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922A - 통신방법 및 통신시스템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통신방법 및 통신시스템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922A
KR19980018922A KR1019970040261A KR19970040261A KR19980018922A KR 19980018922 A KR19980018922 A KR 19980018922A KR 1019970040261 A KR1019970040261 A KR 1019970040261A KR 19970040261 A KR19970040261 A KR 19970040261A KR 19980018922 A KR19980018922 A KR 19980018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transmission
predetermined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7792B1 (ko
Inventor
미쯔히로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브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18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692Hybrid techniques using combinations of two or more spread spectru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18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B2201/70722HSDPA/HSUPA
    • H04B2201/70723Multi-carrier HSPA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 다원접속을 위한 소정의 송신포맷으로 소정의 송신대역폭에서의 송신방법은 다원접속을 관리하기 위한 위치에서 신호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신호를 복수개의 기지국에 송신하는 부호화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에서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각각 변조하는 변조단계와,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에서 상기 변조단계에서 얻어진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방법 및 통신시스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무선전화시스템의 기지국과 교환국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통신방법 및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전화시스템 등과 같은 이동통신에서는, 복수개의 이동국(단말장치 또는 서브스크라이버(subscriber))들이 하나의 기지국에 접속하는 것이 허용되는 다원접속이 이용된다. 이 무선전화의 경우에는, 많은 이동국들이 하나의 기지국을 공통으로 이용한다. 그러므로, 각 이동국들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다양한 통신시스템들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종래에 주파수분할 다원접속(FDMA)시스템, 시분할 다원접속(TDMA)시스템,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시스템 등이 이러한 종류의 통신시스템으로서 제안되었다.
이러한 시스템 중에서, CDMA시스템은 특정한 코드가 각 이동국에 할당되고, 동일한 반송파(carrier)의 변조파가 코드를 갖는 스펙트럼으로 확산되어서 동일한 기지국으로 전송되고, 그리고 기지국이 원하는 이동국을 식별하기 위한 각 코드에 근거해서 코드동기를 취하면서 수신하는 다원접속시스템이다.
특히, 기지국은 스펙트럼 때문에 전체 주파수대역을 차지하고, 동시에 동일한 주파수대역을 이용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로 신호들을 송신한다. 각 이동국들은 해당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서 기지국에서 송신된 고정된 확산대역폭의 신호를 역확산한다. 게다가, 기지국은 서로 다른 확산코드로 각 이동국을 구별한다.
CDMA시스템에서는, 코드가 공유되는 한 직접호출 때마다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그 시스템은 전화통화의 비밀유지에도 우수하다. 그러므로, 그 시스템은 휴대용 전화장치 등과 같은 이동국을 이용하는 무선송신에 적합하다.
CDMA시스템에서는, 이동국들간의 엄밀한 통신관계를 세우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각 이동국들간의 각 통신은 완전히 분리되어서 취급될 수 없어서, 다른 이동국이 이동국과의 통신 시에 간섭원이 될 수 있다. 게다가, 데이터는 이 시스템에서 특별한 주파수대역내에서 확산된다. 그러므로, 미리 데이터가 확산되는 대역폭(즉,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대역폭)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송신대역폭을 변경시키는 것이 어렵다.
상기 문제점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예를 들어 소정의 코드로 스펙트럼 확산되고 다중화되는 8개의 이동국(사용자)들의 송신신호로부터 역확산에 의해 특별한 사용자의 송신신호가 추출되는 모델을 나타낸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U0)의 신호가 코드들로 다중화되는 8명의 사용자(U0 ∼ U7)들의 신호로부터 역확산에 의해 추출된다면, 도 1b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U0)의 신호가 확실히 추출될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기지국에 의해 취급되는 다른 사용자(U1 ∼ U7)들의 신호들도 간섭원으로 되어서, 잡음으로 작용한다. 이 사실은 S/N비 특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 이유 때문에, CDMA시스템을 이용하는 무선 송신에서는, 전자파가 간섭에 기인한 저하 때문에 잘 도달하지 못하며, 서비스영역을 좁게 한다. 게다가, 다른 사용자들에 기인한 간섭은 스펙트럼 역확산의 과정에서 얻어지는 역확산이득의 양에 의해서만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속이 허용된 많은 사용자(이동국)들이 제한되고 채널용량이 작아진다.
역확산 대역폭이 보통 고정되고 사용자들의 신호들이 다중화될 수 있는 사용자의 수가 제한되기 때문에, 각 국가에 따라서 다른 주파수할당을 융통성 있게 잘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단지 비교적 좁은 대역폭만이 정의될 수 있고, 최대 사용자율(user rate)도 제한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CDMA시스템 및 TDMA시스템과 다른 통신시스템이 무선전화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 제안된다. 만약 CDMA시스템 및 TDMA시스템과 비교해서 복잡한 통신시스템이 이용되면, 각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기지국은 복잡한 처리를 수행해야만 하며, 이것은 기지국의 구성을 대단히 복잡하게 한다. 특히 셀룰라시스템에서는, 하나의 기지국이 각 셀에서 요구되고, 또한 넓은 서비스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 매우 많은 수의 기지국들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지국의 구성이 복잡해질수록, 무선전화시스템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진다.
무선전화를 위한 일반적인 기지국은 전용의 디지털회로를 통해 교환국(exchange)에 연결된다. 기지국은 디지털회로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를 무선송신을 위해 채널부호화를 하고, 다음에 데이터를 기지국에 연결된 안테나로부터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해서, 소정의 통신시스템에 따라서 그것을 변조한다. 만약 기지국이 무선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처리 등을 포함하는 모든 처리들을 수행하고 부호화시스템이 변경된다면, 모든 기지국들의 해당 회로들이 변경되어야만 한다. 더 나은 통신시스템이 현존하는 무선전화시스템에 적용되는 시스템변경을 수행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만약 기지국이 비교적 복잡한 데이터를 처리하면,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기지국을 스위칭하는 핸드오프(hand-off)처리가 단말장치의 위치이동에 기인해서 수행될 때, 핸드오프처리전에 단말장치와 통신했던 기지국과 핸드오프처리후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의 둘 다 복잡한 데이터처리를 수행해야만 하고, 따라서 기지국을 스위칭하는데 비교적 오랜 시간이 걸린다. 결과적으로, 전화통화가 일시적으로 중단되어서, 전화통화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방해한다.
상기 관점들을 살펴볼 때, 무선전화시스템으로서 효과적인 통신시스템을 제공하고 기지국 등의 시스템구성을 단순하게 하고 통신시스템이 이용될 때 통신시스템의 제어를 단순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도 1a 및 도 1b는 CDMA시스템에서 간섭상태를 설명하는데 각각 이용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통신장치에 이용된 송신신호의 슬롯(slot)구성을 설명하는데 이용된 도면이다.
도 3a ∼ 도 3g는 실시예에 근거해서 프레임의 송신상태를 설명하는데 각각 이용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근거해서 셀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된 도면이다.
도 5a ∼ 도 5c는 실시예에 근거해서 대역슬롯구성의 예를 설명하는데 각각 이용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근거해서 단말장치의 부호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근거해서 단말장치의 콘벌루션 부호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실시예에 근거해서 윈도(windowing)데이터의 파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근거해서 송신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위상특성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근거해서 단말장치의 복호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근거해서 처리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기지국과 교환국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교환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교환국의 채널부호기/복호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기지국의 송신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기지국의 변조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기지국의 고주파반송파시스템의 송신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a ∼ 도 1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송신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기지국의 수신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기지국의 고주파반송파시스템의 수신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a ∼ 도 2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수신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기지국의 복조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2. 온도보상형 수정발진기(TCXO) 101. 콘벌루션 부호기
102. 4-프레임인터리브버퍼 104. 랜덤위상이동데이터발생회로
105. FFT회로(고속푸리에변환회로) 106. 윈도데이터발생회로
110. DQPSK부호기 121. 제어데이터선택기
123,124,125. 제어데이터메모리 133. 역윈도데이터발생회로
134.FFT회로 136. 역랜덤위상이동데이터발생회로
137. 차동복조회로 138. 4-프레임디인터리브버퍼
139. 비터비복호기 501,502,503. 이동전화용 교환국
501a,502a,502b. 기지국 512. 송신부
513. 안테나공용기 514,515. 안테나
516. 수신부 517. 통신제어부
520. 시스템제어기 521,522. 채널부호기/복호기
523,524,525,541,607,641. 스위칭회로 531. 디인터리버
533. 비터비복호기 534. 부호기/복호기
535. 오디오부호기/복호기 536. 데이터부호기/복호기
537. 부호기 538. 인터리버
542a∼542p. 변조회로
543a∼543p. 송신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
605a∼605p. 수신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
606a∼606p. 복조회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라서, 다원접속을 위해 소정의 송신포맷(format)을 갖는 소정의 송신대역폭에서의 송신방법은 다원접속을 관리하기 위한 위치에서 신호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신호를 복수개의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부호화단계와, 복수개의 기지국에서 부호화된 신호를 각각 변조하는 단계와, 그리고 복수개의 기지국에서 변조단계에서 얻어진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를 도 2 ∼ 도 2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통신시스템을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통신시스템은 복수개의 부반송파들이 미리 할당된 대역 내에 연속해서 배치되는 소위 다중반송파 시스템으로 구성되고, 한 대역내의 복수개의 부반송파들은 동시에 하나의 송신경로에 이용된다. 게다가, 한 대역내의 복수개의 부반송파들은 변조될 대역에서 공동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이 시스템은 대역분할 다원접속(BDMA : Band Division Multiple Access)이라 불린다.
그것의 구성을 아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주파수가 세로축이고 시간이 가로축인 본 실시예의 송신신호의 슬롯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예에서, 주파수축과 시간축은 격자형으로 나누어져서 직교기저시스템(orthogonal base system)을 제공한다. 특히, 한 송신대역의 송신대역폭(1개의 대역슬롯)은 150kHz로 설정되고 1개의 150kHz의 송신대역은 한 대역슬롯 내에 24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24개의 부반송파들은 6.25kHz의 동일한 간격으로 연속해서 배치되고, 모든 반송파는 0에서 23까지의 부반송파 번호로 지정된다. 하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부반송파들은 1에서 22까지의 부반송파 번호의 대역에 할당된다. 한 대역슬롯의 양 끝 부분의 대역들, 즉 0과 23의 부반송파 번호의 대역들은 부반송파 없이 지정된다, 즉 그것들은 보호대역으로 동작하도록 되고 그것들의 전기전력은 0으로 설정된다.
1개의 타임슬롯(time slot)은 시간축에서 200μsec의 간격으로 조정된다. 버스트(burst)신호는 타임슬롯마다 22개의 부반송파들과 함께 변조되고 송신된다. 한 프레임은 25개의 타임슬롯(즉, 5msec)의 배열로서 정의된다. 한 프레임내의 각 타임슬롯은 0에서 24까지의 타임슬롯 번호로 지정된다. 도 2에서 빗금친 영역은 1개의 대역슬롯에서 1개의 타임슬롯의 부분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24의 슬롯번호로 지정된 타임슬롯은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간격이다.
복수개의 이동국(단말장치)들이 동일한 간격으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다원접속은 격자형으로 주파수축과 시간축을 나누는데서 유래하는 직교기저시스템을 이용함으로서 수행된다. 각 이동국들과의 연결조건은 도 3a ∼ 도 3g에 나타낸 것처럼 구성된다. 도 3a ∼ 도 3g는 6개의 이동국들이 1개의 대역슬롯(실제로 이용된 대역슬롯은 나중에 설명할 주파수호핑(frequency hopping) 때문에 변경된다)을 갖는 타임슬롯(U0, U1, U2, …, U5)들을 이용하여 기지국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나타내는 동작조건을 각각 나타내는 도이다. R로 표시된 타임슬롯은 수신슬롯인 반면, T로 표시된 타임슬롯은 송신슬롯이다. 도 3a에 나타낸 것처럼, 기지국에서 조정된 프레임타이밍은 24개의 타임슬롯(25개의 타임슬롯 중에서, 마지막 슬롯, 즉 번호(24)의 슬롯은 이용되지 않는다)들을 포함하는 간격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 송신슬롯은 수신슬롯 중 1개와 다른 대역을 이용하면서 송신된다.
도 3b에 나타낸 이동국(U0)은 한 프레임내의 타임슬롯 번호(0, 6, 12, 18)의 타임슬롯들을 수신슬롯으로 이용하는 반면, 타임슬롯 번호(3, 9, 15, 21)의 타임슬롯들을 송신슬롯으로 이용한다. 버스트신호는 각 타임슬롯에서 수신되거나 송신된다. 도 3c에 나타낸 이동국(U1)은 한 프레임내의 타임슬롯 번호(1, 7, 13, 19)의 타임슬롯들을 수신슬롯으로 이용하는 반면, 타임슬롯 번호(4, 10, 16, 22)의 타임슬롯들을 송신슬롯으로 이용한다. 도 3d에 나타낸 이동국(U2)은 한 프레임내의 타임슬롯 번호(2, 8, 14, 20)의 타임슬롯들을 수신슬롯으로 이용하는 반면, 타임슬롯 번호(5, 11, 17, 23)의 타임슬롯들을 송신슬롯으로 이용한다. 도 3e에 나타낸 이동국(U3)은 한 프레임내의 타임슬롯 번호(3, 9, 15, 21)의 타임슬롯들을 수신슬롯으로 이용하는 반면, 타임슬롯 번호(0, 6, 12, 28)의 타임슬롯들을 송신슬롯으로 이용한다. 도 3f에 나타낸 이동국(U4)은 한 프레임내의 타임슬롯 번호(4, 10, 16, 22)의 타임슬롯들을 수신슬롯으로 이용하는 반면, 타임슬롯 번호(1, 7, 13, 22)의 타임슬롯들을 송신슬롯으로 이용한다. 또한, 도 3g에 나타낸 이동국(U5)은 한 프레임내의 타임슬롯 번호(5, 11, 16, 22)의 타임슬롯들을 수신슬롯으로 이용하는 반면, 타임슬롯 번호(2, 8, 14, 20)의 타임슬롯들을 송신슬롯으로 이용한다.
도 3a ∼ 도 3g에 나타낸 구성이 이용되기 때문에, 6개의 이동국들이 1개의 대역슬롯을 접속하는 6개의 시분할 다원접속(TDMA)이 수행된다. 각 이동국들을 살펴볼 때, 다음의 송신 또는 수신을 시작하기 위해서 1개의 타임슬롯 간격의 수신 또는 송신의 완료로부터 2개의 타임슬롯(즉, 400μsec)의 여분의 간격이 있다. 각 이동국들은 이 여분의 간격을 이용하여 타이밍처리와 주파수호핑이라 불리는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200μsec가 경과한 후 각 송신슬롯(T)전 동안에 기지국에서 송신된 신호의 타이밍과 송신신호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각 이동국들은 타이밍처리(TA)를 수행하고, 그리고 각 송신슬롯(T)의 종료이후에 약 200μsec가 경과한 후 다른 대역에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대역슬롯을 스위칭하기 위해 주파수호핑을 수행한다. 상기 타이밍은 송신율이 높게 설정될 때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만약 송신율이 낮게 설정되고 이용될 대역슬롯의 번호가 변경된다면, 주파수호핑을 위한 타이밍을 다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파수호핑은 각 이동국에 의해 공평하게 이용될 1개의 기지국에 대해 준비된 복수개의 대역슬롯들을 허용한다.
특히, 복수개의 대역슬롯들이 1개의 기지국에 할당된다. 1개의 기지국이 1개의 셀을 형성하는 셀룰라시스템의 경우에는, 만약 1.2MHz의 대역이 1개의 셀에 할당되면, 8개의 대역슬롯들이 1개의 셀에 할당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만약 2.4MHz의 대역이 1개의 셀에 할당되면, 16개의 대역슬롯들이 1개의 셀에 할당될 수 있고, 만약 4.8MHz의 대역이 1개의 셀에 할당되면, 32개의 대역슬롯들이 1개의 셀에 할당될 수 있고, 그리고 만약 9.6MHz의 대역이 1개의 셀에 할당되면, 64개의 대역슬롯들이 1개의 셀에 할당될 수 있다. 다음에, 주파수호핑이라 불리는 주파수 스위칭처리는 1개의 셀에 할당된 복수개의 대역슬롯들이 균등하게 이용되도록 수행된다. 본 예에서는, 주파수들이 연속하는 복수개의 대역슬롯들이 1개의 셀에 할당된다.
도 4는 이상적인 셀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만약 셀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되면, 3종류의 주파수들이 모든 셀들에 할당하는 것이 충분하다, 즉 주파수는 제 1대역을 이용하는 그룹(Ga)의 셀에 할당되고, 다른 주파수는 제 2대역을 이용하는 그룹(Gb)의 셀에 할당되고, 또 다른 주파수는 제 3대역을 이용하는 그룹(Gc)의 셀에 할당된다. 다시 말해서, 만약 1개의 셀이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것처럼 8개의 대역슬롯들을 이용한다면, 연속하는 8개의 대역슬롯들이 그룹(Ga)을 위해 준비되고, 다음의 연속하는 8개의 대역슬롯들이 그룹(Gb)을 위해 준비되고, 그리고 다음의 연속하는 8개의 대역슬롯들이 그룹(Gc)을 위해 준비된다. 이 경우에, 도 5c에 나타낸 것처럼, 각 대역슬롯은 22개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하고, 다중반송파 송신이 한 번에 복수개의 부반송파를 이용하면서 수행된다. 도 3a ∼ 도 3g에 나타낸 것처럼, 셀 내에서 이동국과의 통신은 다중반송파 송신을 위한 대역슬롯들이 변경되는 주파수호핑을 수행하는 동안 수행된다.
통신조건은 상기와 같이 정해져서 각 이동국과 기지국간에 송신된 신호는 다른 신호들에 대해 직교특성을 갖도록 유지된다. 그러므로, 신호는 다른 신호들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을 것이고, 단지 해당 신호만이 양호하게 추출될 수 있다. 송신용으로 이용된 대역슬롯은 주파수호핑에 의해 어느 때라도 변경되기 때문에, 각 기지국을 위해 준비된 송신대역들이 효과적으로 이용되어서, 효과적인 송신을 하게 한다. 이 경우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개의 기지국(셀)에 할당될 주파수대역이 자유로이 정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시스템은 이용된 상황에 따라서 자유로이 정해질 수 있다.
다음에, 위에서 설명한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장치(이동국)의 구성을 설명할 것이다. 이 경우에, 2.0GHz의 대역은 기지국에서 단말장치로의 다운링크(down-link)로서 이용되는 반면, 2.2GHz의 대역은 단말장치에서 기지국으로의 업링크(up-link)로서 이용된다.
도 6은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장치의 수신시스템을 먼저 설명할 것이다.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동작하는 안테나(11)는 안테나공용기에 연결된다. 안테나공용기(12)는 그것의 수신된 신호출력측에서 대역통과필터(13)와, 수신증폭기(14)와, 그리고 믹서(15)와 직렬로 연결된다. 대역통과필터(13)는 2.0GHz대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믹서(15)는 대역통과필터로부터의 출력과 주파수합성기(31)에서 출력된 1.9GHz의 주파수신호를 혼합하여서, 수신된 신호가 100MHz의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된다. 주파수합성기(31)는 PLL(phase locked loop circuit)로 형성되고, 그것은 1/128 주파수분할기(33)에 의해 온도보상형 수정발진기(TCXO)로부터 출력된 19.2MHz의 신호를 주파수 분할함으로서 발생되는 150kHz의 신호에 근거해서 150kHz의 간격(즉, 1개의 대역슬롯 간격)으로 1.9GHz의 대역에서 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한 합성기이다. 나중에 계속 설명할 단말장치에 이용되는 다른 주파수합성기들도 PLL로 형성된다.
믹서(15)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수신호는 대역통과필터(16)와 가변이득증폭기(17)를 통해 복조하기에 유용한 2개의 믹서(18I, 18Q)들에 공급된다. 주파수합성기(34)에서 출력된 100MHz의 주파수신호는 신호가 위상이 서로 90도 천이되는 2개의 시스템들로 이루어지는 이상기(phase shifter)(35)에 공급된다. 2개의 시스템주파수신호들 중 1개는 믹서(18I)에 공급되는 반면, 다른 것은 믹서(18Q)에 공급되어서, 그것들이 각각 중간주파수신호와 혼합되고, 그것에 의해서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I성분과 Q성분이 추출된다. 주파수합성기(34)는 1/128 주파수분할기(33)의 주파수분할에 의해 발생된 150kHz의 신호에 근거해서 100MHz대역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합성기이다.
다음에, 추출된 I성분은 저역통과필터(19I)를 통해 성분이 디지털 I데이터로 변환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0I)에 공급된다. 추출된 Q성분은 저역통과필터(19Q)를 거쳐 성분이 디지털 Q데이터로 변환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0Q)에 공급된다. 이 경우에, 각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0I, 20Q)들은 1/96 주파수분할기(36)로 TCXO(32)로부터 출력된 19.2MHz의 클럭을 분할함으로서 발생되는 변환용 클럭으로서 200kHz의 클럭을 이용한다.
다음에,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0I, 20Q)에서 출력된 디지털 I데이터와 디지털 Q데이터는 복조된 수신데이터가 단자(22)에서 얻어지는 복조복호기(21)로 공급된다. 복조복호기(21)에는 TCXO(32)에서 출력된 19.2MHz의 클럭이 그대로 클럭으로서 공급되고, 또한 1/40 주파수분할기(37)로 1/96 주파수분할기(36)에서 출력된 200kHz의 클럭을 주파수 분할함으로서 발생된 5kHz의 클럭이 공급된다. 5kHz의 클럭은 슬롯타이밍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특히, 본 예에서는, 1개의 타임슬롯이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200μsec로 설정된다. 하지만, 주파수가 5kHz인 신호가 1개의 200μsec의 간격을 갖는다. 따라서, 슬롯타이밍데이터는 5kHz의 신호와 동기해서 발생된다.
다음에, 단말장치의 송신시스템을 설명할 것이다. 단자(41)에서 얻어진 송신데이터는 송신용 디지털 I데이터 및 디지털 Q데이터를 발생하도록 부호화 및 변조하기 위한 처리가 송신동안 수행되는 변조부호기(42)에 공급된다. 이 경우에, 변조부호기(42)에는 TCXO(32)에서 그대로 출력되는 클럭으로서 19.2MHz의 클럭이 공급되고, 또한 슬롯타이밍을 발생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1/40 주파수분할기(37)로 분할하여 발생된 5kHz의 신호가 공급된다. 변조부호기(42)에서 출력된 디지털 I데이터와 디지털 Q데이터는 데이터가 아날로그 I신호와 아날로그 Q신호로 변환되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43I, 43Q)에 공급된다. 변환된 I신호 및 Q신호는 저역통과필터(44I, 44Q)를 통해 믹서(45I, 45Q)에 공급된다. 게다가, 주파수합성기(38)에서 출력된 300MHz의 주파수신호는 위상이 서로 90도 천이되는 2개의 시스템신호들로 이상기(39)에 의해 변환된다. 2개의 시스템주파수신호들 중 1개는 믹서(45I)에 공급되는 반면, 다른 하나는 믹서(45Q)에 공급되어서, 300MHz대역에 있는 신호를 형성하도록 주파수신호들이 각각 I신호 및 Q신호와 혼합된다. 신호들 둘 다는 그것들을 하나의 시스템신호로 단일하게 하는 직교변조가 수행되는 가산기(46)에 공급된다. 주파수합성기(38)는 1/128 주파수분할기(33)로 주파수 분할하여 발생된 150kHz의 신호에 근거해서 300MHz대역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합성기이다.
다음에, 가산기(46)에서 출력된 300MHz대역의 신호로 변조된 신호는 송신증폭기(47)와 대역통과필터(48)를 거쳐 믹서(49)에 공급되어서, 신호를 2.2GHz대역의 송신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도록 신호는 주파수합성기(31)에서 출력된 1.9GHz의 주파수신호와 가산된다. 송신주파수로 주파수 변환된 송신신호는 송신증폭기(가변이득증폭기)(50)와 대역통과필터(51)를 거쳐 안테나공용기(12)에 공급되어서 신호는 무선형으로 안테나공용기(12)에 연결된 안테나(11)로부터 송신된다. 송신증폭기(50)의 이득을 제어함으로서, 송신출력을 조정한다. 송신출력의 제어는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수신된 출력제어데이터에 근거해서 수행된다.
게다가, TCXO(32)에서 출력된 19.2MHz의 신호는 1/2400 주파수분할기(40)에 공급되어서 8kHz의 신호로 변환되고, 8kHz의 신호는 음성처리시스템(도시 생략)의 회로에 공급된다. 다시 말해서, 본 예의 단말장치에서는, 단말장치와 기지국 사이에 송신된 음성신호가 8kHz의 비율로 표본화된다(또는 주파수의 적분곱셈(integral multiple)의 비율로 오버샘플링된다). 따라서, 1/2400 주파수분할기(40)는 음성신호의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와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와 같은 음성데이터처리회로 또는 음성데이터 등에 대한 압축과 확대(expansion)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신호처리기(DSP)에 필요한 클럭을 생성한다.
다음에, 구성의 단말장치의 송신시스템의 부호기와 그것의 주변 구성을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콘벌루션 부호기(101)는 송신데이터를 콘벌루션 부호화한다. 콘벌루션 부호화는, 예를 들어 k=7의 구속길이와 R=1/3의 부호화율로 수행된다. 도 8은 k=7의 구속길이와 R=1/3의 부호화율을 갖는 콘벌루션 부호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입력데이터는 직렬로 연결된 6개의 지연회로(101a, 101b, …, 101f)들에 공급되어서, 연속하는 7비트의 데이터가 그것들의 타임에 일치하게 된다. Ex-OR게이트(101g, 101h, 101i)는 7비트의 소정의 데이터의 배타적 OR을 취하고, 각 Ex-OR게이트(101g, 101h, 101i)의 출력들은 직병렬변환회로(101j)에 의해 병렬데이터로 변환되어서 콘벌루션 부호화된 데이터가 얻어진다.
도 7을 다시 설명한다. 콘벌루션 부호기(101)의 출력은 데이터인터리브(data interleave)가 4개의 프레임(20msec)에 걸쳐 수행되는 4-프레임인터리브버퍼(102)에 공급된다. 인터리브버퍼(102)의 출력은 DQPSK변조가 수행되는 DQPSK부호기(110)에 공급된다. 다시 말해서, DQPSK기호발생회로(111)는 공급된 데이터에 근거해서 해당 기호를 발생하고, 다음에 기호는 곱셈기(112)의 한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지연회로(113)는 1기호양만큼 곱셈기(112)의 곱셈출력을 지연하고 그것을 곱셈기의 다른 입력단자에 되돌려서, DQPSK변조가 수행된다. DQPSK변조된 데이터는 곱셈기(103)에 공급되어서, 랜덤위상이동데이터발생회로(random phase shift data generating circuit)(104)에서 출력된 랜덤위상이동데이터는 변조된 데이터와 곱해져서, 데이터의 위상이 임의로 확실히 변화된다.
곱셈기(103)로부터의 출력은 역고속푸리에변환의 계산으로 시간축으로의 변환처치가 주파수축의 데이터에 대해 수행되는 역고속푸리에변환(IFFT)회로(105)에 공급되어서, 6.25kHz의 간격을 갖는 22개의 부반송파들의 다중반송파신호의 실시간축(real time axis)에 대한 데이터가 생성된다. 역고속푸리에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IFFT회로(105)는 비교적 쉽게 2제곱된 수의 부반송파를 발생하기 위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예에 이용된 IFFT회로(105)는개의 부반송파, 즉 32개의 부반송파를 발생할 수 있고, 발생된 부반송파들의 연속하는 22개의 부반송파들로 변조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예의 FFT회로(105)에 의해 다루어진 송신데이터의 변조율은 200kHz로 설정된다. 200kHz의 변조율의 신호는 32개의 다중반송파신호로 변환되어서, 200kHz ÷ 32 = 6.25kHz의 계산으로부터 나온 6.25kHz의 간격을 갖는 다중반송파신호들을 생성한다.
역고속푸리에변환에 의해 실시간의 데이터로 변환된 다중반송파는 데이터가 윈도데이터발생회로(106)에서 출력된 시간파형과 곱해지는 곱셈기(107)에 공급된다. 시간파형은 송신측에서 예를 들어, 도 9a에 나타낸 것처럼 1개의 파형길이(Tu) 또는 약 200μsec(즉, 1개의 타임슬롯간격)을 갖는 파형이다. 하지만, 파형은 그것의 파형레벨을 자연스럽게 변환시키는 양 끝 부분(TTR)(약 15μsec)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시간파형들은 시간파형이 곱셈에 이용될 때 도 9b에 나타낸 것처럼 서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구성된다.
도 7을 다시 설명한다. 곱셈기(107)에 의해 시간파형과 곱해진 신호는 버스트버퍼(108)를 거쳐 가산기(109)에 공급된다. 가산기(109)는 제어데이터선택기(121)에서 출력된 제어데이터를 소정의 위치에서의 신호에 가산한다. 가산에 이용된 제어데이터는 송신출력의 제어를 나타내는 제어데이터이다. 단자(122)에서의 수신된 신호의 조건에 대한 판정결과에 근거해서, 선택기(121)는 제어데이터를 설정한다.
이 경우에, 선택기(121)는 3개의 제어데이터메모리(123, 124, 125)(실제로 이러한 메모리들은 1개의 메모리의 영역을 3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제공될 수도 있다)와 연결된다. 송신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1데이터)가 메모리(123)에 저장되고, 변하지 않는 상태로 송신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제어데이터(±0데이터)는 메모리(124)에 저장되고, 그리고 송신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1데이터)는 메모리(125)에 각각 저장된다. 이 경우에 저장된 제어데이터는 해당 제어데이터가 곱셈기(107)까지 부호기에서 송신을 위한 변조처리될 때의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송신데이터는 서로직교인 I축 및 Q축으로 형성된 평면상에서 변화하는 위상변조데이터, 즉 도 10에 나타낸 평면상에서 원을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이다. (0, 0)의 위치에서의 데이터(I, Q)는 ±0데이터로 설정되고, 상기 위치에서 90도만큼 뒤에 있는 (1, 0)의 위치의 데이터는 -1데이터로 설정되고, 상기 ±0의 위치의 90만큼 앞인 (0, 1)의 위치에 있는 데이터는 +1데이터로 설정된다. (1, 1)의 위치에 해당하는 송신출력에 대한 제어데이터는 정의되지 않아서 수신측이 위치의 데이터를 판정할 때 데이터는 송신출력을 변하지 않게 유지하기 위해서 ±0데이터로 간주된다. 도 10에 나타낸 신호위상은 다중반송파신호로 변조되기 전의 위상이다. 실제로, 신호위상의 데이터는 다중반송파신호로 변조되고 시간파형과 곱해져서 발생된 데이터는 각 메모리(123, 124, 125)에 저장된다.
가산기(109)에 의해 제어데이터와 가산된 송신데이터는 송신데이터가 변환을 위해 200kHz의 클럭을 사용하는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43)(도 6에 나타낸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43I, 43Q)에 해당한다)에 공급된다.
다음에, 본 예의 단말장치의 수신시스템의 복호기 및 그것의 주변구성을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200kHz의 클럭을 이용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0)(도 6에서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 해당함)에 의한 변환의 결과인 디지털데이터는 버스트버퍼(131)를 통해 곱셈기(132)로 공급되고, 곱셈기(132)에서 디지털데이터는 역윈도데이터발생회로(133)에서 출력된 시간파형과 곱해진다. 수신 시에 곱셈을 위해 이용된 시간파형은 도 7a에 나타낸 형태를 갖는 시간파형이다. 이 시간파형은 송신시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TM), 즉 160μsec.를 갖도록 구성된다.
시간파형과 곱해진 수신데이터는 주파수축과 시간축 사이의 변환이 고속푸리에변환처리에 의해 수행되는 FFT회로(134)에 공급되고, 그것에 의해서 6.25kHz의 간격을 갖는 22개의 부반송파로 변조되고 시간축에 배열된 송신데이터는 각 반송파를 가지는 정보성분으로 분리된다. 이 경우의 변환처리는, 송신시스템에서 IFFT회로에 의해 변환처리가 수행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부반송파, 즉 32개의 부반송파를 처리할 수 있는 회로에 의해 수행된다. 그것들 중 연속하는 22개의 부반송파로 변조된 데이터는 변환되고 그것으로부터 출력된다. 본 예의 FFT회로(134)에 의해 처리된 송신데이터의 변조율은 200kHz로 설정된다. 회로는 32개의 다중반송파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변환처리는 연산200kHz ÷ 32 = 6.25 kHz로부터 도출된 수인 6.25kHz의 간격으로 다중반송파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FFT회로(134)에서 고속푸리에변환되었던 수신데이터는 곱셈기(135)에 공급되고, 곱셈기(135)에서 수신데이터는 역랜덤위상이동데이터발생회로(136)에서 출력된 역랜덤위상이동데이터(이 데이터는 송신 시에 랜덤위상이동데이터와 동기해서 변화하는 데이터이다)와 곱해지고, 그것에 의해서 데이터는 원래의 위상을 갖도록 복구된다.
원래의 위상을 갖도록 복구된 데이터는 데이터가 차동복조되는 차동복조회로(137)에 공급된다. 차동복조된 데이터는 송신시 4-프레임에 대해 인터리브된 데이터가 원래의 데이터순서를 갖도록 복구되는 4-프레임디인터리브버퍼(4-frame interleave buffer)(138)에 공급된다. 디인터리브된 데이터는 데이터가 비터비복호화되는 비터비복호기(139)에 공급된다. 비터비복호화 데이터는 부호화된 수신데이터로서 다음단계에 있는 수신데이터회로(도시 생략)에 공급된다.
도 12는 지금까지 설명된 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낸다. 먼저, 1개의 타임슬롯의 데이터가 수신 시에 타이밍(R11)에서 수신되고, 수신과 동시에, 수신된 데이터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0)에 의해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되고, 다음에 버스트버퍼(131)에 저장된다. 저장된 수신데이터는 다음 타이밍(R12)에서 시간파형과의 곱셈, 고속푸리에변환, 역랜덤위상이동데이터와의 곱셈, 차동복조, 비터비복조 등과 같은 복조처리된다. 이후에, 부호화가 다음 타이밍(R13)에서 데이터처리에 의해 수행된다.
다음에, 타이밍(R11)후에 6개의 타임슬롯인 타이밍(R21)에서 타이밍(R23)까지는, 타이밍(R11)에서 타이밍(R13)까지의 처리와 같은 처리가 수행된다. 이후에,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송신시스템에서, 송신은 수신의 타이밍에 대해 3개의 타임슬롯만큼 이동된 타이밍에서 수행된다. 즉, 송신데이터는 소정의 타이밍(T11)에서 부호화되고, 부호화된 데이터는 변조처리되고 이 변조처리에 의해 데이터가 다음 타이밍(T12)에서 1버스트양의 송신데이터로 변환되고, 그리고 데이터는 송신시스템의 버스트버퍼(108)에 일단 저장된다. 다음에, 수신타이밍(R11)으로부터 3개의 타임슬롯 뒤인 타이밍(T13)에서, 버스트버퍼(108)에 저장된 송신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43)에 의해 변환되고, 다음에 송신처리되고 안테나(11)로부터 송신된다. 다음에, 타이밍(R11)후의 6개의 타임슬롯인 타이밍(T21)에서부터 타이밍(T23)까지는 타이밍(T11)에서 타이밍(T13)까지의 처리와 같은 처리가 수행된다. 이후에, 상기와 동일한 처리가 반복된다.
이런 식으로, 수신처리 및 송신처리가 시분할방식으로 간헐적으로 수행된다. 본 예에서, 송신데이터에 가산될 송신출력의 제어데이터(제어비트), 즉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송신시의 송신출력의 제어데이터는 부호화처리가 송신을 위해 완료되는 마지막 타이밍에 가산기(109)에 의해 가산된다. 그러므로, 수신데이터의 상태는 송신될 제어데이터에 신속하게 반영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타이밍(R11)에서 수신된 버스트신호의 수신상태는 타이밍(R12)에서 복조 중에 검출되고, 그리고 통신의 상대방(기지국)에 통지될 송신출력의 제어상태가 판단된다(즉, 도 12는 제어비트계산을 나타내는 처리를 나타낸다). 제어비트가 계산될 때, 계산의 결과는 단자(122)에서 선택기(121)로 전송되고, 선택기(121)에서 계산결과는 버스트버퍼(108)에 저장된 송신데이터에 해당하는 제어데이터에 가산되고, 타이밍(T13)에서 송신될 버스트신호는 상태를 나타내는 마지막 수신데이터에 근거해서 송신출력의 제어데이터와 가산된다.
통신을 수행하는 상대방(기지국)은 타이밍(T13)에서 송신된 제어데이터를 판단하여서 상대방은 버스트신호가 다음 타이밍(R21)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될 때 송신출력을 해당 상태로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다음에 송신될 버스트신호는 이전의 사이클에서 송신되었던 버스트신호의 수신상태에 근거해서 그것의 송신출력에서 제어된다. 따라서, 송신출력은 버스트신호가 송신되는 1사이클마다 확실하게 제어되어서, 동시에 단말장치와 1개의 기지국간의 복수개의 경로를 통해 동시에 송신된 송신신호의 송신출력을 일정하게 하는 것이 확실히 가능하다.
본 예에서처럼, 가산처리를 처리하기 위해서 송신출력의 제어데이터가 미리 메모리에 준비되는 처리가 수행되지 않으면, 다음의 순서가 예를 들어 도 12의 예에서 발생할 것이다. 즉, 타이밍(R11)에서 수신된 결과는 타이밍(R12)에서 변조의 처리에서 판정되고, 이후에 제어데이터는 타이밍(T21)에서 부호화되고 타이밍(T22)에서 복조되며, 타이밍(R11)에서 수신결과에 근거한 제어데이터는 타이밍(T23)에서 수신된 버스트신호에 응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사이클마다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단말장치측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출력을 제어하는데 유용한 데이터를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해 왔지만, 기지국측도 또한 단말장치로부터의 송신출력을 제어하는데 유용한 데이터를 발생해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기지국을 하나로 하는 단말장치 및 교환국과 통신하는 기지국의 구성을 도 13 ∼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송신 및 수신을 위한 기지국의 구성은 복수개의 단말장치가 기지국을 동시에 접속하는 다원접속을 위한 구성인 것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는 단말장치의 구성과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을 위한 모든 처리가 기지국에 의해서만 수행되지 않는다. 교환국도 또한 상기 처리의 일부분을 수행한다.
도 13은 기지국과 교환국의 전체 시스템구성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이동전화(501, 502, 503, …)용 교환국은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다. 각 이동전화(501, 502, 503, …)용 교환국은 그라운드(ground)전용회로 등에 연결된다. 각 이동전화(501, 502, 503, …)용 교환국은 복수개의 기지국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교환국(501)은 기지국(501a, 501b, …)에 연결된다. 교환국(502)은 기지국(502a, 502b, …)에 연결된다. 각 이동전화(501, 502, 503, …)용 교환국은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데이터의 채널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고, 기지국은 변조처리 및 복조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기지국(502b)은 교환국(502)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511)를 가진다. 교환국(502)에 의해 채널부호화되는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511)를 통해 송신부(512)로 공급된다. 송신부(512)는 데이터를 송신변조처리하고, 또한 변조된 신호를 고주파반송파(high-frequency carrier) 송신처리를 수행하여서, 신호를 송신신호로 변환한다. 송신부(512)는 무선으로 송신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송신신호를 안테나공용기(512)를 통해 안테나(514)로 공급한다. 안테나(514, 515)(2개의 안테나가 다이버시티(diversity)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다)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수신부(516)에 공급된다. 수신부(516)는 신호를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 신호를 고주파반송파 수신처리를 수행하고, 또한 연판정(soft decision)데이터를 구하기 위해서 중간주파수신호를 복조한다. 수신부(516)는 연판정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511)를 통해 교환국(502)에 공급한다. 교환국(502)은 수신기호를 복호화하기 위해 채널복호화처리를 수행한다. 기지국의 송신부(512)와 수신부(516)의 처리들은 통신제어부(517)의 제어 하에서 수행된다. 각 교환국(501, 502, 503, …)은 또한 일반적인 무선전화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일반적인 무선전화네트워크는 일반적인 전화네트워크 및 단말장치와의 통신을 허용한다.
도 14는 각 교환국(501, 502, 503, …)의 구성을 나타낸다. 각 교환국(501, 502, 503, …)은 시스템제어기(520)의 수가 교환국이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회로들의 수만큼 많은 시스템제어기(520)의 제어 하에서 채널복호화와 채널부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채널부호기/복호기를 가진다. 각 채널부호기/복호기(521, 522)는 스위칭회로(523)를 통해 이 교환국에 직접 연결된 각 기지국에 연결되고, 또한 스위칭회로(524)를 통해 다른 이동전화용 교환국에 연결된다. 또한, 각 채널부호기/복호기(521, 522)는 스위칭회로(525)를 통해 일반적인 전화네트워크에 연결된다.
도 15는 교환국에 설치된 채널부호기/복호기의 각각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낸다. 기지국에서 공급된 데이터(즉, 그것을 변조하기 위해서 단말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연판정데이터)는 디인터리버(deinterleaver)(531)에 공급된다. 디인터리버(531)는 거기에 연결된 메모리(532)에 데이터를 일단 저장하고 데이터배열을 원래의 배열로 복구하기 위한 디인터리브처리를 수행한다. 디인터리버(531)는 디인터리브된 수신기호를 비터비복호기(533)로 공급한다. 비터비복호기(533)는 디인터리브된 수신기호를 비터비복호화하고 비터비복호화된 수신데이터를 부호기/복호기(534)에 공급한다. 부호기/복호기(534)는 송신데이터 구성의 공급된 데이터로부터 오디오데이터, 제어데이터 등을 나누기 위한 복호화처리를 수행하고 오디오데이터 등과 같은 통신데이터인 TCH데이터를 오디오부호기/복호기(535)와 데이터부호기/복호기(536)에 공급한다. 오디오부호기/복호기(535)는 오디오데이터에 대해 복호화처리를 수행하고 복호화된 데이터를 상대방(다른 교환국, 일반적인 전화네트워크 등)에 공급한다. 만약 TCH데이터가 오디오데이터와 다른 다양한 데이터로 형성되면, 데이터부호기/복호기(536)는 데이터에 대해 복호화처리를 수행하고 복호화된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송신한다. 다양한 제어데이터는 무선전화시스템을 단일하게 하는 통신센터(도시 생략)에 송신된다.
데이터가 단말장치측으로 송신될 때, 오디오부호기/복호기(535) 또는 데이터부호기/복호기(534)에 의해 해당하는 부호화되는 데이터가 부호기/복호기(534)에 공급된다. 부호기/복호기(534)는 송신데이터 구성에 제어데이터와 함께 공급된 데이터를 구성하는 채널부호화처리를 수행하고, 채널부호화된 데이터를 부호기(537)에 공급한다. 부호기(537)는 데이터를 송신데이터로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데이터를 인터리버(interleaver)(538)에 공급한다. 인터리버(538)는 4개의 프레임의 간격에서 구성된 데이터를 인터리브한다. 이 때에, 인터리버(538)는 인터리버(538)에 연결된 메모리(539)에 데이터를 일단 저장하면서 이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에, 인터리브된 데이터는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데이터를 단말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각각의 구성을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128개의 대역슬롯에 대한 처리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데이터와 통신제어와 같은 통신데이터는 교환국으로부터 송신된 통신데이터로서 송신된다. 통신제어데이터는 타임슬롯할당의 데이터, 전력제어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스위칭회로(541)를 통해 16개의 변조회로(542a ∼ 542p)의 어떤 것에도 공급된다. 이 경우에, 16개의 변조회로(542a ∼ 542p)는 128개의 대역슬롯을 처리하며 8개의 대역슬롯이 1개의 변조회로마다 처리된다. 변조회로(542a ∼ 542p)의 각각의 구성을 나중에 계속 설명할 것이다.
송신을 위해 변조회로(542a ∼ 542p)에 의해 변조된 데이터는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543a ∼ 543p)에 공급되어서, 각각 송신 고주파반송파 처리된다. 송신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543a ∼ 543p)의 각각의 구체적 구성을 나중에 계속 설명할 것이다. 송신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543a ∼ 543p)의 송신처리에 의해 얻어진 송신신호들은 합성회로(544)에 의해 합성되고, 다음에 대역통화필터(BPF)(545)에 공급된다. 대역통과필터(545)는 그것으로부터의 송신대역 밖의 신호를 제거하고, 다음에 처리된 신호를 무선전화용 송신안테나에 공급한다.
기지국의 변조회로(542a ∼ 542p)의 각각의 구체적 구성을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교환국으로부터의 부호화된 비트들과 전력제어비트들은 한 시스템의 데이터로 믹서(551)에 의해 혼합되고, 다음에 콘벌루션 부호화회로(552)에 공급된다. 콘벌루션 부호화회로(552)는 한 시스템의 데이터를 콘벌루션 부호화하고, 다음에 콘벌루션 부호화된 데이터를 믹서(553)에 공급한다. 믹서(553)는 위상이 임의로 외관상 이동된 데이터를 구하기 위해서 그 데이터와 랜덤위상이동데이터발생회로(554)에서 출력된 랜덤위상이동데이터를 혼합한다. 믹서(553)는 상기 데이터를 곱셈기(555)에 공급한다. 곱셈기(555)는 지연회로(556)에 의해 1기호양만큼 곱셈기(555)로부터의 출력을 지연시켜서 얻어진 신호와 그 공급된 신호를 곱해서, DQPSK변조된 데이터를 구한다. 믹서(555)는 변조된 데이터를 위상테이블(557)에 공급한다. DQPSK변조된 데이터에 근거해서, 위상테이블(557)로부터의 출력이 선택되고 곱셈기(58)에 공급된다. 곱셈기(558)는 위상테이블(557)로부터의 출력과 해당하는 전력을 구하기 위한 전력제어데이터를 곱한다.
곱셈기(558)는 해당하는 전력의 데이터를 메모리(559)에 공급한다. 메모리(559)에 연결된 IFFT회로(560)는 다중반송파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주파수축을 시간축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역고속푸리에변환을 수행한다. 변환된 다중반송파신호는 버퍼메모리(561)를 통해 감산기(562)에 공급된다. 감산기(562)는 이 다중반송파신호와 메모리(559)에서 거기로 직접 공급된 다중반송파신호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고, 차이데이터를 곱셈기(563)에 공급한다. 곱셈기(563)는 이 차이데이터와 윈도데이터발생회로(564)에서 출력된 윈도데이터를 곱셈하고, 곱셈출력을 가산기(565)에 공급한다. 가산기(565)는 곱셈데이터와 메모리(559)에서 직접 출력된 출력을 가산하고, 가산출력을 변조신호로서 출력한다.
변조신호를 송신처리하기 위해 송신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543a ∼ 543p)의 각각의 구체적 구성을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공급된 변조신호(3.2Msample/sec의 데이터)는 디멀티플렉서(571)에 의해 송신 I데이터(TI)와 송신 Q데이터(TQ)로 나누어진다. 각 송신 I데이터(TI)와 송신 Q데이터(TQ)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572I, 572Q)에 공급되어서 아날로그신호들로 변환된다. D/A변환기(571I, 571Q)는 각 아날로그신호들을 저역통과필터(574I, 574Q)를 통해 곱셈기(575I, 575Q)에 공급한다. 단자(573)에서 얻어진 1.6kHz의 클럭은 D/A변환기(572I, 572Q)에 이용되는 변환클럭으로서 이용된다. 도 19a ∼ 도 19c는 데이터(TI, TQ)를 포함하는 변조신호와 타이밍(573)에서 얻어진 1.6MHz 및 9.6MHz의 클럭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곱셈기(575I, 575Q)들은 단자(573)에서 얻어진 클럭에 근거해서 PLL회로(576)에 발생된 300M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위상을 90도만큼 이동시켜 얻어진 신호들과 데이터(TI, TQ)를 포함하는 변조신호를 곱하고, 그것들을 버퍼증폭기(578)를 통해 대역통과필터(580)에 공급한다. 대역통과필터(580)는 300MHz의 대역에서 1.2MHz의 폭을 갖는 신호를 통과시키고 그것의 출력을 믹서(581)에 공급한다. 믹서(581)는 2GHz의 대역에서 송신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단자(573)에서 얻어진 클럭에 근거해서 PLL회로(582)에 의해 발생된 2GHz의 대역에서 그 출력과 신호를 곱한다. 믹서(581)는 송신신호를 대역통과필터(583)와 버퍼증폭기(584)를 통해 전력증폭기(585)에 공급한다. 전력증폭기(585)는 송신을 위해 송신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합성회로(544)(도 16 참조)에 공급한다.
단말장치에서 기지국으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을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2개의 수신용 안테나(514, 515)를 가진다. 안테나(514)로부터의 신호는 대역통과필터(601)와 저잡음증폭기(602)를 통해 16개의 수신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605a ∼ 605p)에 공급된다. 수신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605a ∼ 605p)의 각각은 1.2GHz의 간격으로 할당된 8개의 대역슬롯의 수신처리를 수행한다. 안테나(515)로부터의 신호는 대역통과필터(603)와 저잡음증폭기(604)를 통해 16개의 수신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605a ∼ 605p)에 공급된다. 수신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605a ∼ 605p)의 각각은 1.2GHz의 간격으로 할당된 8개의 대역슬롯들의 수신처리를 수행한다. 수신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605a ∼ 605p)의 각각의 구성을 나중에 계속 설명할 것이다.
수신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605a ∼ 605p)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복조회로(606a, ∼ 606p)에 공급된다. 복조회로(606a, ∼ 606p)는 연판정데이터를 구하기 위해서 신호를 복조한다. 각 복조회로(606a, ∼ 606p)의 구체적 구성을 나중에 계속해서 설명할 것이다. 복조회로(606a, ∼ 606p)에서 출력된 연판정데이터는 스위칭회로(607)를 통해 이 기지국에 연결된 교환국에 송신된다. 이 경우에, 오디오데이터 등과 같은 통신데이터의 연판정데이터뿐만 아니라 통신제어데이터도 교환국에 송신된다. 통신제어데이터는 타임슬롯할당에 대한 데이터와 수신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수신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605a ∼ 605p)의 각각의 구성을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한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의 2GHz의 대역에서 출력은 버퍼증폭기(611)를 통해 믹서(612)에 공급된다. 믹서(612)는 중간주파수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단자(631)에서 얻어진 클럭에 근거해서 PLL회로에 의해 발생된 주파수신호와 출력신호를 혼합한다. 믹서(612)는 중간주파수신호를 대역통과필터(613)와 버퍼증폭기(614)를 통해 곱셈기(615I, 615Q)에 공급한다. 곱셈기(615I, 615Q)는 공급된 중간주파수신호들과 이상기(634)의 일단 및 타단의 출력을 곱한다. 이상기(634)에는 단자(631)에서 얻어진 클럭에 근거해서 PLL회로(633)에 의해 발생된 200MHz의 신호가 공급되고, 이상기(634)는 서로 90도 만큼 천이된 위상을 갖고 200MHz의 신호에서 얻어진 일단 및 타단의 신호를 발생한다. 곱셈기(615I, 615Q)는 공급된 중간주파수신호들과 신호의 위상이 90도 만큼 천이가 신호들을 곱하기 때문에, 직교변조되는 I성분과 Q성분은 분리된다. I성분과 Q성분은 대역통과필터(616I, 616Q)를 통해 아날로그/디지털(A/D)변환기(617I, 617Q)에 공급되어서 표본화한다. A/D변환기(617I, 617Q)는 I성분과 Q성분을 한 안테나에서 수신된 I성분(AI)과 Q성분(AQ)으로서 합성회로(618)에 공급한다.
다른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는 유사하게 처리된다. 특히, 다른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의 2GHz의 대역에서 출력이 버퍼증폭기(621)를 통해 믹서(622)에 공급된다. 믹서(622)는 중간주파수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단자(631)에서 얻어진 클럭에 근거해서 PLL회로(632)에 의해 발생된 주파수신호와 출력신호를 곱한다. 믹서(622)는 중간주파수신호를 대역통과필터(623)와 버퍼증폭기(624)를 통해 곱셈기(625I, 625Q)에 공급한다. 곱셈기(625I, 625Q)는 공급된 중간주파수신호들과 이상기(34)의 일단 및 타단의 출력들을 곱한다. 곱셈기(625I, 625Q)는 공급된 중간주파수신호와 신호의 위상이 90도 천이된 신호들을 곱하기 때문에, 직교변조되는 I성분과 Q성분이 분리된다. I성분과Q성분은 대역통과필터(626I, 626Q)를 통해 아날로그/디지털(A/D)변환기(627I, 627Q)에 공급되어서 표본화한다. A/D변환기(627I, 627Q)들은 I성분과Q성분을 한 안테나에서 수신된 I성분(BI)과 Q성분(BQ)성분으로서 합성회로(618)에 공급한다.
합성회로(618)는 두 시스템들의 수신신호들을 합성하고 합성된 신호를 출력한다. 도 22에 나타낸 것처럼, 예를 들어, 이 합성회로에서는, 데이터(AI, AQ, BI, BQ)들이 9.6MHz와 1.6MHz의 클럭에 동기해서 시분할방식으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기지국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한 각 복조회로(606a ∼ 606p)들의 구성을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1에 나타낸 구성을 갖는 수신 고주파반송파 처리회로(605a ∼ 605p)로부터의 출력신호들은 스위칭회로(641)를 통해 메모리(642)에 공급된다. 메모리(642)로부터의 출력은 감산기(643)에 공급된다. 감산기(643)는 메모리(642)로부터의 출력과 스위칭회로(641)로부터의 출력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여 차이신호를 구한다. 감산기(643)는 차이데이터를 곱셈기(644)에 공급한다. 곱셈기(644)는 차이데이터와 역윈도데이터발생회로(645)에서 출력된 역윈도데이터를 곱하고, 그것의 곱셈출력을 가산기(646)에 공급한다. 가산기(646)는 곱셈출력과 스위칭회로(641)로부터의 출력을 곱하고 그 가산출력을 디멀티플렉서(647)에 공급한다. 디멀티플렉서(647)에는 스위칭회로(641)로부터의 출력이 공급되고, 디멀티플렉서(647)는 한 시스템(한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와 다른 시스템(다른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분리한다.
각 시스템들에 있어서의 처리들은 공통이고, 따라서 한 시스템의 수신신호의 처리만 설명할 것이다. 디멀티플렉서(647)로부터의 출력은 메모리(648a)에 공급되고, 다음에 거기에 연결된 고속푸리에변환(FFT)회로(649a)가 다중반송파신호를 I시스템의 신호로 변환하고 I시스템신호를 곱셈기(651a)에 공급한다. 곱셈기(651a)는 시스템신호와 랜덤위상이동데이터발생회로(650)로부터의 출력을 곱해서 송신시 임의로 위상이 이동된 데이터를 원래의 위상을 갖는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곱셈기(651a)는 원래의 위상을 갖는 데이터를 곱셈기(652a)에 직접 공급한다. 곱셈기(652a)에는 지연회로(653a)에 의해 1기호양만큼 지연된 데이터가 공급되고, 곱셈기(652a)는 차동복조를 수행하며, 그 차동복조된 데이터를 버퍼메모리(654a)에 공급한다. 차동복조된 데이터에 근거해서, 비터비복호화에 이용되는 연판정데이터를 구하기 위한 처리가 수행된다.
특히, 차동복조된 데이터는 복호기(656a)에 공급되어서 다시 차동변조된다. 변조된 데이터는 곱셈기(657a)에 공급된다. 곱셈기(657a)는 변조된 데이터와 차동복조된 데이터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고 그 차이데이터를 가산기(658a)에 공급한다. 가산기(658a)는 차이데이터와 지연회로(659a)로부터의 출력을 가산하여서 차이의 데이터를 누적한다. 가산기(658a)는 누적된 값을 지연회로(660a)를 통해 평균화(averaging)회로(661a)에 공급한다. 평균화회로(661a)는 그것의 출력을 곱셈기(662a)에 공급한다. 복호기(656a)에 의해 다시 변조된 데이터와 지연회로(653a)로부터의 출력은 곱셈기(663a)에 공급되어서 곱해진다. 곱셈기(663a)는 곱셈신호를 감산기(664a)에 공급한다. 감산기(664a)는 곱셈신호와 곱셈기(651a)로부터의 출력 사이의 차이데이터를 계산하여서 이 차이데이터를 송신경로에서의 잡음으로 판정한다. 차이데이터는 제곱회로(665a)에 공급되어서 제곱된다. 제곱회로(665a)는 제곱값을 절대값으로 변환하고, 그 절대값을 가산기(666a)에 공급한다. 가산기(666a)는 그 값과 지연회로(667a)로부터의 출력을 가산하여서 잡음데이터를 누적한다. 가산기(666a)는 누적된 값을 지연회로(668a)를 통해 가중(weighing)회로(669a)에 공급한다. 또한, 곱셈기(651a)로부터의 출력은 제곱회로(670a)에 공급되어서 제곱된다. 제곱회로(670a)는 제곱값을 절대값으로 변환하고, 절대값을 가산기(671a)에 공급한다. 가산기(671a)는 절대값과 지연회로(672a)로부터의 출력을 가산하여 그 데이터를 누적한다. 가산기(671a)는 누적된 값을 지연회로(673a)를 통해 가중회로(669a)에 공급한다.
가중회로(669a)는 미리 설정된 가중처리를 수행하고 가중된 값을 곱셈기(662a)에 공급한다. 곱셈기(662a)는 그 출력을 지연회로(674a)를 통해 곱셈기(655a)에 공급한다. 곱셈기(655a)는 곱셈기(662a)로부터의 출력과 메모리(654a)로부터의 출력을 곱해서, 송신상태를 타나내는 데이터와 차동복조된 데이터를 가산함으로서 얻어지고 비터비복호화에 이용되는 연판정데이터를 구한다. 곱셈기(655a)는 연판정데이터를 가산기(675)에 공급한다. 가산기(675)는 연판정데이터와 다른 시스템의 데이터를 혼합한다. 다른 시스템의 처리는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도 23에서 부호(b)로 표시된 회로들은 다른 시스템에서의 처리회로들이며, 한 시스템에서 부호(a)로 표시된 회로들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는 회로들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단말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처리로서 비터비복호화에 이용되는 연판정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처리만을 수행하고 다음의 처리들은 교환국에 의해서 수행되기 때문에, 기지국에서의 처리들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기지국은 교환국에 의해 채널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기 위한 처리와 데이터를 단말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처리로서 변조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만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기지국에서의 처리들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무선전화시스템용 기지국의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시스템변경 등을 용이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만약 부호화방법과 같은 데이터처리방법이 변경되어야만 한다면, 단지 교환국에서의 구성만을 변경하는 것으로 충분해서, 각 기지국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스템이 비교적 쉽게 변경되는 것을 허용된다. 또한,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을 스위칭하기 위한 핸드오프처리 시에 교환국이 채널부호화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교환국측에 해당 데이터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서, 고속(즉, 실시간으로)으로 기지국을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파수, 시간, 부호화율 등의 값을 이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변조시스템의 측면에서 DQPSK변조와 다른 변조처리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특히, 교환국이 무선통신에 이용되는 디지털데이터의 채널부호화와 채널복호화를 수행하는 기지국이 무선송신을 위한 변조 및 복조처리만을 수행하는 구성은 이 실시예에서 설명된 통신시스템과 다른 무선전화시스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교환국은 CDMA시스템 또는 TDMA시스템에 따라서 채널부호화와 채널복호화를 수행해도 좋고, 기지국은 CDMA시스템 또는 TDMA시스템에 따라서 변조 및 복조처리와 변조 및 복조처리에 관한 처리만을 수행해도 좋다.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교환국이 채널부호화와 채널복호화와 같은 데이터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기지국은 교환국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변조하기 위한 처리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한 처리만을 수행하면 충분하다. 그러므로, 교환국이 처리들을 총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각 기지국의 처리들이 간소화된다. 만약 부호화방법 등과 같은 데이터처리방법이 변경된다면, 단지 교환국의 구성만을 변경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각 기지국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시스템을 비교적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을 스위칭하기 위한 핸드오프처리 시에 교환국이 채널부호화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고속(즉, 실시간으로)으로 기지국을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각 기지국이 다음의 송신시스템이 이용될 때 신호들을 쉽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송신시스템에서, 소정수의 각 부반송파신호들이 소정의 주파수간격에서 할당되는 복수개의 송신대역들이 준비되고, 타임슬롯은 소정의 시간으로 각 송신대역의 신호를 나눔으로서 형성되고, 소정수의 타임슬롯의 간격에서 간헐적으로 소정수의 부반송파신호들을 분산(dispersing)시켜서 얻어진 다중반송파신호로 형성된 버스트신호가 송신되고, 처음의 송신대역의 소정의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통신이 수행되고, 그리고 이후에 소정의 시간 후에 처음의 송신대역의 타임슬롯의 다음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송신대역이 두 번째 송신대역으로 스위칭되어서, 기지국과 단말장치간의 통신이 양호하게 수행될 수 있다(즉, 직교관계가 신호들의 각 경로들간에 성립되고, 송신대역이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상태에서, 그리고 다른 신호들에 대해 간섭 없이 양호한 송신상태에서, 많은 수의 경로들이 국을 접속할 수 있는 다원접속이 수행될 수 있다).
이 송신시스템이 이용될 때, 만약 패킷(packet)의 형태로 이루어진 부호화된 데이터가 각 슬롯에서 교환국에서 기지국으로 송신된 데이터로서 송신된다면, 양호하게 처리된 데이터가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송신시스템이 이용될 때, 모든 슬롯에 대한 연판정데이터가 기지국에서 교환국으로 송신된 데이터로서 송신될 때, 양호하게 처리된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교환국에 설치된 채널부호화수단과 채널복호화수단은 각 기지국을 통해 송신된 데이터를 총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각 기지국의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디지털데이터가 무선으로 송신되는 무선전화시스템의 시스템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해 왔으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에 정의된 것처럼 본 발명의 진의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가 다양하게 변환 및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20)

  1. 다원접속을 위한 소정의 송신포맷으로 소정의 송신대역폭에서의 송신방법에 있어서,
    다원접속을 관리하기 위한 위치에서 신호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신호를 복수개의 기지국에 송신하는 부호화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에서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각각 변조하는 변조단계와,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에서 상기 변조단계에서 얻어진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단계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송신포맷은 소정의 주파수간격에서 분리된 소정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되는 다중반송파신호를 이용하는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송신포맷은 소정의 시간간격에서 소정수의 타임슬롯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수의 부반송파들과 상기 소정수의 타임슬롯들이 각각 소정수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송신포맷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파들이 주파수호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6. 다원접속을 위해 소정의 송신포맷으로 소정의 송신대역폭에서의 수신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기지국에서 RF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에서 상기 수신단계에서 얻어진 출력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신호를 다원접속을 관리하기 위한 장소로 송신하는 복조단계와, 그리고
    다원접속을 관리하기 위한 위치에서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단계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송신포맷은 소정의 주파수간격에서 분리된 소정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되는 다중반송파를 이용하는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송신포맷은 소정의 시간간격에서 소정수의 타임슬롯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수의 부반송파들과 상기 소정수의 타임슬롯들이 각각 소정수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송신포맷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파들이 주파수호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11. 다원접속을 위한 소정의 송신포맷으로 소정의 송신대역폭을 이용하는 송신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신호를 복수개의 기지국들에 송신하기 위한 다원접속 관리수단과,
    상기 다원접속 관리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개의 기지국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송신포맷은 소정의 주파수간격에서 분리된 소정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되는 다중반송파신호를 이용하는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송신포맷은 소정의 시간간격에서 소정수의 타임슬롯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수의 부반송파들과 상기 소정수의 타임슬롯들이 각각 소정수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송신포맷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파들이 주파수호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6. 다원접속을 위한 소정의 송신포맷으로 소정의 송신대역폭을 이용하는 수신장치에 있어서,
    RF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RF신호들을 복조하고, 그리고 복조된 신호를 다원접속 관리수단에 송신하기 위한 복수개의 기지국들과,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출력신호들을 복호화하기 위한 다원접속 관리수단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송신포맷은 소정의 주파수간격에서 분리된 소정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되는 다중반송파를 이용하는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송신포맷은 소정의 시간간격에서 소정수의 타임슬롯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수의 부반송파들과 상기 소정수의 타임슬롯들이 각각 소정수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송신포맷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파들이 주파수호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KR1019970040261A 1996-08-23 1997-08-22 통신방법및통신시스템 KR100497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22931A JPH1066137A (ja) 1996-08-23 1996-08-23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96-222931 1996-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22A true KR19980018922A (ko) 1998-06-05
KR100497792B1 KR100497792B1 (ko) 2005-09-26

Family

ID=1679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261A KR100497792B1 (ko) 1996-08-23 1997-08-22 통신방법및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52366A (ko)
EP (1) EP0825731A3 (ko)
JP (1) JPH1066137A (ko)
KR (1) KR100497792B1 (ko)
AU (1) AU728412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893B2 (ja) * 1998-03-26 2000-12-11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システム
US6584090B1 (en) * 1999-04-23 2003-06-24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 and process for shared functional block CDMA and GSM communication transceivers
US6522307B2 (en) * 2000-07-14 2003-02-18 Lg Electronics Inc. Antenna sharing apparatus of base station in W-CDMA system
JP2005210304A (ja) * 2004-01-21 2005-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JP4631455B2 (ja) * 2005-02-03 2011-02-16 船井電機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4560A (en) * 1982-08-13 1987-02-17 Hazeltine Corporation Intranetwork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2886714B2 (ja) * 1991-09-13 1999-04-2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回線制御装置
US5627879A (en) * 1992-09-17 1997-05-06 Adc Telecommunications, Inc.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with centralized base stations and distributed antenna units
US5603081A (en) * 1993-11-01 1997-0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H06177819A (ja) * 1992-12-01 1994-06-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通信方式
JPH0754991B2 (ja) * 1993-01-21 1995-06-07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ジタル移動無線通信方式
JPH0828907B2 (ja) * 1993-05-10 1996-03-2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路制御方法
KR960015940B1 (ko) * 1993-08-31 1996-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코드분할다원 접속방식 단말기의 채널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5722074A (en) * 1993-09-24 1998-02-24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oft handoff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FI941072A (fi) * 1994-03-07 1995-09-08 Nokia Mobile Phones Ltd Tiedonsiirtomenetelmä, lähetin sekä vastaanotin
DE4424016A1 (de) * 1994-07-08 1996-01-18 Ant Nachrichtentech Basisstationssystem für ein digitales zellulares Mobilfunknetz
JP3421880B2 (ja) * 1994-10-05 2003-06-30 ソニー株式会社 復調装置
GB2296407B (en) * 1994-12-22 1999-10-06 Roke Manor Research Frequency hopped cellular mobile radio systems
JPH09321721A (ja) * 1996-05-27 1997-12-12 Sony Corp 送信方法,送信装置,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JP3658859B2 (ja) * 1996-05-27 2005-06-0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H09321682A (ja) * 1996-05-27 1997-12-12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5731A2 (en) 1998-02-25
KR100497792B1 (ko) 2005-09-26
EP0825731A3 (en) 2001-09-12
AU728412B2 (en) 2001-01-11
US6052366A (en) 2000-04-18
AU3525197A (en) 1998-02-26
JPH1066137A (ja) 199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098B1 (ko) 통신방법,기지국및단말장치
US6173016B1 (en)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and reception apparatus
US5966644A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using a multi-carrier signal
KR100450263B1 (ko) 수신방법,수신장치및타이밍검출장치
US5970047A (en) Communications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reception apparatus
EP0841761B1 (en)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apparatus using time slots
US6201970B1 (en) Communication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WO1994002996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bile cellular radio systems
JPH09321736A (ja) 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EP0810744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6195341B1 (en)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apparatus
KR100497792B1 (ko) 통신방법및통신시스템
KR100473844B1 (ko) 통신방법,통신장치,수신방법및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