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655B1 -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655B1
KR101002655B1 KR1020100085439A KR20100085439A KR101002655B1 KR 101002655 B1 KR101002655 B1 KR 101002655B1 KR 1020100085439 A KR1020100085439 A KR 1020100085439A KR 20100085439 A KR20100085439 A KR 20100085439A KR 101002655 B1 KR101002655 B1 KR 101002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late
guide
ventilation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중현
Original Assignee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8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5Applic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의 일측에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환기창을 고정하고, 환기창이 거주자가 설정된 시각과 지속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된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에 관한 것이며, 창틀(14)의 일측에 사각홀(14-1)이 형성되고, 사각홀(14-1)이 위치한 곳의 창문틀(11)에 절곡틀부(12)가 형성되며, 절곡틀부(12)의 수평부에 입구가 좁은 홈 형상의 가이드레일(12-1)이 형성되고, 창문틀(11)의 상단에 레일부(13)가 형성되는 창문(10); 사각의 환기창문틀(21)의 상단에 창문(10)의 레일부(13)와 동일한 형상의 레일부(23)가 형성되고, 환기창문틀(21)의 하단에 가이드돌기(22)가 돌출 형성되어 절곡틀부(12)의 가이드레일(12-1)에 맞물려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환기창문틀(21)의 외측면 단부에 자석에 붙는 금속판(24)이 고정되는 환기창(20); 판체 내부에 전자석 홀더가 내장되어 판체 외부에 형성된 커넥터(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32)는 케이블(33)에 의하여 제어박스(50)에 연결되며, 판체 일측면이 환기창(20)의 금속판(24)에 맞닿게 설치되고, 하단에 가이드판체부(31)가 형성되어 케이스(60) 내에서 전후 이동하며, 상단에 수평으로 톱니판(34)이 형성되는 전자석판(30); 회전축에 톱니(41)가 고정되어 톱니판(34)의 톱니와 맞물리고,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40); 케이스(60)에 설치되어 내부에 제어부(51)와 타이머(52)와 전원부(53)가 구비되고, 제어부(51)는 외부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54)와 연결되어 거주자의 설정사항이 입력되며, 제어부(51)가 전자석판(30)의 전기공급이 개폐되는 제어박스(50); 일측이 개방되고, 내측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61)가 형성되어 환기창(20)과 전자석판(30)의 가이드판체부(31)가 가이드(61)를 따라 수평이동하는 케이스(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 An auto operating window structure in a building }
본 발명은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의 일측에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환기창을 고정하고, 환기창이 거주자가 설정된 시각과 지속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된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이라 함은 건축물의 외벽에 채광이나 환기를 목적으로 사용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한 유리를 창이라 하여 그 외주면을 따라 창틀로 고정시키고, 상기 창틀을 창문틀로부터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창문을 살펴보면 목적·형상·구조·위치에 따라, 또는 설계자에 따라 그 분류가 매우 다양하고 명칭도 많으며 기능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의장(意匠)에서도 건축설계상 중요한 구실을 하며 기능별 살펴보면 채광창·환기창·보조 창 및 순수한 장식용 창이 있으며 이러한 창문은 개폐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흰지에 의해 결합된 창이 창문틀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폐되는 여닫이 창문과, 창을 창틀의 레일을 따라 평행이동됨에 따라 개폐되는 미닫이 창문이 대표적이다.
또한, 외부에서 도난의 목적으로 사람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창문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창문은, 건축물의 벽면의 중간 부분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거주자가 실내 온도 조절이나 환기를 위해 창문의 열림 정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손으로 직접 창문의 잠금장치를 해제한 후 창문을 열고 닫는 방식에 의해 개폐된다.
그러나 수동으로 창문을 개폐할 경우, 성인의 경우에는 별 무리 없이 개폐할 수 있는 반면 키가 작은 사람, 노약자 특히 환자의 경우에는 창문을 수동으로 개폐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창문을 좀 더 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자동 창문 개폐장치들이 제안되어 있다. 일예로서 구동수단을 작동시킴에 의해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자동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창문은 외부에도 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환기, 온도조절 등을 위해 잠금장치를 해제한 후 창문을 약간 열어 놓게 되면 열린 창문을 통해 절도범들의 침입이 용이하여 절도법 침입 및 도난의 예방을 위해서는 창문을 열고서 생활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외출시에 미리 환기를 해놓으면 들어와서 별도의 환기가 필요없으나, 사람이 없는 건물의 창문을 열어놓고 나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설정된 시각과 지속 시간동안 환기창이 자동으로 열려 환기를 시킨후 지속시간이 다 지나면 다시 자동으로 환기창이 닫히도록 구성된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창문과 평소에는 같이 움직이다가 창문이 닫혀서 잠겨진 상태에서 거주자가 설정해놓은 시각이 되면 전원이 공급되어 환기창을 고정한 채로 케이스 내부로 이동시켜 창문과 창틀에 환기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게 구성하고자 한다.
평소에는 전자석판과 분리되어 이동하다가 거주자의 설정된 시각에만 작동하여 전자석판과 환기창이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틀(14)의 일측에 사각홀(14-1)이 형성되고, 사각홀(14-1)이 위치한 곳의 창문틀(11)에 절곡틀부(12)가 형성되며, 절곡틀부(12)의 수평부에 입구가 좁은 홈 형상의 가이드레일(12-1)이 형성되고, 창문틀(11)의 상단에 레일부(13)가 형성되는 창문(10); 사각의 환기창문틀(21)의 상단에 창문(10)의 레일부(13)와 동일한 형상의 레일부(23)가 형성되고, 환기창문틀(21)의 하단에 가이드돌기(22)가 돌출 형성되어 절곡틀부(12)의 가이드레일(12-1)에 맞물려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환기창문틀(21)의 외측면 단부에 자석에 붙는 금속판(24)이 고정되는 환기창(20); 판체 내부에 전자석 홀더가 내장되어 판체 외부에 형성된 커넥터(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32)는 케이블(33)에 의하여 제어박스(50)에 연결되며, 판체 일측면이 환기창(20)의 금속판(24)에 맞닿게 설치되고, 하단에 가이드판체부(31)가 형성되어 케이스(60) 내에서 전후 이동하며, 상단에 수평으로 톱니판(34)이 형성되는 전자석판(30); 회전축에 톱니(41)가 고정되어 톱니판(34)의 톱니와 맞물리고,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40); 케이스(60)에 설치되어 내부에 제어부(51)와 타이머(52)와 전원부(53)가 구비되고, 제어부(51)는 외부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54)와 연결되어 거주자의 설정사항이 입력되며, 제어부(51)가 전자석판(30)의 전기공급이 개폐되는 제어박스(50); 일측이 개방되고, 내측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61)가 형성되어 환기창(20)과 전자석판(30)의 가이드판체부(31)가 가이드(61)를 따라 수평이동하는 케이스(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평소에는 창문의 움직임에 따라 환기창도 같이 움직이다가 닫힌 상태에서 거주자의 설정이나 동작버튼의 누름에 따라 열려 자동으로 환기시키므로 사람이 없어도 외부인의 침입을 걱정하지 않고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겨울철 같은 시기에 외출시에 미리 환기시켜두면 귀가하였을 때 바로 난방하여 따뜻하게 하므로 에너지 손실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사람이 있을 때에도 창문을 잠근 상태에서 환기를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에서 환기창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에서 창문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의 창문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의 제어박스를 도시한 연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창문(10)의 상부 일측에 환기창(20)이 형성되어 창문(10)과 일체로 움직이거나 창문(10)이 닫힌 상태에서 창문(10)에서 빠져나와 벽체에 설치된 케이스(60) 내부로 전자석판(30)에 의하여 이동되어 환기구를 형성하게 구성되고, 이러한 작동은 거주자가 미리 설정해놓은 시각에 설정시간동안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창문(10)은 창틀(14)의 일측에 사각홀(14-1)이 형성되고, 사각홀(14-1)이 위치한 곳과 맞닿는 창문틀(11)에 절곡틀부(12)가 형성된다.
절곡틀부(12)를 이루는 수직부와 수평부 중에 수평부에 입구가 좁은 홈 형상의 가이드레일(12-1)이 형성되고, 창문틀(11)의 상단에 레일부(13)가 형성된다. 레일부(13)는 일반적으로 창문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창문틀의 하단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일부(13)는 창틀(14)의 레일과 결합되어 창문이 이동할 때 가이드 한다.
환기창(20)은 절곡틀부(12)에 설치되는 작은 창으로서, 환기창(20)이 창문(10)과 평소에는 일체로 움직이다가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벽체내부의 케이스로 사각홀(14-1)을 통하여 들어가 환기구를 형성하게 된다.
환기창(20)은 사각의 환기창문틀(21)의 상단에 창문(10)의 레일부(13)와 동일한 형상의 레일부(23)가 형성된다.
환기창문틀(21)의 하단에 가이드돌기(22)가 돌출 형성되어 절곡틀부(12)의 가이드레일(12-1)에 맞물려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러한 가이드레일(1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형태로 환기창(20)이 위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환기창문틀(21)의 외측면 단부에 자석에 붙는 금속판(24)이 고정되어 후술한 전자석판(30)과 밀착하게 된다.
전자석판(30)은 판체 내부에 전기가 흐르면 자석이 되는 전자석 홀더가 내장되고, 이러한 전자석 홀더는 시중에 판매하는 것을 사용하며, 판체는 자력이 잘 전달되는 금속으로 만들어 금속판(24)과 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전자석판(30)의 판체 외부에 커넥터(32)가 고정되고, 커넥터(32)는 내부의 전자석홀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32)는 케이블(33)에 의하여 제어박스(50)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이러한 전자석판(30)은 판체 일측면이 환기창(20)의 금속판(24)에 맞닿게 설치되고, 전자석판(30)의 하단에 가이드판체부(31)가 형성되어 케이스(60) 내에서 전후 이동하게 되며, 전자석판(30)의 상단에 수평으로 톱니판(34)이 케이스(60) 내부를 향하여 형성된다.
모터(40)는 회전축에 톱니(41)가 고정되어 톱니판(34)의 톱니와 맞물리고, 이러한 모터(40)는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모터(40)가 동작하여 톱니(41)가 회전하면 맞물린 톱니판(34)이 수평이동하여 전자석판(30)이 뒤로 이동하거나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석판(30)의 자력에 의하여 붙은 환기창(20)이 같이 뒤로 이동하여 케이스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제어박스(50)는 케이스(60)에 설치되어 내부에 제어부(51)와 타이머(52)와 전원부(53)가 구비되고, 제어부(51)는 외부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54)와 연결되어 거주자의 설정사항이 입력된다. 명칭이 스위치(54)이지만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와 디지탈창이 형성되어 시간과 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54)를 콘트롤패널을 포함한 명칭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임의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51)가 전자석판(30)의 전기공급을 타이머(52)의 시간흐름에 따라 개폐하게 되면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할 수 있게 된다.
케이스(60)는 일측이 개방되고, 창틀(14)을 향하여 개방구가 위치하도록 벽체에 내장된다. 케이스(60)의 내측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61)가 형성되어 환기창(20)과 전자석판(30)의 가이드판체부(31)가 가이드(61)를 따라 수평이동하게 된다.
창문(10)이 닫힌 상태에서 환기창(20)의 금속판(24)과 전자석판(30)은 창틀(14)의 사각홀(14-1)을 통하여 서로 밀착되므로 제어부(51)의 전기 개폐에 따라 전자석판(30)이 활성화되고, 모터(40)가 동작되면 환기창(20)이 사각홀(14-1)을 통하여 케이스(60) 내부로 이동하게 하게 된다.
환기창(20)의 이동하면 환기창(20)이 위치하고 있던 절곡틀부(12)의 공간이 비게 되므로 그 빈 공간을 통해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10 : 창문 11 : 창문틀
12 : 절곡틀부 12-1 : 가이드레일
13 : 레일부 14 : 창틀
14-1 : 사각홀 20 : 환기창
21 : 환기창문틀 22 : 가이드돌기
23 : 레일부 24 : 금속판
30 : 전자석판 31 : 가이드판체부
32 : 커넥터 33 : 케이블
34 : 톱니판 40 : 모터
41 : 톱니 50 : 제어박스
51 : 제어부 52 : 타이머
53 : 전원부 54 : 스위치
60 : 케이스 61 : 가이드

Claims (1)

  1. 창틀(14)의 일측에 사각홀(14-1)이 형성되고, 사각홀(14-1)이 위치한 곳의 창문틀(11)에 절곡틀부(12)가 형성되며, 절곡틀부(12)의 수평부에 입구가 좁은 홈 형상의 가이드레일(12-1)이 형성되고, 창문틀(11)의 상단에 레일부(13)가 형성되는 창문(10);
    사각의 환기창문틀(21)의 상단에 창문(10)의 레일부(13)와 동일한 형상의 레일부(23)가 형성되고, 환기창문틀(21)의 하단에 가이드돌기(22)가 돌출 형성되어 절곡틀부(12)의 가이드레일(12-1)에 맞물려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환기창문틀(21)의 외측면 단부에 자석에 붙는 금속판(24)이 고정되는 환기창(20);
    판체 내부에 전자석 홀더가 내장되어 판체 외부에 형성된 커넥터(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32)는 케이블(33)에 의하여 제어박스(50)에 연결되며, 판체 일측면이 환기창(20)의 금속판(24)에 맞닿게 설치되고, 하단에 가이드판체부(31)가 형성되어 케이스(60) 내에서 전후 이동하며, 상단에 수평으로 톱니판(34)이 형성되는 전자석판(30);
    회전축에 톱니(41)가 고정되어 톱니판(34)의 톱니와 맞물리고,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40);
    케이스(60)에 설치되어 내부에 제어부(51)와 타이머(52)와 전원부(53)가 구비되고, 제어부(51)는 외부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54)와 연결되어 거주자의 설정사항이 입력되며, 제어부(51)가 전자석판(30)의 전기공급이 개폐되는 제어박스(50);
    일측이 개방되고, 내측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61)가 형성되어 환기창(20)과 전자석판(30)의 가이드판체부(31)가 가이드(61)를 따라 수평이동하는 케이스(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KR1020100085439A 2010-09-01 2010-09-01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KR101002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439A KR101002655B1 (ko) 2010-09-01 2010-09-01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439A KR101002655B1 (ko) 2010-09-01 2010-09-01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655B1 true KR101002655B1 (ko) 2010-12-20

Family

ID=4351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439A KR101002655B1 (ko) 2010-09-01 2010-09-01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6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428B1 (ko) 2009-01-02 2013-05-15 민승기 환기가 용이한 창틀
KR20170011753A (ko) 2015-07-24 2017-02-02 이봉구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KR102169697B1 (ko) 2020-01-15 2020-10-23 송과모터스 주식회사 건축물의 프레임 매입형 창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754Y1 (ko) 2006-05-19 2006-08-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 시스템
KR100950094B1 (ko) 2009-10-22 2010-03-26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친환경 자동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754Y1 (ko) 2006-05-19 2006-08-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 시스템
KR100950094B1 (ko) 2009-10-22 2010-03-26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친환경 자동개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428B1 (ko) 2009-01-02 2013-05-15 민승기 환기가 용이한 창틀
KR20170011753A (ko) 2015-07-24 2017-02-02 이봉구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KR102169697B1 (ko) 2020-01-15 2020-10-23 송과모터스 주식회사 건축물의 프레임 매입형 창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655B1 (ko)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ITTO980860A1 (it) Stanza mortuaria mobile.
CA2300484A1 (en) Heater door mechanism for infant warming apparatus
KR101301912B1 (ko) 창문 자동 개폐 장치
US9771751B2 (en) Hinge device for an automated door
KR100806347B1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 및 방범장치
KR101152697B1 (ko) 건축물의 자동 환기용 창문
KR101014366B1 (ko)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환기용 창문 구조
KR102111354B1 (ko)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
KR20080004754A (ko)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발코니 도어
EP0777030A1 (en) Sliding door and handling jamb therefor
JP2007321507A (ja) ロック機構
JP3197976U (ja) 仮設トイレ
JP6841432B2 (ja) 複合型引き違いサッシ
CN112842055A (zh) 一种避免光照强度过强导致室内过热的智能窗帘控制机构
KR100987144B1 (ko) 공동주택용 비상 계단부에 설치되는 엘이디 안전창문 구조
KR200422568Y1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 및 방범장치
KR20060130351A (ko) 리모컨을 이용한 셔터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CN219509411U (zh) 一种开锁组件和电控推杆锁
CN215292055U (zh) 一种厕所门控制驱动系统
TR2023015015U5 (tr) Motorlu sürgülü pencere
KR102053119B1 (ko) 냉난방 효율과 방범기능을 증대시켜 줄 수 있는 공동주택용 현관 보조 도어
WO2001077472A1 (en) Window assembly
CN219728910U (zh) 一种带有防尘组件的车门扶手存放柜
KR20060101136A (ko) 이동식 방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