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066U - 등속조인트용 부트 - Google Patents

등속조인트용 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066U
KR19980021066U KR2019960034339U KR19960034339U KR19980021066U KR 19980021066 U KR19980021066 U KR 19980021066U KR 2019960034339 U KR2019960034339 U KR 2019960034339U KR 19960034339 U KR19960034339 U KR 19960034339U KR 19980021066 U KR19980021066 U KR 199800210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
constant velocity
joint
present
con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34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1066U/ko
Publication of KR199800210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066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16D3/843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 F16D3/845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allowing relative movement of joint parts due to the flexing of the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16J3/04Bellows
    • F16J3/041Non-metallic bellows
    • F16J3/042Fasten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등속조인트에 사용되는 부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적어도 일단에 고탄성의 수축부(12)를 구비한 부트(10)를 제공한다. 수축부(12)는 등속조인트(20)와의 체결부위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며 부트(10)의 다른 부분(t1)에 비해 두껍게(t2) 형성되어 조인트(20)에 끼워져 자체의 수축력에 의해 조인트(20)에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램프(30)의 사용을 줄이고도 효과적으로 부트(10)를 체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향상 및 원가절감에 기여하게 된다.

Description

등속조인트용 부트
제1도는 등속조인트의 부트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등속조인트의 일부와 부트의 단면형상을 도시하는 반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부트의 단면형상을 도시하는 제2도에 대응하는 반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부트11 : 소직경 종단
12 : 수축부14 : 대직경 종단
20 : 등속조인트21 : 단차부
30 : 클램프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등속조인트를 차폐하는 부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조향장치로 등속조인트가 사용되며,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속조인트(1)는 벨로우즈형태의 부트(2, boot)로 밀폐되어 둘러쌓여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부트(2)의 설치상태가 제2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부트(2)는 통상 등속조인트(1)에 상. 하 2개소를 클램프(3, 4)로 조여 고정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부트(2)를 클램프(3, 4)로 조이는 작업에 상단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이러한 불편한 작업공정을 단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클램프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부트의 구조가 안출된다면 생산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클램프를 하나만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의 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적어도 부트의 소직경부에 형성되며 설치될 조인트의 직경보다 작은 내부직경을 가지며 부트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수축부를 구비한 등속조인트용 부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수축부를 부트와는 별도의 고탄성의 재질로 형성하여 구성된 등속조인트용 부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부트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 본 고안에 따른 부트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부트(10)의 소직경의 부트종단(11)에 부트(10)가 장착될 조인트(20)의 직경보다 다소 작고 두께(t2)는 부트(10)의 다른 부분의 두께(t1)에 비해 두터운 수축부(12)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수축부(12)는 조인트(20)에 삽입되어 확장되면서 조인트(20)의 원하는 위치에 자체의 탄성수축력에 의해 밀착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부트(10)는 타단(14)에서만 종래와 같이 클램프(30)로서 결합되게 된다. 수축부(12)의 탄성조임력은 주로 부트재료의 탄성 및 수축부(12)의 내부직경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므로 부트재료는 되도록 탄성이 큰 것을 사용하며, 내부직경은 탄성재료의 탄성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고안의 부트(10)는 동일한 재질로 전체를 형성하거나, 혹은 부트(10)의 수축부(12)만을 고탄성의 재질로 이중성형하거나 별도의 탄성부재를 일체로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수축부(12)는 소직경의 종단부(11)에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나 대직경부(14)에만 혹은 양단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양단에 함께 수축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클램프의 사용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체결된 수축부(1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인트(20)의 부트(10)의 수축부(12)가 설치될 위치에 적절한 단차(21)를 형성하여 부트(10)의 수축부(12)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의 사용을 줄이고도 조인트(20)에 부트(10)를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부트 설치작업이 간단해지고 이에 따라 공정감축, 작업성 향상, 생산성 증대 및 원가절감에도 기여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적어도 일단에 부트의 소직경부에 형성되며 설치될 조인트의 직경보다 작은 내부직경을 가지며 부트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수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는 부트와는 별도의 고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
KR2019960034339U 1996-10-18 1996-10-18 등속조인트용 부트 KR199800210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339U KR19980021066U (ko) 1996-10-18 1996-10-18 등속조인트용 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339U KR19980021066U (ko) 1996-10-18 1996-10-18 등속조인트용 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066U true KR19980021066U (ko) 1998-07-15

Family

ID=5397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339U KR19980021066U (ko) 1996-10-18 1996-10-18 등속조인트용 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106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590A1 (ko) * 2020-03-04 2021-09-10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등속 조인트용 롤링 부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590A1 (ko) * 2020-03-04 2021-09-10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등속 조인트용 롤링 부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29646A (ko) 클램핑 칼라
US6773040B2 (en) Spacer-less type pipe joint and packing ring used for the same
KR19980021066U (ko) 등속조인트용 부트
DK0444996T3 (da) Anordning til fastgørelse af en ratstamme på et automobilkøretøjs karrosseri
JPH04316707A (ja) 3軸方向可変補正締結具
EP0669476A1 (en) Protective bellows
JP2001065740A (ja) 管固定用金具
KR200155016Y1 (ko) 차량용 트림 체결 볼트 커버
JPH0333146Y2 (ko)
RU200111016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 проводящего контакт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 проводящей части, в частности, удлиненного, например, по существу цилиндрического тела, например, трубы или кабеля
KR0127758Y1 (ko) 클램핑 밴드구조
JPH0234768Y2 (ko)
KR0124991Y1 (ko) 자동차의 방수방진용 클립
KR0133978Y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장치
KR970002270Y1 (ko) 차량의 연료여과기 고정구조
KR830009400A (ko) 클 램 프
JPH05205554A (ja) 電気器具のコンジット構造
JPS6131766A (ja) 金属成形ベロ−ズの固定方法
KR0122231Y1 (ko) 케이블 손상 방지용 체결너트
KR100508440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JPH04194486A (ja) クランプ付ホース
SE9404230D0 (sv) Anordning vid rörboja
JPH10322829A (ja) グロメットへの電線挿通方法および挿通用治具
JPH0439993A (ja) 電気機器筐体のシール構造
KR200155627Y1 (ko) 위치조정이 용이한 브라운관의 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