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501A - 냉각수 유출 방지를 위한 타겟 고정볼트 - Google Patents

냉각수 유출 방지를 위한 타겟 고정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501A
KR19980020501A KR1019960038993A KR19960038993A KR19980020501A KR 19980020501 A KR19980020501 A KR 19980020501A KR 1019960038993 A KR1019960038993 A KR 1019960038993A KR 19960038993 A KR19960038993 A KR 19960038993A KR 19980020501 A KR19980020501 A KR 19980020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olt
target
target fixing
sputtering
pr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동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501A/ko
Publication of KR19980020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501A/ko

Links

Landscapes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퍼터링 타겟 고정볼트에 관한 것으로, 캐소드부에 흐르는 냉각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 사용했던 테프론 테이프 대신 진공상태에서 장시간 사용될 수 있는 오-링 패킹을 타겟 고정볼트의 머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패킹 삽입홈에 삽입하여 냉각수 유출로 인한 쇼트를 방지할 수 있어 스퍼터링 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설비의 가동률을 증가시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수 유출 방지를 위한 타겟 고정볼트
본 발명은 스퍼터링 장치중 스퍼터링 타겟 고정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퍼터링 공정 진행중에 스퍼터링 타겟에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식히기 위해서 캐소드부에 흐르는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O-ring) 패킹을 타겟 고정볼트에 삽입한 냉각수 유출 방지를 위한 타겟 고정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퍼터링이란 RF(Radio Frequency)전력이나 DC전력에 의해 형성된 플라즈마(plasma) 상태의 높은 에너지를 갖고 있는 불활성 가스 이온들을 고체 타겟의 표면과 충돌시켜 원자를 타겟으로부터 튀어나오게 하여 튀어나온 원자를 기판에 증착하는 공정이다. 이와 같은 스퍼터링 공정은 고전력을 사용하여 기판에 막을 증착함으로 스퍼터링 타겟에 고온의 열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고온의 열을 식히기 위해서 스퍼터링 타겟이 부착되어 있는 캐소드부에 냉각수를 흘려 보낸다.
이러한 스퍼터링 공정은 플라즈마 전극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면적이 큰 기판에도 균일한 두께의 막을 증착시킬 수 있고 고용융점의 물질도 쉽게 증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캐소드부와 스퍼터링 타겟에 타겟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타겟 고정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종래의 스퍼터링 타겟 고정볼트는 스퍼터링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 전원이 인가되는 캐소드부(1)가 형성되어 있고, 캐소드부(1) 하부면에는 스퍼터링 타겟(5)이 설치되어 있으며, 캐소드부(1)와 스퍼터링 타겟(5) 일정영역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홈(3)이 있다.
상기 캐소드부(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홈(3)과 이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는 스퍼터링 타겟(5)의 나사홈(7)에는 캐소드부(1)와 스퍼터링 타겟(5)을 고정하기 위해 타겟 고정볼트(10)가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타겟 고정볼트(10)에는 타겟 고정볼트(1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평와셔(washer)(11)가 삽입되어 있고, 평와셔(11)와 타겟 고정볼트(10) 머리(10a) 일부분에는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테프론 테이프(13)가 감겨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퍼터링 타겟 고정볼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퍼터링 타겟(5)이 전부 증착공정에 사용되어 새로운 스퍼터링 타겟(5)을 캐소드부(1)에 부착할 경우, 공정 진행중에 타겟 고정볼트(1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고정볼트(10)에 평와셔(11)를 삽입하고, 캐소드부(1)에 흐르는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타겟 고정볼트(10) 머리 일부분과 평와셔(11)를 테프론 테이프(13)로 감는다. 여기서, 테프론 테이프(13)는 밀봉(seel) 역할을 한다.
이어서, 캐소드부(1)에 스퍼터링 타겟(5)을 부착하기 위해서 스퍼터링 타겟(5)과 캐소드부(1)에 형성된 나사홈(3),(7)을 일치시킨 후에 타겟 고정볼트(10)를 삽입하여 스퍼터링 타겟(5)과 캐소드부(1)를 결합시킨다.
그러나, 캐소드부와 스퍼터링 타겟을 결합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타겟 고정볼트의 몸체가 스퍼터링 타겟과 캐소드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홈보다 작기 때문에 캐소드부에 흐르는 냉각수가 외부로 누출되는데 이러한 냉각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테프론 테이프이다.
이와 같이 스퍼터링 타겟과 캐소드부를 고정시켜주는 타겟 고정볼트를 완전히 조이지 않거나 테프론 테이프를 잘못 감았을 경우, 냉각수가 설비 외부로 유출되어 스퍼터링 공정시 인가되는 고전력으로 인해 쇼트가 발생되게 되며, 이로 인해 스퍼터링 타겟 주변장치가 파손되고, 또한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서 플라이가 손상되어 장시간동안 공정을 진행할 수 없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퍼터링 장치의 고온의 열을 식히기 위한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타겟 고정볼트에 오-링 패킹을 삽입하여 냉각수로 인한 쇼트 등으로 스퍼터링 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 유출 방지를 위한 타겟 고정볼트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종래의 캐소드부와 스퍼터링 타겟에 타겟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타겟 고정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A는 종래의 캐소드부와 스퍼터링 타겟에 타겟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B는 종래의 타겟 고정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캐소드부23, 27 : 나사홈
25 : 스퍼터링 타겟30 : 타겟 고정볼트
31 : 오-링 패킹33 : 패킹 삽입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타겟 고정볼트 머리에 패킹이 삽입될 수 있도록 패킹 삽입홈을 형성하고, 타겟 고정볼트 머리에 형성되어 있는 패킹 삽입홈에 진공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패킹을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퍼터링 타겟 고정볼트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캐소드부와 스퍼터링 타겟에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타겟 고정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퍼터링 타겟 고정볼트는 스퍼터링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 전원이 인가되는 캐소드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캐소드부(21) 하부면에는 스퍼터링 타겟(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캐소드부(21)와 스퍼터링 타겟(25) 일정영역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홈(23)이 있다.
상기 캐소드부(2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홈(23)과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퍼터링 타겟(25)의 나사홈(27)에는 캐소드부(21)와 스퍼터링 타겟(25)을 고정하기 위해 타겟 고정볼트(30)가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타겟 고정볼트(30)의 머리(30a)의 하부에는 패킹을 삽입하기 위해 원형의 패킹 삽입홈(33)이 형성되어 있고, 패킹 삽입홈(33)에는 캐소드부(21)에 흐르는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 패킹(31)이 삽입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패킹 삽입홈(33)에 오-링 패킹(31)이 삽입될 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 패킹(31)의 두께 h'가 패킹 삽입홈(33)의 깊이 h보다 더 두꺼움으로 오-링 패킹(31)은 패킹 삽입홈(33)에 2/3정도만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스퍼터링 타겟 고정볼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퍼터링 타겟(25)이 전부 증착공정에 사용되어 새로운 스퍼터링 타겟(25)을 캐소드부(21)에 부착할 경우, 공정 진행중 캐소드부(21)에 흐르는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고정볼트(30) 머리(30a)에 형성되어 있는 패킹 삽입홈(33)에 진공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오-링 패킹(31)을 삽입한다.
이어서, 캐소드부(21)에 스퍼터링 타겟(25)을 부착하기 위해서 스퍼터링 타겟(25)과 캐소드부(21)에 형성된 나사홈(23)을 일치시킨 후에 타겟 고정볼트(30)의 몸체(30b)를 나사홈에 삽입한 후 타겟 고정볼트(30)를 조여 스퍼터링 타겟(25)과 캐소드부(21)를 결합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타겟 고정볼트의 머리부에 패킹 삽입홈을 형성하고, 캐소드부에 흐르는 냉각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진공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오-링 패킹을 타겟 고정볼트의 패킹 삽입홈에 삽입함으로써 냉각수가 설비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수로 인한 쇼트를 방지함과 아울러 스퍼터링 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설비의 가동률을 증가시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머리와 몸체로 구성되며, 스퍼터링 타겟을 캐소드부에 고정하는 타겟 고정볼트에 있어서,
    상기 타겟 고정볼트 머리의 하부에 원형의 패킹 삽입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유출 방지를 위한 타겟 고정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패킹 삽입홈에 오-링 패킹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유출 방지를 위한 타겟 고정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삽입홈의 깊이는 상기 오-링 패킹의 두께는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유출 방지를 위한 타겟 고정볼트.
KR1019960038993A 1996-09-09 1996-09-09 냉각수 유출 방지를 위한 타겟 고정볼트 KR19980020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993A KR19980020501A (ko) 1996-09-09 1996-09-09 냉각수 유출 방지를 위한 타겟 고정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993A KR19980020501A (ko) 1996-09-09 1996-09-09 냉각수 유출 방지를 위한 타겟 고정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501A true KR19980020501A (ko) 1998-06-25

Family

ID=6632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993A KR19980020501A (ko) 1996-09-09 1996-09-09 냉각수 유출 방지를 위한 타겟 고정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50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5156U (ko) * 1974-11-15 1976-05-22
JPS5746119U (ko) * 1980-08-29 1982-03-13
JPH02142912A (ja) * 1988-11-22 1990-06-01 Toshiba Corp 腐食環境用ボルトの締着構造
KR19980049310U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방수용 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5156U (ko) * 1974-11-15 1976-05-22
JPS5746119U (ko) * 1980-08-29 1982-03-13
JPH02142912A (ja) * 1988-11-22 1990-06-01 Toshiba Corp 腐食環境用ボルトの締着構造
KR19980049310U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방수용 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7390B1 (en) Support table for plate-like body and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table
US4060470A (en) Sputtering apparatus and method
US4627904A (en) Magnetron sputter device having separate confining magnetic fields to separate targets and magnetically enhanced R.F. bias
US4865712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lanarized aluminum films
KR100299782B1 (ko) 이온화스퍼터링장치
JPH04293771A (ja) スパッタコーティング源
KR19980020501A (ko) 냉각수 유출 방지를 위한 타겟 고정볼트
KR20020092394A (ko)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hf) 피드스루를 구비한 반응실
CN212375367U (zh) 一种靶材离化冷却承载机构
US6409898B1 (en) Cooling system for cathodic arc cathodes
JP4428545B2 (ja) 高周波誘導加熱用のコイル装置
JPH01177368A (ja) スパッタリング装置
CN113073297A (zh) 旋转硅铝靶材再制造的装置及其制备方法
KR100316307B1 (ko) 홈을가진클램프를구비한기판냉각장치
KR100196911B1 (ko) 스퍼터링 챔버의 웨이퍼 냉각장치
JPH0445529A (ja) ドライエッチングの方法
JPS61279672A (ja) スパツタ装置
KR200152541Y1 (ko) 에싱장비의 가스공급장치
KR100215169B1 (ko) 플라즈마식각 장치용 복합실리콘 전극판
KR102500678B1 (ko) 기생 플라즈마 방지를 위한 샤워헤드 가스 공급장치
KR20020016283A (ko) 스퍼터링 장치
JPH0487330A (ja) プラズマ処理装置のウエハ冷却方法
JPH0311226Y2 (ko)
KR20010057708A (ko) 스퍼터링 공정용 척의 온도 조절 장치
KR200195114Y1 (ko) 반도체 플라즈마 에칭장비의 웨이퍼 냉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9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9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9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2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1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