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623A - 복합 기능의 리모콘 및 그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기능의 리모콘 및 그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623A
KR19980023623A KR1019960043121A KR19960043121A KR19980023623A KR 19980023623 A KR19980023623 A KR 19980023623A KR 1019960043121 A KR1019960043121 A KR 1019960043121A KR 19960043121 A KR19960043121 A KR 19960043121A KR 19980023623 A KR19980023623 A KR 19980023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data
selection
scree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88658B1 (ko
Inventor
박우경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658B1/ko
Priority to US08/901,785 priority patent/US5990803A/en
Publication of KR1998002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2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합 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복합 기능의 리모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의 리모콘은 소정의 메뉴 키 및 선택 키 입력에 의하여 소정의 메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메뉴 선택부,상기 메뉴 디스플레이 명령 또는 선택 명령 입력 시에 이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광신호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콘의 키 선택 방법의 단순화 및 다양한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다양한 홈 서비스를 리모콘을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튼의 수를 줄여 조작하기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 기능의 리모콘 및 그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리모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합 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복합 기능의 리모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리모콘은 단일 제품을 제어하는 역할을 실행하는데, 예를 들어 TV를 제어하는 리모콘은 TV의 기능이나 실행 모드의 변환 등을 제어하는 역할만을 실행하며, 전화 기능을 비롯한 각종 홈 서비스 기능 및 사용 보안 기능 등을 갖지 못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보튼 수가 많아서 각 기능 선택 시에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일 제품의 제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기능의 제어를 실행하는 복합 기능의 리모콘 및 그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의 리모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리모콘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의 리모콘은 소정의 메뉴 키 및 선택 키 입력에 의하여 소정의 메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메뉴 선택부,상기 메뉴 디스플레이 명령 또는 선택 명령 입력 시에 이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광신호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뉴 선택부는 지문 패턴 설정자 이외에는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통제하는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뉴 선택부의 메뉴는 팝-업 디스플레이 방식에 의하여 선택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리모콘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은 소정의 키나 마우스 보튼에 의하여 화면에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표시 과정, 상기 화면 표시된 메뉴 중에서 서비스 받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 선택 과정 및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메뉴 실행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뉴는 인터네트 정보의 서비스를 받는 인터네트 서비스 메뉴 또는 전화 서비스 메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뉴 표시 과정은 소정의 키나 마우스 보튼에 의하여 필요한 기능의 메뉴를 팝-업 윈도우 방식에 의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뉴 표시 과정 앞에 제품의 사용 권한의 유무를 확인하는 사용 권한 확인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 권한 확인 과정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뉴 선택 과정은 리모콘의 송신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의 리모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의 리모콘은 실행시키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메뉴 선택부(110), 제품의 사용 권한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120), 입력 명령 및 입력 지문 패턴을 확인하여 이에 상응하는 데이터 및 리모콘 패널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어부(130), 입력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부(140),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리모콘은 일 실시예로 TV에 적용하는 경우에 기본적으로 TV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위의 복합적인 기능의 예로서, 인터네트 정보 서비스 기능, 전화 걸기 기능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의 리모콘을 TV에 적용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메뉴 선택부(110)는 리모콘이 적용되는 TV의 동작 및 이에 부가되는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또는 마우스 보튼으로 구성된다. 메뉴 선택부(110)의 키의 구성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팝-업 디스플레이 방식(POP-UP DISPLAY)을 이용하면 메뉴 키와 선택 키에 의하여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팝-업 디스플레이 방식이란 평소에는 화면에 보이지 않다가 키나 마우스의 버튼을 누르면 화면에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방식으로 리모콘 송신부를 이동시켜 해당 메뉴에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이동시킨 후에 선택키를 이용하여 주 메뉴에서부터 서브 메뉴 등의 세부적인 동작 실행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뉴 키에 의하여 서브 메뉴에서 주 메뉴로의 변환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메뉴 선택은 단지 2개의 키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지문 인식부(120)는 제품의 사용권 유무를 확인하여 초기에 설정하여 놓은 지문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위에서 언급한 선택된 메뉴를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즉, 리모콘 제어의 보안 기능을 실행한다.
지문 인식부(120)의 구성은 패턴 인식 칩(CHIP)과 지문 패턴의 저장을 위한 롬(ROM)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30)는 메뉴 선택부(110)의 키 명령을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메뉴 키가 입력되면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시키고, 선택 키가 입력되면 TV의 제어부(도면에 미도시)가 인식할 수 있는 광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그리고 지문 인식부(120)의 입력 지문 패턴이 초기 설정된 지문 패턴과 동일한 경우에만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키는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선택된 메뉴 데이터의 출력을 방지하는 역할도 실행한다. 이와 더불어 표시부(150)로 현재 시간 데이터, 전화 번호 데이터, 기타 리모콘의 상태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데이터 송신부(140)는 입력된 메뉴 선택 명령의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TV로 송신한다.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광을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대로 한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표시부(150)는 현재 시간 데이터, 전화 번호 데이터, 기타 리모콘의 상태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를 문자 또는 화상으로 나타낸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본 발명의 리모콘은 위의 복합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콘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인 리모콘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은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 과정(210), 입력 명령을 내린 사용자가 사용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사용 권한 판단 과정(220), 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 오프 과정(230), 화면에 주 메뉴를 표시하는 주 메뉴 표시 과정(240), 화면에 표시된 주 메뉴 중의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는 주 메뉴 선택 과정(250), 화면에 선택한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서브 메뉴 표시 과정(260), 화면에 표시된 서브 메뉴 중의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는 서브 메뉴 선택 과정(270), 선택한 서브 메뉴의 데이터 입력 및 이에 상응하는 모드를 실행하는 메뉴 실행 과정(280)으로 구성된다.
지문 인식 과정(210)은 리모콘의 지문 인식판을 통하여 입력되는 지문에 대한 패턴을 인식하고 데이터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사용 권한 판단 과정(220)은 지문 인식판을 통하여 입력된 지문 패턴에 대한 데이터와 초기에 사용권자의 지문 패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 이피롬(EPROM)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만일 위의 사용 권한 판단의 결과 양 데이터가 다르게 확인되면, 지문을 입력한 자는 사용권이 없는 자이므로 전원 오프 과정(230)에 의하여 전원이 오프된다.
그러나 위의 사용 권한 판단의 결과 양 데이터가 동일하면, 지문 입력자는 사용권을 획득한 자이므로 다음의 과정들을 실행한다.
주 메뉴 표시 과정(240)은 리모콘의 메뉴 키가 입력되면 최상위의 메뉴가 화면에 표시된다. 주 메뉴의 종류는 TV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본 메뉴, 인터네트 정보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인터네트 서비스 메뉴, 리모콘을 통해 전화를 거는 전화 서비스 메뉴 등을 들 수 있다.
주 메뉴 선택 과정(250)은 리모콘 송신부를 이동시켜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된 주 메뉴 중에서 하나의 메뉴의 위치에 도달하게 한 후에 선택키를 눌러서 해당 메뉴를 선택한다.
서브 메뉴 표시 과정(260)은 주 메뉴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주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이다.
서브 메뉴 선택 과정(270)은 리모콘의 송신부를 이동시켜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화면에 표시된 서브 메뉴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메뉴 실행 과정(280)은 선택한 서브 메뉴가 실행을 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입력한 후에 선택한 메뉴의 동작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고 서브 메뉴의 선택만으로 만족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메뉴의 동작을 실행하는 과정이다.
즉, 선택한 주 메뉴가 전화 서비스 메뉴인 경우에는 서브 메뉴에서 전화 걸기 메뉴를 선택하고, 서브 메뉴 선택 후에는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하여야 전화 걸기의 동작을 실행한다.
그러나 선택한 메뉴가 서브 메뉴의 선택만으로 동작되는 경우 즉, 채널 업/다운 동작 메뉴 등은 서브 메뉴의 선택만으로 선택한 메뉴의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리모콘에 의하여 복합 제품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콘의 키 선택 방법의 단순화 및 다양한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다양한 홈 서비스를 리모콘을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튼의 수를 줄여 조작하기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소정의 메뉴 키 및 선택 키 입력에 의하여 소정의 메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메뉴 선택부;
    상기 메뉴 디스플레이 명령 또는 선택 명령 입력 시에 이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광신호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의 리모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선택부는 지문 패턴 설정자 이외에는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통제하는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의 리모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선택부의 메뉴는 팝-업 디스플레이 방식에 의하여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의 리모콘.
  4. 소정의 키나 마우스 보튼에 의하여 화면에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표시 과정;
    상기 화면 표시된 메뉴 중에서 서비스 받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 선택 과정; 및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메뉴 실행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인터네트 정보의 서비스를 받는 인터네트 서비스 메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리모콘으로 전화를 거는 전화 서비스 메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표시 과정은 소정의 키나 마우스 보튼에 의하여 필요한 기능의 메뉴를 팝-업 윈도우 방식에 의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표시 과정 앞에 제품의 사용 권한의 유무를 확인하는 사용 권한 확인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권한 확인 과정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선택 과정은 리모콘의 송신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에 의한 복합 제품의 제어 방법.
KR1019960043121A 1996-09-30 1996-09-30 복합 기능의 리모콘 및 그에 의한 복합 제품의제어 방법 KR100188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121A KR100188658B1 (ko) 1996-09-30 1996-09-30 복합 기능의 리모콘 및 그에 의한 복합 제품의제어 방법
US08/901,785 US5990803A (en) 1996-09-30 1997-07-28 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multiple appliance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121A KR100188658B1 (ko) 1996-09-30 1996-09-30 복합 기능의 리모콘 및 그에 의한 복합 제품의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623A true KR19980023623A (ko) 1998-07-06
KR100188658B1 KR100188658B1 (ko) 1999-06-01

Family

ID=1947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121A KR100188658B1 (ko) 1996-09-30 1996-09-30 복합 기능의 리모콘 및 그에 의한 복합 제품의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90803A (ko)
KR (1) KR100188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4930E1 (en) 1999-04-30 2014-06-03 France Brevets Data exchange system with a mobile component to control consum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2018A (en) * 1997-01-17 2000-09-19 Sony Corporatio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external input terminals thereof
US6255961B1 (en) * 1998-05-08 2001-07-03 Sony Corporation Two-way communications between a remote control unit and one or more devices in an audio/visual environment
JP3329307B2 (ja) * 1999-03-16 2002-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US6256019B1 (en) * 1999-03-30 2001-07-03 Eremote, Inc. Methods of u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multi-user access to the functionality of consumer devices
JP3663075B2 (ja) * 1999-04-05 2005-06-22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4378576B2 (ja) * 1999-05-18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方法、供給装置および方法、双方向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7642895B2 (en) * 1999-12-20 2010-01-05 The Chamberlain Group, Inc. Garage door operator having thumbprint identification system
US7239227B1 (en) 1999-12-30 2007-07-03 Upek, Inc. Command interface using fingerprint sensor input system
JP3868701B2 (ja) * 2000-03-21 2007-01-17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キーシステム
US7187947B1 (en) * 2000-03-28 2007-03-06 Affinity Lab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select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WO2001091057A2 (en) * 2000-05-23 2001-11-29 Takeshi Harada Fingerprint activated remote input device for personal id recognition and access authentication
US6603462B2 (en) * 2001-03-21 2003-08-05 Multidigit,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functions based on a finger feature such as a fingerprint
CA2463922C (en) 2001-06-27 2013-07-16 4 Media, Inc. Improved media delivery platform
US20030108227A1 (en) * 2001-12-11 2003-06-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capability
GB2388941A (en) * 2002-05-22 2003-11-26 British Broadcasting Corp A remote control with a finger print sensor for user identi cation
NO318169B1 (no) * 2002-12-18 2005-02-14 Svein Mathiassen Anordning for fjernkontroll og autentisering
KR20040082822A (ko) * 2003-03-20 2004-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증방법 및 원격제어장치
US6992562B2 (en) * 2003-06-10 2006-01-3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Biometric keyless entry system
US20060061451A1 (en) * 2004-09-17 2006-03-23 Shoei-Lai Chen Personalized control device having security mechanism
US6990335B1 (en) 2004-11-18 2006-01-24 Charles G. Shamoon Ubiquitous connectivity and control system for remote locations
US7969280B2 (en) * 2007-05-11 2011-06-28 Slevin Richard S Biometric universal security remote
US20090158345A1 (en) * 2007-12-17 2009-06-18 Peter Mortensen Television user mode
WO2010025199A1 (en) * 2008-09-01 2010-03-04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to enhance television viewing
TW201027415A (en) * 2009-01-05 2010-07-16 Wistron Corp Func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for a remote control device
KR20110030908A (ko) * 2009-09-18 2011-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컨의 설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리모컨
CN201898613U (zh) * 2010-09-03 2011-07-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带有人机界面的阵列式数字麦克和数字麦克用遥控器
GB2484468A (en) * 2010-10-11 2012-04-18 Paul Weldon Johnston User authentication and safety system for remote control equipment
KR102018662B1 (ko) * 2017-10-24 2019-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8229121A (zh) * 2017-12-25 2018-06-29 广东长虹电子有限公司 一种家用多功能遥控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326A (en) * 1992-12-04 1995-04-25 Goldstein; Steven W. 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 for interacting with a plurality of remotely controlled devices
US5721583A (en) * 1995-11-27 1998-02-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for implementing electronic polling or providing user-requested services based on identification of users or of remote control apparatuses which are employed by respective users to communicate with th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4930E1 (en) 1999-04-30 2014-06-03 France Brevets Data exchange system with a mobile component to control consu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90803A (en) 1999-11-23
KR100188658B1 (ko)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658B1 (ko) 복합 기능의 리모콘 및 그에 의한 복합 제품의제어 방법
US6822698B2 (en) Remotely controlling video display devices
US7107079B2 (en) Cellular phone set
KR100359834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도움말 기능을 수행 하는 방법
KR20040006855A (ko) 다기능 통합형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31202A (ko)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5621484A (en) User-programmable control device for a television apparatus
KR100764763B1 (ko) 사용자 메뉴 구성 방법
KR101451941B1 (ko) 아이콘 관련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KR101014504B1 (ko) 자리수 키를 이용한 정보 메뉴 설정 장치 및 그 설정방법
KR100297780B1 (ko) 키공유방법및동일기능공유방법
CN107396201B (zh) 电视机本机五键操作方法
EP3247122A1 (en) Image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KR200292435Y1 (ko) 다기능 통합형 리모컨
JP2005142905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0598065B1 (ko) 키 입력 시간에 따른 메뉴 이동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428851B1 (ko) 단축메뉴 설정방법
KR19990040742A (ko) 전화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KR100308310B1 (ko) 화상 전화기의 멀티 키입력 제어방법
KR100247593B1 (ko) 오에스디 메뉴 선택방법
KR100574111B1 (ko) 통합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15940A (ko) 마우스형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를 이용한 기기 제어 방법
KR100531272B1 (ko) 영상기기의 리모콘을 이용한 컴퓨터 화면의 스크롤 제어장치 및 방법
JP3409332B2 (ja) 表示装置
KR2004002386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입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