pigment blends
JP3456778B2 (ja) コアシェル顔料及びこれを含有するメークアップ化粧料
Guichard et al. Facial foundation
US8703162B2 (en) Base makeup cosmet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849761B2 (ja) 質感に基づく化粧方法及び質感イメージマップ
TWI388341B (zh) 印象控制劑
JPH10139629A (ja) 粉体組成物
JP4709643B2 (ja) 肌の印象演出方法
JP4627960B2 (ja) 化粧料
JP2004123682A (ja) 着色顔料及び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3643528B2 (ja) パール感を有する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2001000421A (ja) 表情のシミュレート法
JP3492966B2 (ja) 化粧料
JP3838820B2 (ja) 粉体の評価法
JPH1062338A (ja) メークアップ化粧料の評価方法
JP7441168B2 (ja) 有色メタリック効果を有するメイクアップ用皮膜
CN109745234B (zh) 一种彩色金属膜效果的化妆品
JP2003012458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6947551B2 (ja) 面の状態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