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285U - 차량용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285U
KR19980017285U KR2019960030658U KR19960030658U KR19980017285U KR 19980017285 U KR19980017285 U KR 19980017285U KR 2019960030658 U KR2019960030658 U KR 2019960030658U KR 19960030658 U KR19960030658 U KR 19960030658U KR 19980017285 U KR19980017285 U KR 199800172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vehicle
fixing tool
predetermin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0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285U/ko
Publication of KR199800172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28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트렁크룸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자 또는 정비자로 하여금 스패어타이어(1)의 착탈을 좀더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스패어타이어(1)가 트렁크룸측 브라켓(2)의 웰딩너트(3)를 통해 상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고정툴(4)에 의해 나사식으로 고정되게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스패어타이어(1)의 탈거 또는 장착시 다소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의 트렁크룸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스패어타이어(1)를 고정하는 고정툴(4)의 손잡이부(5)측 하단에 탄성부재(6)가 고정되고 하측으로는 양측으로 소정길이의 걸림쇠(7)가 동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툴(4)의 걸림쇠(7)에 상응하여 상기 고정툴(4)의 하측 브라켓(2)의 센터측 소정부위에는 소정면적의 사각 관통구(8)가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 또는 정비자로 하여금 차량의 트렁크룸측 스패어타이어(1)를 좀더 편리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
본 고안은 차량의 트렁크룸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트렁크룸의 스패어타이어측 소정부위에 착탈식 고정툴을 구비하여 차량의 운전자 또는 정비자로 하여금 상기 스패어타이어를 좀더 편리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하도록 한 차량용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트렁크룸의 일측 소정부위에는 스패어타이어(1)가 구비되는 바 상기 스패어타이어(1)는 트렁크룸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브라켓(2)의 센터측 웰딩너트(3)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정툴(4)로 체결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자 또는 정비자로 하여금 스패어타이어(1)의 착탈을 좀더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스패어타이어(1)가 상기 브라켓(2)의 웰딩너트(3)를 통해 상기 고정툴(4)에 의해 나사식으로 고정되게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스패어타이어(1)의 탈거 또는 장착시 다소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운전자 또는 정비자로 하여금 차량의 트렁크룸측 스패어타이어를 좀더 편리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하도록 한 차량용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트렁크룸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스패어타이어2: 브라켓
4: 고정툴5: 손잡이부
6: 탄성부재7: 걸림쇠
8: 사각관통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트렁크룸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스패어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툴용 손잡이부의 일측에 탄성부재가 고정되고 하측으로는 양측으로 소정길이의 걸림쇠가 동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툴의 걸림쇠에 상응하여 상기 고정툴의 하측 브라켓의 센터측 소정부위에는 소정면적의 사각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트렁크룸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스패어타이어(1)를 고정하는 고정툴(4)의 손잡이부(5) 및 브라켓(2)에 있어서,
상기 고정툴(4)은 상측으로 상기 손잡이부(5)측 하단에 탄성부재(6)가 고정되고 하측으로는 양측으로 소정길이의 걸림쇠(7)가 동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툴(4)의 걸림쇠(7)에 상응하여 상기 브라켓(2)의 센터측 소정부위에는 소정면적의 사각 관통구(8)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량의 트렁크룸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스패어타이어(1)를 고정하는 고정툴(4)의 손잡이부(5)측 하단에 탄성부재(6)가 고정되고 하측으로는 양측으로 소정길이의 걸림쇠(7)가 동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툴(4)의 걸림쇠(7)에 상응하여 상기 고정툴(4)의 하측 브라켓(2)의 센터측 소정부위에는 소정면적의 사각 관통구(8)가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 또는 정비자가 상기 트렁크룸의 브라켓(2)측 사각 관통구(8)에 상기 스패어타이어(1)의 센터를 위치시킨후 상기 고정툴(4)의 손잡이부(5)를 잡고 하단 걸림쇠(7)를 상기 브라켓(2)의 사각 관통구(8)에 길이방향으로 맞춘후 소정의 가압력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사각 관통구(8)의 폭방향으로 90。회전시켜 록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툴(4)의 손잡이부(5)측 탄성부재(6)가 소정의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게됨에 따라 차량의 흔들림에도 록킹이 풀리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는 차량의 트렁크룸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스패어타이어(1)를 고정하는 고정툴(4)의 손잡이부(5)측 하단에 탄성부재(6)가 고정되고 하측으로는 양측으로 소정길이의 걸림쇠(7)가 동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툴(4)의 걸림쇠(7)에 상응하여 상기 고정툴(4)의 하측 브라켓(2)의 센터측 소정부위에는 소정면적의 사각 관통구(8)가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 또는 정비자로 하여금 차량의 트렁크룸측 스패어타이어(1)를 좀더 편리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트렁크룸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스패어타이어(1)를 고정하는 고정툴(4)의 손잡이부(5) 및 브라켓(2)에 있어서,
    상기 고정툴(4)은 상측으로 상기 손잡이부(5)측 하단에 탄성부재(6)가 고정되고 하측으로는 양측으로 소정길이의 걸림쇠(7)가 동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툴(4)의 걸림쇠(7)에 상응하여 상기 브라켓(2)의 센터측 소정부위에는 소정면적의 사각 관통구(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
KR2019960030658U 1996-09-23 1996-09-23 차량용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 KR199800172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658U KR19980017285U (ko) 1996-09-23 1996-09-23 차량용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658U KR19980017285U (ko) 1996-09-23 1996-09-23 차량용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285U true KR19980017285U (ko) 1998-07-06

Family

ID=5397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658U KR19980017285U (ko) 1996-09-23 1996-09-23 차량용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28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7285U (ko) 차량용 스패어타이어의 고정구조
KR0117568Y1 (ko) 일체식 밧데리 고정대
KR100249304B1 (ko) 자동차 도아의 탈장착이 용이하게한 지그
JPH11161357A (ja) 操作レバーのスイッチ取付装置
KR970001258Y1 (ko) 버스 라디에이터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수직필러의 취부구조
KR20000014980U (ko) 나사 지지 기능을 구비한 드라이버
KR19980041381U (ko) 차량용 클립 구조물
KR100190395B1 (ko) 차량용 밧데리 트레이 장착구조
KR0132936Y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구조
KR200142060Y1 (ko) 자동차의 배터리 홀더
KR0124376Y1 (ko) 차량의 카울취부클립
KR100380170B1 (ko) 자동차 트렁크의 릴리즈 커버 취부구조
KR200183517Y1 (ko) 어시스트 핸들 커버 고정구조
JPH0719002U (ja) 車両用備品の固定具
KR20010059785A (ko) 스페어 타이어 클램퍼
JPH0939668A (ja) ルーフレールのクッション材取付構造
KR200153295Y1 (ko) 자동차의 스피드메타 케이블 고정용 캡
KR200214987Y1 (ko) 차량용 머드 가아드 체결 구조물
JP2546165Y2 (ja) チェーンソーのブレーキレバー
KR200152243Y1 (ko) 스패어타이어용 윙볼트 구조
JP2536358Y2 (ja) 自動車のホイールカバー取付構造
KR19990007138U (ko) 보조 손잡이
JPH0554134U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ケーブルの取付構造
JP2002134197A (ja) 基板端子金具
KR19990007449U (ko) 타이어 체결용 소켓 렌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