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924A - 음성출력 키보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출력 키보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924A
KR19980014924A KR1019960034087A KR19960034087A KR19980014924A KR 19980014924 A KR19980014924 A KR 19980014924A KR 1019960034087 A KR1019960034087 A KR 1019960034087A KR 19960034087 A KR19960034087 A KR 19960034087A KR 19980014924 A KR19980014924 A KR 1998001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voice
input
character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924A/ko
Publication of KR1998001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924A/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키보드의 입력에 따라서 입력된 글자에 따라서 해당 음성 메시지를 출력토록 함으로써 오타 등을 미리 방지토록 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키보드에서 스캔코드를 발생시킬 때 해당 음성을 발생하여 출력토록 함으로써 입력자가 음성으로써 오류를 즉시 인식토록 하여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의 입력에 따라서 스캔코드를 발생시키는 키보드 콘트롤러와, 상기 스캔코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큐 레지스터와, 상기 키보드로부터 입력 가능한 문자들과 대응을 이루고 있는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큐 레지스터에 저장된 문자가 해당하는 언어종류를 분석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큐 레지스터의 저장 문자에 해당하는 상기 음성정보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독출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저장수단으로 부터의 상기 음성정보를 판독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성처리 기능의 사운드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음성출력 키보드 시스템
본 발명은 컴퓨터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키보드의 입력에 따라서 입력된 글자에 따라서 해당 음성 메시지를 출력토록 함으로써 오타 등을 미리 방지토록 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키보드의 자판에 의존하여 글자를 입력함으로써 오타 등의 확률이 높았고, 자판에 숙련된 자라고 하여도 외국어와 우리문자를 혼용하여 입력하는 경우에는 해당 자판키를 입력하는 것을 자주 잊어버리기 때문에 원하는 바와는 틀린 나라의 글로 입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각국의 맞춤법 등에 의해서 입력되는 글자가 자판에 의해서 지정된 국가의 어법과 일치하는가를 검색하여 틀릴 경우에 타당한 국가의 언어로 검색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앉고 있다. 특히,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맞춤법으로는 그 글자가 그 나라의 문법체계에 옳은지를 검증할 수 없기 때문에 옳은 것으로 인식할 수 박에 없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컴퓨터의 키보드 입력 시스템을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컴퓨터에는 키보드(11)와의 통신을 위한 전용 칩이 있으며 이를 통상 키보드 콘트롤러(12)라 한다. 키보드 콘트롤러(12)에는 키보드 바이오스(Keyboard BIOS)라는 프로그램이 들어가 있으며 키보드 콘트롤러(12)와 내부에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컴퓨터와 키보드(11)간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된다.
키보드 콘트롤러(12)는 키보드(11)가 보낸 시스템 스캔 코드를 받아 컴퓨터 전체를 관할하는 프로그램(13)으로 전달을 하고 실제 사용되는 코드로 변환된다. 전체를 관할하는 프로그램을 주(主)바이오스(Main BIOS)라 한다.
이와 같이 키보드(11)에서 눌려진 키는 컴퓨터에 사용할 코드를 만들기 위해서 3단계의 변환을 거치게 된다. 즉, 1단계는 전기적인 연결을 점검하여 발생되는 키보드 스캔 코드이고 2단계는 메인 바이오스로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스캔 코드이며 3단계는 실제 코드로 운영되기 위한 코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운영되는 키입력 시스템은 단순히 문자코드만을 입력하기 때문에 입력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오류를 발생시키는 전술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키보드에서 스캔코드를 발생시킬 때 해당 음성을 발생하여 출력토록 함으로써 입력자가 음성으로써 오류를 즉시 인식토록 하여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된 문자를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토록 함으로써 청각 장애자에게 편의를 제공키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컴퓨터의 키보드 입력 시스템을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11)와, 상기 키보드(11)의 입력에 따라서 스캔코드를 발생시키는 키보드 콘트롤러(12)와, 스캔코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큐 레지스터(14)와, 문자와 대응되는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음성정보 저장수단(15)과, 큐 레지스터(14)에 저장된 문자가 해당하는 언어, 예를 들어, 한글 또는 영어인지를 분석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큐 레지스터(14)의 저장 문자에 해당하는 상기 음성정보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저장수단(13)과, 상기 프로그램 저장수단(13)으로 부터의 음성정보를 판독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성처리 기능의 사운드 카드(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블록도에 따라서 문자가 음성으로 재현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된 문자신호는 스캔코드화하여 키보드 콘트롤러(12)에 입력되어 시스템 스캔코드를 발생시킨다. 상기 시스템 스캔코드는 큐 레지스터(14)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상기 큐 레지스터(14)에 저장된 스캔코드를 프로그램 저장수단(13)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큐 레지스터(14)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한글인지 영문인지를 분석한다. 이와 같이 분석된 데이터에 의해서 문자와 대응되도록 기억된 음성정보 저장수단(15)내의, 예를 들어 웨이브 파일로 부터 상기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정보를 판독하여 읽어들여 사운드 카드(16)에 송출한다. 상기 사운드 카드(16)에서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8)에 의하여 음성정보 저장수단으로부터 읽혀진 음성정보를 스피커(16)를 통하여 음성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한다.
이와 같은 상기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문자가 키보드로 입력됨과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을 동시에 출력토록 함으로써 문자입력상의 오류를 입력자가 즉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시각장애자들에게 음성신호를 인식토록 하여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

  1.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의 입력에 따라서 스캔코드를 발생시키는 키보드 콘트롤러와, 상기 스캔코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큐 레지스터와, 상기 키보드로부터 입력 가능한 문자들과 대응을 이루고 있는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음성정보 저장수단과, 상기 큐 레지스터에 저장된 문자가 해당하는 언어종류를 분석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큐 레지스터의 저장 문자에 해당하는 상기 음성정보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독출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저장수단과, 중앙처리장치에 의하여 상기 음성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판독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성처리 기능의 사운드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 키보드 시스템.
KR1019960034087A 1996-08-17 1996-08-17 음성출력 키보드 시스템 KR19980014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087A KR19980014924A (ko) 1996-08-17 1996-08-17 음성출력 키보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087A KR19980014924A (ko) 1996-08-17 1996-08-17 음성출력 키보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924A true KR19980014924A (ko) 1998-05-25

Family

ID=6625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087A KR19980014924A (ko) 1996-08-17 1996-08-17 음성출력 키보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9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293A (ko) * 1998-06-27 2000-01-15 윤종용 입력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30089200A (ko) * 2002-05-17 2003-11-21 주식회사 알파인터넷 실시간 음성확인이 가능한 키패드
KR101446870B1 (ko) * 2013-05-06 2014-10-06 (주) 퓨전데이타 정보보안용 스마트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293A (ko) * 1998-06-27 2000-01-15 윤종용 입력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30089200A (ko) * 2002-05-17 2003-11-21 주식회사 알파인터넷 실시간 음성확인이 가능한 키패드
KR101446870B1 (ko) * 2013-05-06 2014-10-06 (주) 퓨전데이타 정보보안용 스마트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5029B1 (en) Speech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6711542B2 (en) Method of identifying a language and of controlling a speech synthesis unit and a communication device
JPS61107430A (ja) 音声情報の編集装置
US4461023A (en) Registration method of registered words for use in a speech recognition system
EP092459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text in a mobil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US5355433A (en) Standard pattern comparing system for eliminating duplicative data entries for different applications program dictionaries, especially suitable for use in voice recognition systems
KR100736561B1 (ko) 오타수정장치와 그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US4831653A (en) System for registering speech information to make a voice dictionary
KR19980014924A (ko) 음성출력 키보드 시스템
JPH1120300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言語切替制御方法
JPH0863185A (ja) 音声認識装置
US5600556A (en) Word processor that automatically capitalizes the first letter of sentence
JPS58160993A (ja) 文書編集装置の音声確認方法
JPH05323988A (ja) 音声出力機能を有するキーボード
JPH0916569A (ja) 文書作成装置及び同装置に用いられる変換処理方法
US73498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inputting a pronunciation symbol
WO20070522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on of text for editing
JPS6315633B2 (ko)
JPS61193258A (ja) 端末装置に中国文字を入力する方法及び装置
JPH0554145B2 (ko)
JPH11175307A (ja) 文書読上げ方法および装置
JPH08241316A (ja) 操作処理方法及び装置
JPS62150294A (ja) 認識結果確認方式
JPH0667688A (ja) 入力装置
JP2000259616A (ja) ユーザ定義語辞書照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