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428B1 - 환기가 용이한 창틀 - Google Patents

환기가 용이한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428B1
KR101263428B1 KR1020090000578A KR20090000578A KR101263428B1 KR 101263428 B1 KR101263428 B1 KR 101263428B1 KR 1020090000578 A KR1020090000578 A KR 1020090000578A KR 20090000578 A KR20090000578 A KR 20090000578A KR 101263428 B1 KR101263428 B1 KR 10126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ventilation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0734A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09000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428B1/ko
Publication of KR2010008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65D2501/24006Details relating to bottle crates
    • B65D2501/24012Materials
    • B65D2501/24019Mainly 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이나 창고 등에서 실내의 환기가 용이한 창틀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창고 등에서 형성되는 실내 공기에 대한 환기는 대부분 실내용 벽체에 구비되는 창틀을 이동함으로서 형성되는 이동구간으로 공기를 환기하여 주는 것이다.
이는 실내의 벽체에 구비되는 창틀은 보온 및 소음 등을 위하여 구조상 2중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건축물의 구조상 밀폐로 고정되는 유리창으로 되어있거나, 또는 고정프레임에 좌우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동하면서 서로 접하여 주도록 구성하는 구조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의 환기를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창틀에 관한 발명으로서, 건축물(10)의 벽체(20)에서 형성되는 환기를 위한 공간의 가장자리에 고정창틀(13)을 일체로 고정하여 주고, 상기 고정창틀(13)의 두께 사이에는 완충공간(40)이 형성되도록 2중 유리창(15)(15')을 각각 조립시켜 주되, 실내에 인접하는 상기 유리창(15)의 일측 구간을 관통하는 환기구(16)를 형성하여 주는 환기용 창틀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16)의 가장자리 구간에다 고정프레임(32)으로 고정되면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봉(22)로 고정하여 주되, 상기 지지봉(22)에는 파이프형베아링(38)을 조립하여 주고, 상기 지지봉(22)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장방형의 스토퍼(19)를 구비한 다음, 상기 지지봉(22)에 조립되도록 조립링구(25)가 이동구(33)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개폐창(24)을 구비하여 주고,
상기 유리창(15)의 접합구간에는 개폐창(24)의 양측면으로 구비되도록 각각 전자석접지대(29)(29')을 고정시켜 주고,
상기 전자석접지대(29)(29')와 같은 위치에 구비되도록 유리창(15)과 스토퍼(19)에 각각 영구자석접지대(28)(28')를 고정하여 줌으로서,
상기 전자석접지대(29)(29')의 극성 변화의 역할로 환기구(16) 구간을 개폐창(24)으로 개폐하여 주도록 구성하여 주고,
상기 개폐창(24)의 가장자리구간에는 밀폐리브(36)가 형성되는 파킹(35)을 조립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창틀, 유리창, 개폐창

Description

환기가 용이한 창틀{omitted}
본 발명은 건축물이나 창고 등에서 실내의 환기가 용이한 창틀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작업장용 창고 등에서 형성되는 실내 공기에 대한 환기에서는 대부분 실내용 벽체에 구비되는 창틀을 이동하면서 형성되는 이동구간으로 공기를 환기하여 주는 것이다.
이는 실내의 보온 및 소음에 대한 보강을 위하여 건축물의 구조상 상기 2중창으로 형성하여 주되, 상기 유리창을 벽체에 고정되는 창틀프레임의 요홈부에 삽입하여 주면서 실리콘 수지로 밀폐시켜 주는 고정에 대한 내구성을 보강하여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삭제
또한 실내의 공기를 창문으로 흡입이나 배기를 위하여 환풍기를 유리창의 일부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대하여 필요한 량의 순환에 대한 조절의 어 려움이 있으며, 또한 상기 환풍기에 대한 미가동한 경우 상기 환풍기가 조립되는 부위의 창문을 닫아주기가 어려운 형편이 되는 것이다.
실내를 형성하는 대부분의 건축물에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켜 주기 위하여 벽체의 일측으로 덕트 등으로 연결하여서 환기용 펌프를 가동으로 실내의 공기를 흡입이나 배출 등으로 이동하여서 실내공기를 환기하도록 형성함으로서, 실내의 공기에 대한 환기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삭제
또한 대부분 실내를 형성하는 벽체에 고정되는 창틀은 실내에 환기의 목적과 아울러 햇볕의 조사를 목적으로 구비하여서 실내의 위생상 중요한 목적이 있는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 천전 높이의 부위에 위치하는 벽체에 구비하여 주는 창문은 대부분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이에 대한 창문에 대한 개폐작업은 사람의 키 높이에 비교하여 사다리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 거의 불가능하는 것이다.
또한 현대의 생활환경상 중요한 목적인 인테리어의 목적상 창틀의 배치에 대하여 중요하게 인식이 되고 있는 것이다.
삭제
고로 상기와 같은 위치에 구비되는 대부분의 창문은 인위적인 조작에 의하여 개폐공정을 수행하므로, 야간이나 정규적인 환기의 수행이 어려운 것이다.
특히 실내의 장식이나 가구의 표면에 칠하여 주는 니스 등의 화학물질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특히 인체에 해로우며, 경우에 따라서는 어린아이들의 피부질환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자석은 2개의 상반된 극성을 띄고 있으며, 상기 극성에 대한 특징은 서로 다른 극성은 서로 당겨주고, 같은 극성은 서로 밀어주는 현상을 이용하여서 물체의 이동이나 운반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실내의 공기를 환기하여 주기 위하여서는 대부분 인위적이거나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구동시켜서 일정한 시간 동안 열어주는 반자동화의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특히 야간 동안에 취침을 하는 시간대이거나 겨울철에 혹한기에 주기적인 시간으로 실내의 공기를 환기하여 주기 위함이다.
또한 창문의 위치상 벽면의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창틀에서의 실내 환기를 위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야간에 수면을 취하는 밤중에서도 용이하게 실내 환기를 위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쎈서의 작동으로 실내의 상측부위 즉 천장부위에 몰려있는 매연 등이 신속히 자동으로 배출하여 주는 발명으로서, 이에 대한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사고를 방지하여 주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건축물(10)의 벽체(20)에서 형성되는 환기를 위한 공간의 가장자리에 고정창틀(13)을 일체로 고정하여 주고, 상기 고정창틀(13)의 두께 사이에는 완충공간(40)이 형성되도록 2중 유리창(15)(15')을 각각 조립시켜 주되, 실내에 인접하는 상기 유리창(15)의 일측 구간을 관통하는 환기구(16)를 형성하여 주는 환기용 창틀에 있어서,
삭제
상기 환기구(16)의 가장자리 구간에다 고정프레임(32)으로 고정되면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봉(22)로 고정하여 주되, 상기 지지봉(22)에는 파이프형베아링(38)을 조립하여 주고, 상기 지지봉(22)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장방형의 스토퍼(19)를 구비한 다음, 상기 지지봉(22)에 조립되도록 조립링구(25)가 이동구(33)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개폐창(24)을 구비하여 주고,
상기 유리창(15)의 접합구간에는 개폐창(24)의 양측면으로 구비되도록 각각 전자석접지대(29)(29')을 고정시켜 주고,
상기 전자석접지대(29)(29')와 같은 위치에 구비되도록 유리창(15)과 스토퍼(19)에 각각 영구자석접지대(28)(28')를 고정하여 줌으로서,
상기 전자석접지대(29)(29')의 극성 변화의 역할로 환기구(16) 구간을 개폐창(24)으로 개폐하여 주도록 구성하여 주고,
상기 개폐창(24)의 가장자리구간에는 밀폐리브(36)가 형성되는 파킹(35)을 조립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에서 간단하면서 주기적으로 환기를 제공함으로, 이로 인하여 건강한 실내 정화와 아울러 건강상 친환경적인 실내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실내 또는 창고 등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신속히 작동으로 유독가스를 배출하도록 제공하여서, 이로 인하여 인명사고의 발생을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이 구비된 건축물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주요 공정도이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건축물이나 창고, 작업장 등에서 구비되는 실내의 환기를 위하는 장치로서, 대부분의 건축물에서 특히 주거 또는 사무실용으로 사용되는 실내에서는, 겨울철의 혹한기에 대한 보온성 보강 및 소음의 차단 보강을 위하는 창틀로서, 상기 벽체(20)의 두께 차이를 이용하는 범주내에서,
내,외측 창문으로 2중 구조로 설치를 하여 주되, 상기 내,외측 창문을 구비하는 유리창(15)(16)의 사이에는 완충공간(40)을 형성으로서 보온 및 소음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보강하여 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창틀(13)에 조립되는 유리창(15)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창틀의 요홈부에 깊숙히 삽입으로 조립하여 주되, 상기 조립된 가장자리 부위에는 가스켓이나 실리콘 수지 등으로 견고하면서 밀폐로 제공함으로서 건축물(10)의 외부로부터 들려오는 소음이나 날씨에 의한 보온을 유지하도록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유리창(15)은 기술 등의 발달로 인하여 가볍고 내구성이 양호하는 합성수지재질로 제조된 판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밀폐된 상태로 고정창틀(13)에 조립된 실내공간에 인접하는 내측의 유리창(15)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주거나, 실내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와 같이 필요에 따라 환기를 제공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으로서,
실내에서 오염된 공기는 주로 상측방향으로 이동을 하므로 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환기시켜 주도록, 상기 유리창(15)의 면적 구간에서 소정의 크기로 환기구(16)를 형성하여 준 다음, 상기 환기구(16)의 외측방향으로 개폐하면서 차단과 개방하여 주는 개폐창(24)을 구동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유리창(15)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환기구(16)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완충공간(40)의 구간에 구비되도록 유리창(15)의 각각의 모서리에 지지봉(22)을 고정하면서 돌출시켜 주고, 상기 지지봉(22)의 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고정함으로서 구비되는 스토퍼(19)를 구비하여 준다.
이는 상기 개폐창(24)이 환기를 수행하고 또한 밀폐를 수행하여 주는 공정에서, 상기 지지봉(22)의 돌출 구간을 이동하여 주도록, 상기 지지봉(22)에서 개폐창(24)을 지지하여 주도록 돌출된 스토퍼(19)로, 상기 2중창으로 형성되는 완충공간(40)의 범위에서 개폐창(24)의 구동구간이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유리창(15)에서 개폐창(24)를 지지하여 주면서 이동공정을 제어하여주는 지지봉(22)에 대한 조립은, 첨부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15)에서 환기구(16)가 형성되는 가장자리의 구간을, 상기 개폐창(24)의 가장자리가 서로 접하여 주도록 구비함으로서 서로 접합효과가 보강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프레임(32)으로 조립시켜 주되, 상기 고정프레임(32)이 조립된 구간에는 다수개의 지지봉(22)의 돌출 구조가 고정시켜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봉(22)은 환기구(16)를 개폐하여 주도록 상기 개폐창(24)의 가장자리의 구간에서 관통되는 이동구(33)에 맞추어 주는 조립링구(25)에 조립으로 돌출되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22)에 개폐창(24)이 조립되어 이동하는 공정은, 지지봉(22)의 외측면에 파이프형베아링(38)을 조림하여 준 다음, 상기 파이프형베아링(38)의 외측면으로는 상기 개폐창(24)의 이동구(33)에 고정되는 조립링구(25)를 조립하여 줌으로서, 상기 개폐창(24)이 환기구(16)에 대하여 용이하게 개폐공정을 수행하여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립링구(25)에 대한 설명은 개폐창(24)에서 상기 지지봉(22)에 맞추어서 조립하여 주도록 천공되는 이동구(33)에서 개폐창(24)이 이동하는 공정에서 유연성을 보강하여 주도록 고정시켜준다.
또한 상기 개폐창(24)과 유리창(15)에 관통되는 환기구(16) 사이의 밀폐와 개방공정은, 상기 개폐창(24)의 구동으로 유리창(15)에 서로 접합하도록 영구자석접지대(28)(28')를 각각 유리창(15)에서 돌출되는 지지봉(22)의 설치구간과 지지봉(22)의 스토퍼(19)에 구비시켜 주고, 조립링구(25)가 구비된 개폐창(24)의 양측의 구간에다 전자석접지대(29)(29')을 구비시켜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공정을 보강하여 주기 위하여 상기 공기를 차단시켜주는 간격의 범위에 고정시켜 제공하되, 별도의 미도시된 타이머와 전자석 제어기 등을 서로 연결시켜서, 소정의 시간 마다 서로 전자석접지대(29)(29')가 접하고 분리하도록 구비하여서 제공하는 발명이다.
즉 전자석은 서로 동일한 자석의 극이 형성하면 서로 밀어내는 이동의 힘으로 상기 개폐창(24)이 조립링구(25)를 기준으로 이동을 하면서 열려주되, 스토퍼(19)의 역할로 열려진 구간을 유지하여 준다.
또한 소정의 시간만큼 환기를 수행을 하면 상기 전자석접지대(29)(29')의 전자석 극이 반대로 변화되면서 서로 당겨주는 응력의 접합력으로 환기구(16) 방향으로 개폐창(24)이 이동함으로서 유리창(15)에서 환기구(16)가 형성된 가장자리의 부위를 서로 중첩되는 접합으로 상기 환기구(16)를 통과하는 이동을 차단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유리창(15)에 구비된 환기구(16)의 접합구간이 개폐창(24)의 가장자리 구간으로 일치하도록 스톱퍼(19)와 유리창(15)에 각각의 영구자석접지대(28)(28')을 고정으로 구성하여 주고, 상기 개폐창(24)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서로 극성이 달리하는 전자석접지대(29)(29') 역할로 환기구(16)를 개폐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고정창틀(13)이 벽체(20)의 높은 부위에 설치되어서 인위적으로 손이 닿지 않는 경우에서도 자동으로 개폐창(24)이 이동하면서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 주는 발명이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9)과 유리창(16)의 환기구(16)의 접합구간에 구비된 각각의 영구자석접지대(28)(28')와 상기 개폐창(24)의 이동구(33)에 고정시켜 주는 조립링구(25)의 양측에 구비된 전자석접지대(29)(29')로 구성되는 발명으로서, 상기 개폐창(24)에 구비된 전자석접지대(29)(29')의 극성에 변환에 따라 일측은 서로 반대의 극성으로 당겨주고, 또한 타측은 서로 같은 극성으로 서로 밀어내는 현상으로, 상기 개폐창(24)이 지지봉(22)의 구간 사이에서 열렸다 닫았다 하는 이동력이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22)의 스토퍼(19)과 유리창(16)의 환기구(16)의 접합구간에 구비된 각각의 영구자석접지대(28)(28')와 상기 개폐창(24)의 이동구(33)에 고정시켜 주는 조립링구(25)의 양측에 구비된 전자석접지대(29)(29')의 설치로 구비되는 위치는 서로 자석의 자력이 근접으로 인출 및 배출력을 유지시켜 주도록 서로 근접하게 접합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창(24)의 이동 간격은 지지봉(22)의 단부에 고정되면서 형성되는 스토퍼(19)의 간격사이를 이동하여 주도록 제공함으로, 이는 상기 유리창(15)(15') 사이의 이격된 구간에 형성되는 완충공간(40)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구간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벽체(20)에서 2중 구조의 고정창틀(13) 사이의 완충구간이 형성되는 상측의 고정창틀(13)에서 건축물(10)의 벽체(20)를 관통하면서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관(30)을 구비하여 주되, 상기 배출관(30)에는 배출기(27)를 구성시켜서 상기 개폐창(24)이 개방되어서 환기를 수행하는 시간 동안에는 가동시켜서 환기를 촉진시켜 주도록 제공하며, 또한 상기 개폐창(24)이 차단되어서 환기 공정을 수행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을 차단하도록 배출기(27)를 구비하여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되는 배출기(27)에 대한 설명은, 배출관(30)의 이동구간을 덮개로 차단시켜 주되, 상기 덮개가 환기구(16)로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시간 동안에는 미도시된 작동장치에 의하여 이동구간을 열려주도록 하며, 또한 미작동시에는 자동적으로 상기 환기구(16)와 개폐창(24)에 구비되는 전자석접지대(29)(29')의 신호에 의하여 차단시켜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환기구(16)가 형성된 유리창(15)의 가장자리에 접합되는 개폐창(24)의 조립링구(25)에 구비되는 전자석접지대(29)(29')을 고정함으로서 발생하는 이격된 틈새구간에 의한 간격에서 실내의 공기에 대한 누출현상을 방지하여 주기 위하여, 상기 개폐창(24)의 가장자리에다 조립 요홈이 구비된 파킹(35)에 삽입시켜 줌으로서, 개폐창(24)의 전체 둘레에서 공기의 누출현상을 차단시켜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고로 상기 영구자석접지대(28)(28')의 조립으로 형성되는 유리창(15)과 개폐창(24)의 가장자리의 이격된 틈새 사이를 서로 완벽하게 접함으로서, 상기 환기구(16)로의 공기가 누출로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파킹(35)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차단리브(36)를 돌출하여서, 상기 개폐창(24)이 닫아주는 경우, 상기 차단리브(36)의 지지응력으로 유리창(15)을 접하여서 공기의 이동을 차단을 더욱 더 보강시켜 주도록 구성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 장치에서는, 첨부된 도면 중 미도시된 구조의 전자석의 제어장치에 수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스위치를 설치하여 제공함으로서, 실내의 여건에 따라 환기 또는 닫음을 조정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또한 화재 등이 발생하거나 실내에 유해가스 등이 유입되어서 위험한 상태로 되는 경우에서도, 이에 필요한 감지용 쎈서 등의 구비로서 자동적으로 환기를 제공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가동의 상태에서 창문이 이동하는 공정 상태에서의 순간에서만 전자석의 가동을 위하는 전력을 사용하고, 상기 창문을 이동하지 않는 정지상태의 시간에는 전기를 사용하지 아니하여도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효과를 제공하여 주는 발명으로서 동력에 대한 경제성을 보강하여 주는 장치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이 구비된 건축물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도
도 6은 도 4에서 B-B선 단면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주요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건축물 13 : 고정창틀 14 : 이동프레임 15 : 유리창 16 : 환기구
18 : 창문 19 : 스토퍼 20 : 벽체 23 : 스톱봉
24 : 개폐창 25 : 조립링구 27 : 배출기
28.28' : 영구자석접지대 29,29' : 전자석접지대 30 : 배출관
32 : 고정프레임
38 : 파이프형베아링 40 : 완충공간

Claims (3)

  1. 건축물(10)의 벽체(20)에서 형성되는 환기를 위한 공간의 가장자리에 고정창틀(13)을 일체로 고정하여 주고, 상기 고정창틀(13)의 두께 사이에는 완충공간(40)이 형성되도록 2중 유리창(15)(15')을 각각 조립시켜 주되, 실내에 인접하는 상기 유리창(15)의 일측 구간을 관통하는 환기구(16)를 형성하여 주는 환기용 창틀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16)의 가장자리 구간에다 고정프레임(32)으로 고정되면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봉(22)로 고정하여 주되, 상기 지지봉(22)에는 파이프형베아링(38)을 조립하여 주고, 상기 지지봉(22)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장방형의 스토퍼(19)를 구비한 다음, 상기 지지봉(22)에 조립되도록 조립링구(25)가 이동구(33)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개폐창(24)을 구비하여 주고,
    상기 유리창(15)의 접합구간에는 개폐창(24)의 양측면으로 구비되도록 각각 전자석접지대(29)(29')을 고정시켜 주고,
    상기 전자석접지대(29)(29')와 같은 위치에 구비되도록 유리창(15)과 스토퍼(19)에 각각 영구자석접지대(28)(28')를 고정하여 줌으로서,
    상기 전자석접지대(29)(29')의 극성 변화의 역할로 환기구(16) 구간을 개폐창(24)으로 개폐하여 주도록 구성하여 주고,
    상기 개폐창(24)의 가장자리구간에는 밀폐리브(36)가 형성되는 파킹(35)을 조립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환기가 용이한 창틀.
  2. 삭제
  3. 삭제
KR1020090000578A 2009-01-02 2009-01-02 환기가 용이한 창틀 KR101263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578A KR101263428B1 (ko) 2009-01-02 2009-01-02 환기가 용이한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578A KR101263428B1 (ko) 2009-01-02 2009-01-02 환기가 용이한 창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840A Division KR101438805B1 (ko) 2012-06-27 2012-06-27 환기가 용이한 창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734A KR20100080734A (ko) 2010-07-12
KR101263428B1 true KR101263428B1 (ko) 2013-05-15

Family

ID=4264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578A KR101263428B1 (ko) 2009-01-02 2009-01-02 환기가 용이한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358B1 (ko) * 2011-12-15 2013-09-03 주식회사 필룩스 유체순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094B1 (ko) 2009-10-22 2010-03-26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친환경 자동개폐 장치
KR101002655B1 (ko) 2010-09-01 2010-12-20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094B1 (ko) 2009-10-22 2010-03-26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친환경 자동개폐 장치
KR101002655B1 (ko) 2010-09-01 2010-12-20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734A (ko) 2010-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066B1 (ko)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 장치
AU2015200393B2 (en) Window/ 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US20160047161A1 (en) Fireproof doorframe having water curtai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441430B1 (ko)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KR20130017658A (ko) 환기장치
ES2890953T3 (es) Sistema de ventana de tejado con medios de transición mejorados entre una ventana de tejado y un conjunto de ventilación
JP6751484B2 (ja) 自動開閉による自動換気が可能な引き戸式建具
KR101263428B1 (ko) 환기가 용이한 창틀
KR200473772Y1 (ko) 도어의 틈새 기밀유지장치
KR101756403B1 (ko) 공기순환 효율이 향상된 커튼월
KR102259031B1 (ko) 기밀 방화 자동문의 밀폐구조
KR101578393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KR20140136653A (ko) 시스템 창호
KR101132674B1 (ko) 창틀용 구동 장치
KR101179282B1 (ko) 환기용 창틀
CN101769082B (zh) 一种集装箱套房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101129964B1 (ko) 조립식 통풍 창호
KR101329302B1 (ko) 창틀의 통풍장치
KR101438805B1 (ko) 환기가 용이한 창틀
KR101829053B1 (ko) 창문 구조물
CN205134998U (zh) 一种人防及地下应急救灾工程快速转换干厕
KR101287796B1 (ko) 단열 시스템 창호
CN105239798B (zh) 一种人防及地下应急救灾工程快速转换干厕及施工方法
KR102173709B1 (ko) 커튼 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