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463U -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팩시밀리의 원고 급지부 - Google Patents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팩시밀리의 원고 급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463U
KR19980017463U KR2019960030836U KR19960030836U KR19980017463U KR 19980017463 U KR19980017463 U KR 19980017463U KR 2019960030836 U KR2019960030836 U KR 2019960030836U KR 19960030836 U KR19960030836 U KR 19960030836U KR 19980017463 U KR19980017463 U KR 199800174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guide
feeder
paper
facsim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한태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60030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463U/ko
Publication of KR199800174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463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5Guiding elements, e.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al Feed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고 인입가이드에 출몰가능한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되어 팩시밀리가 안착된 지면에 원고가 밀착된 상태에서 팩시밀리로 인입이 가능하도록함으로써, 원고의 인입이 좀더 편리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한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팩시밀리의 원고 급지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조는, 하단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24)을 구비한 팩시밀리의 급지부(20) 양측면(22)과; 양측 후단부에 상기 급지부(20)의 양측면(22)에 형성된 가이드홈(24)에 삽입되는 축돌기(32)를 구비하고 상기 급지부(20)의 전후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입되는 원고를 급지부(20)로 안내하는 원고 인입가이드(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팩시밀리의 원고 급지부
본 고안은 팩시밀리의 원고 급지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고 인입가이드에 출몰 가능한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되어 팩시밀리가 안착된 지면에 원고가 밀착된 상태에서 팩시밀리로 인입이 가능하도록함으로써, 원고의 인입이 좀더 편리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한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팩시밀리의 원고 급지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는 원고를 급지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여러장의 원고를 낱장으로 자동 급지시키는 자동 원고 급지장치가 설치된 것과, 일일이 사용자가 원고를 낱장씩 공급해 주어야 하는 수동 급지장치가 설치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자동 원고 급지장치가 설치된 팩시밀리는 비교적 고가의 제품에 사용되고, 수동 급지장치가 설치된 팩시밀리는 비교적 저가의 팩시밀리에 적용된다.
본 고안은 수동 급지장치가 설치된 팩시밀리에 관한 것으로써, 먼저 종래의 팩시밀리 급지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원고 급지부를 나타낸 팩시밀리의 부분측면도로서, 원고가 급지되는 급지부(10)는 팩시밀리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급지부(10)의 바로 뒤쪽 상부에는 원고가 배출되는 배지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고를 급지부(10)에 밀어 넣게 되면 급지된 원고는 내부의 CIS롤러(16)를 통해 CIS(14)로 밀착시키면서 이송시켜 상부의 배지부(12)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급지부(10)는 급지부(10)가 팩시밀리가 안착된 지면(50)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고를 급지부(10)에 삽입시킬 때 항상 원고의 선단을 급지부(10)의 높이로 들어올려 급지부(10)에 삽입시켜야 하므로 원고를 삽입시키기가 번거롭고 까다로우며, 특히 팩시밀리가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더욱더 원고의 선단을 급지부(10)에 삽입시키기가 어렵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팩시밀리의 급지부에 원고 인입가이드를 설치하여 원고를 급지부에 삽입시킬 때, 원고의 선단을 급지부의 높이로 들어올리지 않고 팩시밀리가 안착된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원고를 밀어 그대로 급지부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고를 급지부에 삽입시키는 급지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원고 급지부를 나타낸 팩시밀리의 부분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원고 급지부를 도시한 팩시밀리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고 급지부에 설치되는 원고 인입가이드 조립 구조를 나타낸 팩시밀리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고 급지부에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팩시밀리의 부분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원고 급지부 22 : 양측면
24 : 가이드홈 26 : 저면
30 : 원고 인입가이드 32 : 축돌기
40 : 안내편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하단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한 팩시밀리의 급지부 양측면과;
양측에 상기 급지부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축돌기를 갖고 상기 급지부 전후로 출몰되면서 원고를 급지부로 안내하는 원고 가이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원고 급지부를 도시한 팩시밀리의 부분사시도로서, 팩시밀리의 앞부분에 원고가 급지되는 원고 급지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급지부(20)에는 전후로 출몰되는 판상의 원고 인입가이드(3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원고 인입가이드(30)가 설치된 급지부(20)의 양측면(22) 하단부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전후로 가이드홈(24)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원고 인입가이드(30)의 양측 후단부에는 급지부(20)의 양측면(22)에 형성된 가이드홈(2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축돌기(3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고 인입가이드(30)는 양측의 축돌기(32)를 급지부(20)의 양측면(22)에 형성된 가이드홈(24)에 각각 삽입시켜 조립되는데, 원고를 인입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원고 인입가이드(30)를 내부로 밀어 급지부(20)의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로 사용하다가 원고를 공급시켜야 할 경우에는 원고 인입가이드(30)를 당긴다. 이와 같이 원고 인입가이드(30)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원고 인입가이드(30)는 급지부(20) 하면에 지지를 받으면서 그리고, 양측에 형성된 축돌기(32)가 급지부(20)의 양측면(22) 가이드홈(24)에 안내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돌출되게 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원고 인입가이드(30)가 급지부(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양측의 축돌기(32)가 가이드홈(24)의 선단에 위치하게 되면 원고 인입가이드(30)는 저면(26)을 지지하던 급지부(20)의 앞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원고 인입가이드(30)는 급지부 저면(26)의 지지를 받지 못하게 됨으로 인입가이드(30)는 양측의 축돌기(32)를 축으로 하여 선단이 팩시밀리가 안착된 지면(50)에 접촉될 때까지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고 인입가이드(30)가 지면(50)에 닫게 되면, 원고 인입가이드(30)는 지면(50)과 완만한 경사를 이루게 되며, 아울러 원고 인입가이드의 선단은 지면(50)과 접촉된 부위가 지면(50)과 평면을 이루도록 가공되어 있으므로 원고 인입가이드(30)의 선단부와 지면(50)은 기밀하게 밀착되며, 그 사이로 원고가 걸리거나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따라서 원고를 지면(5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원고의 급지부(20) 방향으로 밀어 넣게 되면, 원고의 선단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그 선단이 지면(50)과 밀착된 원고 인입가이드(30)를 타고 올라가 급지부(20)로 인입되게 된다.
또한, 원고가 원고 인입가이드(30)를 타고 급지부(20)로 인입될 때, 급지부(20)가 원고 인입가이드(30)의 경사와 일치하지 않게 되어 있어 원고의 선단이 급지부(20)를 벗어날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도 2, 도 3에서와 같이 원고 급지부(20)의 상부에 원고를 급지부(20)로 안내하는 안내편(4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내편(40)에 의해 급지부(20)로 인입되는 원고는 원고 인입가이드(30)를 타고 급지부(20)로 인입되다가 원고의 인입가이드(30)의 경사에 의해 급지부(20)를 벗어나게 되면, 급지부(20)를 벗어나는 원고의 선단은 급지부(20)의 상단에 형성된 안내편(40)에 의해 차단되게 되며, 안내편(40)은 원고를 급지부(20)로 안내하여 확실하게 급지부(20)로 인입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고가 급지되는 팩시밀리의 급지부(20)에 원고 인입가이드(30)가 전, 후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고를 급지부(20)로 인입시킬 때 원고를 지면(5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대로 팩시밀리의 급지부(20)로 인입시킬 수 있으므로 원고 급지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단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24)을 구비한 팩시밀리의 급지부(20) 양측면(22)과;
    양측 후단부에 상기 급지부(20)의 양측면(22)에 형성된 가이드홈(24)에 삽입되는 축돌기(32)를 갖고 상기 급지부(20)의 전후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입되는 원고를 급지부(20)로 안내하는 원고 인입가이드(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팩시밀리의 원고 인입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20)의 상단부에 원고 인입가이드(30)를 타고 급지부(20)로 인입되는 원고를 급지부(20)로 안내하는 안내편(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팩시밀리의 급지부.
KR2019960030836U 1996-09-23 1996-09-23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팩시밀리의 원고 급지부 KR199800174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836U KR19980017463U (ko) 1996-09-23 1996-09-23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팩시밀리의 원고 급지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836U KR19980017463U (ko) 1996-09-23 1996-09-23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팩시밀리의 원고 급지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463U true KR19980017463U (ko) 1998-07-06

Family

ID=5397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836U KR19980017463U (ko) 1996-09-23 1996-09-23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팩시밀리의 원고 급지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46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08700B (zh) 供纸盒
EP0498561A2 (en) Paper feed cassette
US5881350A (en) Original guiding device
EP0950531A3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9980017463U (ko) 원고 인입가이드가 설치된 팩시밀리의 원고 급지부
US7594770B2 (en) Ink ribbon cassette
US5903364A (en) Sheet-fed scanner with selectively variable document feed-in and feed-out positions
CA2013370C (en) Facsimile apparatus
JP3491222B2 (ja) 大型プリンタ
KR200340087Y1 (ko) 다목적트레이의봉투급지가이드
US5611526A (en) Cut sheet tray having a weighted pivoting jam prevention member
CN211812481U (zh) 新型进纸机构
KR200258633Y1 (ko) 배너용지 인쇄용 프린터
US6254087B1 (en) Sheet transport device and sheet transport method
KR0121081Y1 (ko) 팩시밀리의 원고 급지장치
JPH0537950Y2 (ko)
JPH09278199A (ja) 記録装置
KR200151922Y1 (ko) 별도의 용지 가이드 구조를 갖는 급지 카세트
JP351299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給紙カセット
JP3174419B2 (ja) 自動給紙装置
KR200162006Y1 (ko) 프린터의 급지카세트 고정장치
KR100255642B1 (ko) 급지 카세트
KR900007185Y1 (ko) 복사기의 급지장치
KR950005384Y1 (ko) 급지장치의 용지사이즈 검지장치
KR19990000551U (ko) 사무용기기의 중송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