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185A -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 - Google Patents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185A
KR19980018185A KR1019970032584A KR19970032584A KR19980018185A KR 19980018185 A KR19980018185 A KR 19980018185A KR 1019970032584 A KR1019970032584 A KR 1019970032584A KR 19970032584 A KR19970032584 A KR 19970032584A KR 19980018185 A KR19980018185 A KR 19980018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olt
housing
screw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0725B1 (ko
Inventor
마사키 오타
가즈야 기무라
히로아키 가유카와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치세이
도요다 지도숏키 세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치세이, 도요다 지도숏키 세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치세이
Publication of KR1998001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CINDEXING SCHEME RELATING TO 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OR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MACHINES, ENGINES OR PUMPS OTHER THAN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 F05C2253/00Other material characteristics; Treatment of material
    • F05C2253/12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296Cam and slide
    • Y10T74/18336Wabbl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하우징 조립시에 관통볼트의 나사가 피스톤의 끝에 통과되지 아니하고 더욱이 맞대이는 부분과 피스톤과의 사이의 간극을 극히 작게 설정할 수 있는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을 제공한다.
하우징 구성체(11∼13)는 관통볼트(62)에 의해 일체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관통볼트(62)는 크랭크실(15)내에 있어서 피스톤(32)의 근처에 연장되고 그것의 맞대인 부분(63)에 피스톤(32)의 규제부분(35)이 맞대이므로서 피스톤(32)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관통볼트(62)에 있어서 맞대인 부분(63)은 하우징 구성체(13)와 나사 맞춤되는 나사(62a) 보다 큰 지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
본 발명은 예를 들자면 차량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고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냉매가스 등의 압축을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스톤의 회전을 관통볼트와의 맞대임에 의해 규제하는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종류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은 구성의 것이 존재한다. 즉 하우징은 복수의 하우징 구성체가 관통볼트에 의해 일체로 체결고정되고 하우징 내에는 실린더 보어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은 하우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받쳐지고 구동축에는 경사판이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기 끼워져있다. 피스톤은 실린더 보어 내에 수용됨과 함께 경사판에 슈를 거쳐서 걸려져 있다. 따라서 구동축의 회전 운동이 경사판을 거쳐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되어서 냉매 가스 등의 압축이 행해진다.
그런데 압축기에 있어서는 경사판의 회전력이 슈를 거쳐서 피스톤에 전달되고 피스톤이 자신의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된다. 이 때문에 피스톤과 경사판이 간섭해서 소음이나 진동 등을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 피스톤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해 예를 들자면 일본 실용신안공개 헤이세이 6-25573호 공보에 있어서 도 4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즉 관통볼트(81)를 피스톤(82)의 양쪽편 끝에 통과시키므로서 관통볼트(81)를 피스톤(82)의 축선 S을 중심으로한 회전 궤적상에 설치시키고 관통볼트(81)와 피스톤(82)의 맞대임에 의해 그것의 회전을 규제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 공보에 있어서는 관통볼트(81)의 가장 적합한 형상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즉 관통볼트(81)에 있어서는 피스톤(81)이 맞대이는 부분(83)과, 선단에 설치되고 하우징 구성체(84)와 나사 체결되는 나사(81a)는 동일 외경으로 한다.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하우징의 조립시에 있어서 관통볼트(81)를 삽입할 때 그 나사(81a)가 피스톤(82)의 끝에 통과된다. 따라서 나사(81a)가 피스톤(82)에 접촉되기 쉽게 나사(81a)에 의해 피스톤(82)이 긁혀서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하우징 조립시에 있어서 피스톤(82)의 손상은 예를 들자면 그것의 깎인 부스러기가 하우징의 내부에 남고 각 부재사이에 들어가 불합리하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관통볼트(81)의 맞대인 부분(83)과 피스톤(82) 사이의 간격을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간격을 크게 설정하면 피스톤(82)의 회전폭이 커지고 피스톤(82)이 관통볼트(81)에 맞대이므로서 생기는 소음이나 진동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우징의 조립시에 관통볼트의 나사가 피스톤의 끝에 통과되지 아니하고 더욱이 맞대이는 부분과 피스톤 사이의 간격을 매우 작게 설정할 수 있는 피스톤의 회동규제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제 1 항의 발명은 관통볼트에 있어서 피스톤과의 맞대이는 부분을 하우징 구성체에 나사 맞춤되는 나사 부분보다 큰 지름으로 한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이다.
청구항 제 2 항의 발명에서는 맞대이는 부분을 관통볼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제 3 항의 발명에서는 맞대이는 부분은 관통볼트와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은 편두피스톤식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A-A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경사판을 교체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 은 별도예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는 종래기술을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프론트 하우징12 : 실린더 블럭
13 : 리어하우징31 : 실린더 보어
32 : 피스톤62 : 관통볼트
62a : 나사63 : 맞대임 부분
상기 구성의 청구항 제 1 항의 발명에 있어서는 피스톤의 회전이 피스톤과 관통볼트와의 맞대임에 의해 규제된다. 관통볼트에 있어서 피스톤과의 맞대이는 부분은 하우징 구성체에 나사 맞춤되는 나사부 보다 지름이 크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과 관통볼트의 맞대이는 부분과의 사이의 간격을 작게 설정을 해도 하우징의 조립시에 나사가 피스톤의 끝에 통과되는 일은 없다.
청구항 제 2 항의 발명에 있어서 맞대이는 부분은 관통볼트와 일체로 형성이 되어 있고 압축기에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 적용하는 것에 의한 부품점의 수가 증가되지 않는다.
청구항 제 3 항의 발명에 있어서 맞대이는 부분은 관통볼트와 별체로 구성이 되어있다. 따라서 관통볼트에 기존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해 피스톤이 맞대이는 부분과 미끄러지거나 관통볼트와 별도 몸체의 맞대이는 부분에는 나사 등을 용이하게 피해서 저마찰 미끄러짐성 등을 갖는 표면처리를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을 편두 피스톤식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 구체화한 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하우징(11)은 실린더 블록(12)의 앞 끝쪽에 설치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13)은 실린더 블록(12)의 뒤끝 쪽에 밸브판(14)을 거쳐서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11), 실린더 블록(12) 및 리어 하우징(13)이 본 실시형태의 하우징 구성체이다. 복수의 볼트 삽통구멍(61)은 프론트 하우징(11)의 앞벽면에서 실린더 블록(12) 및 밸브관(14)을 관통해서 리어 하우징(13)에 뚫어 설치되어 있다. 볼트 삽입구멍(61)은 각 프론트 하우징(11), 실린더 블록(12), 리어 하우징(13), 밸브판(14)의 외주에서 동일 원주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같은 수의 관통볼트(62)는 볼트삽입구멍(61)에 대해서 프론트 하우징(11) 쪽으로 부터 삽입되고 그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62a)를 갖고 리어 하우징(13)에 형성된 볼트 삽입구멍(61)이 구성된 나사구멍(61a)에 나사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하우징(11) 및 리어 하우징(13)은 관통볼트(62)에 의해 실린더 블록(12)의 전후단면에 각각 체결 고정되어 있다.
크랭크실(15)은 프론트 하우징(11)과 실린더 블록(12)에 감싸여서 공간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16)은 크랭크 실(15)내를 통과하도록 프론트 하우징(11)과 실린더 블록(12) 사이에 래이디얼 베어링(17)을 거쳐서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16)은 도시하지 아니한 외부 구동원으로서의 차량 엔진에 전자 클러치 등의 클러치 기구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16)은 차량 엔진의 기동상태에 있어서 전자 클러치가 접속되므로서 회전 구동된다.
립 실(lip seal ; 18)은 구동축(16)의 앞끝쪽과 프론트 하우징(11) 사이에 개재되고 크랭크 실(15)을 압축기 외부로부터 기밀되어 있다.
회전지지체(19)는 크랭크 실(15)내에 있어서 구동축(16)에 부착되어 있다. 경사판(21)은 구동축(16)에 대해서 구동축(16)의 축선 L방향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하고 또한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힌지기구를 구성하는지지 아암(24)은 회전 지지체(19)의 내부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힌지 기구를 구성하는 가이드 핀(25)은 경사판(21)의 앞면쪽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각 가이드핀(25)의 선단에 설치된 구형상부(25a)가 각 지지아암(24)에 설치된 가이드구멍(24a)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경사판(21)은 지지아암(24)과 가이드핀(25)과의 연결에 의해 구동축(16)의 축선 L방향으로 경사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구동축(16)과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경사판(21)의 경사이동은 가이드구멍(24a)과 구형상부(25a)사이의 슬라이드가이드 단계, 구동축(16)의 슬라이드 지지작용에 의해 안내된다. 경사판(21)의 반경중심이 실린더 블록(12)쪽으로 이동되면 경사판(21)의 경사각이 감소된다.
링 형상을 이루는 스토퍼(27)는 회전 지지체(19)와 실린더 블록(12) 사이에 있어서 구동축(16) 밖에 끼워져 있다. 경사판(21)이 스토퍼(27)에 맞대이므로서 경사판(21)의 최소 경사각이 규제된다. 경사각 규제 돌출부(28)는 경사판(21)의 앞면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판(21)의 최대 경사각은 경사각 규제 돌출부(28)가 회전 지지체(19)의 내부면쪽에 맞대이므로서 규제된다.
복수의 실린더 보어(31)는 실린더 블록(12)에 있어서 구동축(18)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31)는 그 외주 쪽에서 상술한 볼트 삽입구멍(61)과 교대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같은 수의 편두 피스톤(이하 단지 피스톤이라 함; 32)은 각각 실린더 보어(31)내에 수용되어 있다. 피스톤(32)은 실린더 보어(31)에 삽입되는 원주체(33)와 원주체(33)의 앞 끝쪽(경사판 (21)쪽)에 일체로 설치되고 내쪽에 슈 자리(34a)를 구비하는 목부(34)로 형성된다. 규제부(35)는 목부(34)의 양쪽 편에 설치되고 원주체(33)의 외주면 보다도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래서 경사판(21)은 슈 자리(34a)에 의해 받혀진 슈(36)를 거쳐서 피스톤(32)의 목부(34)에 걸어 맞추어져 있고 경사판(21)의 회전운동이 피스톤(32)의 전후왕복 운동으로 변환된다.
흡입압 영역을 구성하는 흡입실(38) 및 토출압 영역을 구성하는 토출실(39)은 리어 하우징(13)내에 각각 구획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멍(40), 상기 흡입구멍(40)을 개폐하는 흡입밸브(41), 토출구멍(42), 상기 토출구멍(42)을 개폐하는 토출밸브(43)는 각각 밸브판(14)에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흡입실(38)내의 냉매가스는 피스톤(32)의 복동동작에 의해 흡입구멍(40) 및 흡입 밸브(41)을 거쳐서 실린더 보어(31)내에 흡입된다. 실린더 보어(31)내에 유입된 냉매가스는 피스톤(32)의 왕복동작에 의해 토출구멍(42) 및 토출밸브(43)를 거쳐서 토출실(39)로 토출된다. 또한 토출밸브(43)의 열림은 밸브판(14)에 고정된 리테너(44)에 의해 규정된다.
스러스트베어링(45)은 회전 지지체(19)와 프론트 하우징(11)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있다. 스라스트 베어링(45)은 피스톤(32) 및 경사판(21)을 거쳐서 회전 지지체(19)에 작용되는 냉매압축시의 압축반력을 받는다.
방출압통로(47)는 크랭크실(15)과 흡입실(38)을 접속하고 있다. 압력공급통로(48)는 토출실(39)과 크랭크실(15)을 접속하고 통로(48)상에는 용량제어 밸브(49)가 개재되어 있다. 즉, 밸브실(50)은 압력공급통로(48)의 도중에 형성되어 있다. 포트(51)는 밸브실(50)내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52)는 밸브실(50)내에 수용되어 있고 포트(51)에 대해서 접촉과 분리가 가능하다. 수용실(53)은 로드 가이드(54)에 의해 밸브실(50)에 대해서 구획되어 있고 수용실(53)을 다이어프램(55)에 의해 구획하므로서 감압실(50) 및 대기로 개방된 대기실(57)에 형성되어 있다. 로드(58)는 로드 가이드(54)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로드(58)에 의해 밸브(52)와 다이어프램(55)이 연결되어 있다. 감압통로(59)는 흡입실(38)과 감압실(56)을 접속하고 감압통로(59)를 거쳐서 흡입실(38)의 냉매가스가 감압실(56)로 도입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55)이 흡입압의 고저에 의해 동작되고 포트(51)의 열림 즉, 압력공급 통로(48)의 열림이 조절된다. 그 결과 크랭크실(15)내의 압력이 변경되고 피스톤(32)의 전후에 작용하는 크랭크실(15)내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31)내의 압력의 차가 조정된다. 따라서 경사판(21)의 경사각이 변경되어서 피스톤(32)의 스트로크가 변경되고 토출용량이 조정된다.
즉, 예를 들자면 냉방 부하가 크면 흡입압이 설정치보다 커져 용량제어 밸브(49)는 압력 공급통로(48)의 열림을 작게 하도록 동작된다. 따라서 크랭크실(15)의 압력은 방출압통로(47)을 거쳐서 흡입실(38)로 방출압되어 저하되고 경사판(21)의 경사각이 최대 경사각쪽으로 변경되어서 피스톤(32)의 스트로크량이 커진다. 그 결과 토출용량이 커져서 흡입압이 저하된다.
또 냉방 부하가 작으면 흡입압이 설정치보다 낮아져 용량제어 밸브(49)는 압력공급통로(48)의 열림을 크게 하도록 동작된다. 따라서 크랭크실(15)의 압력은 토출냉매가스의 도입에 의해 상승되고 경사판(21)의 경사각이 최고 경사각쪽으로 변경되어서 피스톤(32)의 스트로크량이 작아진다. 그 결과 토출용량이 작아져서 흡입압이 상승된다.
이와 같이 용량제어 밸브(48)는 설정된 흡입압을 유지해야 할 경사판(21)의 경사각을 변경해서 토출용량을 변경한다. 또한 설정치는 밸브(51)를 포트(51)쪽으로 부착되는 스프링(71) 및 스프링(71)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다이어프램(55)이 부가되는 스프링(72)의 비율 등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피스톤(32)의 회전 규제 구조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각 볼트 삽입구멍(61)에 삽입된 관통볼트(62)의 축(62b)은 크랭크실(15)의 안 공간에 있어서 인접하는 피스톤(32)의 규재부(35)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축(62b)에서 왕복 운동시키는 피스톤(32)의 규제부(35)에 대응하는 범위가 맞대이는 부분(63)을 구성하고, 맞대임 부분(63)과 규제부(35) 사이의 간격은 극히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맞대이는 부분(63)은 상술한 나사(62a) 보다 큰 지름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그래서 도 2 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32)이 자신의 축선 S를 중심으로 해서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려 해도 그것의 규제부(35)의 회전 궤적 상에는 관동볼트(62)의 맞대이는 부분(63)이 존재하고 규제부(35)와 맞대이는 부분(63)의 맞대임에 의해 피스톤(32)의 그 이상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피스톤(32)과 경사판(21)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그것에 기인한 소음이나 진동등의 발생이 억제된다.
상기 구성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관통볼트(62)의 맞대임 부분(63)은 나사부(62a)보다 큰 지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맞대인 부분(63)과 피스톤(32)의 규제부(35) 사이의 간격을 극히 작게 설정해도 프론트 하우징(11), 실린더 블록(12), 리어 하우징(13)의 조립시에 있어서 관통볼트(62)를 프론트 하우징(11)에 삽입한 때 그것의 나사(62a)가 크랭크실(15)내에 있어서 피스톤(32)(규제 부분(35))의 끝에 통과되는 일은 없다. 즉 맞대임 부분(63)의 반경과 나사(62a)의 반경과의 차이만큼 나사(62a)와 피스톤(32) 사이에 공간의 여유가 생긴다. 따라서 프론트 하우징(11), 실린더 블록(12), 리어하우징(13)의 조립시에 있어서 나사(62a)와 피스톤(32)과의 접촉을 피할 수가 있고 피스톤(32)이 나사(62a)에 의해 깎여지는 등으로 손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규제부(35)와 맞대임 부분(63)의 간격을 작게 설정해서 피스톤(32)의 회전폭을 작게할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32)이 관통볼트(62)에 맞대이는데 기인한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2) 맞대이는 부분(63)은 관통볼트(62)의 축(626)을 큰 지름으로 구성하므로서 관통볼트(6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32)의 회전 규제 구조물을 압축기에 적용함에 있어서 압축기의 부품점 수가 증가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압축기의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자면 다음의 상태로도 실시된다.
(1) 도 3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대이는 부분(66)을 관통볼트(65)와 별도몸체로 구성한다. 즉, 원통형상을 이루는 슬리브(67)를 관통볼트(65)의 축(65b)에 겉 끼워서 나사(65a) 부분보다 큰 지름으로 구성하고 슬리브(67)에 있어서 피스톤(32)의 규제부(35)에 대응하는 범위를 맞대임 부분(66)으로 한다. 이와같이 하면 기존의 관통볼트(65)를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고 전용의 관통볼트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피스톤(32)의 왕복 운동에 의해 피스톤(32)과 맞대이는 부분(66)은 미끄럼이 이루어지나 맞대이는 부분(66)의 표면에 대해서 저마찰 미끄러짐성 등을 갖는 코우팅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할 때에도 그것의 시공이 용이해진다(나사 등을 피해서 코우팅을 실시할 필요가 있고 맞대이는 부분이 관통볼트와 일체인 마스킹(masking) 등의 번거로운 수고가 증가한다).
(2) 상기 실시형태 혹은 도 3에 도시하는 다른 예에 있어서 맞대이는 부분(63, 66)의 외주면에 저마찰 미끄러짐성, 내마모성 등을 갖는 P T F E(포리테트라프로드에틸렌) 코우팅 등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하면 피스톤(32)의 규제부(35)인 맞대이는 부분(63, 66)이 미끄러져도 피스톤(32)의 부드러운 왕복운동이 저해되는 일은 없고 피스톤(32) 및 관통볼트(62)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3) 양두 피스톤을 구비한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나 경사판(21) 이외의 캠으로서 파형 캠을 구비한 웨이브 캠식 압축기에 있어서도 구체화된다.
(4) 외부 구동원과의 사이의 동력 전달계에 전자 클러치 등의 클러치 기구가 개재되지 아니한 클러치레스 형태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구체화한다.
(5) 작은 지름의 나사부에서 큰 지름의 축으로 이동하는 관통볼트 위의 부위에 있어서 서서히 축의 지름을 크게한다. 이와 같이 하면 관통볼트의 조립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실시형에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인 사상에 대해서 기재한다.
(1) 프론트 하우징(11), 실린더 블록(12), 리어 하우징(13)에는 구동축(16)이 회전이 가능하게 받쳐지고 구동축(16)에는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게 캠(21)이 끼워 부착되고 탬(21)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32)이 왕복 운동된다.
이와 같이 하면 프론트 하우징(11), 실린더 블록(12), 리어 하우징(13)의 조립시에 있어서 나사(62a)에 의해 피스톤(3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피스톤(32)이 관통볼트(62)에 맞대이는데 기인한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2) 맞대이는 부분(63, 66)에 저마찰 습동성 등을 갖는 코우팅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하면 피스톤(32)의 부드러운 왕복 운동이 저해되는 일은 없다. 또 피스톤(32) 및 관통볼트(62)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구성의 청구항 제 1 항의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조립시에 있어서 관통볼트의 나사와 피스톤의 접촉을 피할 수가 있고 피스톤이 나사에 의해 깎여지는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관통볼트와 피스톤의 간격을 적게 설정해서 피스톤의 회전 폭을 작게할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이 관통볼트에 맞대이는데에 기인한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제 2 항의 발명에 의하면 맞대임 부분은 관통볼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 규제구조를 압축기에 적용함에 있어서 압축기의 부품점 수의 증가를 수반하지 아니한다. 이 때문에 압축기의 조립 공정수를 감소하고 제조비용을 저감시킨다.
청구항 제 3 항의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관통볼트를 사용할 수 있고 새롭게 전용의 관통볼트를 제작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또 맞대이는 부분의 표면 처리를 나사를 피해서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3)

  1. 복수의 하우징 구성체가 관통볼트에 의해 일체로 체결 고정되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와,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수용되고 왕복 운동되므로서 냉매 가스 등을 압축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피스톤식 압축기에서 피스톤의 회전을 관통볼트와의 맞대임에 의해 규제하는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에 있어서,
    관통볼트에 있어서 피스톤과의 맞대인 부분을 하우징 구성체에 나사 체결하는 나사 보다 큰 지름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맞대이는 부분은 관통볼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맞대이는 부분은 관통볼트와 별도의 몸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
KR1019970032584A 1996-08-09 1997-07-14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 KR100230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11626 1996-08-09
JP8211626A JPH1054348A (ja) 1996-08-09 1996-08-09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ピストンの回動規制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185A true KR19980018185A (ko) 1998-06-05
KR100230725B1 KR100230725B1 (ko) 2000-03-02

Family

ID=1660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584A KR100230725B1 (ko) 1996-08-09 1997-07-14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71775A (ko)
EP (1) EP0823552A3 (ko)
JP (1) JPH1054348A (ko)
KR (1) KR100230725B1 (ko)
CN (1) CN107723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19850B1 (en) * 1996-07-15 2006-10-04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Piston for compressors
JPH11173265A (ja) * 1997-12-10 1999-06-2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片側斜板式圧縮機
JP3925007B2 (ja) * 1999-10-12 2007-06-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におけるピストンの回動規制構造
US6325599B1 (en) 2000-04-04 2001-12-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iston having anti-rotation for swashplate compressor
JP3937690B2 (ja) 2000-05-24 2007-06-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5317588B2 (ja) * 2008-08-29 2013-10-16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1068A (en) * 1921-04-29 1930-11-11 Michell Crankless Engines Corp Fluid motor and pump
JPS5823030Y2 (ja) * 1978-12-30 1983-05-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
JP2572690Y2 (ja) * 1992-09-02 1998-05-25 サンデン株式会社 斜板式圧縮機のピストン回転防止機構
EP0587023B1 (en) * 1992-09-02 1995-11-02 Sanden Corporation Variable displacement piston type compressor
JPH0861237A (ja) * 1994-08-23 1996-03-08 Sanden Corp 斜板式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71775A (en) 1998-06-30
KR100230725B1 (ko) 2000-03-02
EP0823552A2 (en) 1998-02-11
EP0823552A3 (en) 1999-08-18
JPH1054348A (ja) 1998-02-24
CN1176347A (zh) 1998-03-18
CN1077234C (zh) 200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464A (en) Reciprocating pistons of piston-type compressor
US5615599A (en) Guiding mechanism for reciprocating piston of piston-type compressor
KR100274497B1 (ko) 압축기
EP0869281B1 (en)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US6010313A (en) Sing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US5931079A (en)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compressor
US5953980A (en) Piston type compressors
US5899135A (en) Reciprocating pistons of piston type compressor
US6336795B1 (en)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suction reed valve stopper
US5556261A (en) Piston type compressor
KR0124819B1 (ko) 가변배유량 기구를 갖는 요동판형 압축기
US4865523A (en) Wobble plate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KR100230725B1 (ko)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
KR100193911B1 (ko) 사판식 압축기
US5934170A (en) Piston mechanism of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US5046401A (en) Wobble plate compressor with a rotation prevention mechanism
JP4439434B2 (ja) 等速ジョイント及びそれを用いた揺動斜板型圧縮機
US6393964B1 (en) Compressor having piston rotation restricting structure with lubricating inclined guide surface
US5980216A (en)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compressor having a retainer support plate
US6260469B1 (en) Piston for use in a compressor
US5882179A (en) Compressor with bearing between the drive shaft and the swash-plate boss
JP2002070739A (ja) 往復式冷媒圧縮機
KR100274970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H01267374A (ja) 斜板式可変容量型圧縮機
JP4329053B2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