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807A -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 - Google Patents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807A
KR19980015807A KR1019960035245A KR19960035245A KR19980015807A KR 19980015807 A KR19980015807 A KR 19980015807A KR 1019960035245 A KR1019960035245 A KR 1019960035245A KR 19960035245 A KR19960035245 A KR 19960035245A KR 19980015807 A KR19980015807 A KR 19980015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back
unit
byte
signal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1331B1 (ko
Inventor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35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331B1/ko
Publication of KR19980015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4Testing correct operation
    • H04L1/242Testing correct operation by comparing a transmitted test signal with a locally generated replica
    • H04L1/243Testing correct operation by comparing a transmitted test signal with a locally generated replica at the transmitter, using a loop-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8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ode; Intranode synchronisation
    • H04J3/0688Change of the master or reference, e.g. take-over or failure of the ma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S1급신호를 입력받아 VC1을 형성하는 VC1송신부(41); 상기 VC1송신부의 출력에 포인터를 부가하여 TU1을 형성한 후 TUG2 송신단으로 출력하는 TU1송신부(42); 수신된 TUG2로부터 포인터를 추출하고 VC1유료부하를 출력하는 TU1수신부(44); 상기 TU1수신부로부터 VC1유료부하를 입력받아 DS1급 신호를 출력하는 VC1수신부(43); 대국루프백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VC2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DS1급신호를 VC1송신부(41)로 루프백하여 대국측으로 송신하는 대국 루프백처리부(45); 터미날로부터 대국루프백 요구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채널의 TU1의 V4 바이트를 이용하여 대국측으로 대국루프백을 요구하는 대국 루프백 요구부(47); 수신된 TU1의 V4 바이트를 해석하여 특정 채널의 대국 루프백이 요구되었으면 상기 대국 루프백처리부로 대국 루프백제어신호를 출력하는 V4해석부(46)가 구비되어 V4 바이트를 이용하여 대국 루프백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상대국에 있는 운용자의 협조없이 상대국에서의 대국 루프백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Description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A remote loop-back circuit using a V4 byte in a synchronous multiplexer)
본 발명은 동기식 다중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V4 바이트를 이용하여 대국 루프백을 가능하게 하는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remotel loop-back)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기식 광전송장치는 유사동기식으로 다중화된 신호(예컨대, DS1, DS1E)를 동기식 다중화하여 광송신기에서 광신호로 변환한 후 광케이블을 통해 상대국으로 전송하고, 상대국으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광수신기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후 동기식 역다중화하여 유사동기식으로 다중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동기식 광전송장치에서 유사동기식으로 다중화된 신호를 동기식으로 다중화하여 155.520 Mbps의 STM-1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은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사용자측으로부터 입력된 DS1 프레임은 상자(C:Container)에 매핑되어 C-11이 되고, 여기에 경로 오버 헤드(POH:Path OverHead)가 부가되면 가상상자(Virtual Container) VC-11이 되며, 그위에 포인터(PTR)를 덧붙이면 계위 신호 단위(TU: Tributary Unit) TU-11이 된다. 또한 TU-11은 네개씩 그룹지어 계위 신호 단위그룹(TUG-2) 형태로 된 후 VC-3와 VC-4로 다중화되고, VC-3는 관리유니트(AU: Admistrative Unit) AU-3를 거쳐 3개가 다중화되어 관리유니트그룹(AUG)이 되고 여기에 구간오버헤드(SOH: Section OverHead)가 부가되어 최종적으로 STM-1이 된다. 이때, 유럽방식의 DS1E는 C-12로 매핑된 후 경로 오버 헤드(POH)가 부가되어 가상상자 VC-12가 된다. 여기서, 상자(C:Container)는 동기식 다중화 구조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즉, VC의 유료부하이다)로서 기존의 비동기식 디지탈 계위신호들은 해당 상자속에 매핑되어 동기식으로 다중화되는데, 비동기식 다중화계위와 대응되게 C-1, C-2, C-3, C-4가 있고, C-1은 다시 북미식 DS1E을 매핑시키기 위한 C-11, 유럽식 DS1EE를 매핑시키기 위한 C-12로 구분된다. 그리고, 가상상자(VC:Virtual Container)는 동기식 전송에 있어서 경로계층간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신호단위로서 가상상자에 경로오버헤드(POH)가 부가되어 형성되고, 계위신호단위(TU)는 하위 경로계층(VC-1,VC-2)과 상위 경로계층(VC-3,VC-4)간을 적응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상상자에 포인터가 부가되어 형성되며, 계위신호단위그룹(TUG)은 계위단위신호(TU)를 한개 이상 결합하여 상위 VC 유료 부하공간내의 정해진 위치에 정렬시키는 것이고, 관리단위(AU)는 상위경로 계층과 다중화기 구간계층간의 적응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단위로서 AU포인터가 사용되고, 관리단위그룹(AUG)은 관리단위(AU)신호들이 한개 이상 결합하여 STM 유료공간 내의 정해진 위치에 정렬되어진 것을 말한다.
한편, 북미방식의 DS1을 매핑하여 형성된 VC11의 구조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고, 저위경로 오버헤드(이를 V5라한다)의 포맷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a에 있어서, VC11의 구조는 125|Ls의 한 프레임에 26바이트씩으로 형성되고, 4개의 프레임이 모여 500|Ls의 멀티 프레임을 형성한다. 따라서 VC-11의 전체는 104바이트로 이루어지고, 이중 첫번째 프레임의 첫번째 바이트는 저위 경로오버헤드(POH)로서 V5라고도 하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을 이루고 있다. V5에 이어서 고정 비트(R,R,R,R,R,R,I,R)를 갖는 1바이트가 따르고, 이어서 DS1이 사상된 24바이트의 정보데이타가 따른다. 두번째 프레임은 J2바이트와 C1,C2,O,O, O,O,I,R 포맷을 갖는 Y1 바이트, 및 24 바이트의 정보 데이타로 이루지고, 세번째 프레임은 Z6 바이트와 C1,C2,O,O, O,O,I,R 포맷을 갖는 Y2 바이트, 및 24 바이트의 정보 데이타로 이루지고, 네번째 프레임은 Z7바이트와 C1,C2,R,R, R,S1,S2,R 포맷을 갖는 Y3 바이트, 및 24 바이트의 정보 데이타로 이루진다.
여기서, R은 고정 스터핑(stuffing) 비트를 나타내고, I는 정보 비트, C1,C2는 위치맞춤(justification) 제어비트, S1,S2는 위치맞춤 집행비트를 나타내며, 8개의 O비트와 Z6은 예비 오버헤드로 사용된다.
그리고 저위 경로오버헤드인 V5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P-2, FEBE(REI), RFI, 신호레벨(L1, L2, L3), 원격경보(RDI)로 이루어지는데, 'BIP-2'는 바로 전의 VC11의 모든 바이트에 대해서 홀수번째 비트에 대한 짝수 패리티의 결과를 1번에 표시하고, 짝수번째 비트에 대한 짝수 패리티의 결과를 2번비트에 삽입한다. 'REI'는 대국으로부터 받은 신호에 대해 BIP-2의 검사 결과 오류블럭의 갯수가 1개 이상일 경우 1로 되어 송신측으로 전송되고, 'RFI'는 대국으로부터 받은 신호에 대해 FAIL신호 입력시 절체완료 후까지 FAIL신호가 해제되지 않을 경우 1로 되고, 'RDI'는 대국으로부터 TU-1/TU-2 AIS 또는 FAIL시 1로 설정한다. 신호레벨(L1,L2,L3)은 0이면 미설정, 1 비특정 방식으로 설정된 것을 나타내고, 10이면 비동기 부동형(Asynchronous floating), 11이면 비트 동기식, 100이면 바이트 동기식임을 나타낸다.
도 2는 유럽방식의 DS1E를 매핑한 VC12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VC-12의 구조는 125|Ls의 한 프레임에 35바이트씩으로 형성되고, 4개의 프레임이 모여 500|Ls의 멀티 프레임을 형성한다. 따라서 VC-12의 전체는 140바이트로 이루어지고, 이중 첫번째 프레임의 첫번째 바이트는 저위 경로오버헤드(POH)인 V5라한다. V5에 이어서 고정 비트를 갖는 R*바이트가 따르고, 이어서 DS1E가 사상된 32바이트의 정보 데이타가 따른다. 두번째 프레임은 J2바이트와 C1,C2,O,O, O,O,R,R 포맷을 갖는 Y1 바이트 및 32 바이트의 정보 데이타로 이루지고, 세번째 프레임은 Z6 바이트와 C1,C2,O,O, O,O,R,R 포맷을 갖는 Y2 바이트 및 32 바이트의 정보 데이타로 이루지고, 네번째 프레임은 K4바이트와 C1,C2,R,R, R,R,S1,S2 포맷을 갖는 Y3 바이트 및 32 바이트의 정보 데이타로 이루진다.
여기서, R은 고정 스터핑(stuffing) 비트를 나타내고, I는 정보 비트, C1,C2는 위치맞춤(justification) 제어비트, S1,S2는 위치맞춤 기회비트를 나타내며, 8개의 O비트와 Z6, K4는 예비 오버헤드로 사용된다.
도 3a도는 VC1의 포맷에 저위 포인터 V1, V2, V3, V4를 부가하여 TU1신호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VC11은 포인터 V1, V2, V3, V4가 부가되어 TU11이 되고, VC12는 포인터 V1, V2, V3, V4가 부가되어 TU12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TU11 4개가 정렬되면 TUG2가 되고, TU12 3개가 정렬되면 TUG2가 된다.
여기서 V1, V2, V3는 저위 포인터로 사용되며 그 구조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고, V4는 용도가 유보되어 있다. 이때 AU-4, AU3, TU-3등에 사용되는 고위 포인터(H1, H2, H3)도 저위경로의 포인터(V1, V2, V3)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 3b 도에 있어서, V1(H1)의 처음 4비트(NNNN)은 새 데이터 플래그(New Data Flag)비트로서 포인터가 정상적인 운용상태에서는 110이고 포인터값이 새로운 값으로 바뀔 경우에는 1001로 반전된다. 이어서 ss는 신호 크기 비트로서 고위 포인터(H1,H2,H3)에서는 10이고, 저위 포인터(V1,V2,V3)에서 TU2이면 0, TU11이면 11, TU12이면 10으로 설정해 둔다. 그리고 V1의 2비트와 V2를 합해 10비트가 포인터값을 나타내는데, 이 포인터의 어드레스가 의미하는 것은 고위 포인터의 경우에는 포인터 H3로부터 VC의 시작점까지 어긋난 정도이며, 저위 포인터인 경우에는 포인터 V2로부터의 VC시작점까지 어긋난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10비트의 포인터는 5비트의 증가(I)비트와 5비트의 감소(D)비트로 구성되어 정 위치맞춤(positive justification)이 진행될 때는 I비트가 반전되고, 부 위치맞춤(negative justification)이 진행될 때는 D비트가 반전된다. 이러한 포인터의 주소 범위를 정리하면 다음 표1과 같다.
포인터별 주소범위
포인터 크기(ss) 주소범위 포인터 크기(ss) 주소범위
AU-4 10 0∼782 TU-2 00 0∼427
AU-3 10 0∼782 TU-12 10 0∼139
TU-3 10 0∼764 TU-11 11 0∼103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TU12일 경우에 크기(ss)는 10이고, 주소범위는 0부터 139까지이다. 그리고 V3는 부위치맞춤시에 유효데이타를 전달하기 위한 바이트(부 져스티피케이션 기회바이트)로 이용되고, V3 다음의 첫번째 바이트는 정위치맞춤시에 무효데이타를 전달하는 바이트(정 저스트피케이션 기회바이트)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동기식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하위계위신호들이 VC로 매핑된 후 해당 TU의 유료부하 공간에서 자유롭게 부동(floating)하게 되는데, 이때 그 위치관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인터(V1,V2,V3)에 의해 표시된다. 이와 같이 VC를 TU로 정렬할 경우에 그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포인터에 의해 가변되는 것을 플로팅 모드(floating mode)라 하고, 반대로 TU가 VC에 동기되어 있는 경우에 시작점의 위치를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을 고정 모드(locked mode)라 한다.
한편, 동기식 전송시스템을 운용할 경우에 유지보수를 위하여 자국에서 보낸 신호를 여러 단계에서 루프백(loopback)하여 고장난 경로를 추적하거나 전송채널의 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동기식 전송장치에서 자국의 저속 다중화단계나 고속 다중화단계에서 자국측으로 루프백해서 전송경로를 형성한 후 자국의 송신단에서 보낸 DS1신호를 자국의 수신단에서 다시 수신하여 전송로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고, 상대국의 저속 다중화단 및 고속 다중화단에서 루프백하여 상대적으로 긴 전송경로상에서 에러유무를 검사할 수 있다. 이때 자국측으로 DS1급의 신호를 루프백(loop-back)하는 것을 자국 DS1 루프백(local loop-back)이라 하고, 대국측으로 루프백(loop-back)하는 것을 대국 DS1 루프백(remote loop-back)이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DS1급의 대국 루프백을 처리할 경우에 자국의 운용자가 터미날상에서 MCU(Main Control Unit) 의 CIT(Craft Interface Terminal)를 통하여 대국 루프백을 다중화장치가 처리하도록 요구하였다. 따라서 상대국에 있는 운용자의 협조없이는 상대국에서의 대국 루프백이 불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TU1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V4 바이트를 이용하여 대국 루프백을 할 수 있게 하는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국과 적어도 하나의 대국이 전송로로 연결되어 서로 동일한 동기식 다중화장치를 통하여 DS1급의 데이타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된 동기식 전송시스템에서 자국의 운용자가 터미날을 통해 대국측으로 대국 루프백을 요구하면 대국의 다중화장치에서 해당 DS1을 대국 루프백할 수 있도록 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장치가 DS1급신호를 입력받아 VC1을 형성하는 VC1송신부; 상기 VC1송신부의 출력에 포인터를 부가하여 TU1을 형성한 후 TUG2 송신단으로 출력하는 TU1송신부; 수신된 TUG2로부터 포인터를 추출하고 VC1유료부하를 출력하는 TU1수신부; 상기 TU1수신부로부터 VC1유료부하를 입력받아 DS1급 신호를 출력하는 VC1수신부; 대국 루프백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VC1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DS1급신호를 VC1송신부로 루프백하여 대국측으로 송신하는 대국 루프백처리부; 터미날로부터 대국 루프백 요구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DS1급 채널이 속하는 TU1의 V4 바이트를 이용하여 대국측으로 대국 루프백을 요구하는 대국 루프백 요구부; 및 수신된 TU1의 V4 바이트를 해석하여 해당 채널의 대국 루프백이 요구되었으면 상기 대국 루프백 처리부로 대국 루프백제어신호를 출력하는 V4 해석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V4 바이트를 이용하여 대국 루프백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상대국에 있는 운용자의 협조없이 상대국에서의 대국 루프백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a는 NAS DS1을 VC-11에 사상(mapping)한 구조도,
도 1b는 저위 경로 오버헤드인 V5의 포맷도,
도 2는 DS1E를 VC12에 사상(mapping)한 구조도,
도 3a는 VC-1으로부터 TU1을 형성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3b는 일반적인 포인터의 구조를 도시한 포맷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V4 바이트의 데이타 포맷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VC12송신부42: TU12송신부
43: VC12수신부44: TU12수신부
45: 대국 루프백처리부46: V4해석부
47: 루프백 요구부48: 인터페이스부
49: 운용터미날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는 DS1급의 신호로서 유럽방식의 DS1E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에 따라 V4 바이트를 이용하여 대국 루프백을 처리할 수 있도록 된 다중화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기식 다중화장치는 운용자가 시스템에 제어명령을 전달하고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하기 위한 터미날(49), DS1E신호를 입력받아 VC12을 형성하는 VC12송신부(41), 상기 VC12송신부의 출력에 포인터를 부가하여 TU12을 형성한 후 TUG2 송신단으로 출력하는 TU12송신부(42), 수신된 TUG2로부터 포인터를 추출하고 VC12유료부하를 출력하는 TU12수신부(44), 상기 TU12수신부로부터 VC12유료부하를 입력받아 DS1E 신호를 출력하는 VC12수신부(43); 대국 루프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VC12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DS1E신호를 VC12송신부로 루프백하여 대국측으로 송신하는 대국 루프백처리부(45); 터미날로부터 대국루프백 요구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채널의 TU12의 V4 바이트를 이용하여 대국측으로 대국 루프백을 요구하는 대국 루프백 요구부(47); 수신된 TU12의 V4 바이트를 해석하여 특정 채널의 대국 루프백이 요구되었으면 상기 대국 루프 백처리부(45)로 대국 루프백제어신호를 출력하는 V4 해석부(46)가 구비되어 있다.
즉, 제4도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DS1E(유럽식)를 다중화한 경우를 예로서 보여주나 동일한 발명의 기술적사상은 DS1(북미식)을 다중화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VC12송신부(41)는 DS1E신호를 매핑한 후 저위 경로오버해드(POH: V5)를 부가하여 VC12신호를 형성하는 블럭으로서, 비동기식 매핑일 경우에는 두 클럭간의 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비트 스터핑기술을 적용한다. 또한 매핑을 위해서는 FIFO버퍼를 이용하는데, DS1E클럭을 분주하여 라이트 클럭을 생성하고, 갭핑된 VC12클럭을 분주하여 리드 클럭을 생성한다. TU12송신부(42)는 VC12신호에 저위 TU포인터 V1, V2, V3, V4를 부가하여 TU12신호를 형성한 후 도시되지 않은 TUG2단으로 송신한다. 이때 V1, V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VC12유료부하가 TU12로 정렬될 때 시작되는 번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전송속도의 차를 정/영/부 위치맞춤(positive/zero/negative justificastion)에 의해 해결하도록 되어 있다.
TU12수신부(44)는 수신된 TUG2로부터 TU12포인터 클럭 및 VC12 클럭을 생성하여 TUG2데이타로부터 VC12 유료부하를 추출하여 VC12수신부(43)로 출력하고, VC12수신부(43)는 수신된 VC12 유료부하에서 오버헤드를 분석처리하며 DS1E신호를 사용자측으로 전달한다.
대국 루프백처리부(45)는 V4 해석부(46)로부터 루프백제어신호가 수신되면 VC12수신부(43)로부터 출력되는 DS1E신호를 다시 VC12송신부(41)로 루프백하여 상대측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상대측은 자신이 보낸 DS1E 신호를 되돌려 받아 확인하므로써 전송경로상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루프백요구부(47)는 사용자가 운용 터미날(49)을 통해 대국 루프백을 요구하면 V4 바이트상에 이를 표시하여 TU12송신부(42)를 통해 상대국으로 전송하고, V4 해석부(46)는 TU12수신부(44)를 통해 수신된 V4 바이트를 분석하여 상대측으로부터 대국 루프백이 요구되었으면 루프백제어신호를 대국 루프백처리부(45)로 출력하여 루프백을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V4 바이트의 데이타 포맷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7~C0비트를 루프백명령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컨대, C7~C0비트가 0,1,0,1,0,1,0,1이면 루프백 요구명령을 나타내고, 1,0,1,0,1,0,1,0이면 루프백 해제명령을 나타내며, 정상상태에서는 C7~C0가 모두 0이다.
따라서 대국 루프백을 요구하기 위해서는 상대측으로 송신되는 TU12데이타에서 포인터 V4 바이트를 약 3회에 걸쳐 0,1,0,1,0,1,0,1로 설정하여 송신하고, 만일 수신된 V4 바이트가 0,1,0,1,0,1,0,1 이면 상대국에서 대국 루프백을 요구한 상태이므로 해당 대국 루프백처리부(45)를 제어하여 대국 루프백을 수행하게 한다. 만일 대국루프백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대측으로 송신되는 TU12데이타에서 포인터 V4 바이트를 약 3회에 걸쳐 1,0,1,0,1,0,1,0으로 설정하여 송신하여 자국에 수신된 V4 바이트가 1,0,1,0,1,0,1,0 이면 상대국에서 대국 루프백해제를 요구한 상태이므로 해당 대국 루프백처리부(45)를 제어하여 대국 루프백을 해제하게 한다. 정상상태에서는 V4 바이트를 0으로 하여 송신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V4 바이트를 이용하여 대국 루프백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상대국에 있는 운용자의 협조없이 상대국에서의 대국 루프백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Claims (2)

  1. 자국과 적어도 하나의 대국이 전송로로 연결되어 서로 동일한 동기식 다중화장치를 통하여 DS1급의 데이타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된 동기식 전송시스템에서 자국의 운용자가 터미날을 통해 대국측으로 대국 루프백을 요구하면 대국의 다중화장치에서 해당 DS1급의 신호를 대국 루프백할 수 있도록 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장치가
    DS1급의 신호를 입력받아 VC1을 형성하는 VC1송신부(41); 상기 VC1송신부의 출력에 포인터를 부가하여 TU1을 형성한 후 TUG2 송신단으로 출력하는 TU1송신부(42); 수신된 TUG2로부터 포인터를 추출하고 VC1유료부하를 출력하는 TU1수신부(44); 상기 TU1수신부로부터 VC1유료부하를 입력받아 DS1급신호를 출력하는 VC1수신부(43); 대국루프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VC1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DS1급신호를 VC1송신부(41)로 루프백하여 대국측으로 송신하는 대국 루프백처리부(45); 터미날로부터 대국루프백 요구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채널의 TU1의 V4 바이트를 이용하여 대국측으로 대국 루프백을 요구하는 대국 루프백 요구부(47); 수신된 TU1의 V4 바이트를 해석하여 특정 채널의 대국 루프백이 요구되었으면 상기 대국 루프백처리부(45)로 대국 루프백제어신호를 출력하는 V4해석부(46)가 구비된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백 요구부는 루프백 요구명령으로서 V4바이트에 1010101을 송신하고, 루프백 해제요구명령으로서 V4바이트에 10101010을 송신하며 정상시에는 0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
KR1019960035245A 1996-08-23 1996-08-23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 KR100201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245A KR100201331B1 (ko) 1996-08-23 1996-08-23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245A KR100201331B1 (ko) 1996-08-23 1996-08-23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807A true KR19980015807A (ko) 1998-05-25
KR100201331B1 KR100201331B1 (ko) 1999-06-15

Family

ID=1947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245A KR100201331B1 (ko) 1996-08-23 1996-08-23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3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1331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6351A (en) Method for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frame structures containing pointers
JP2000022652A (ja) バーチャルコンカチチャネル管理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伝送装置
US5490142A (en) VT group optical extension interface and VT group optical extension format method
AU671453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elastic buffering in a synchronous digital telecommunication system
JP3974855B2 (ja) データ伝送装置
AU671279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onitoring the fill rate of an elastic buffer memory in a synchronous digital telecommunication system
US6717953B1 (en) Method of and facility for converting a SONET signal to an SDH signal
JPH08508144A (ja) 同期デジタル遠隔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条件接続を制御する方法
US5790557A (e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a virtual container-11 and a tributary unit group-2 in a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KR100201332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c1 자국 루프백회로
KR100201331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
KR100252501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KR0153688B1 (ko)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dram을 이용한 tu신호 정렬장치
KR100284007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계위단위그룹 신호와 ds1 신호 사이의 역다중화 장치
KR100201330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tu포인터 버퍼 리셋에 따른v5클럭 보상회로
KR100201329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위치맞춤에 따른 vc유료부하추출 클럭발생회로
KR100263382B1 (ko)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tsi기능을 위한 tu 포인터및 au 포인터 정렬 장치
KR100201328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의 ds1 매핑 회로
JPH10262021A (ja) 伝送装置
KR100237475B1 (ko) 동기식 전송시스템에서 대국 고속다중화 유니트 절체요구장치
KR100284003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ds1 신호와 계위단위그룹신호사이의 다중화 장치
KR100263383B1 (ko)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
KR19980015809A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의 ds1e 매핑 회로
KR100205014B1 (ko) 동기식 다중화 구조에서 브이씨-11와 티유지-2의 통합기능 실현장치
JPH04829A (ja) フレーム処理方法および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