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790U - 버스용 루프 랙의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용 루프 랙의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790U
KR19980023790U KR2019960037178U KR19960037178U KR19980023790U KR 19980023790 U KR19980023790 U KR 19980023790U KR 2019960037178 U KR2019960037178 U KR 2019960037178U KR 19960037178 U KR19960037178 U KR 19960037178U KR 19980023790 U KR19980023790 U KR 199800237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door
hinge
rope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찬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7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3790U/ko
Publication of KR199800237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79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03Luggage racks, e.g. for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루프 랙의 크기보다 큰 물건을 넣을 경우에 이를 도어가 받치고, 로프가 지지하게 하여 물건이 떨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버스용 루프 랙의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랙의 전방에 록킹수단을 갖고 힌지경첩으로 설치되는 랙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힌지경첩을 랙의 하부에 설치하여 도어가 랙의 하부를 중심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하고, 상기 도어와 랙 사이에 착탈가능한 로프를 설치하여 도어를 열은 상태에서 도어가 물건을 받침과 아울러 로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용 루프 랙의 도어 구조
본 고안은 버스의 루프 측에 설치되는 랙(rack)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랙의 크기보다 큰 물건을 랙에 보관시 도어가 물건을 받침과 동시에 지지할 수 있게 하여 보다 큰 물건의 보관을 가능하게 하고, 물건이 차량의 운행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용 루프 랙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속버스의 경우 승객 물건의 보관 편의를 위해 실내에는 루프 양측으로 랙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승객은 랙을 이용하여 물건을 보관함으로서 쾌적한 여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승객이 소지한 물건이 커서 랙에 완전히 들어가지 못하게 되면 하물 칸을 이용하거나 아니면 승객이 직접 물건을 소지하고 여행을 하게 되는 문제가 따른다.
도 2는 종래 버스의 루프 측에 설치되는 랙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격벽을 갖고 설치되는 랙(50)에 각각의 도어(5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52)는 상부가 랙(50)에 힌지경첩(54)으로 설치되어 있고, 록킹수단(56)이 설치되어 랙(50)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52)를 열고 물건을 랙(50) 내에 넣은 후 도어(52)를 닫게 되면 도어(52)는 록킹수단(54)에 의해 랙(50)에 잠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물건이 랙(50) 내에 완전히 들어가 도어(52)를 닫게 되면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만약의 경우 물건(P)의 크기가 랙(50)보다 클 경우에는 도어(52)를 열은 상태에서 랙(50)에 물건(P)이 걸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물건(P)의 크기가 커서 도어(52)를 열은 상태로 하여 물건(P)을 랙(50)에 걸쳐진 상태로 보관을 하게 되면 차량의 주행중 랙(50)에 걸쳐 있는 물건이 떨어질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물건이 실내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물건이 손상되고, 승객에서 부상을 입히는 등의 문제가 따른다.
본 고안은 물건의 크기가 커서 도어를 열은 상태로 물건을 랙에 보관하더라도 물건이 떨어지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한정된 랙의 크기에서도 큰 물건의 보관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이에 따른 수단으로 랙의 전방에 록킹수단을 갖고 힌지경첩으로 설치되는 랙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힌지경첩을 랙의 하부에 설치하여 도어가 랙의 하부를 중심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하고, 상기 도어와 랙 사이에 착탈가능한 로프를 설치하여 도어를 열은 상태에서 도어가 물건을 받침과 아울러 로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루프 랙 도어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루프 랙 도어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랙52 : 랙 도어
54 : 힌지경첩56 : 록킹수단
60 : 로프62 : 걸고리
64, 66 : 링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보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루프 랙 도어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랙(50)의 전방에 록킹수단(56)을 갖고 힌지경첩(54)으로 설치되는 랙 도어(52)에 있어서, 상기 도어(52)의 힌지경첩(54)을 랙(50)의 하부에 설치하여 도어(52)가 랙(50)의 하부를 중심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도어(52)와 랙(50) 사이에 복수의 로프(60)를 설치하여 도어(50)를 열은 상태에서 도어(50)가 물건(P)을 받침과 아울러 로프(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로프(60)는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로프(60)에 형성된 걸고리(62)를 랙(50)에 형성된 링(64)에서 빼내어 도어(52)에 설치된 링(66)에 걸어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물건(P)의 크기가 커서 랙(50) 내로 완전히 들어가지 않게 되면 도어(52)를 열어 물건(P)을 랙(50)에 넣고, 이어서 도어(52)에 있는 루프(60)를 랙(50)에 설치된 링(64)에 건다. 따라서 도어(52)가 물건(P)을 받쳐주게 되고, 로프(60)가 지지되게 되어 차량의 주행중 물건(P)이 랙(50)에서 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루프 랙 도어가 하부를 중심으로 열리고 도어와 랙 사이에 착탈가능한 루프를 설치한 것에 의해 루프 랙의 크기보다 큰 물건을 넣을 경우에 이를 도어가 받치고, 로프가 지지하게 되어 물건이 떨어지지 않게 됨으로서 큰 물건을 안전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큰 물건의 보관을 확대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루프 랙의 크기보다 큰 물건을 넣을 경우에 이를 도어가 받치고, 로프가 지지하게 하여 물건이 떨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버스용 루프 랙의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1)

  1. 랙(50)의 전방에 록킹수단(56)을 갖고 힌지경첩(54)으로 설치되는 랙 도어(52)에 있어서,
    상기 도어(52)의 힌지경첩(54)을 랙(50)의 하부에 설치하여 도어(52)가 랙(50)의 하부를 중심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하고, 상기 도어(52)와 랙(52) 사이에 착탈가능한 로프(60)를 설치하여 도어를 열은 상태에서 도어가 물건을 받침과 아울러 로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루프 랙의 도어 구조.
KR2019960037178U 1996-10-31 1996-10-31 버스용 루프 랙의 도어 구조 KR199800237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178U KR19980023790U (ko) 1996-10-31 1996-10-31 버스용 루프 랙의 도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178U KR19980023790U (ko) 1996-10-31 1996-10-31 버스용 루프 랙의 도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790U true KR19980023790U (ko) 1998-07-25

Family

ID=5398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178U KR19980023790U (ko) 1996-10-31 1996-10-31 버스용 루프 랙의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379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1756A (zh) * 2023-07-21 2023-09-05 江阴奇南机械有限公司 一种防掉落行李架及轨道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1756A (zh) * 2023-07-21 2023-09-05 江阴奇南机械有限公司 一种防掉落行李架及轨道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1229A1 (en) Vehicle tailgate storage apparatus
RU2219080C1 (ru) Багажная полка самолета
KR19980023790U (ko) 버스용 루프 랙의 도어 구조
US6739742B2 (en) Overhead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s
KR101951855B1 (ko) 차량용 인출식 적재장치
KR200143425Y1 (ko) 트럭 적재함의 로프걸이
KR20180115965A (ko) 루프랙이 필요없는 접이식 루프박스
JPS646364Y2 (ko)
US6457764B1 (en) Concept vehicle
CA2627694A1 (en) Luggage storage unit intended in particular for an aircraft cabin
JPH03136940A (ja) 自動車用荷物棚
KR200158526Y1 (ko) 트렁크 리드 고정 장치
US20020121795A1 (en) Deck lock system
KR100350900B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KR200195567Y1 (ko) 소형 화물차량 장착용 착탈식 물품 보관함
KR200283987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KR200181744Y1 (ko) 트렁크 룸 내의 화물 고정 장치
KR200231471Y1 (ko) 소형 화물차량 후측 장착용 착탈식 물품 보관함
KR19990007823U (ko) 자동차 트렁크 룸용 콘솔 매트
KR900004548Y1 (ko) 버스의 물품 보관함
KR20000001074U (ko) 자동차의 트렁크용 수납함
KR19980029922U (ko) 스키적재장치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후방시트
KR200201993Y1 (ko) 소형 화물차량 장착용 착탈식 물품 보관함
KR0131639Y1 (ko) 장물삽입가능한 트렁크 리드
KR0119123Y1 (ko)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