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822U - 미닫이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822U
KR19980014822U KR2019960027984U KR19960027984U KR19980014822U KR 19980014822 U KR19980014822 U KR 19980014822U KR 2019960027984 U KR2019960027984 U KR 2019960027984U KR 19960027984 U KR19960027984 U KR 19960027984U KR 19980014822 U KR19980014822 U KR 199800148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mote control
motor
control signal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7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진
김상섭
Original Assignee
박유진
김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진, 김상섭 filed Critical 박유진
Priority to KR2019960027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822U/ko
Publication of KR199800148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822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86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3Adjustable b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미닫이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정역모터(3)와; 상기 정역모터(3)의 축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레일(11)의 상부에 굴움운동을 실시하여 도어(2)가 개폐되도록 하는 풀리(4)와; 투시창(51)을 통해 수신되는 리모콘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모콘신호 수신부(5)와; 상기 리모콘신호 수신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정역모터(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주는 모터 구동부(6)와; 각부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 공급부(7)와; 건물의 각 도어중 어느 도어를 개폐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수개의 도어선택 스위치(81)와, 정역모터를 어느 방향으로 구동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두개의 도어개폐 스위치(82, 83)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어 도어의 개폐신호를 공중으로 발사시키는 리모콘(8)으로 구성하므로써, 아무리 높은 위치에 있는 창문의 도어라할지라도 리모콘을 통해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어 노약자는 물론 일반 사람들이 소정 건물에 설치된 창문의 도어를 높이에 무관하게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가 설치된 미닫이식 도어의 요부 절취 정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가 설치된 미닫이식 도어의 요부 절취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창틀2 : 도어
3 : 정역모터4 : 풀리
5 : 리모콘신호 수신부6 : 모터 구동부
7 : 전원 공급부8 : 리모콘
11: 레일23 : 호차
51 : 투시창71 : 밧데리
81 : 도어선택 스위치
82, 83 : 도어개폐 스위치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의 벽등지에 설치되어 환기 및 조명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식 도어를 리모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미닫이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각종 건물에 설치된 대부분의 미닫이식 도어는 사람이 직접 개폐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도어를 열어야 하거나, 비, 바람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열려있던 도어를 닫고자할시에는 필히 사람의 손으로 직접 잡아당기거나 밀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런데, 특히 큰 건물(예를들어 공장등)에 있어서 창문이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에는 아예 도어를 개폐하지 않고 닫아 놓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실내공기의 환기 불량으로 인해 인체에 해를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비록 낮은 위치에 창문이 설치되어 있다할지라도 키가 작은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약자 등은 그 창문의 도어를 개폐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노약자는 물론 일반 사람들이 소정 건물에 설치된 창문의 도어를 높이에 무관하게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는 미닫이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고안의 구성]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 저부 샤시내에 정역모터를 설치하되, 상기 정역모터의 축상에는 소정의 마찰력을 갖고 레일의 상부에서 굴움운동을 실시하는 풀리를 설치하고, 또 상기 샤시내에는 리모콘의 작동을 감지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콘신호 수신부와, 상기 리모콘신호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주는 모터 구동부 및 각부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밧데리 수납부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리모콘상에는 어느 도어를 개폐할것인지를 결정하는 수개의 도어선택 스위치와, 정역모터를 어느 방향으로 구동시켜 도어를 열거나 닫을 것인지늘 결정하는 도어 개폐스위치를 설치하므로써 달성된다.
[고안의 작용]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아무리 높은 위치에 있는 창문의 도어일지라도 리모콘만 조작하면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므로 노약자는 물론 일반 사람들이 소정건물에 설치된 창문의 도어를 높이에 무관하게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저부와 상부의 샤시에 레일(11)이 일체로 형성되어 벽등지에 직접 고정되는 사각틀체의 형상의 창틀(1)과; 상기 창틀(1)의 절반 크기보다 약간 큰 형상을 갖고 그 중앙부에는 유리(22)등이 고정되며 저부 샤시(21)의 양측부에는 상기 창틀(1)의 레일(11)을 따라 굴움운동을 하는 한쌍의 호차(23)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창틀(1)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미닫이식 도어(2)로 이루어진 미닫이식 창에 있어서, 상기 도어(2)의 저부 샤시(21)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발생시키는 정역모터(3)와; 비교적 마찰력이 큰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역모터(3)의 축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정역모터(3)의 구동이 있을시 레일(11)의 상부에 굴움운동을 실시하여 도어(2)가 개폐되도록 하는 풀리(4)와; 상기 도어(2)의 저부 샤시(21)에 설치된 투시창(51)을 통해 수신되는 리모콘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부응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모터 구동부(6)에 발생시키는 리모콘신호 수신부(5)와; 상기 리모콘신호 수신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정역모터(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주는 모터 구동부(6)와; 개폐 가능한 뚜껑체와 밧데리(71) 수납부(72)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2)의 저부 샤시(21)에 설치되어 정역모터(3)를 포함한 각부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 공급부(7)와; 소정 형상을 갖는 케이스상에 건물의 각 도어중 어느 도어를 개폐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수개의 도어선택 스위치(81)와, 상기 정역모터(3)를 어느 방향으로 구동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두개의 도어개폐 스위치(82, 83)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어 도어의 개폐신호를 공중으로 발사시키는 리모콘(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먼저, 창틀(1)내에 좌,우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미닫이식 도어(2)의 저부 샤시(21)내(예를 들어 중앙부)에는 축상에 풀리(4)가 설치된 정역모터(3)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풀리(4)는 비교적 마찰력이 큰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크기는 호차(23)와 거의 같은 크기로 형성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창틀(1)상에 미닫이식도어(2)를 설치하였을시 그의 호차(23)와 상기 정역모터(3) 축상의 풀리(4)가 창틀(1)의 레일(11)의 상부에서 굴움운동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2)의 저부 샤시(21) 전방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체와 밧데리(71) 수납부(72)로 구성된 전원 공급부(7)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시창(51)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투시창(51)의 후방부(즉, 샤시내측)에는 리모콘(8)에서 발사된 도어개폐신호를 입력받아 모터 구동부(6)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모콘신호 수신부(5)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사용자가 리모콘(8)에 설치된 도어개폐기 스위치등을 조작하였을시 그에 해당되는 신호가 상기 투시창(51)을 통해 리모콘신호 수신부(5)로 입력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리모콘신호 수신부(5)와 정역모터(3) 사이에 설치된 모터 구동부(6)에서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5)로 부터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었을시 그에 부응하는 신호를 상기 정역모터(3)에 출력시켜 상기 정역모터(3)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역모터(3)를 포함한 리모콘신호 수신부(5) 및 모터 구동부(6)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 공급부(7)는 소정갯수의 밧데리(71)가 착탈 가능하게 들어갈 수 있는 수납부(72)와 개폐식 뚜껑체로 구성하여 도어(2)의 저부 샤시(21) 정면부에 설치하여 주므로써, 외부전원의 공급으로 인한 전원선의 노출 및 그로 인한 걸리적 거림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도어의 잦은 개폐로 인한 밧데리가 모두 소모되었을시 새로운 밧데리로 손쉽게 교체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른 소정신호를 공중으로 발사시켜 주는 리모콘(8)의 케이스 상에는 건물내의 각 도어중 어느 도어를 개폐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개의 도어선택 스위치(81)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정역모터(3)를 어느 방향으로 구동시켜 도어를 열거나 닫을 것인지를 결정하는 두개의 도어개폐 스위치(82,8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수개의 도어선택 스위치(81) 중 원하는 도어를 열기 위한 도어선택 스위치를 온시킨 다음,가 각각 인쇄된 상기 두개의 도어개폐 스위치(82,83) 중 원하는 도어개폐 스위치를 조작하면 해당되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도어(2)를 열기 위해 리모콘(8)에 설치된 두개의 도어개폐 스위치(82,83)중 ⇒가 인쇄된 도어개폐 스위치(82)를 조작하여 그 신호가 도어(2)의 투시창(51)를 통해 리모콘신호 수신부(5)로 입력되면 상기 리모콘신호 수신부(5)에서 그에 해당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모터 구동부(6)에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모터 구동부(6)에서 정역모터(3)에 정방향의 전압을 공급하게 되어 상기 모터(3)가 정방향으로 회동되므로 그의 축상에 고정된 풀리(4)가 강한 마찰력을 갖고 레일(11)의 상부에서 회동하게 되어 도어(2)는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반대로 사용자가 도어(2)를 닫기 위해 리모콘(8)에 설치된 두개의 도어개폐 스위치(82,83)중가 인쇄된 도어개폐 스위치(83)를 조작하였다면 상기 모터 구동부(6)에 정역모터(3)에 역방향의 전압을 공급하게 되므로 상기 모터(3)와 풀리(4)가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도어(2)는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정역모터(3)는 두개의 도어개폐 스위치(82,83)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는 동안에만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도어(2)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리모콘(8)에 수개의 도어선택 스위치(81)를 설치한 이유는 건물에 설치된 수개의 창을 동시에 열거나 닫을수 도 있지만 대부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므로 각 도어를 개폐시킬시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적외선신호가 출력되도록 하여 원하지 않는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도어에 대해 하나씩 리모콘(8)을 제작하면 많은 창문이 설치된 건물에서는 어떤 리모콘이 자신이 개폐코자하는 도어용인지를 알 수 없으므로 하나의 리모콘(8)에 다수개(한 건물내에 설치된 도어의 숫자에 대응되는 갯수)의 도어선택 스위치(81)를 설치하므로써, 한 건물내의 모든 도어에 대한 개폐를 하나의 리모콘(8)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2)의 크기가 비교적 적은 경우는 각각의 도어에 정역모터(3)를 하나씩만 설치하여도 개폐시킬 수 있으나, 만약 그 크기가 매우 큰 경우는 하나의 정역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만으로 개폐가 가능하지 않으므로 상기 정역모터(3)의 설치수를 모터 크기에 맞게 늘리고, 각각의 모터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적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면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아무리 높은 위치에 있는 창문의 도어라할지라도 리모콘을 통해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어 노약자는 물론 일반 사람들이 소정 건물에 설치된 창문의 도어를 높이에 무관하게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저부와 상부의 샤시에 레일(11)이 일체로 형성되어 벽등지에 직접 고정되는 사각틀체의 형상의 창틀(1)과; 상기 창틀(1)의 절반 크기보다 약간 큰 형상을 갖고 그 중앙부에는 유리(22)등이 고정되며 저부 샤시(21)의 양측부에는 상기 창틀(1)의 레일(11)을 따라 굴움운동을 하는 한쌍의 호차(23)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창틀(1)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미닫이식 도어(2)로 이루어진 미닫이식 창에 있어서,
    상기 도어(2)의 저부 샤시(21)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발생시키는 정역모터(3)와; 비교적 마찰력이 큰 고무재질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역모터(3)의 축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정역모터(3)의 구동이 있을시 레일(11)의 상부에 굴움운동을 실시하여 도어(2)가 개폐되도록 하는 풀리(4)와; 상기 도어(2)의 저부 샤시(21)에 설치된 투시창(51)을 통해 수신되는 리모콘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부응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모터 구동부(6)에 발생시키는 리모콘신호 수신부(5)와; 상기 리모콘신호 수신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정역모터(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주는 모터 구동부(6)와; 개폐 가능한 뚜껑체와 밧데리(71) 수납부(72)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2)의 저부 샤시(21)에 설치되어 정역모터(3)를 포함한 각부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 공급부(7)와; 소정 형상을 갖는 케이스상에 건물의 각 도어중 어느 도어를 개폐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수개의 도어선택 스위치(81)와, 상기 정역모터(3)를 어느 방향으로 구동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두개의 도어개폐 스위치(82, 83)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어 도어의 개폐신호를 공중으로 발사시키는 리모콘(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2019960027984U 1996-09-03 1996-09-03 미닫이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99800148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984U KR19980014822U (ko) 1996-09-03 1996-09-03 미닫이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984U KR19980014822U (ko) 1996-09-03 1996-09-03 미닫이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822U true KR19980014822U (ko) 1998-06-25

Family

ID=5397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7984U KR19980014822U (ko) 1996-09-03 1996-09-03 미닫이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822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457B1 (ko) 2004-09-16 2006-06-07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개폐 시스템
KR100639666B1 (ko) 2004-09-16 2006-10-3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전동식 창호 작동장치
KR20210090884A (ko) 2020-01-13 2021-07-21 주식회사 대현상공 창문개폐장치
KR20230067122A (ko)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대현상공 창문개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457B1 (ko) 2004-09-16 2006-06-07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개폐 시스템
KR100639666B1 (ko) 2004-09-16 2006-10-3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전동식 창호 작동장치
KR20210090884A (ko) 2020-01-13 2021-07-21 주식회사 대현상공 창문개폐장치
KR20230067122A (ko)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대현상공 창문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5296A1 (en) Sliding door and window operating system
AU1784595A (en) Arrangement in an opening in the wall of an elevator shaft and instrument panel
KR102061020B1 (ko) 시스템루버 구동 장치
KR19980014822U (ko) 미닫이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203527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채광 및 통풍이 용이한 도어
EP3967957B1 (en) Refrigerator
KR20090068975A (ko) 서랍식 발코니
CN111058716A (zh) 一种可根据有害气体浓度自动开合的窗户
KR20080004754A (ko)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발코니 도어
KR101002655B1 (ko)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KR102194455B1 (ko) 편의성을 향상시킨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 환기장치
KR200189671Y1 (ko) 타이머 설정에 따른 자동 창문과 환풍기
CN215957631U (zh) 用于养殖室的自动开窗装置
JP2000008707A (ja) 引違い窓の開閉装置
JP2832293B2 (ja) 換気扇付サッシ
CN211037580U (zh) 一种半对开平移天窗
KR20070076874A (ko) 창호용 환기장치
JP2000009330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2001349154A (ja) 引違いサッシ
AU2014100040A4 (en) A motorised window covering
KR102146965B1 (ko) 자동, 수동, 반자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 창호
KR102326305B1 (ko) 창문개폐장치
JPH04269285A (ja) 自動扉
KR102014878B1 (ko) 영상 출력 기능을 구비한 루버 시스템
KR20060101136A (ko) 이동식 방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