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882A -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오.에스.디(osd) 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오.에스.디(osd) 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882A
KR19980014882A KR1019960034037A KR19960034037A KR19980014882A KR 19980014882 A KR19980014882 A KR 19980014882A KR 1019960034037 A KR1019960034037 A KR 1019960034037A KR 19960034037 A KR19960034037 A KR 19960034037A KR 19980014882 A KR19980014882 A KR 19980014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signal
dvcr
output
os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준
김재룡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3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882A/ko
Publication of KR1998001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882A/ko

Link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가 제공된 바, DVCR자체의 OSD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TV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OSD데이타 처리를 위한 패스(PATH)가 더 구성되어야 하는 문제점과 위성방송 수신기의 영상신호 출력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OSD신호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절환하여 처리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성방송수신기에서 출력되는 모든 데이타를 DVCR의 입력단에서 수신하고, 상기 DVCR에서 재생되는 데이타를 출력단을 통해 상기 위성방송수신기로 출력하며, 상기 DVCR에서 필요한 OSD데이타와 상기 위성방송수신기에서 입력받은 데이타를 TV로 제어수단의 일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수단을 통해 선택 출력되어 자동으로 영상신호 및 사용자 요구 OSD데이타를 절환하도록 하고, DVCR에 A/V입력단자 및 R/F입력단자를 부가하여 위성방송수신기의 A/V출력단자 또는 R/F출력단자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DVCR 자체의 OSD데이타로 복잡한 신호 패스없이 제공할 수 있는 이점과, 영상신호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OSD신호를 자동으로 절환하여 처리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오.에스.디(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본 발명은 디지탈 브이 씨 알(이하 DVCR이라 칭함)의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DVCR의 영상 및 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가전시장은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탈 방식으로 전환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즉, 방송이 종래의 NTSC, PAL, SECAM 등의 아날로그 방송 뿐만 아니라 MPEG-2,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디지사이퍼(Digicipher) 등의 디지탈 방송이 새로이 시작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탈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탈 방송수신기가 새로운 가전제품으로 등장하였다.
또한, 종래의 VHS VCR과 같은 아날로그 방식의 저장매체를 대신할 새로운 제품으로 DVD(Digital Video Disk), DVC(Digital Video Camcorder), D-VHS 등의 디지탈 방식의 저장매체가 새로이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디지탈 저장매체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로부터 디지탈 비트열을 수신하여 기록매체에 디지탈로 기록한다.
그리고, 향후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재생하여 재생된 비트열을 다시 디지탈 방송수신기로 전송함으로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디지탈 방송환경에서는 종래의 TV만으로는 수신이 불가능하며, 디지탈 위성방송 수신기라는 장치가 추가로 필요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탈 위성방송 수신기, DVCR, TV의 상호 인터페이싱관계 및 그 동작원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탈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위성방송 수신기(10), DVCR(30), TV(2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동작을 살펴보면, 위성방송 수신기(10)는 안테나(ANT)를 통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TV(20)가 인식할 수 있는 영상 및 음성신호 포맷(NTSC, PAL 등)으로 변환한다.
상기 변환된 신호는 A/V출력 1단자를 통하여 상기 TV(20)로 전송한다.
상기 TV(20)에서는 상기 A/V출력 1단자, R/F출력 1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사용자는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A/V출력이란 기저대역(Baseband) 즉, 광대역 무선 중계방식에 사용되는 변조신호의 주파수대의 영상/음성신호의 출력을 의미한다.
그리고, R/F출력이란 상기 TV(20)가 튜닝(Tuning)할 수 있는 대역(Radio-Frequency)으로 변조된 영상/음성신호의 출력을 의미한다.
상기 위성방송 수신기(10)는 튜너(미도시)와 디코더(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튜너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복조(Demodulation), 오류정정 등을 수행하여 디지탈 비트열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디코더는 상기 변환된 디지탈 비트열을 역 다중화(Demultiplexing) 및 신장(Decompression)하고 TV(20)가 수신 가능한 포맷으로 D/A변환하여 상기 A/V출력 1단자 및 R/F출력 1단자를 통하여 TV(20)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디지탈 방송을 디지탈로 기록 및 재생하는 디지탈 저장매체의 대표적인 일례로 DVCR(30)이 있다.
DVCR(30)은 위성방송 수신기(10)내의 튜너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비트열을 수신하여 이를 테이프에 기록하는 기록장치와, 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탈 비트열을 재생하여 상시 위성방송 수신기(10)내의 디코더로 송신하는 재생장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위성방송 수신기(10)와 DVCR(30)사이의 디지탈 데이타 교환(인터페이스)을 위한 디지탈 단자가 위성방송 수신기(10) 및 DVCR(30)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한편, DVCR(30)은 OSD출력, 아날로그 VHS재생신호 출력을 TV(20)로 전송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목적의 A/V출력 2단자, R/F출력 2단자를 추가로 갖는다. 따라서, DVCR(30), 위성방송 수신기(10), TV(20)간의 인터페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TV(20)는 위성방송 수신기(10)로부터 A/V 출력 1단자 또는 R/F출력 1단자를 통하여 방송신호를 입력받고 DVCR(30)로부터 A/V출력 2 또는 R/F출력 2단자를 통하여 OSD신호를 입력 받는다.
DVCR(30)은 테이프에 기록된 모든 프로그램들에 대한 상세정보 즉, 프로그램 타이틀 정보, 스케줄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프로그램을 고속서치하는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이때, OSD화면을 TV(20)로 출력할 필요성이 발생하는 것이다.
즉, 종래 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위성방송 수신기(10)의 영상신호 출력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OSD신호를 사용자가 수동을 절환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탈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에서의 OSD처리는 DVCR내에 디코더 없으므로 모든 디지탈 재생신호는 디코딩을 위해 다시 디코더가 구비된 위성방송 수신기로 인가되어야 하는 인터페이싱상의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DVCR자체에서 필요한 OSD데이타 즉, PLAY, REW, FF등의 데이타는 DVCR 자체의 OSD데이타를 처리하도록 규격화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DVCR자체의 OSD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TV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OSD데이타 처리를 위한 패스(PATH)가 더 구성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성방송 수신기의 영상신호 출력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OSD신호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절환하여 처리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탈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의 인터페이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의 인터페이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위성방송 수신기20 : TV
30 : DVCR31 : 제어부
32 : OSD데이타 발생부33 : OSD데이타 처리부
34 : R/F 변조부35, 36 : 제1,2 스위칭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의 특징은 위성방송수신기에서 출력되는 모든 데이타를 DVCR의 입력단에서 수신하고, 상기 DVCR에서 재생되는 데이타를 출력단을 통해 상기 위성방송수신기로 출력하며, 상기 DVCR에서 필요한 OSD데이타와 상기 위성방송수신기에서 입력받은 데이타를 TV로 제어수단의 일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수단을 통해 선택 출력되어 자동으로 영상신호 및 사용자 요구 OSD데이타를 절환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스위칭 수단은 위성방송수신기에서 디코딩된 데이타를 선택하거나 DVCR에서 출력되는 OSD데이타를 선택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의 요구신호에 따라 DVCR자체에만 있는 OSD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을 제어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DVCR에서 A/V입력단자 및 R/F입력단자를 부가하여 위성방송수신기의 A/V출력단자 또는 R/F출력단자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도록 상기 위성방송 수신기, DVCR, TV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DVCR내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A/V입력단자 또는 R/F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발생되는 OSD신호를 자동절환하는 장치를 부가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의 인터페이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의 구성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동일하며, 상호 장치간의 인터페이싱이 다른 것이 도 1과의 차별화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중복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호 장치간의 인터페이싱에 대해 살펴보면, DVCR(30)에 A/V입력 1 단자 및 R/F입력 1 단자를 부가하여 위성방송수신기(10)의 A/V출력 1단자 또는 R/F출력 1단자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도록 상기 위성방송 수신기(10), DVCR(30), TV(20)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인터페이싱된 각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화면 재생모드일 경우에는 DVCR(30)에서 테이프(미도시)에 기록된 디지탈 비트열을 재생하여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성방송 수신기(10)내의 디코더로 전송한다.
그리고, 방송시청 모드일 경우에는 위성방송수신기(10)내의 튜너에서 복조, 오류정정 등을 수행하여 디지탈 비트열을 발생시켜 상기 디코더로 전송한다.
상기 디코더는 수신된 비트열을 신장하고 D/A변환하여 A/V출력 1단자 및 R/F출력 1단자를 통해 DVCR(30)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DVCR(30)이 화면재생 또는 방송 시청모드이면, A/V입력 1단자 및 R/F입력 1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A/V출력 2단자 및 R/F출력 2단자를 통해 TV(20)로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OSD모드이면 OSD신호를 A/V출력 2단자 및 R/F출력 2단자를 통해 TV(20)로 출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OSD모드는 사용자가 OSD출력이 필요한 기능을 선택할 경우에 인에이블 되므로 영상신호와 OSD신호의 절환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31), OSD데이타 발생부(32), OSD데이타 처리부(33), R/F변조부(34), 제1스위칭부(35) 및 제2스위칭부(36)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1)는 사용자의 OSD데이타 요구신호의 입력을 처리하고 영상모드 즉, 화면 재생모드와 방송 시청모드, 그리고 OSD모드를 자동절환되도록 제어한다.
OSD데이타 발생부(32)는 사용자의 OSD데이타 요구시 상기 제어부(31)의 일 제어신호에 따라 OSD데이타를 발생하여 상기 OSD데이타 처리부(33)로 인가한다.
OSD데이타 처리부(33)는 상기 OSD데이타 발생부(32)에서 제어부(31)의 일 제어신호에 따라 발생된 OSD데이타를 이용하여 OSD화면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된 OSD화면은 R/F변조부(34)와 상기 제1스위칭부(35)로 인가된다.
R/F변조부(34)는 상기 OSD데이타 처리부(33)에서 출력되는 OSD화면의 A/V신호를 R/F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제2스위칭부(36)로 인가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스위칭부(35)는 상기 제어부(31)의 일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위성방송수신기(10)에서 DVCR(30)의 A/V입력 1단자로 입력되는 영상화면과 상기 OSD데이타처리부(33)에서 출력되는 OSD화면을 절환하여 선택적으로 TV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스위칭부(35)는 제어부(31)의 OSD/STB선택신호에 따라 A/V출력 2단자를 통해 TV(20)에 영상화면 또는 OSD화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칭부(36)는 상기 제어부(31)의 일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위성방송 수신기(10)에서 DVCR(30)의 R/F입력 1단자로 입력되는 영상화면과 상기 R/F변조부(34)에서 출력되는 OSD화면을 절환하여 DVCR(30)의 R/F출력 2단자를 통해 선택적으로 TV(20)로 출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차이점을 간단히 설명하면, 종래 기술이 위성방송 수신기(10)의 영상신호 출력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TV(20)에 디스플레이되는 OSD신호를 자동으로 절환하지 못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DVCR(30)에 도 2에서와 같이, A/V입력 1단자 및 R/F입력 1단자를 부가하고 DVCR(30)내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A/V입력 1단자 및 R/F입력 1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발생되는 OSD신호를 자동절환하는 장치를 추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개념을 용이하게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구성에 불과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내용이라면 구성요소의 단순한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절환수단으로 제시된 스위칭수단(35)(36)은 당업자라면 누구라도 용이하게 혼합수단이나 가산수단 등으로 용도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는 DVCR에 A/V입력단자 및 R/F입력단자를 부가하여 위성방송수신기의 A/V출력단자 또는 R/F출력단자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도록 상기 위성방송 수신기, DVCR, TV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DVCR내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A/V입력단자 또는 R/F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발생되는 OSD신호를 자동절환하는 장치를 부가하여 사용자 OSD데이타의 화면요구시 DVCR자체에서 필요한 OSD데이타 즉, PLAY, REW, FF 등의 데이타를 DVCR 자체의 OSD데이타로 복잡한 신호 패스없이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위성방송 수신기의 영상신호 출력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OSD신호를 자동으로 절환하여 처리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위성방송 수신기 및 TV를 이용한 DVCR의 영상 및 OSD데이타 절환장치에 있어서,
    일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OSD데이타 요구신호에 상응하는 OSD데이타를 발생하는 수단;
    상기 발생된 OSD데이타를 이용하여 일 제어신호에 따라 OSD화면을 구성하는 OSD데이타 처리수단;
    상기 OSD화면에 대한 A/V신호를 R/F신호로 변조하는 수단;
    상기 위성방송 수신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구성된 OSD화면을 일 제어신호에 따라 TV로 선택 출력하는 스위칭스단;
    상기 일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방송 수신기에서 스위칭수단으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상기 위성방송 수신기의 A/V출력단자와 R/F출력단자를 통해 DVCR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방송 수신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상기 DVCR의 A/V입력단자와 R/F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4. 제1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일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VCR의 R/F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OSD데이타 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OSD신호를 절환하여 선택출력하는 제1스위칭부와;
    상기 제어수단의 일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VCR의 A/V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R/F변조하는 수단에서 출력되는 OSD신호를 절환하여 선택출력하는 제2스위칭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스위칭부에서 TV로 출력되는 영상/음성신호 및 OSD신호는 DVCR의 A/V출력단자를 통해서 입력되고, 제2스위칭부에서 TV로 출력되는 영상/음성신호 및 OSD신호는 DVCR의 R/F출력단자를 통해서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의 요구신호에 따라 DVCR자체에만 존재하는 OSD데이타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OSD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KR1019960034037A 1996-08-17 1996-08-17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오.에스.디(osd) 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KR19980014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037A KR19980014882A (ko) 1996-08-17 1996-08-17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오.에스.디(osd) 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037A KR19980014882A (ko) 1996-08-17 1996-08-17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오.에스.디(osd) 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882A true KR19980014882A (ko) 1998-05-25

Family

ID=6625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037A KR19980014882A (ko) 1996-08-17 1996-08-17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오.에스.디(osd) 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8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9057895A1 (fr) Procede et appareil d'affichage d'un contenu enregistre
JPH1122529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20000076621A (ko)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 방법 및 장치
US20050276575A1 (en) Program receiver and method of display processing of program explanation screen
KR20030082453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 리모트 컨트롤러 및 재생 방법
WO1998052354A1 (fr) Appareil d'enregistrement/reproduction de signaux numeriques
US8072548B2 (en) Output control apparatus controlling an output of video or audio by automatically switching an input of a reproduction device and an output control system, a reproduction apparatus and a television for performing the same
US7577335B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recording apparatus
KR19980014882A (ko) 디지탈 브이 씨 알의 영상 및 오.에스.디(osd) 데이타 자동 절환장치
WO2007097355A1 (ja) 放送番組表示装置、放送番組表示方法および放送番組表示システム
US7865929B1 (en) Receiving apparatus of digital broadcasting and display method of recording program associated information
JP3137819B2 (ja) テレビ信号処理装置及びテレビ信号処理システム
EP1345429A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01309335A (ja) 映像視聴システム及び映像端末装置
US5887109A (en)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a CATV broadcast without operating a CATV decorder and method therefor
JP2599405Y2 (ja) テレビ受信装置
JP2002290887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395532B1 (ko) 복사되는 신호의 방식변환이 가능한 콤비네이션 시스템 및그의 신호 복사방법
JP3796203B2 (ja) 録画装置制御機能付き放送受信装置
KR200179568Y1 (ko) 복합 영상기록 시스템
KR0116643Y1 (ko)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의 출력장치
JP3177426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826165B1 (ko) 프로그램 저장/재생을 위한 ci 모듈, 상기 ci 모듈을 이용한 프로그램 저장/재생 방법 및 수신 시스템
KR20040066593A (ko) Pvr장치의 채널별 음량 및 화질 설정값 자동 조정방법
JP2004015635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