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015A -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015A
KR19980016015A KR1019960035514A KR19960035514A KR19980016015A KR 19980016015 A KR19980016015 A KR 19980016015A KR 1019960035514 A KR1019960035514 A KR 1019960035514A KR 19960035514 A KR19960035514 A KR 19960035514A KR 19980016015 A KR19980016015 A KR 19980016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hade film
film
shade
green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81249B1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19960035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249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2Lamellar or like bli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고리로부터 걸리는 집중하중을 분산시켜 고정후에 차양막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양막(1)을 온실의 가이드와이어(33)에 고정시킬 때에 차양막(1)에 발생되는 집중응력을 분산시키는 제1수단(10)과, 상기 제1수단이 차양막(1)에 강구된 후에 차양막(1)을 가이드와이어(33)에 고정시키는 고정구(32)에 규칙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제2수단(2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
본 발명은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고리로부터 걸리는 집중하중을 분산시켜 고정후에 차양막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실에는 내부온도를 외부로 방출시키지 않도록 하며 햇빛의 양을 조절하는 차양막이 있다.
이러한 차양막은 온실상측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운동하는 프로파일에 크램핑하여 프로파일의 작동으로 온실상측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짐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그런데, 상기 차양막이 단순히 상기 크로파일에 프램핑된다면, 펼쳐짐과 접혀짐은 원할이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아니라, 그 과정에서 찢기거나 더럽혀지는 등의 손상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 차양막을 일정간격으로 고정시켜서 프로파일의 운동에 따라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3은 상기 차양막(30)을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키는 종래의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도시한 바와같이 차양막(30)을 형성하는 종사와 횡사에 고정구(32)를 끼워 가이드와이어(33)에 하측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있다.
그런데, 온실의 상측에 고정된 상기 차양막(30)은 자체의 무게가 고정구(32)에 체결된 부위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기때문에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위해서는 상기 차양막(30)을 형성하는 종사와 횡사를 더욱 강한 재 또한 차양막으로서의 기능에 적합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기때문에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차양막 고정방법에있어서, 작업자가 무작위로 차양막의 종사와 횡사를 고정구에 꿰어 체결시키기 때문에 고정후에 차양막이 처지거나 종사와 횡사가 끊겨 고정상태에서 벗어날 염려가 있고, 고정시킨 후에 외관상 정돈되지않은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보는 이로하여금 혼란을 자아내게 할 뿐만아니라 고정구를 제거한 후에 종사와 횡사가 늘어진 상태 그대로 남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양막을 고정구로 고정시킬 때에 규칙적으로 정해진 간격에 따라 고정구에 차양막을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차양막을 이루는 종사와 횡사의 처짐을 방지하고, 그로인해 차양막을 형성하는 종사와 횡사가 끊길염려가 없으며, 아울러 고정시킨 후의 차양막의 외관산 정돈된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고정구를 제거한 후에 차양막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발명은, 차양막을 온실의 가이드와이어에 고정 시킬 때에 차양막에 발생되는 집중응력을 분산시키는 제1수단이 강구된 후에, 차양막에 가이드와이어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규칙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제2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차양막의 길이방향으로 제1수단을 구비하여 차양막을 온실의 가이드와이어에 고정시킬 때에 발생되는 집중응력을 분산시도록 하고, 상기 제1수단이 강구된 후에 구비되는 제2수단에의해 고정구를 규칙적이고 정렬하게 체결하여 체결후에 정돈된된 형상을 제공하며 가이드와이어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온실용 차양막 고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을 적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종래의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양막10 : 제1수단
20 : 제2수단
이하,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은 온실에 장착된 가이드와이어에 차양막을 고정시키는 작업에서 차양막에 걸리는 집중응력을 분산시켜 차양막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차양막을 규칙적이고 정렬(整列)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온실용 차양막 고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차양막(1)을 온실의 가이드와이어(33)에 고정시킬 때에 차양막(1)에 발생되는 집중응력을 분산시키는 제1수단(10)과, 상기 제1수단이 차양막(1)에 강구된 후에 차양막(1)을 가이드와이어(33)에 고정시키는 고정구(32)에 규칙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제2수단(2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상기 제1수단(10)은 일정폭을 가지고 차양막(1)보다 강한 종사와 횡사로 이루어지며 그 얽힘이 촘촘히 이루어진 보강밴드를 사용하였고, 이를 상기 차양막(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박음직하여 차양막(1)에 장착하였다.
물론, 상기 제1수단(10)은 차양막(1)을 가이드와이어에 고정하는 적합한 폭방향의 간격을 가지고 강구된다.
상기 제1수단(10)이 이루어진 뒤에 제2수단(20)이 구비되는 데,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같이 차양막을 규칙적이고 정렬적으로 가이드와이어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수단(20)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수단(10)으로 사용되는 보강밴드의 상측에 채용된다.
상기 제2수단(20)은 상기 고정구(32)에 체결후 고정되는 고정부위(32a)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폭을 가지며, 차양막(1)보다 강한 종사와 횡사로 이루어지며 그 얽힘이 촘촘히 이루어진 고정밴드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1수단(10)으로 선택된 보강밴드의 상측에 제2수단(20)으로 채택된 고정밴드를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하면서 폭방향으로 박음질하여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2수단(20)은 길이방향 즉, 고정구 설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고정구(32)의 체결이 자유롭고 정연(整然)하게 고정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을 적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차양막(1)위에 길이방향으로 제1수단(10)으로 선택된 보강밴드가 박음질로 장착되어 있고, 그 위에 제2수단(20)으로 선택된 고정밴드를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폭방향으로 역시 박음질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에 고정구(32)를 끼워 상기 고정밴드가 고정부위(32a)에 안착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또한 상기 고정구의 상측고리가 가이드와이어(33)에 걸려져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의해 고정된 차양막은 프로파일의 왕복운동에 따라 고정구가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움직이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이에따라, 고정구를 통해 차양막에 전해지는 집중하중은 제2수단의 고정밴드에의해 전후박음질부위로 분기되고 각 분기된 하중은 제1수단의 보강밴드를 통해 길이방향전체로 분산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차양막의 길이방향으로 제1수단을 구비하여 차양막을 온실의 가이드와이어에 고정시킬 때에 발생되는 집중응력을 분산시도록 하고, 상기 제1수단이 강구된 후에 구비되는 제2수단에의해 고정구를 규칙적으로 정렬하게 체결하여 체결후에 정돈된 형상을 제공하며 가이드와이어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양막을 고정구로 고정시킬 때에 규치적으로 정해진 간격에 따라 고정구에 차양막을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차양막을 이루는 종사와 황사의 처짐을 방지하고, 그로인해 차양막을 형성하는 종사와 횡사가 끊길염려가 없으며, 아울러 고정시킨 후의 차양막이 외관상 정돈된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고정구를 제거한 후에 차양막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상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예 및 균등한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차양막(1)을 온실의 가이드와이어(33)에 고정시킬 때에 차양막(1)에 발생되는 집중응력을 분산시키는 제1수단(10)과, 상기 제1수단이 차양막(1)에 강구된 후에 차양막(1)을 가이드와이어(33)에 고정시키는 고정구(32)에 규칙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제2수단(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
  2. 제1항에 잇어서, 상기 제1수단(10)는 차양막(1)보다 강한 종사와 횡사로 이루어지며 그 얽힘이 촘촘히 이루어진 보강밴드를 상기 차양막(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박음질하여 차양막(1)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20)는 상기 고정부(32)에 체결후 고정되는 고정부위(32a)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폭을 가지며 차양막(1)보다 강한 종사와 횡사로 이루어지며 그 얽힘이 촘촘히 이루어진 고정밴드를 보강밴드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하면서 폭방향으로 박음질하여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
KR1019960035514A 1996-08-26 1996-08-26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 KR0181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514A KR0181249B1 (ko) 1996-08-26 1996-08-26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514A KR0181249B1 (ko) 1996-08-26 1996-08-26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15A true KR19980016015A (ko) 1998-05-25
KR0181249B1 KR0181249B1 (ko) 1999-02-01

Family

ID=1947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514A KR0181249B1 (ko) 1996-08-26 1996-08-26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2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533A (ko) * 2020-10-16 2022-04-25 전정진 온실의 에너지절감 보온차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533A (ko) * 2020-10-16 2022-04-25 전정진 온실의 에너지절감 보온차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1249B1 (ko) 199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3728B1 (en) Improvements in relation to blinds
US20020033243A1 (en) Fabric blinds
US4753281A (en) Adjustable shade
US5495883A (en) Window shade cord safety shroud
US6792997B2 (en) Device for securing a string ladder to the bottom rail of a horizontal blind assembly
US7775251B2 (en) Customizable snap-on garage door screen and method
KR19980016015A (ko) 온실용 차양막 고정방법
CN101874145B (zh) 包括固定配件的遮蔽装置以及安装这种遮蔽装置的方法
CN101868592B (zh) 作为遮蔽配置的附加设备的遮蔽设备
US20020134415A1 (en) Modular tent
US7533711B2 (en) Roman a blind assembly
US8528172B2 (en) Folding plastic clip for pleated blinds
EP0682901B1 (en) Pull up curtain and suspension system for use in such a curtain
JP7462886B1 (ja) タープおよびタープの設営方法
CN217735057U (zh) 一种可调式汽车天幕
EP0898685B1 (en) A lampshade and a method for making a lampshade
JP3038989U (ja) テント用幕体の固定手段
JP3275089B2 (ja) かつら
JP3150062B2 (ja) 折り畳みスクリーン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スクリーン交換方法
AU768600B2 (en) Hair additions technique
KR200166450Y1 (ko) 자동차 장식용 띠
JPH04269919A (ja) 扇開式ローマンシエード
KR200267376Y1 (ko) 고정끈 일체형 인삼발
IT202100020015A1 (it) Una parete ventilata con sistema di applicazione rapido
SU1690663A1 (ru) Карни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