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071A - 이동식 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강교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강교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071A
KR19980014071A KR1019960032885A KR19960032885A KR19980014071A KR 19980014071 A KR19980014071 A KR 19980014071A KR 1019960032885 A KR1019960032885 A KR 1019960032885A KR 19960032885 A KR19960032885 A KR 19960032885A KR 19980014071 A KR19980014071 A KR 19980014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iron box
beams
lower beam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8745B1 (ko
Inventor
장대호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1019960032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745B1/ko
Publication of KR19980014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강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철제박스보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이동식수평트러스의 하중을 교각에 충실하게 전달시켜서, 철제박스보로서도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교량공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기 위하여 그 기본적인 시공방법의 기술을 이동식수평트러스의 주트러스(110)를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서 전방지지다리(160)를 전방교각(171)의 상부에 지지시키는 전방지지다리의 지지공정과, 하부빔(120)들이 지지될 교각(170)의 상부에 철제박스보(190)보다 춤이 크게 설정되는 하부빔지지대(130)를 설치하는 하부빔지지대의 설치공정과, 전방하부빔(121)의 하단부를 기준교각(172)의 직상부에 설치되는 기준하부빔지지대(132)의 직상부에 지지 고정시키고 후방하부빔(123)의 하단부를 후방교각(173)의 직상부에 설치되는 후방하부빔지지대(133)의 직상부에 지지 고정시키는 하부빔들의 고정공정과, 하부빔(120)들과 전방지지다리(160)를 지지점으로 하여서 철제박스보(190)들을 양중수단(150)으로 양중하여 기준교각(170)과 전방교각(171)의 사이에 설치하는 철제박스보들의 설치공정들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하여서 철제박스보를 교량공사의 소재로 쓰는 강교의 시공방법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강교의 시공방법
도1은 종래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콘크리트세그먼트 교량을 나타낸 정면도
도2는 종래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콘크리트세그먼트 교량의 시공공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는 전방교각준비공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나)는 전, 후방지지다리의 고정공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다)는 후방지지다리 및 전, 후방하부빔들의 지지 고정공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라)는 세그먼트들의 설치공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마)는 현장 콘크리트타설공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3은 종래 콘크리트 세그먼트 교량에 이용되는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철제박스보 강교에 적용시킨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철제박스보 강교의 시공공청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는 전방지지다리의 지지공정을 나타낸 정면도
(나)는 하부빔지지대의 설치공정을 나타낸 정면도
(다)는 하부빔들의 고정공정을 나타낸 정면도
(라)는 철제박스보들의 설치공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철제박스보 강교의 시공공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는 전방지지다리의 지지공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나)는 하부빔지지대의 설치공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다)는 하부빔들의 고정공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라)는 철제박스보들의 설치공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철제박스보들의 구체적인 설치공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는 철제박스보의 양중공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나)는 양중된 철제박스보의 이동공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다)는 전방지지다리의 지지공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라)는 철제박스보의 연결공청을 나타낸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주트러스120 : 하부빔121 : 전방하부빔
123 : 후방하부빔130 : 하부빔지지대 132 : 기준하부빔지지대
133 : 후방하부빔지지대150 : 양중수단 160 : 전방지지다리
170 : 교각171 : 전방교각172 : 기준교각
173 : 후방교각 180 : 가설지지대 190 : 철제박스보
본 발명은 이동식수평트러스를 강교의 시공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교량공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강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수평트러스(Lunching Truss)는 교각과 교각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콘크리트 세그멘트를 양중하여 교각에 설치하는 데에 사용되는 교량걸설용 장비로서 사용되어 왔다.
이 이동식수평트러스는 제1도 및 제2도의 (가), (나), (다), (라), (마)의 도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 양단부들은 상호간에 연결되는 1쌍의 주트러스(10)들과, 상기 주트러스(10)들의 하부에서 가로질러서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되는 1쌍의 하부빔(20)들과, 상기 주트러스(10)들의 하부에서 가로질러서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1쌍의 하부빔(20)들의 외측에 위치하는 1쌍의 지지다리(30)들과, 상기 주트러스(10)들의 상부에 가로질러서 미끄럼 가능하게 올려지는 1쌍의 상부빔(40)들과, 상기 상부빔들에 지지되는 양중수단(50)들로 구성된다.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콘크리트세그먼트 교량의 시공방법은 제2도의 (가), (나), (다), (라), (마)에 도시와 같이 첫째, 전방교각(71)의 앞쪽에 통바리(77)를 가설하고, 크레인으로 세그먼트(80)를 양중하여 전방교각(71)의 직상부에 전방세그먼트(81)를 가설하는 전방교각준비공정과 둘째, 세그먼트(80)에 지지 고정되어 있는 후방지지다리(63)를 분리시키고, 기준교각(72)과 후방교각(73)의 직상부에 설치된 기준 및 후방세그먼트(82)(83)들의 상판부에 맞닿아 고정되어 있는 전, 후방하부빔(21)(23)들을 지지점으로하여 이동식수평트러스의 주트러스(10)를 앞으로 수평이동하여서 전방지지다리(61)는 상기 통바리(77)의 상부면에 후방지지다리(63)는 기설치된 후방세그먼트(83)의 상판부에 맞닿게 하여 지지 고정하는 전, 후방지지다리의 고정공정과 세째, 전후방지지다리들(61)(63) 및 전, 후방하부빔들(21)(23)을 기설치된 세그먼트(80)나 통바리(77)에 선택적으로 지지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방식으로 주트러스(10)의 지지점을 교대시키면서, 전방하부빔(21)을 전방교각(71)의 직상부에 가설된 전방세그먼트(81)의 상부로 이동하여서 그 상판부에 지지 고정하고, 주트러스(10)를 앞으로 수평이동하여 후방지지다리(63)를 세그먼트(80)의 상판부에 맞닿게 하여 지지 고정하며, 후방하부빔(23)을 기준교각(72)의 직상부에 설치된 기준세그먼트(82)의 상부로 이동하여서 그 상판부에 지지 고정하는 후방지지다리 및 전, 후방하부빔들의 고정공정과 네째, 후방지지다리(63) 및 전, 후방하부빔(21)(23)들을 지지점으로 하여서 세그먼트(80)들을 주트러스(10)의 상부에 설치된 양중수단(50)으로 양중하여 양중수단(50)을 앞뒤로 이동하면서 전방교각(71)의 상부에 설치된 전방세그먼트(81)의 앞뒤로 각각의 세그먼트(80)들을 단계적으로 연결하고, 이 연결된 세그먼트(80)들을 기준교각(72)과 전방교각(71)의 지간 중앙까지 기 시공되어 있는 세그먼트(80)와 선형 및 표고를 맞추는 세그먼트들의 설치공정과 다섯째,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 세그먼트(80)들의 이음부를 마감하는 현장 콘크리트타설공정들을 연속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시공방법은 주트러스(10)들을 교각의 상부에서 이송시키면서 교량공사를 진행하므로, 교량상판 하부의 각종 장에물의 구애를 받지 않고 안전하고 신속하게 교량공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매우 유용한 공법이다.
이동식수평트러스는 제1도의 도시와 같이 그 하부빔(20)들과 후방지지다리(63)가 콘크리트 세그먼트(80)를 통하여 교각(70)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하부빔(20)들과 후방지지다리(63)가 지지되거나 고정되는 콘크리트 세그먼트(80)에는 커다란 집중하중이 작용한다.
이 콘크리트세그먼트(80)는 제1도의 도시와 같이, 충분한 두께를 가지는 상판부(80a)와 지지보(80b)가 일체로 제작되는 기술구성을 가지므로, 하부빔(20)을 통해서 전달되는 이동식수평트러스(10)의 집중하중은 상판부(80a)와 지지보(80b)에서 충분히 분산된 후에 교각(70)에 전달된다. 따라서, 하부빔(20)을 통해서 전달되는 이동식수평트러스의 집중하중을 자체적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종래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콘크리트세그먼트 교량의 시공방법에서는 제1도의 도시와 같이 이동식수평트러스가 교각위에 배치되는 콘크리트세그먼트들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지지된다. 충분한 두께를 가지는 콘크리트세그먼트는 이동식수평트러스에서 전달되는 집중하중을 충분히 분산시킨 후에 교각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교량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교각과 교각 사이의 공간이 길어지는 공사구간에는 단위체당 중량이 무거운 큰크리트세그먼트를 양중할 때에 발생되는 집중하중을 지탱하는 주트러스에 지나치게 커다란 휨모멘트 하중이 발생할 뿐 아니라, 시공후에는 교량에 작용하는 휨모멘트 하중이 지나치게 커지므로, 콘크리트세그먼트들로 이동식수펑트러스를 이용한 교량상판의 시공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이와같은 경우에, 단위체당 중량이 훨씬 가벼우면서도 훰모멘트에 대한 저항능력이 우수한 철제박스보로서 콘크리트세그먼트를 대체시킨다면, 이동식수명트러스를 이용한 강교의 시공이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위에서 살펴본 종래의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이동식수평트러스는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콘크리트세그먼트(80)의 대체재인 철제박스보(90)의 상부에 맞닿아 지지되어야 한다. 이 경우, 이동식수평트러스의 하부빔(20)이 그 직상부에 놓여지는 철제박스보(90)에는 집중하중이 발생된다. 이 경우, 철제박스보(90)는 그 소재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이동식수평트러스(10)에서 전달되는 집중하중은 철제박스보의 단면형태를 부분적으로 찌그러뜨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철제박스보로서 콘크리트세그먼트를 그대로 대체시킬 경우, 철제박스보가 그 상부에 직접적으로 맞닿도록 배치되는 이동식수평트러스의 집중하중을 지탱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교량의 시공방법으로서는 강교의 시공시에 이동식수평트러스를 교량공사의 양중장비로서 활용하기에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제박스보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이동식수평트러스의 하중을 교각에 충실하게 전달시켜서, 철제박스보로서도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교량공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강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철제박스보 강교의 시공방법은 제4도의 (가), (나), (다), (라) 및 제 5도의 (가), (나), (다), (라)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째, 이동식수평트러스의 주트러스(110)를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서 전방지지다리(160)를 전방교각(171)의 상부에 지지시키는 전방지지다리의 지지공정과 둘째, 하부빔(120)들이 지지될 교각(170)의 상부에 철제박스보(190)보다 춤이 크게 설정되는 하부빔지지대(130)를 설치하는 하부빔지지대의 설치공정과 셋째, 전방하부빔(121)의 하단부를 기준교각(172)의 직상부에 설치되는 기준하부빔지지대(132)의 직상부에 지지 고정시키고, 후방하부빔(1끄)의 하단부를 후방교각(173)의 직상부에 설치되는 후방하부빔지지대(133)의 직상부에 지지 고정시키는 하부빔들의 고정공정과 넷째, 하부빔(120)들과 전방지지 다리(150)를 지지점으로 하여서 철제박스보(190)들을 양중수단(150)으로 양중하여, 기준교각(170)과 전방교각(171)의 사이에 설치하는 철제박스보들의 설치공정들을 반복하여 수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첫째, 하부빔지지대의 설치공정을 통하여 교각에 설치되는 하부빔지지대(130)의 상부에 상기 하부빔(120)들이 지지되도록 하여서, 이동식수평트러스의 집중하중이 하부빔지지대(130)를 경유하여 교각(17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교량공사의 진행중에 발생되는 이동식수평트러스의 집중하중에 의하여 철제박스보(190)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둘째, 이러한 결과로 콘크리트세그먼트가 아닌 철제박스보를 교량공사의 소재로 사용하여도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교량공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그 실시과정에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의 범주안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는 그 다양한 실시예들 중에서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구성을 토대로 하되, 하나의 장치로서 교각의 상부에 상기 철제박스보(190)들을 다열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커다란 폭을 가지는 교량공사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부수적인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기술적인 특징을 가진다.
상기 철제박스보(190)들을 교각의 상부에 다열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본발명의 기본적인 기술구성에서 개개의 공정들이 보다 구체화되거나, 별도의 공정들이 추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도 전방지지다리의 지지공정과, 하부빔지지대의 설치공정과, 하부빔들의 고정공정과, 철제박스보들의 설치공정들을 반복하여 수행하여서 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도 하부빔들의 고정공정에서, 제4도의 (가), (나), (다), (라) 및 제 5도의 (가), (나), (다), (라)의 도시와 같이 주트러스(110)의 전방하부빔(121)과 후방하부빔(123)을 각각 기준교각(172)과 후방교각(173)의 상부에 하부빔지지대(130)들을 통하여 지지 고정시킨 후에, 철제박스보들의 설치공정이 수행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 철제박스보들의 설치공정은 제6도의 (가), (나), (다), (라)의 도시와 같이, 주트러스(110)를 하부빔(120)들을 통하여 교각(170)에 고정시킨 후에 철제박스보(190)를 양중시켜도 주변의 차량소통에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한쪽의 도로변에서 철제박스보(190)를 하부빔(120)의 상부로 양중하는 철제박스보의 양중공정과 철제박스보(190)가 설치되어야 할 위치로 철제박스보를 양중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철제박스보의 이동공정과 전방지지다리(160)를 전방교각(171)위에 놓여지는 가설지지대(180)에 지지시킴으로씨, 주트러스(110)의 선단부를 전방교각(171)에 견고하게 지지시키는 전방지지다리의 지지공정과 양중된 철제박스보(190)를 설치되어야 할 위치에서 기존에 설치된 철제박스보(190)에 연결고정 시키는 철제박스보의 연결공정을 반복하여서 수행됨을 그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간단히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 철제박스보의 설치공정은 철제박스보를 양중하여 설치해야 할 위치로 이동시키고, 전방지지다리를 전방교각(171)에 지지시킨 후에, 기존에 설치된 철제박스보에 양중된 철제박스보(190)를 연결고정시키는 철제박스보의 연결공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는 비교적 차량의 소통에 지장이 없는 장소에서 철제박스보를 양중한 후에 설치해야 할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교량공사중에 차량의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작용효과를 가지며 전방지지다리(160)를 전방교각(171)에 지지시킨 후에 기존의 철제박스보에 양중된 철제박스보를 연결고정시키므로, 주트러스(110)가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양중된 철제박스보(190)를 기존의 철제박스보에 연결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하부빔(120)이 지지되는 하부빔지지대(130)와, 전방지지다리(160)가 지지되는 가설지지대(18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또, 철제박스보(190)의 양중공정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철제박스보(190)가 낱개로 하나씩 하나씩 양중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개가 조립된 상태로 한꺼번에 양중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철제박스보를 교량공사의 소재로 사용하여도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교량공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며 교량공사중에 차량의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지 앉으며 비교적 큰폭의 교량공사도 철제박스보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이동식수평트러스의 주트러스(110)를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서 전방지지다리(160)를 전방교각(171)의 상부에 지지시키는 전방지지다리의 지지공정과 하부빔(120)들이 지지될 교각(170)의 상부에 철제박스보(190)보다 춤이 크게 설정되는 하부빔지지대(130)를 설치하는 하부빔지지대의 설치공정과 전방하부빔(121)의 하단부를 기준교각(172)의 직상부에 설치되는 기준하부빔지지대(132)의 직상부에 지지 고정시키고, 후방하부빔(123)의 하단부를 후방교각(173)의 직상부에 설치되는 후방하부빔지지대(133)의 직상부에 지지 고정시키는 하부빔들의 고정공정과 하부빔(120)들과 전방지지다리(160)를 지지점으로 하여서 철제박스보(190)들을 양중수단(150)으로 양중하여, 기준교각(170)과 전방교각(171)의 사이에 설치하는 철제박스보들의 설치공정들을 반복하여 수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강교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제박스보의 설치공정은 주트러스(110)를 하부빔(120)들을 통하여 교각(170)에 고정시킨 후에 철제박스보(190)를 양중시켜도 주변의 차량소통에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한쪽의 도로변에서 철제박스보(190)를 하부빔(120)의 상부로 양중하는 철제박스보의 양중공정과 철제박스보(190)가 설치되어야 할 위치로 철제박스보를 양중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철제박스보의 이동공정과 전방지지 다리(160)를 전방교각(171)위에 놓여지는 가설지지대(180)에 지지시킴으로써, 주트러스(110)의 선단부를 전방교각(171)에 견고하게 지지시키는 전방지지다리의 지지공정과 양중된 철제박스보(190)를 설치되어야 할 위치에서 기존에 설치된 철제박스보(190)에 연결고정 시키는 철제박스보의 연결공정을 반복하여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강교의 시공방법.
KR1019960032885A 1996-08-07 1996-08-07 이동식 수평트러스를 이용한 철제박스보 강교의 시공방법 KR100238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885A KR100238745B1 (ko) 1996-08-07 1996-08-07 이동식 수평트러스를 이용한 철제박스보 강교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885A KR100238745B1 (ko) 1996-08-07 1996-08-07 이동식 수평트러스를 이용한 철제박스보 강교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071A true KR19980014071A (ko) 1998-05-15
KR100238745B1 KR100238745B1 (ko) 2000-01-15

Family

ID=1946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885A KR100238745B1 (ko) 1996-08-07 1996-08-07 이동식 수평트러스를 이용한 철제박스보 강교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7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8745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5971B1 (en) Bridge element
AU4505596A (en) Continuous incrementally erecting viaduct construction system
JP2006077521A (ja) 橋梁構築装置
JPH09137412A (ja) 高架橋の橋梁補強構造
KR101672933B1 (ko) 공장제작형 소켓부재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제작방법
BR9609928A (pt) Estrutura do tipo de pré-fabricacão para estrada elevada e método de construcão desta
KR100214387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용 잭 받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교량 보수방법
KR19980014071A (ko) 이동식 수평트러스를 이용한 강교의 시공방법
KR100732243B1 (ko) 사장교를 건설하는 방법
JP3536269B2 (ja) コンクリート橋の架設方法と、その架設方法に用いられる送り桁
KR20040012496A (ko) 강 피시합성교량의 가설방법
JPS60188504A (ja) 支持体,特に橋梁支持体
KR100227165B1 (ko) 교량공사용 이동식비계의 가로보
KR20060075807A (ko) 받침판을 이용한 궤도 빔의 시공 및 궤도 빔 고정 장치
RU2142033C1 (ru)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стале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моста
SU1693220A1 (ru) Кондуктор дл монтажа бескаркасных ароч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JPH0765297B2 (ja) 方杖ラーメン橋の架設方法
KR200377110Y1 (ko) 연결판을 이용한 에이치 형강 거더교
SU117009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силени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балки
KR0173517B1 (ko) 교량공사용 상로형 이동식 비계
ES2051254T1 (es) Estructuras de tierra de refuerzo y metodo para su construccion.
JP2004060313A (ja) 橋梁用支保工
SU172328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конструкции эстакады трубопроводов
SU1491981A1 (ru)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олонны
SU1652478A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ригелей с колонн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