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524U - 전로 내화물의 보열장치 - Google Patents

전로 내화물의 보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524U
KR19980017524U KR2019960030911U KR19960030911U KR19980017524U KR 19980017524 U KR19980017524 U KR 19980017524U KR 2019960030911 U KR2019960030911 U KR 2019960030911U KR 19960030911 U KR19960030911 U KR 19960030911U KR 19980017524 U KR19980017524 U KR 199800175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refractory
air
frame
he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3852Y1 (ko
Inventor
박순복
김용우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30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852Y1/ko
Publication of KR199800175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5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8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4Refractory lin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46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선을 용강으로 정련하는 전로 내부에 축척되어 있는 염기성 전로 내화물의 열적인 변형에 의해서 내화물이 조기에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로 내화물을 대기중에 방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전로 내화물의 스플링(Spalling)현상을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주는 전로 내화물의 보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앵글(21)로 보열장치틀(20)을 형성하고, 이 보열장치틀(20)의 전방에는 전로(10)의 입구와 유사한 크기의 에어분사틀(22)을 설치하되, 상기 에어분사틀(22)에는 에어분사라인(23)을 설치하였고, 상기 에어분사라인(23)에는 가스메인관(24)로부터 인출된 에어공급라인(25)를 설치하여 에어분사라인(23)으로 에어가 분사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로 내화물의 보열장치
본 고안은 용선을 용강으로 정련하는 전로 내부에 축척되어 있는 염기성 전로 내화물의 열적인 변형에 의해서 내화물이 조기에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로 내화물을 대기중에 방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전로 내화물의 스플링(Spalling)현상을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주는 전로 내화물의 보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로가 정립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다른 정비 작업이나 기타의 타 작업상에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서도 독자적으로 전로 내화물을 손쉽고 간단하며, 단시간내에 보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로 내화물은 섭씨 1650℃ 이상이 되는 고온의 용강과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이 되므로 내열성이 높은 내화물을 사용한다.
이러한 내화물을 가지고 작업하는 전로의 제강작업 과정중 관련 설비의 정기적인 수리나 임시적인 휴지로 인하여서 전로를 가동을 하지 않고 휴지를 필요로 할때에는 전로작업을 정지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전로(10)가 정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스 라인에 연결되는 버너(11)를 전로(10)의 출강구(12)에 삽입하고 이에 산소랜스(13)를 이용하여 공기를 취입하여 줌으로써, 전로 내화물(14)을 보열을 하는 일련의 승열(heating)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승열 및 보열작업의 주된 목적은 고온으로 달구어진 전로의 내화물(14)이 계속적으로 고온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써, 전로내화물(14)이 조기에 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로(10)는 수직으로 정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로(10) 노상에 있는 산소를 취입하는 산소랜스(13)를 용강에 취입하여 용선을 용강으로 정련하는 작업(취련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로 제강 작업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산화가스 및 더스트, 분진, 화염 등이 발생되는 바, 이러한 것들은 배가스 집진라인에서 집진이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라인의 파열로 인한 용접보수의 필요성이나, 1, 2차집진부(e),(f) 집진판 변형, 그리고 더스트 이송라인의 막힘 등, 전체적으로나 부분적인 수리를 필요로 할때에 각 배가스 라인으로 정비 작업자가 덕트(d)내에 들어가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관계로 전로(10)가 정립되지 않는 상태 즉, 경동된 상태하에서 해야 한다.
종래에는 전로(10)가 경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로 내화물(14)을 보열하거나 승열할 수 있는 장치가 없음으로, 전로 내화물(14)이 고온의 상태에서 대기중에 방냉됨으로 인하여 전로 내화물(14)의 경도가 취약하여지고, 전로 내화물(14)의 열적인 변화에 의하여 전로 내화물(14)의 열팽창에 의함 마모성이 약화되며, 전로 내화물(14)이 대기중에 방치되어 있음으로써, 전로 내화물(14)이 산화반응에 의해서 갈라지거나 응결되어 가루로 풍화되는 스플링(spalling)현상이 발생되는 등, 전로의 수명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전로 내화물(14)을 감싸고 있는 전로 철피(15)가 열적인 변화로 인하여 변형이 되는 현상이 초래되며, 무엇보다도 전로(10)가 휴지상태를 마치고 다시금 전로 용강정련작업을 하게 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용강의 온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열배합작업이라고 함) 열배합에 따른 편차가 심하게 발생되어, 용강의 온도조절작업 실패에 의한 품질 악화의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하는 주된 요소가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서 고안한 것으로서, 전로가 정립되지 않은 경로된 상태에서 전로 내화물의 보열 및 승열작업을 용이하고, 간편하며 단시간내에 하도록 함으로써, 전로 내화물이 대기중에 방냉함에서 발생되는 스플링 발생 현상을 방지하고, 전로 내화물의 열적인 변형이 되는 것은 방지하며, 전로 철피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전로 내화물 및 철피가 최소한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전로가 휴지상태를 마치고 다시금 제강전로 정련작업을 하게 되는 과정에서 전로 내화물로 인하여서 발생되는 열(온도)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열배합의 정밀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전로 내화물의 사용수명 증대로 인한 용강의 원단가 상승, 내화물 사용단가의 저감, 용강 품질향상 등을 기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한다.
도 1은 전로 내화물의 작업공정을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전로 내화물 보열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로 내화물 보열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가스메인과 레일 및 에어분사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보열장치틀21 : 앵클
22 : 에어분사틀23 : 에어분사라인
24 : 가스메인관25 : 에어공급라인
26 : 레일27 : 이동체
28 : 휠29 : 중량물
전로내화물의 보열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앵글(21)로 보열장치틀(20)을 형성하고, 이 보열장치틀(20)의 전방에는 전로(10)의 입구와 유사한 크기의 에어분사틀(22)을 설치하되, 상기 에어분사틀(22)에는 에어분사라인(23)을 설치하였고, 상기 에어분사라인(23)에는 가스메인관(24)로부터 인출된 에어공급라인(25)를 설치하여 에어분사라인(23)으로 에어가 분사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전로(10)내에는 전로(10)의 입구를 통하여 가스메인관(24)을 삽입한 후, 점화를 하여 전로내화물(14)을 보열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보열장치틀(20)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26)을 따라 가스메인관(24)에 연결 설치된 이동체(27)의 휠(28)이 구동을 하면서 슬라이딩을 한다.
또한 보열장치틀(20)은 후방에 각각의 중량물(29)을 적재하여 보열장치틀(20)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로(10)의 전로내화물을 보열하기 위하여 가스메인관(24)의 선단부에 점화를 하는데, 이때 가스메인관(24)으로 유입되는 에어가 에어공급라인(25)을 따라 에어분사틀(22)에 설치된 에어분사라인(23)으로 들어가 분사되면서 전로(10)의 입구를 막아주어 열손실을 예방해 준다.
그리고 가스메인관(24)은 이동체(27)에 설치된 휠(28)이 레일(26)을 따라 이동됨으로 가스메인관(24)의 원활한 이동을 수반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전로가 정립되지 않은 경로된 상태에서 전로 내화물의 보열 및 승열작업을 용이하고, 간편하며 단시간내에 하도록 함으로써, 전로 내화물이 대기중에 방냉함에서 발생되는 스플링 발생 현상을 방지하고, 전로 내화물의 열적인 변형이 되는 것은 방지하며, 전로 철피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전로 내화물 및 철피가 최소한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전로가 휴지상태를 마치고 다시금 제강전로 정련작업을 하게 되는 과정에서 전로 내화물로 인하여서 발생되는 열(온도)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열배합의 정밀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전로 내화물의 사용수명 증대로 인한 용강의 원단가 상승, 내화물 사용단가의 저감, 용강 품질향상 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로내화물의 보열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앵글(21)로 보열장치틀(20)을 형성하고, 이 보열장치틀(20)의 전방에는 전로(10)의 입구와 유사한 크기의 에어분사틀(22)을 설치하되, 상기 에어분사틀(22)에는 에어분사라인(23)을 설치하였고, 상기 에어분사라인(23)에는 가스메인관(24)로부터 인출된 에어공급라인(25)를 설치하여 에어분사라인(23)으로 에어가 분사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내화물의 보열장치.
KR2019960030911U 1996-09-24 1996-09-24 전로내화물의보열장치 KR200223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911U KR200223852Y1 (ko) 1996-09-24 1996-09-24 전로내화물의보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911U KR200223852Y1 (ko) 1996-09-24 1996-09-24 전로내화물의보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524U true KR19980017524U (ko) 1998-07-06
KR200223852Y1 KR200223852Y1 (ko) 2001-06-01

Family

ID=53977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911U KR200223852Y1 (ko) 1996-09-24 1996-09-24 전로내화물의보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8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25B1 (ko) 2006-08-07 2008-01-21 주식회사 포스코 용해로 내화물 크랙 저감을 위한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852Y1 (ko) 200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9043A (en) Metallurgical melting and refining unit
KR910005900B1 (ko) 전기아아크로에서 에너지 공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CA2260181C (en) A top injection lance
KR200223852Y1 (ko) 전로내화물의보열장치
US4168968A (en) Steelmaking process
CN212833848U (zh) 一种捅高炉风口的活动锤装置
KR100866850B1 (ko) 용융금속의 생산을 위한 모듈형 장치
CN2331936Y (zh) 电炉炼钢用多功能喷枪
US9617610B2 (en) Cokeless reverberatory furnace for melting iron with separate hearth and melting chamber
US4526531A (en) Burner apparatus for smelting furnace
CN220750792U (zh) 一种复合型倾动式阳极炉
SU1696490A1 (ru) Инжекционна фурма
JP3546843B2 (ja) 製鋼用弧光式電気炉
SU1456471A1 (ru) Способ отоплени подовых печей
JP3608671B2 (ja) 炉装置及び燃焼方法
US117247A (en) Improvement in furnaces for the manufacture of malleable iron and steel
SU1638175A1 (ru) Сталеплавильна печь
RU2210707C2 (ru) Печь с промежуточным подом
JPS62156213A (ja) 溶銑予備精錬用樋構造
SU991118A1 (ru) Двухванна сталеплавильна печь
CA1044466A (en) Steelmaking process and apparatus
CN111676338A (zh) 一种捅高炉风口的活动锤装置
SU344246A1 (ru) Идцйтнв тгхии'гшбиблиотска
SU1629320A1 (ru) Способ выплавки стали в подовой печи
CA1139555A (en) Metallurgical smelt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