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979A - 바렛트 철공기둥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바렛트 철공기둥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979A
KR19980020979A KR1019960039698A KR19960039698A KR19980020979A KR 19980020979 A KR19980020979 A KR 19980020979A KR 1019960039698 A KR1019960039698 A KR 1019960039698A KR 19960039698 A KR19960039698 A KR 19960039698A KR 19980020979 A KR19980020979 A KR 19980020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rame
frame
hydraulic jack
lower steel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89717B1 (ko
Inventor
신혁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1019960039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971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미리 매설되는 길다란 철골기둥 근입작업시 철골기둥하부와 철골기둥상부를 정확하게 수직으로 맞춰질 수 있도록 연결하는 바렛트 철골기둥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하부에 트렌치(2)가 굴착된 가이드월(4) 상부 소정의 위치에 사각틀체로 형성되는 수평기준틀(5)을 설치하는 수평기준틀의 설치단계와, b) 상기 수평기준틀(5) 내부로 하부철골(3a)을 트렌치(2)에 소정의 깊이만큼 1차근입하여 상기 하부철골(3a)이 정확하게 수직도를 유지한 채 하부철골(3a)의 상부끝부분을 수평기준틀(5)에 고정시키는 하부철골의 고정단계와, c) 상기 하부철골(3a)의 상부끝부분에 연결되는 상부철골(3b)을 양중하여 상기 하부철골(3a)의 상부끝부분에 수직하게 맞추는 상부철골의 수직맞춤단계와, d) 상기 하부철골(3a) 및 상부철골(3b)을 상호 가볼팅하여 연결되는 연결부(A)를 일체로 접합하는 철골 상,하부 연결부의 접합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철골의 수직맞춤단계에서 상기 상부철골(3b)의 하부끝부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유압잭설치용 브라켓(11)이 부착되어 상기 유압잭설치용 브라켓 하부에 유압잭(7)이 설치되어 상기 유압잭들을 상하 작동시킴으로써 상부철골(3b)과 하부철골(3a)간에 정확한 수직도를 맞춰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바렛트 철공기둥의 연결방법
제 1 도는 바렛트 철골기둥들이 지하에 매설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 2 도는 종래 바렛트 철골기둥이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제 3 도는 (a)~(d) 도는 본 발명 바렛트 철골기둥의 연결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 4 도는 (a)~(b) 도는 본 발명 바렛트 철골기둥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하외벽2 : 트렌치
3 :바렛트 철골기둥3a : 하부철골
3b : 상부철골4 : 가이드월
5 : 수평기준틀6 : 크레인
7 : 유압잭8 : 견인편
9 : 볼트구멍10 : 가연절편
11 : 유압잭설치용 브라켓12 : 셋팅플레이트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지하에 미리 매설되는 길다란 철골기둥 근입작업시 철골기둥하부와 철골기둥상부를 정확하게 수직으로 맞춰질 수 있도록 연결하는 바렛트 철골기둥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및 문제점]
탑다운공법이란 구조물의 무게중심으로 하부층에서 상부층으로 공사를 진행해 나가는 일반적인 공법과는 달리, 지하구조부가 시공될 외곽테두리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지하옹벽과 그 지하옹벽 내부에 내력기둥들이 설치되는 위치에 바렛트 철골기둥들을 토공사에 앞서 시공한 후에, 각층별로 단계적으로 굴착하면서 기둥 및 슬라브시공을 반복함으로써 지하층들을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완성해 나가는 공법이다.
이와 같이, 탑다운공법은 제 1 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토공사에 앞서 지하구조부에 시공되는 외곽테두리에 외곽테두리에 지하옹벽(1)을 시공한 후에, 지하구조부들을 지지시키면서 시공해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트랜치(2)를 굴착한 후에, 바렛트 철골기둥(3)들을 상기 트렌치(2) 내부에 근입하여 매설하게 된다.
그러나, 바렛트 철골기둥(3)이 매설되는 깊이가 건축물의 층수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개 20층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에서의 철골기둥 매설깊이는 30M이상이 됨으로써 길다란 장부재의 철골기둥(3)을 한번에 근입하기에는 곤란하다.
따라서, 길다란 철골기둥(3)을 상하 2등분하여서 하부철골(3a)을 먼저 어느 정도 근입한 상태에서 상부철골(3b)을 연결하여 완전히 근입하게 된다.
이때 철골 상하부간에 연결되는 연결부(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연결부(A)는 건축물의 하중전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정확한 수직도를 유지한 채 연결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바렛트 철골기둥의 연결방법은 제 2 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에 트렌치(2)가 굴착된 가이드월(4) 상부 소정의 위치에 사각틀체로 형성되는 수평기준틀(5)을 정확하게 수평으로 설치하고, 상기 수평기준틀(5) 내부로 하부철골(3a)을 트렌치의 소정의 깊이만큼 1차근입하여 상기 하부철골(3a)이 정확하게 수직도를 유지한 채 하부철골(3a)의 상부끝부분을 수평기준틀(5)에 고정시키고, 상기 하부철골(3a)의 상부끝부분에 연결되는 상부철골(3b)을 크레인(6)으로 양중하여 그 양중된 상부철골을 크레인(6)으로 전후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철골(3a)의 상부끝부분에 수직하게 맞춘 상태에서 상기 하부철골(3a) 및 상부철골(3b)을 상호 가볼팅한 후, 상,하부끝부분들간에 연결되는 연결부(A)를 일체로 용접함으로써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바렛트 철골기둥의 연결방법은 제 2 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철골(3b)을 수직으로 맞추는 단계에서 크레인(6)으로 상부철골의 수직도를 정확하게 맞추기는 곤란하였다.
왜냐하면 크레인(6)의 이동거리가 정밀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양중로프가 상부철골(3b)의 상부 견인편(8)에 연결되어서 그 상부끝부분을 움직여서 상부철골을 수직으로 맞추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 바렛트 철골기둥 연결방법은 이동오차가 큰 크레인으로 상부철골의 수직도를 정확히 맞추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상부철골의 상부끝부분을 움직여서 상부철골을 정확하게 맞추기는 더욱 곤란한 것이다.
또한, 종래의 것은 철골연결부(A) 가까이에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판단하여 크레인 운전기사에서 신호를 보내어서 운전기사가 그 신호를 보고 이동하게 되는 것이므로 수직맞춤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철골기둥 수직맞춤작업은 반드시 2인 1조가 되어야만 작업수행이 가능했다. 즉, 철골을 양중하여 이동시키는 크레인기사와 철골연결부(A) 가까이에서 육안으로 철골의 수직상태를 확인하여 크레인기사에게 신호를 보내는 송신자로 이루어지는 최소한 2인 1조를 이루어야만 작업수행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탑다운 공사시 지하에 매설되는 하부철골과 상부철골간에 연결되는 연결부의 수직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작업인원을 감축하면서도 철골상하부간의 연결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바렛트 철골기둥 연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구성]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바렛트 철골기둥 연결방법은 a) 제 3 도의 (a)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에 트렌치(2)가 굴착된 가이드월(4) 상부 소정의 위치에 사각틀체로 형성되는 수평기준틀(5)을 설치하는 수평기준틀의 설치단계와, b) 제 3 도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기준틀(5) 내부로 하부철골(3a)을 트렌치(2)에 소정의 깊이만큼 1차근입하여 상기 하부철골(3a)이 정확하게 수직도를 유지한 채 하부철골(3a)의 상부끝부분을 수평기준틀(5)에 고정시키는 하부철골의 고정단계와, c) 제 3 도의 (c)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철골(3a)의 상부끝부분에 연결되는 상부철골(3b)의 견인편(8)에 양중로프를 걸어 크레인(6)으로 양중하여 상기 하부철골(3a)의 상부끝부분에 수직하게 맞추는 상부철골의 수직맞춤단계와, d) 제 3 도의 (d)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철골(3a) 및 상부철골(3b)을 상호 가볼팅하여 연결되는 연결부(A)를 일체로 용접하는 철골 상,하부 연결부의 접합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철골의 수직맞춤단계에서 상기 상부철골(3b)의 하부끝부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유압잭설치용 브라켓(11)이 부착되어 상기 유압잭설치용 브라켓 하부에 유압잭(7)이 설치되어 상기 유압잭(7)들을 상하 작동시킴으로써 상부철골(3b)과 하부철골(3a)간에 정확한 수직도를 맞춰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유압잭(7)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제 4 도의 (a)도 및 (b)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철골(3b) 하부끝부분 외면에 2개의 유압잭설치용 브라켓(11)이 각각 가로축방향(x)과 세로축방향(y)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 3 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유압잭중 가로축방향의 유압잭은 하부철골(3a)의 셋팅플레이트(12)에 지지되고, 세로축방향의 유압잭은 수평기준틀(5)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 3 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철골(3b)을 양중하여 하부철골(3a)의 상단부에 셋팅시킨 상태에서 2대의 유압잭(7)을 유압잭설치용 브라켓(11) 하부에 각각 1개씩 설치하여 유압잭을 상하작동시켜서 상부철골(3b)의 수직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부철골(3b)의 좌우방향의 기울기 조절은 가로축방향으로 설치된 유압잭을 상하작동시켜 수직하게 맞출 수 있고, 전후방향의 기울기 조절은 세로축방향으로 설치된 유압잭을 상하작동하여 정확한 수직도를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하부철골들이 정확하게 수직으로 맞춘 상태에서 가연결편(10)으로 임시로 가볼팅하고 상,하부철골 연결부(A)를 일체로 용접한 후, 2차로 완전히 트랜치(2)에 근입하게 된다.
이때 접합된 상,하부철골을 트렌치에 2차근입할 때는 철골 상,하부들이 상호 일체로 접합된 상태이므로 가연결편(10), 유압잭설치용브라켓(11), 셋팅플레이트(12) 등을 모두 제거한 상태에서 근입하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부철골 상부에 부착된 견인편(8)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철골(3b)을 하부철골(3a)에 셋팅시킨 상태에서 1명의 작업자가 연결부(A)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유압잭(7)을 직접 상하로 조작하여 상부철골(3b)의 수직도를 맞추기 때문에 작업인원이 감축되면서도 신속하게 수직도를 맞출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3 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철골(3b) 세로방향에 부착되는 가연결편(10)은 유압잭설치용 브라켓(11)이 부착됨으로 유압잭설치용 브라켓(11) 좌우에 각각 1개씩 설치된다. 이러한 가연결편(10)은 하부철골에도 대칭되는 위치에 부착되어서 보강편(미도시)을 덧대어서 상하부철골들을 임시로 가볼팅하는 것으로써 종래의 것과 별다를 바가 없음을 밝혀둔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철골(3b)의 상부끝부분에 양중로프를 연결하여 크레인(6)으로 수직도를 유지시켰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상부철골의 하부끝부분에 가로축방향과 세로축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2개의 유압잭설치용 브라켓(11)의 하부에 유압잭(7)을 설치하여 그 유압잭들을 적절히 상하작동시킴으로써, 첫째, 하부철골(3a)과 상부철골(3b)간에 수직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둘째, 상부철골(3b)을 하부철골(3a)에 셋팅시킨 상태에서 철골연결부(A)가 있는 바닥에서 1명의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수직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인원이 감축되면서도 철골기둥의 수직맞춤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철골의 하부끝부분에 가로축방향과 세로축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2개의 유압잭설치용 브라켓 하부에 유압잭을 설치하여 그 유압잭들을 적절히 상하작동시킴으로써 하부철골과 상부철골간에 정확한 수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용접할 수 있으며, 1명의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수직도를 맞추기 때문에 작업인원이 감축되면서도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a) 하부에 트렌치(2)가 굴착된 가이드윌(4) 상부 소정의 위치에 사각틀체로 형성되는 수평기준틀(5)을 설치하는 수평기준틀의 설치단계와,
    b) 상기 수평기준틀(5) 내부로 하부철골(3a)을 트렌치(2)에 소정의 깊이만큼 1차근입하여 상기 하부철골(3a)이 정확하게 수직도를 유지한 채 하부철골(3a)의 상부끝부분을 수평기준틀(5)에 고정시키는 하부철골의 고정단계와,
    c) 상기 하부철골(3a)의 상부끝부분에 연결되는 상부철골(3b)을 양중하여 상기 하부철골(3a)의 상부끝부분에 수직하게 맞추는 상부철골의 수직맞춤단계와,
    d) 상기 하부철골(3a) 및 상부철골(3b)을 상호 가볼팅하여 연결되는 연결부(A)를 일체로 용접하는 철골 상,하부 연결부의 접합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상부철골의 수직맞춤단계에서 상기 상부철골(3b)의 하부끝부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유압잭설치용 브라켓(11)이 부착되어 상기 유압잭설치용 브라켓 하부에 유압잭(7)이 설치되어 상기 유압잭(7)들을 상하 작동시킴으로써 상부철골(3b)과 하부철골(3a)간에 정확한 수직도를 맞춰줌을 특징으로 하는 바렛트 철골기둥의 연결방법.
KR1019960039698A 1996-09-13 1996-09-13 바렛트 철골기둥의 연결방법 KR100189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698A KR100189717B1 (ko) 1996-09-13 1996-09-13 바렛트 철골기둥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698A KR100189717B1 (ko) 1996-09-13 1996-09-13 바렛트 철골기둥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979A true KR19980020979A (ko) 1998-06-25
KR100189717B1 KR100189717B1 (ko) 1999-06-01

Family

ID=1947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698A KR100189717B1 (ko) 1996-09-13 1996-09-13 바렛트 철골기둥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9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331B1 (ko) * 2012-07-16 2012-12-11 삼표건설 주식회사 역타공법 및 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CN106836276B (zh) * 2016-12-09 2018-09-11 高玉凤 水压的智能化升降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89717B1 (ko)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86340B (zh) 沉井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240831B1 (ko) 더블빔을 이용한 암파쇄 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CN114541652A (zh) 一种v型钢柱及其施工方法
JP2684155B2 (ja) 地下構造物の築造に用いる開削工法
KR100189717B1 (ko) 바렛트 철골기둥의 연결방법
JP7011254B2 (ja) 構真柱建込み方法および構真柱建込み装置
CN114439242B (zh) 装配式悬挑复杂构件优化及吊装加固施工工法
KR200201557Y1 (ko) 상부 철골기둥
KR100501482B1 (ko) 건축물 시공용 빔 연결 보조 장치
JP2556215B2 (ja) 構真柱建込方法
KR102115352B1 (ko) 선조립 철근망을 이용한 연속벽 시공 방법
JP3053296B2 (ja) 構真柱吊り治具
JPH055391A (ja) 構真柱建込架台
JP2967508B2 (ja) 壁面作業用足場装置
CN220953402U (zh) 一种桩柱的调垂结构
CN217205419U (zh) 一种装配式钢结构柱吊挂结构
CN218893399U (zh) 一种塔吊支腿安装工具
JP2556216B2 (ja) 構真柱建込治具
JPH05230846A (ja) 逆打工法による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CN215669529U (zh) 一种可与钢支撑快速安装的明挖基坑连续梁
JPH0531631B2 (ko)
JP7275793B2 (ja) 位置調整装置及び構真柱の位置調整方法
JP2011220009A (ja) 構真柱の建込み工法
KR102155118B1 (ko) 지하차도용 조립식 지하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JP6099337B2 (ja) 基礎の仮支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