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615U -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Inner Cap)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Inner C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615U
KR19980015615U KR2019960028854U KR19960028854U KR19980015615U KR 19980015615 U KR19980015615 U KR 19980015615U KR 2019960028854 U KR2019960028854 U KR 2019960028854U KR 19960028854 U KR19960028854 U KR 19960028854U KR 19980015615 U KR19980015615 U KR 199800156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let
inner cap
opening
fu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한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2019960028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615U/ko
Publication of KR19980015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61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탱크로 인입되는 연료파이프(1)의 단부에 차체의 샤시에 부착되는 연료주입구(2)를 구비하고 연료주입구(2)의 주입단부(3)에 인너캡을 개폐하는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에 있어서; 상기 인너캡의 개폐는 상기 연료주입구(2)의 내단부에 형성된 가동판상의 개폐판(12)의 주유기(F)의 주입 또는 이탈로서 개폐되게 하되, 상기 연료주입구(2)의 내단부에 형성된 가동판상의 개폐판(12)구성은, 상기 연료주입구(2)의 내측으로 절곡하고 내방측으로 돌출한 탄성재접촉링부(11)를 주입단부링부(10)에 링형상으로 구비하고, 상기 연료주입구(2)의 내직경(D)보다 근소하게 작은 직경체이며 그 상면에 실링디스크(13)를 가지며 일측단부에 강성의 판코일스프링(14) 및 고정판부(15)를 고정구비하는 개폐판(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은 별도의 캡개폐작동없이 주유기의 주입 또는 이탈만으로 개방,폐색됨으로서 주유가 대단히 용이하게 되고 인너캡의 체결을 잊어버림이 없게 되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Inner Cap)
제 1 도는 종래 구성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이 적용되는 연료주입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부의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파이프2 : 연료주입구
3 : 주입단부12 : 개폐판
F : 주유기13 : 실링디스크
15 : 고정판부
본 고안은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Inner Cap)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캡부를 개선하여 연료주유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차의 연료주입구는 통상 연료탱크로부터 인출되는 연료주입관체가 차량의 샤시에 취부되어 나사산 등을 구비한 캡으로서 일차적으로 개폐하게 하고, 다시 차량 차체에 취부되어 운전자가 실내에서 개폐가능한 아우터캡을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으로서 주유시에는 운전자가 아우터캡을 해제하여 주고 주유원이 다시 인너캡을 회동하여 개방한 후에 주유함으로서 주유과정을 번거롭고, 주유후에 주유원이 인너캡을 다시 잠그는 것을 잊어버려 인너캡이 개방된 채로 주행하게 됨으로서 연료가 외방으로 누출도고 이에 따른 사고의 우려 또한 상존하였다.
상기한 종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의 구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에서는 별도의 개방동작없이 주유기의 주입만으로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구성의 인너캡을 제공함으로서 주유의 편리와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료탱크로 인입되는 연료파이프의 단부에 차체의 샤시에 부착되는 연료주입구를 구비하고 연료주입구의 주입단부에 인너캡을 개폐하는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에 있어서; 상기 인너캡의 개폐는 상기 연료주입구의 내단부에 형성된 가동판상의 개폐판의 주유기의 주입 또는 이탈로서 개폐되게 하되, 상기 연료주입구의 내단부에 형성된 가동판상의 개폐판구성은, 상기 연료주입구의 내측으로 절곡하고 내방측으로 돌출한 탄성재 접촉링부를 주입단부링부에 링형상으로 구비하고, 상기 연료주입구의 내직경보다 근소하게 작은 직경체이며 그 상면에 실링디스크를 가지며 일측단부에 강성의 판코일스프링 및 고정판부를 고정구비하는 개폐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의 구성을 종래구성과 비교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는 종래 구성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이 적용되는 연료주입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부의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종래 구성의 자동차 연료주입구부만을 도시하는 제 1 도에서, 연료탱크(도시하지 아니함)로 인입되는 연료파이프(1)의 단부에는 차체의 샤시에 부착되는 연료주입구(2)가 연결되고 연료주입구(2)는 그 주입단부(3)에 체결홈(3)을 가지거나 나사산을 구비하며, 인너캡(4)에도 상기의 체결홈(3)에 맞는 체결돌기를 구비하거나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구비함으로서 상호 체결함으로서 상술한 문제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구성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을 제 2 도 이하의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연료주입구(2)의 단부를 통상의 형상으로 내측으로 절곡한 주입단부(10)를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주입단부링부(10)의 내방측으로 돌출한 탄성재접촉링부(11)를 링형상으로 내방에 구비하게 된다.
또한, 연료주입구(2)의 내직경(D)보다 근소하게 작은 직경의 개폐판(12)을 형성하고 개폐판(12)의 상면에는 상기한 주입단부링부(10)와 접속하여 기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 예를 들면 고무, 합성고무 등의 실링디스크(13)를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의 개폐판(12)의 일단부에 강성의 판코일스프링(14)을 일체로 고착하고 판코일스프링(14)의 일단부에서 직립하여 연장되는 고정판부(15)를 구비한다.
상기한 개폐판(12)은 연료주입구(2)의 내방으로 삽입하여 주입단부링부(10)와 실링디스크(13)가 탄성접속하는 위치에서 측방의 고정판부(15)를 볼트 등의 고착수단으로 연료주입구(2)의 측벽관체부(2')에 고정하여 구성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은 제 2 도 내지 3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즉, 연료를 주입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개폐판(12)은 측방의 판코일스프링(14)의 탄성으로 연료주입구(2)의 내방측의 주입단부링부(10)와 탄성접속하여 기밀하게 되고, 만일 연료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주유원이 주유기(F)를 개폐판(12)으로 밀어넣음으로서 판코일스프링(14)의 탄성을 극복하게 되어 개폐판(12)은 개방상태로 있게 되고 주유후에 주유기(F)를 제거하면 원래의 폐색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판코일스프링(14) 대신 다양한 탄성수단(예를 들면 측방관체(2')와 개폐판(12)사이에 현가고정되는 코일스프링등)으로 대체되는 구성임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은 별도의 캡개폐 동작없이 주유기의 주입 또는 이탈만으로 개방, 폐색됨으로서 주유가 대단히 용이하게 되고 인너캡의 체결을 잊어버림이 없게 되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유용성을 가지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연료탱크로 인입되는 연료파이프(1)의 단부에 차체의 샤시에 부착되는 연료주입구(2)를 구비하고 연료주입구(2)의 주입단부(3)에 인너캡을 개폐하는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에 있어서;
    상기 인너캡의 개폐는 상기 연료주입구(2)의 내단부에 형성된 가동판상의 개폐판(12)의 주유기(F)의 주입 또는 이탈로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주입구(2)의 내단부에 형성된 가동판상의 개폐판(12)구성은,
    상기 연료주입구(2)의 내측으로 절곡하고 내방측으로 돌출한 탄성재접촉링부(11)를 주입단부링부(10)에 링형상으로 구비하고,
    상기 연료주입구(2)의 내직경(D)보다 근소하게 작은 직경체이며 그 상면에 실링디스크(13)를 가지며 일측단부에 강성의 판코일스프링(14) 및 고정판부(15)를 고정구비하는 개폐판(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
KR2019960028854U 1996-09-06 1996-09-06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Inner Cap) KR199800156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854U KR19980015615U (ko) 1996-09-06 1996-09-06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Inner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854U KR19980015615U (ko) 1996-09-06 1996-09-06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Inner C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615U true KR19980015615U (ko) 1998-06-25

Family

ID=5397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854U KR19980015615U (ko) 1996-09-06 1996-09-06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Inner C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61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8360B2 (en) 2019-03-18 2021-12-14 Hyundai Motor Company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fuel inlet of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8360B2 (en) 2019-03-18 2021-12-14 Hyundai Motor Company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fuel inlet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438B1 (ko) 연료탱크 충전파이프용 폐쇄시스템과 이러한 파이프의개방방법
JP3064444B2 (ja) 容器の閉鎖装置
US4746089A (en) Magnetic fuel tank cap holding system
US4440308A (en) Fuel cap valve structure
US3357163A (en) Air cleaner assembly for tractors
US6283147B1 (en) Non-return valve for a fuel tank
US6547089B2 (en) Tank cap
US3776263A (en) Fuel cut-off lock
US5427263A (en) Fuel tank assembly
KR19980015615U (ko)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인너캡(Inner Cap)
US4171750A (en) Fuel tank for motor vehicles, especially for motorcycles
US4368579A (en) Locking cap for an oil gauge pipe
RU2363597C1 (ru) Крышка заливной горловины топливного ба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KR19990003290U (ko) 플랩 밸브가 내장된 차량의 연료 주입구
KR200197194Y1 (ko) 연료탱크의 캡
KR100310315B1 (ko) 재충전용 가스용기
JPH0235637Y2 (ko)
KR960004699Y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 밀폐장치
KR100941091B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구조
KR960001088Y1 (ko)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도어 완충재
KR200184765Y1 (ko) 자동차의 일체형 연료필러캡
JPH0234213Y2 (ko)
KR970026174A (ko) 연료탱크의 연료 캡 자동 록킹장치
KR100580361B1 (ko) 캡 분실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연료캡 구조
KR970000035Y1 (ko) 가스연료 주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