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218A - 엔진의 출력 향상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출력 향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218A
KR19980022218A KR1019960041310A KR19960041310A KR19980022218A KR 19980022218 A KR19980022218 A KR 19980022218A KR 1019960041310 A KR1019960041310 A KR 1019960041310A KR 19960041310 A KR19960041310 A KR 19960041310A KR 19980022218 A KR19980022218 A KR 19980022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air
duct
air intake
intak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강혁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218A/ko
Publication of KR19980022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218A/ko

Links

Landscapes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에어 인테이크 덕트의 일측으로 형성시킨 과급구조에 의해 흡입 충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므로서 연소력이 보다 증대되도록 하는 엔진의 출력 향상장치에 대한 것이다.
즉 에어 인테이크 덕트 일측으로 보조 덕트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 덕트의 전단부에는 병렬로 각각 축지지용 파이프가 관설되도록 하되 상기 에어 인테이크 덕트와 연통되는 일측의 축지지용 파이프에는 압축용 임펠러가 축설되며, 타측의 축지지용 파이프에는 회전용 임펠러가 상기 압축용 임펠러와 동축상으로 축설되는 구성으로 형성시켜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밀도와 공급량을 증대시키므로서 보다 적은 비용으로 엔진 출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연비를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엔진의 출력 향상 장치
본 발명은 엔진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에어 인테이크 덕트의 일측으로 형성시킨 과급구조에 의해 흡입 충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므로서 연소력이 보다 증대되도록 하는 엔진의 출력 향상장치에 대한 것이다.
차량에서의 흡기는 외기를 에어 클리너를 통해 여과되도록 한 후 에이 인테이크 덕트를 거쳐 스로틀 밸브 조작에 의해서 일정량의 공기가 연소실로 흡입되도록 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이같은 흡기구조는 단순히 실린더에서의 연소력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 부압에 의해 외기를 흡입시키게 되는데 이렇게 형성되는 흡입 부압은 스로틀 밸브가 개도시에만 공기를 흡입시켜 연소실로 공급시키게 된다.
그러나 엔진에서의 공기 흡입량은 직접적으로 혼합기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종전의 엔진 부압에 의한 단순한 흡기구조로는 충분한 연소력을 얻을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점차 엔진의 고출력화가 촉진되면서 고가의 제작비가 소요되는 구조나 장치들이 제안 및 실용화되고 있기는 하지만 그에 대한 소비자의 부담이 커지게 되므로 근본적으로 실용성이 낮은 단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과 단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간단히 에어 인테이크 덕트의 일측으로 별도의 과급구조를 형성시켜 보다 공기의 충진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엔진의 출력 향상장치를 제공코자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으로는 에어 인테이크 덕트 일측으로 보조 덕트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 덕트의 전단부에는 병렬로 각각 축지지용 파이프가 관설되도록 하되 상기 에어 인테이크 덕트와 연통되는 일측의 축지지용 파이프에는 압축용 임펠러가 축설되며, 타측의 축지지용 파이프에는 회전용 임펠러가 상기 압축용 임펠러와 동축상으로 축설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의 (가)도와 (나)도는 축지지용 파이프의 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 인테이크 덕트 2 : 보조 덕트
3, 4 : 축지지용 파이프 5 : 압축용 임펠러
6 : 회전용 임펠러
이를 첨부한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 인테이크 덕트(1)의 일측으로 보조 덕트(2)를 연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보조 덕트(2)의 전단부로는 2개의 축지지용 파이프(3)(4)가 관설되며, 각각의 파이프(3)(4)내에는 임펠러(5)(6)들이 동축선상으로 축설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보조 덕트(2)는 에어 인테이크 덕트(1)와 길이방향으로 병행되는 형상이며, 일단부는 에어 인테이크 덕트(1)에 일정 경사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보조 덕트(2)로부터 유도되는 공기가 에어 인테이크 덕트(1)내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 덕트(2)의 타단부에는 2개의 축지지용 파이프(3)(4)가 관설되도록 하되 일측의 파이프(3)에는 상기의 보조 덕트(2)와 연통되게 관설하며, 타측의 파이프(4)는 상기 축지지용 파이프(3)의 외주면에 병렬로 일체가 되도록 하여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축지지용 파이프(3)(4)내에는 각각 동축선상으로 압축용 임펠러(5)와 회전용 임펠러(6)가 축설되도록 하되 특히 상기 보조 덕트(2)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일측의 축지지용 파이프(3)와 외주면간 결착시킨 타측의 축지지용 파이프(4)는 전후방이 완전히 관통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외기가 파이프(4)내에 축설시킨 임펠러(6)만 회동시키고 다시 외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외기가 통과하면서 회전하게 되는 회전용 임펠러(6)에 의해 압축용 임펠러(5)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상기한 압출용 임펠러(5)는 외기의 도입과 함께 도입된 공기의 압축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압축용 임펠러(5)와 회전용 임펠러(6)의 날개 형상은 도 2의 (가)도 및 (나)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반대로 형성되도록 하되 압축용 임펠러(5)는 보조 덕트(2)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축이 용이한 구조로 되며, 회전용 임펠러(6)는 외기에 의해 회동력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회전용 임펠러(6)는 일측의 축지지용 파이프(4) 전단부를 상부 및 하부의 일부가 폐쇄되는 형상으로 되도록 하여 외기가 도입될 때 임펠러(6)를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7은 에어 클리너, 8은 스로틀 바디, 9는 서지탱크이다.
상기한 구조에 따라 외기의 유동에 의해 먼저 회전용 임펠러(6)가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회전용 임펠러(6)와 동축선상으로 축설되는 압축용 임펠러(5)가 동시에 연동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외기에 의해서 회전력을 촉진시키게 되는 회전용 임펠러(6)에 의해 압축용 임펠러(5)의 회동력이 증대되면서 보조 덕트(2)로 유도되는 공기를 압축 및 과급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에어 인테이크 덕트(1)에서의 공기 밀도를 증대시키게 된다.
이로서 스로틀 밸브(8A) 개도시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충진 효율을 향상시키게 되어 연소실에서의 연소력을 증대시키게 되고, 따라서 엔진 출력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간단한 흡기 구조의 개선으로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밀도와 공급량을 증대시키게 되므로서 보다 적은 비용으로 엔진 출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동시에 연비를 저감시키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에어 인테이크 덕트(1) 일측으로 보조 덕트(2)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 덕트(2)의 전단부에는 병렬로 각각 축지지용 파이프(3)(4)가 관설되도록 하되 상기 보조 덕트(2)와 연통되는 일측의 축지지용 파이프(3)에는 압축용 임펠러(5)가 축설되며, 타측의 축지지용 파이프(4)에는 회전용 임펠러(6)가 상기 압축용 임펠러(5)와 동축상으로 축설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출력 향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용 임펠러(5)와 회전용 임펠러(6)의 날개 형상은 서로 반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출력 향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용 임펠러(6)를 축지지하는 파이프(4)의 전단부는 일부가 폐쇄되는 형상으로 되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출력 향상장치.
KR1019960041310A 1996-09-20 1996-09-20 엔진의 출력 향상 장치 KR19980022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310A KR19980022218A (ko) 1996-09-20 1996-09-20 엔진의 출력 향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310A KR19980022218A (ko) 1996-09-20 1996-09-20 엔진의 출력 향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218A true KR19980022218A (ko) 1998-07-06

Family

ID=6652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310A KR19980022218A (ko) 1996-09-20 1996-09-20 엔진의 출력 향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2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112B1 (ko) * 2007-11-20 2009-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인테이크 덕트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8028A (ja) * 1983-03-22 1984-10-25 Sumio Takada 内燃機関の過給機
JPH05125944A (ja) * 1991-10-28 1993-05-21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可変吸気装置
KR940003524A (ko) * 1992-08-12 1994-03-12 김택영 일회용 물수건
KR950019387U (ko) * 1993-12-17 1995-07-24 자동차의 흡기 과급장치
JPH09126101A (ja) * 1995-10-31 1997-05-13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吸気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8028A (ja) * 1983-03-22 1984-10-25 Sumio Takada 内燃機関の過給機
JPH05125944A (ja) * 1991-10-28 1993-05-21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可変吸気装置
KR940003524A (ko) * 1992-08-12 1994-03-12 김택영 일회용 물수건
KR950019387U (ko) * 1993-12-17 1995-07-24 자동차의 흡기 과급장치
JPH09126101A (ja) * 1995-10-31 1997-05-13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吸気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112B1 (ko) * 2007-11-20 2009-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인테이크 덕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2218A (ko) 엔진의 출력 향상 장치
KR20150118463A (ko) 공기 흐름 개선 증폭장치
KR19990075276A (ko) 차량 엔진에서의 흡입공기 유동성 증대장치
JPS60216029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CN202732171U (zh) 双缸柴油机进气装置
JPH08312359A (ja) 過給機付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200196350Y1 (ko) 터보 차저가 구비된 엔진
JP3273337B2 (ja) 過給機付エンジン
KR100476684B1 (ko) 에어블로워
JPH01301919A (ja) 過給機付きエンジンを備えた自動二輪車
KR0126386Y1 (ko) 디젤 엔진에서의 와류 발생장치
KR200206471Y1 (ko) 내연기관의급기기구
JPH0627803Y2 (ja) エンジンのタ−ボ過給機取付構造
JPH08200083A (ja) 内燃機関の過給装置
JPH04342824A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S62188580U (ko)
KR20090042577A (ko) 차량용 유압식 공기과급장치 및 그 설치구조
KR20020015117A (ko) 엔진 회전수에 따라 네크의 길이가 가변되는 레조레이터
KR200250471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연소공기 흡입기
JPH0324879Y2 (ko)
KR960002011Y1 (ko) 기화기의 스로틀 밸브
KR20120128912A (ko) 흡기 유도 장치
KR960007871Y1 (ko) 2중 브레이드구조의 과급기
KR20000042022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의 덕트구조
KR20110130314A (ko) 흡기 유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