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550U - 안경다리 연결구의 개량구조 - Google Patents

안경다리 연결구의 개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550U
KR19980014550U KR2019980004350U KR19980004350U KR19980014550U KR 19980014550 U KR19980014550 U KR 19980014550U KR 2019980004350 U KR2019980004350 U KR 2019980004350U KR 19980004350 U KR19980004350 U KR 19980004350U KR 19980014550 U KR19980014550 U KR 199800145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iece
tip
glasses
specta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수
Original Assignee
임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수 filed Critical 임태수
Priority to KR2019980004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550U/ko
Publication of KR199800145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550U/ko

Link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안경다리 연결구의 개량구조에 관한 분야.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통상의 안경테에 안경다리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끝단에 유설편을 가진 연결구를 안경테 양측면에 용접고정시키고, 안경다리 선단내측면에도 선단에 유설편을 가진 탄성장치를 용접고정시켜 연결구 유설편에 탄성장치의 유설편을 끼운 뒤 나사로 조립하였던 것이기에 제조조립에 따른 시간, 인력등이 과다소요되고 불량발생률이 높으며, 원가가 제법 높을 수 밖에 없는 등의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안경다리 연결구 내부에 압축스프링과 밀편으로 구성된 탄성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부품절감과 더불어 안경다리 디자인과 형상, 모양등을 매우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요지가 있음.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안경에 설치하여 사용됨

Description

안경다리 연결구의 개량구조.
본 고안은 안경다리 연결구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안경다리 연결구 내부에 압축스프링과 밀편으로 구성된 탄성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부품절감과 더불어 안경다리 디자인과 형상.모양등을 매우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통상의 안경테에 안경다리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끝단에 유설편을 가진 연결구를 안경테 양측면에 용접고정시키고, 안경다리 선단내측면에도 선단에 유설편을 가진 탄성장치를 용접고정시켜 연결구유설편에 탄성장치의 유설편을 끼운 뒤 나사로서 조립하였던 것이기에, 안경테 양측면에 연결구를 용접시키는 고정과 안경다리 선단내측면에 탄성장치를 조립시키는 고정 및 연결구 및 탄성장치에 형성된 유설편을 서로 끼워 핀으로써 조립시키는 고정 등 안경테와 다리를 조립하는데 따른 시간과 고정 및 인력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원가가 크게 높아지고, 또 전문가들이 용접한다하더라도 용접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불량발생이 잦은 등의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또한 안경다리 선단내측면에 탄성장치를 용접고정하여야 하였기에 안경다리가 반드시 평면구성이어야만 하였고, 이에따라 안경다리모양 및 형상등을 다양하게 형성하기에는 한계가 따랐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코자 안출된 것으로 특히 안경테에 용접고정시키는 연결구선단내부에 구멍을 비교적 깊게 형성하여, 구멍내부에 압축스프링과 밀편을 삽입시키고, 상기 연결구 및 안경다리 선단에는 유설편을 형성하여 이들을 나사로써 조립되게 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제조·조립공정이 단축되면서도 안경다리의 형상, 모양등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며, 더불어 불량율을 최소화하면서도 원가절감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데도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안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연결구(2) 구멍(3) 압축스프링
(4) 밀편(5)(5') 유설편(6) 안경다리
(7) 유설편(8) 정지돌부(9)(9') 작용편
(10) 나사
안경테 양측단부에 연결구를 용접고정시키고, 안경다리선단 내측면에는 탄성장치를 용접고정시켜, 상기 연결구와 탄성장치 선단부에 형성된 유설편을 서로 끼워 나사로써 고정시키도록 한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는 선단에 비교적 깊숙하게 구멍(2)을 형성하여, 내부에 통상의 압축스프링(3)과 밀편(4)을 삽입시키되, 상기 밀편(4) 선단면이 원호상의 곡면(4')으로 되게 형성하고, 연결구 선단부에는 두 개의 유설편(5)(5')을 형성하며, 안경다리(6)는 선단을 납작하게 하여 유설편(7)을 형성하되, 상기 유설편(7)은 선단 일측에 정지돌부(8)를 돌출형성하고, 선단면 및 일측면은 각(12)이 형성되도록 작용면(9)(9')을 형성하여 이러한 유설편(7)을 연결구(1)에 형성된 유설편(5)(5')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나사(10)로 결합유설한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11은 안경테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안경테(11) 양측면에 용접되는 연결구(1)에 구멍(2)을 형성하여 내부에 압축스프링(3)과 밀편(4)을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고, 연결구(1) 선단에는 유설편(5)(5')을 형성하며, 상기 유설편(5)(5') 사이에 안경다리(6) 선단에 정지돌부(8)를 가진 유설편(7)을 끼워넣어 나사(10)로 조립구성함으로써 안경다리(6)를 절첩시켰을때는 유설편(7)의 작용면(9')이 밀편(4)의 곡면(14')에 밀착되게되고, 안경다리(6)를 펼쳤을때는 유설편(7)의 작용면(9)이 곡면(4')에 밀착되게되며 더불어 유설편(7)의 모서리에 형성된 각(12)에 의해 안경다리(6)의 절첩이 절도있게 이루어질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설편(7)의 선단 일측에 정지돌부(8)를 돌출형성하였으므로 안경다리(6)를 외측방향으로 재끼려 할때 정지돌부(8)가 밀편(4) 일측끝단부에 걸려 압축스프링에 의해 작용하는 밀편(4)의 탄성거리만큼만 재켜지게 되어 안경을 쓰거나 벗을 때 편하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안경다리가 일정한 각도이상으로 재껴지지 못하도록 스톱퍼의 작용을 하기도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가장 큰 특징을 안경테(11)에 안경다리(6)를 조립할때 부품수가 줄어 인력과 제조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원가절감효과가 크다는 것과, 안경다리(6)의 형상이나 모양을 종래보다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즉, 본 고안은 안경테(11)에 용접고정되는 연결구(1)에 압축스프링(3)과 밀펀(4)을 설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탄성장치가 불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은 탄성장치를 안경다리에 용접시킬 필요가 없어 용접에 따른 인력 및 시간 절감과 부품수 절감으로 원가절감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안경다리의 형상 및 모양을 원봉, 각봉, 다각형등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안경의 디자인을 매우 다양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부품수가 줄면서 용접부위 또한 크게 줄어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더불어 안경다리의 형상 및 모양을 매우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어 안경의 디자인을 매우 다양하게 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안경테 양측단부에 용접고정시키는 연결구(1)의 선단에 비교적 깊숙하게 구멍(2)을 형성하여, 내부에 압축스프링(3)과 선단이 곡면(41)으로된 밀편(4)을 삽입시키고, 연결구 선단부에 두개의 유설편(5)(5')을 형성하며, 안경다리(6)는 선단부분을 납작하게 하여 유설편(7)을 형성하되, 상기 유설편(7)은 선단일측에 정지돌부(8)를 돌출형성하고, 선단면 및 일측면은 각(12)이 형성되도록 작용면(5)(5')을 형성하여, 상기 유설편(7)을 연결구(1)에 형성된 유설편(5)(5')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통상의 나사(10)로 결합유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연결구의 개량구조.
KR2019980004350U 1998-03-17 1998-03-17 안경다리 연결구의 개량구조 KR199800145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350U KR19980014550U (ko) 1998-03-17 1998-03-17 안경다리 연결구의 개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350U KR19980014550U (ko) 1998-03-17 1998-03-17 안경다리 연결구의 개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550U true KR19980014550U (ko) 1998-06-05

Family

ID=6971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350U KR19980014550U (ko) 1998-03-17 1998-03-17 안경다리 연결구의 개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55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ATE222377T1 (de) Brillenscharnier
EP2120087B1 (en) Elastic miniaturized hinge for flex temple
KR200466527Y1 (ko) 안경다리 조립 구조
EP1646906B1 (en) Recessed hinge to make the temples of spectacles elastic
KR19980014550U (ko) 안경다리 연결구의 개량구조
KR20090028603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10147704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175034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100266442B1 (ko) 안경용 절첩힌지
KR100906688B1 (ko) 렌즈결합구조가 개선된 반테안경
KR200174165Y1 (ko) 안경다리의탄성유도구조
KR200450246Y1 (ko) 림락과 힌지기능을 가진 안경테 고정수단
KR2001742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870528B1 (ko) 조립형 안경
JP3240975U (ja) メガネフレームの結合構造
KR200308872Y1 (ko)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
KR200276602Y1 (ko) 안경의 힌지 구조
KR200289965Y1 (ko) 무테안경의 연결구조
KR200278783Y1 (ko) 안경테의 결합구조
CN217133485U (zh) 无焊点弹力眼镜腿
KR200296595Y1 (ko) 안경
JPH073378Y2 (ja) 眼鏡のつる
KR100398674B1 (ko)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200273938Y1 (ko)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