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024U -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 - Google Patents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024U
KR19980018024U KR2019960031425U KR19960031425U KR19980018024U KR 19980018024 U KR19980018024 U KR 19980018024U KR 2019960031425 U KR2019960031425 U KR 2019960031425U KR 19960031425 U KR19960031425 U KR 19960031425U KR 19980018024 U KR19980018024 U KR 199800180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position
panel
side inner
inner panel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1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1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8024U/ko
Publication of KR19980018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02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12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side inner panel)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바디의 전착도장시 아웃 패널에 전착도료의 유입공을 형성하여 단시간내에 로커 패널 내측까지 도료가 유입되어 도막이 이루어지도록하여 방청효과를 높이도록한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전착도장시 플로어 패널로부터 유입되는 전착도료가 전착통 안에서 단시간에 유입되도록 하여 로커 패널의 내측 전부위에 도막을 형성시켜 방청효과를 얻을 수 있는 두께 이상으로 전착도장이 이루어지는 사이드 인너 패널을 제공함과 전착미도장 부위에 대한 방청보강용 도금강판의 사용이 불필요함과, 로커 패널 내측에 형성된 도료의 피막이 벗겨지는 박리현상(剝離現象)을 억제하는 왁스(WAX)를 도포하는 공정을 줄여 생산단가의 절감과 작업능율의 향상 및 작업시간단축 등이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side inner panel)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 도장공정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강판의 표면을 다듬는 표면처리 → 전착도장 → 가열건조 → 공연마 →중도도장 → 가열건조 → 수연마 → 상도도장 → 건조가열 → 검사 → 보수의 작업을 거쳐 조립라인으로 바디가 보내어진다.
상기와 같이 작업되는 공정중 전착도장은 전착용 도료속에 차체를 담그어서 자동차의 차체를 플러스로 하고 또 하나의 전극을 마이너스로 해서, 직류전류를 통전하여 전기화학적으로 도막을 형성시켜 차체표면의 요철부나 각 모서리 부분 등 구석구석까지 균등한 도막이 형성되어 내식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카티온(cation) 전착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전압은 200V 전·후로 통전시간은 3∼5분, 도막두께는 15∼301 m이다. 또한 이전에는 인산철피막이 이용되었지만 현재는 거의가 인산아연피막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시되는 전착도장 작업을 할 때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플로어 패널(floor panel)의 바깥쪽 가장자리 즉, 도어의 바로 밑에 위치한 하나의 박스 모양을 형성한 사이드 인너 패널(210)과 아웃 패널(220) 및 프로어 사이드 패널(2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이드 인너 패널(210)은 프론트 바디 힌지 필러(300)로부터 리어 바디 로커 필러(400)까지 연결된 로커 패널(200)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도장이 잘되지 않았다.
이는 로커 패널(200)이 구비한 형상 때문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인너 패널(210)과 아웃 패널(220) 사이에는 공간(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내로 전착도료의 유입이 되도록 아웃 패널에 전착도장 유입공(2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착도장 유입공(240)의 형상은 첨부도면 도 3의 (가)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진원으로 형성되어 (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로어 사이드 패널(230)과 사이드 인너 패널(210)의 공간부(A)로 유입된 전착도료를 다시 사이드 인너 패널(210)과 아웃 패널(220) 사이의 공간(B)으로 도료가 유입되도록하여 패널의 내측에 도막을 형성시킨다.
종래에는 상기 플로어 사이드 패널(230)과 사이드 인너 패널(210) 사이의 공간(A)으로 도료의 유입이 원활하지 못하여 사이드 인너 패널(210)과 아웃 패널(220)의 내측 일부가 전착도장이 안되거나 공간(A)로 유입된 도료가 공간(B)로 유입이 되더라도 방청효과를 얻을 수 없는 두께 이하로 도장되어 방청효과를 얻을 수 없었으며, 이로인하여 로커 패널이 빨리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전착미도장 부위에 대한 방청보강용으로 도금강판을 따로사용함과,또한 패널 내측에 형성된 도료의 도막의 두께가 일정치 않아 벗겨지는 박리현상(剝離現象)을 억제하는 왁스(WAX)의 도포로 생산단가의 상승, 작업능율저하 및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이의 목적은 전착도장(electon pinting)시 플로어 사이드 패널로부터 유입되는 전착도료가 전착통 안에서 사이드 인너 패널을 통과하여 아웃 패널 사이의 공간내로 단시간에 유입될 수 있도록 전착도료 유입공을 형성하여 로커 패널의 내측 전 부위에 도막을 형성시켜 방청효과를 얻을 수 있는 두께 이상으로 전착도장이 이루어지는 아웃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전착미도장 부위에 대한 방청보강용으로 도금강판의 사용이 불필요함과, 패널 내측에 형성된 도료의 피막이 벗겨지는 박리현상(剝離現象)을 억제하는 왁스(WAX)를 도포하는 공정을 줄여 생산단가의 절감과 작업능율의 향상 및 작업시간단축 등이 이루어지는 플로어 사이드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착통 내에서 플로어 사이드 패널과 사이드 인너 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전착도료가 유입되도록 박스 형상의 로커 패널 외측에 설치된 사이드 인너 패널에 전착도료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착도료 유입공을 형성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신차의 도장공정을 보여주는 도장공정도
도 2는 사이드 인너 패널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설치상태도
도 3은 종래 사이드 인너 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가)는 사이드 인너 패널의 정면도이고 (나)는 (가)의 개략적인 사이드 인너 패널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이드 인너 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가)는 사이드 인너 패널의 정면도이고 (나)는 (가)의 개략적인 사이드 인너 패널의 단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사이드 인너 패널 2 : 아웃 패널
3 : 전착도료 유입공 3a : 제1전착도료 유입공
3b : 제2전착도료 유입공 A, B : 공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인너 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가)는 사이드 인너 패널의 정면도이고 (나)는 (가)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로써 이에 따르면, 사이드 인너 패널(1)은 플로어 패널(floor panel)의 바깥쪽 가장자리 즉, 도어의 바로 밑에 위치한 하나의 박스 모양을 형성되며 다수의 강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아웃 패널(2) 및 프론트 사이드 패널(4)과 같이 설치되어 프론트 바디 힌지 필러(300)로부터 리어 바디 로크 필러(400)까지 연결된 구조의 로커 패널(10)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 인너 패널(1)과 아웃 패널(2) 사이에는 공간(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내로 전착도료의 유입이 되도록 사이드 인너 패널(1)에 전착도장 유입공(3)이 형성되어 패널 내측에 도막을 형성 시킨다.
이때, 상기 공간부(A)로 전착도료의 유입이 빨라야 공간(B)를 이루는 사이드 인너 패널(1)과 아웃 패널(2)의 내측에 도막을 형성한다. 그러기위해서는 플로어 사이드 패널(1)에 각각 도료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착도료 유입공(3)을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사이드 인너 패널(1) 하단에 저판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지름이 10mm이고 길이가 40mm인 제1전착도료 유입공(3a)을 다수개 형성하고 측면에는 지름이 30mm인 제2전착도료 유입공(3b)을 형성하며 상단에는 다수로 형성된 장공 형상으로 이의 지름이 10mm이고 길이가 30mm인 제3전착도료 유입공(3c)을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은 전착통 안으로 바디를 집어넣어 상기의 바디를 전착도장 할 때 사이드 인너 패널(1)로부터 유입되는 도료를 각각의 전착도료 유입공(3)을 통하여 전착도료가 유입되어 도막을 형성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의 전착통내에 충진된 도료가 다수의 전착도료 유입공(3a,3b,3c)을 통하여 사이드 인너 패널(1)과 아웃 패널(2) 사이의 공간(B)으로 단시간내에 유입되어 도막을 형성한다.
이때 직류전류를 통전하면 바디 전체에 도막이 형성됨과 동시에 플로우 사이드 패널(700) 내측과 사이드 인너 패널(1) 내측에도 5mm 이상의 도막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작용을 하는 전착도료 유입공이 형성된 본 고안의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은 전착도장시 플로어 사이드 패널로부터 유입되는 전착도료가 전착통 안에서 단시간에 로커 패널의 내측 전 부위에 도막을 방청효과를 얻을 수 있는 두께 이상으로 전착도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착미도장 부위에 대한 방청보강용 도금강판의 사용이 불필요함과, 플로어 사이드 패널 내측에 형성된 도료의 도막이 벗겨지는 박리현상(剝離現象)을 억제하는 왁스(WAX)를 도포하는 공정을 줄여 생산단가의 절감과 작업능율의 향상 및 작업시간단축 등이 이루어지는데 그 효과가있다.
본 고안은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side inner panel)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바디의 전착도장시 사이드 인너 패널에 전착도료의 유입공을 형성하여 단시간내에 로커 패널 내측에 도막이 이루어지도록하여 방청효과를 높이도록한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side inner panel)에 관한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아웃 패널에 있어서,
    인너패널과 사이드아웃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B)으로 전착도료가 유입되어 도막을 형성시킬 때 전착도료의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패널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다수의 전착도료 유입공(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착도료 유입공(3)에는,
    저면의 저판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다수로 형성된 제1전착도료 유입공(3a)과,
    측면에 제2전착도료 유입공(3b)과,
    상단에는 다수로 형성된 장공 형상으로 제3전착도료 유입공(3c)
    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
KR2019960031425U 1996-09-25 1996-09-25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 KR199800180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425U KR19980018024U (ko) 1996-09-25 1996-09-25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425U KR19980018024U (ko) 1996-09-25 1996-09-25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024U true KR19980018024U (ko) 1998-07-06

Family

ID=5397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1425U KR19980018024U (ko) 1996-09-25 1996-09-25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02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0456B2 (en) 2003-01-15 2011-10-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0456B2 (en) 2003-01-15 2011-10-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218105B2 (en) 2003-01-15 2012-07-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634041B2 (en) 2003-01-15 2014-01-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7945B2 (en) Method for coating a metallic substrate with a powder coating composition and an autodepositable coating composition
US4092224A (en) Process of zinc coating fasteners
US5707505A (en) Method for the electrophoretic dip coating of chromatizable metal surfaces
KR19980018024U (ko)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인너 패널
KR19980018026U (ko) 전착도장이 용이한 사이드 아웃 패널
KR19980018027U (ko) 전착도장이 용이한 플로어 사이드 패널
KR19980018028U (ko) 전착도장이 용이한 로커 리어 패널
KR19980018022U (ko) 전착도장이 용이한 로커 패널
KR19980018025U (ko) 전착도장이 용이한 프론트 사이드 패널
KR101679407B1 (ko) Sus 304 소재용 전착도장방법 및 전착도장장치
JPS6320315B2 (ko)
US6701601B2 (en) Metal body painting system and method
JPH0348275B2 (ko)
JPS5941515B2 (ja) 自動車用部分表面処理鋼板
KR19980018040U (ko) 자동차의 로커 패널 구조
JP4419553B2 (ja) ロール塗布方法
DE19539645A1 (de) Metallisch glanzbeschichtete Leichtmetallfelge
JP2533000B2 (ja) 高耐食性表面処理鋼板
JP2532999B2 (ja) 高耐食性表面処理鋼板
KR19980023667U (ko) 전착도장공이 형성된 차량용 방청패널접합 구조
JP2006161092A (ja) 塗装前処理方法及び塗装前処理装置
JPS6075367A (ja) 自動車製造方法
JP2570362B2 (ja) 塗装方法
JP2000064095A (ja) 塗装方法
CN112218968A (zh) 用于对机动车坯件进行覆层的方法及机动车坯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