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559A - 음극선관의 전자빔 그룹/디그룹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전자빔 그룹/디그룹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559A
KR19980023559A KR1019960043053A KR19960043053A KR19980023559A KR 19980023559 A KR19980023559 A KR 19980023559A KR 1019960043053 A KR1019960043053 A KR 1019960043053A KR 19960043053 A KR19960043053 A KR 19960043053A KR 19980023559 A KR19980023559 A KR 19980023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electron beam
magnet
cathode ray
deflect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101996004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3559A/ko
Publication of KR19980023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559A/ko

Link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계를 이용한 전자빔의 그룹/디그룹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형광체의 경화위치와 관계없이 외부영향에 따른 전자빔의 그룹/디그룹 현상이 발생되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보자력을 가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자속밀도를 갖는 마그네트를 편향요크의 하단부 적소에 부착시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전자빔 그룹/디그룹 보정방법.
도 1은 종래의 편향요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넷을 부착시킨 편향요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넷의 부착으로 발생되는 전자빔의 보정과정을 자기력선으로 도시한 것으로, (a)는 그룹시, (b)는 디그룹시를 표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마그넷을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편향요크,16.....보빈,
50.....수평코일,60.....마그네트.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ITC(Integrated Tube Component) 공정중에 전자빔의 그룹/디그룹 현상을 보정할 수 있도록 편향요크의 하단에 마그네트를 부착하여 보상자계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하여 보다 완성도 높은 음극선관을 생산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전자빔 그룹 디그룹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TC 공정중에 행하여지는 편향요크 및 PCM(Purity Convergence Magnet)조립체를 적절하게 조작하여 전자빔의 편향정도를 조정함으로서 빔의 이상편향(Deflection Distortion)에 기인되는 전자빔의 그룹 디그룹현상을 보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제조시에 발생되는 그룹 디그룹 현상을 크게 두가지로 나뉘는 바, 그 첫째는 노광시 판넬 내면에서 폼드 마스크(Formed Mask) 외면까지의 거리인 PM q치가 틀려져서 블루, 그린, 레드로 구성된 1 트리오(Trio) 내의 배열상태가 고르지 못하게 형성되면서 발생되는 것으로 이는 그 원인이 노광시에 발생되므로 차후에 보정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며, 둘째는 전자빔이 편향요크에 의해 편향되어 형광체에 조사될 때에 외부 지자계나 기타 요인에 의하여 레드와 블루가 그린빔이 조사되는 크기보다 작게 조사되어 빔이 한쪽으로 몰리는 그룹현상과 그 반대로 그린빔보다 펴져서 발생되는 디그룹현상으로 대별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도시한 도 1과 같이 거의 완성된 벌브의 표준 색조정이 완료후에 스태틱컨버젼스(Static Convergence)를 조정하여 전자빔의 궤도가 정확하게 수직화면 중심위치(V.R.S)와 수평화면 중심위치(H.R.S)에 고정되도록 하고 그런 연후에 다이나믹컨버젼스(Dynamic Convergence)를 조정하여 편향요크(10')에 의한 ITC 공정을 마무리하면서 보빈(16)을 조임밴드(12)에 의해 조임나사(14)로 벌브의 네크에 고정하고 있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빔의 이상편향으로 인한 그룹 디그룹현상은 철편을 통한 자속의 변화를 일으켜 부분적으로 보정은 하고 있으나 완벽한 보정은 불가하여 고르고 좋은 화질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고려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고른 화질을 갖춘 완벽한 음극선관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전자빔의 자계에 의한 이상편향 즉, 빔의 그룹 디그룹현상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기술적인 과제가 있다할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적정량의 자속밀도(Gauss)를 가진 마그네트를 편향요크의 일단에 부착하여 편형요크에서 발생되는 자계를 플레밍의 왼손법칙으로 적정량 만큼 보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60)를 편향요크(10)에 채용한 모양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부착된 마그네트(60)의 자기력선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마그네트(60)만을 측면 및 정면에서 확대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통하여 잘 알 수 있듯이, 고무소재로 된 마그네트(60)를 편향요크(10)의 네크삽입홈(30) 좌우측으로 보빈(16)의 마그네트접착부(66)에 부착시키되, 전자빔의 그룹을 보정하고자 할 때에는 (2-a)와 같이 S-N, N-S 극이 번갈아 교차되도록 접착시키고, 디그룹을 보정하고자 할 때에는 (2-b)와 같이 N-S, S-N 극이 번갈아 교차되도록 접착시켜서 이루어진 구성인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자빔의 그룹 디그룹 보정방법은, 편향요크(10)에 부착되는 마그네트(60)의 크기 즉, 이 마그네트(60)가 발하는 자속밀도에 따라 그 보정량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아래 도시한 표는 이들 마그네트(60)를 통해 발할 수 있는 최대의 자속과 최소의 자속치를 평균한 것이다.
[표]
**마그네트의 크기에 따른 자속밀도의 변화량**
[A: 두께(T), B: 가로(mm), C: 세로(mm), Z: 자속밀도(Gauss)]
상술한 표의 설명에서와 같은 두께(A)와 가로(B), 세로(C)의 크기로 형성된 마그네트(60)로부터 평균 약 1.55 가우스 정도의 자속분포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전자빔의 그룹현상을 보정하고자 (2-a)와 같이 마그네트(60)를 보빈(16)의 마그네트 접착부(66)에 붙이면, (a)의 D, E와 같이 가상의 자기력선이 분포하는 것이다.
즉, 편향요크(10)의 수평코일(50)에 정방향으로 전류를 인가시키면 암페어(Ampere)의 법칙에 따라 도시된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편향요크(10)의 일측부에서는 마그네트(60)의 N 극으로부터 발생된 자속과 수평코일(50)로부터 발생된 자속이 상쇄되면서 한꺼번에 마그네트(60)의 S극으로 들어가는 D와 같은 현상이 생기고, 그 타측부에서는 수평코일(50)에서 발생된 자속이 D와는 다르게 마그네트(60)의 N 극에서 발생된 자속과 보강되어 S 극으로 유입되는 E와 같은 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D의 경우는 암페어 루프의 자속밀도가 소(疏)해져 자장이 약해져 전자빔이 왼쪽으로 많이 편향되지 않고, E의 경우는 밀(密)해져 자장이 강해지므로 오른쪽으로 빔이 편향되면서 R(레드), B(블루) 빔의 조사폭을 넓혀주어 그룹현상이 보정되는 것으로, 이는 인 라인(In-Line) 형상의 전자총 채용방식을 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전자빔의 디그룹 현상은 수평코일(50)에 인가되는 전류를 역방향으로 하고 마그네트(60)의 N-S 극을 바꾸어 부착함으로써, 도시된 (b)의 F나 G와 같은 자속분포를 이루도록 하는 바, 이는 G(그린) 빔을 중심으로 레드 나 블루 빔이 그린 빔보다 넓은 폭으로 조사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총인 인 라인형으로 형성되므로, 빔의 폭이 특히 넓게 조사되는 빔 부위가 F쪽에 해당하므로 편향요크(60)를 조절하여 해당 마그네트(60)가 F쪽에 위치하도록하여 빔의 편향을 방해하고, 그 외 나머지 빔은 거의 편향되지 않고 고르게 조사되도록 타측의 마그네트(60)가 그린 빔 근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마그네트(60)를 이용한 보정방법을 통하여 각 빔을 15㎛ 정도를 쉬프트시켜 그 범위 내에서 보정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25인치 이상의 대형 관종일 경우에는 동일 마그네트(60)를 2개 정도 포개어 보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를 언급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따른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전자빔의 그룹 디그룹 보정방법은 ITC 공정을 수행하면서 빔의 편향정도를 조정하고 있는 편향요크의 하단부에 소정크기의 자속을 발하는 마그네트를 부착시킴으로서, 전자빔의 외부영향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상편향 현상인 그룹/디그룹을 정해진 범위 내에서 쉽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완성도 높은 음극선관을 생산해 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음극선관의 ITC 공정 수행시 편향요크(10)를 통한 전자빔의 그룹/디그룹을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10)의 수평코일(50)이 권회되는 보빈(16)의 적소에 마그네트(60)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전자빔 그룹/디그룹 보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60)의 자속밀도는 1.5∼1.7 가우스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전자빔 그룹/디그룹 보정방법.
KR1019960043053A 1996-09-30 1996-09-30 음극선관의 전자빔 그룹/디그룹 보정방법 KR19980023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053A KR19980023559A (ko) 1996-09-30 1996-09-30 음극선관의 전자빔 그룹/디그룹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053A KR19980023559A (ko) 1996-09-30 1996-09-30 음극선관의 전자빔 그룹/디그룹 보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559A true KR19980023559A (ko) 1998-07-06

Family

ID=6632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053A KR19980023559A (ko) 1996-09-30 1996-09-30 음극선관의 전자빔 그룹/디그룹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35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757A (ko) * 2001-07-24 2003-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757A (ko) * 2001-07-24 2003-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93050A (ja) テレビジヨン映像表示装置
KR19980023559A (ko) 음극선관의 전자빔 그룹/디그룹 보정방법
KR100219264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컨버젼스요크
KR100313208B1 (ko)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이 없이 컨버전스의 보정이 가능한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FI106893B (fi) Värinäyttöjärjestelmä, joka sisältää itsekonvergoivan, rasterivääristymän korjauksella varustetun poikkeutuskelayksikön
KR950000503Y1 (ko) 편향요크
KR20010039960A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US20020005691A1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eflection unit
KR0131921Y1 (ko) 칼라 음극선관의 퓨리티 컨버전스 마그네트
US7038368B2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having a pair of bar shaped magnets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due to the rotational shift of the electron beams
JPS59101745A (ja) カラ−受像管
KR100510902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의컨버젼스요크구조및제어장치
US6239560B1 (en) System for correcting electron beam from single cathode in color CRT
JP3334861B2 (ja) 偏向ヨーク
KR100274881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포커스 언밸런스 조정장치
KR100294487B1 (ko)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JP3525774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JP3057720B2 (ja) 陰極線管
KR100361836B1 (ko) 편향요크
JP2685797B2 (ja) カラー映像管装置
KR950014059B1 (ko) 편향요크의 라스터 왜곡 보정장치
JP3436002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20050078482A (ko) 새들-토로이달형 편향 요크
JP2002209227A (ja) ランディング補正装置
US20050146276A1 (en) Image-geometry corrector for a cathode-ra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