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3703A -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3703A
KR19980013703A KR1019960032282A KR19960032282A KR19980013703A KR 19980013703 A KR19980013703 A KR 19980013703A KR 1019960032282 A KR1019960032282 A KR 1019960032282A KR 19960032282 A KR19960032282 A KR 19960032282A KR 19980013703 A KR19980013703 A KR 19980013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aling member
cylindrical portion
coupled
m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7037B1 (ko
Inventor
장명섭
Original Assignee
장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섭 filed Critical 장명섭
Priority to KR101996003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037B1/ko
Publication of KR1998001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의 강도와 운동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는 반구부(11)와, 상기 반구부(11)와 연이어 형성된 원통부(12)와, 상기 원통부(12)와 연이어 형성된 원추부(13) 및 상기 원추부(13)의 꼭지점으로부터 그 중심축을 따라 상기반구부(11)쪽으로 연장되는 밀봉부재삽입공(14)을 구비하는 중심추(10)와; 상기 중심추(10)의 외곽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되며 또한 그 일측에는상기중심추(10)의 밀봉부재삽입공(14)과 연속되도록 형성된 관통공(21)을 구비하는 외피(20)와; 그 중심축을 따라 원추형의 관통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외피(20)의관통공(21)
과 결합하여 상기 중심추(10)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격리시키는 밀봉부재(30); 및 상기 밀봉부재(30)의 원추형 관통공(31)과 기밀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또한 상기 중심추(10)의 반대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요성의 인출부재(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본 발명은 여성의 골반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골반근육 강화용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이 기구를 이용하여 골반근육 강화운동을 행함으로써 요실금 등과 같은 여성의 골반근육이 약해짐으로 인하여 여성의 신체에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아니라 또한 이의 치료에도 이용할 수 있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골반근육이 약해짐으로서 발생되는 신체변화의대표적인 현상으로서 요실금을 들 수 있다. 요실금이란 소변을 보려고 하는 의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할 때, 크게 웃을 때, 무거운 것을 들 때, 뛰거나 줄넘기 또는 에어로빅 등과 같은 운동을 할 때 등과같이 복압이 올라가는 경우 방광을 제어할 수 없게 되어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이와 같은 요실금은 여성의 출산등으로 인하여 방광과 요도를 지탱하고 있는 골반근육이 약해짐으로 인하여 방광이 본래의 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처지거나, 요도의 닫히는 힘이 약해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와 같이 요실금은 소변을 보려고하는 의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새어나오게 되기 때문에 많은 여성들을 당혹케하며, 따라서 이들의 사회활동에 지장을 초래케 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이들을 우울증에 빠지게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여성의 골반근육이 약해지면 요실금등과 같은 매우불편한 현상이 신체에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여성의 골반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및가지 방법이 종래로부터 행하여져 왔다. 이는 크게 수술에 의한 방법과 수술에 의하지 않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수술에 의하지 않는 방법은 또한 약물요법, 전기자극요법 및 운동에 의한 방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에서 운동에 의한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방법이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별도의 운동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자신 스스로가 자신의 골반근육을 의식적으로 수축 및 이완시키는 노력을 주기적으로 그리고 장기간에 걸쳐 행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운동에 의한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운동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타의 다른 방법에 비하여 경제적인 부담없이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객관적인 데이타에 의한 것이 아닌 자의적인 판단에 의하여 운동시간과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고 또한 운동을 중지하게 되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의 운동의 강도와 운동량을 취하기가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운동에 의한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방법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동의강도와 운동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의 제1실시예의 중심추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의 제1실시예의 외피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고; 재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의 제1 실시예의 밀봉부재 및 인출부재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고;
제 5A 도는 제 5 도의 5A-5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고;
제6A도는 제 6 도의 6A-6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고;
제7A도는 제7도의 7A-7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심추11 ; 반구부
12 ; 원통부13 ; 원추부
14 ; 밀봉부재삽입공20 ; 외피
21 ; 관통공30 ; 밀봉부재
31 ; 원추형 관통공40 ; 인출부재
50,61,62,63,64 ; 인출부재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반구부와, 상기 반구부와 연이어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와 연이어 형성된 원추부 및 상기 원추부의 꼭지점으로부터 그 중심축을 따라 상기 반구부 쪽으로 연장되는 밀봉부재삽입공을 구비하는 중심추와; 상기 중심추의 외곽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되며 또한 그 일측에는 상기 중심추의 밀봉부재삽입공과 연속되도록 형성된 관통공을 구비하는 외피와; 그 중심축을 따라 원추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피의 관통공과 결합하여 상기 중심추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격리시키는 밀봉부재; 및 상기 밀봉부재의 원추형 관통공과 기밀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또한 상기 중심추의 반대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요성의 인출부재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추는 납 및 알미늄 또는 아연 및 알미늄 등과 같은 비중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금속을 합금하여 그 조성금속의 조성비를 조절함으로써 그 무게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피 및 상기 밀봉부재는 인체에 무해한폴리스틸렌(polystyrene)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하는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인출부재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재의 피아노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추의 밀봉부재 삽입공 및/또는 상기 중심추의 원통부의 원주상에는 1 또는 2 이상의 영구자석을 결합시켜, 자석의 자기장에 의하여 골반근육 및 그 주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용시 골반근육의 강화효과를 보다 촉진시킬 수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5 도 및 제 5A 도, 제 6 도 및 제 6A 도, 제 7 도 및 제 7A 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의 게 2 실시예,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가 각각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는 중심추(10)와, 외피(20)와, 밀봉부재(30) 및 인출부재(40)로 구성된다.
중심추(10)는 반구부(11)와, 반구부와 연이어 형성된 원통부(12) 및 원통부와 연이어 형성된 원추부(13)로 구성되며, 또한 그 중심축을 따라 원추부의 꼭지점으로부터 반구부 쪽으로 연장되는 밀봉부재삽입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중심추(10)는 납 및 알미늄 또는 아연 및 알미늄 등과 같은 비중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금속을 합금하여 그 조성금속의 조성비를 조절함으로써 그 무게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20)는 중심추(10)의 외곽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되며, 또한 그 일측에는 중심추(10)의 밀봉부재삽입공(14)과 연속되도록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외피(20)는 인체에 무해한 폴리스틸렌(polystyrene)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20)의 관통공(21)에는 밀봉부재(30)가 결합되며, 이에 의하여 중심추(10)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격리시키게 된다. 밀봉부재(30)에는 그 중심축을 따라 원추형 관통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가요성의 인출부재(40)가 결합된다.
가요성의 인출부재(40)는 무해한 합성수지재의 피아노선 등과 같은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밀봉부재(30)의 원추형 관통공(31)과 기밀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중심추(10)의 반대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는 통상 서로 무게가 다른 복수개가 1 조로서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들 사이의 중량관계는 가장 가벼운 것을 약 20g, 가장 무거운 것을 약 70g으로 하고, 그 사이의 것은 20g 및 70g의 사이를 대략 균등하게 분할하는 무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3 개의 운동기구를 1조로 사용하는 경우는,3개의 운동기구는 그 각각의 무게가 약 20g, 약 45g 및 약 70g이 되도록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5 개의 운동기구를 1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각각의 무게가 약 20g, 약 32.5g, 약 45g, 약 57.5g 및 약 70g이 되도록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시한 운동기구들의 무게의 조합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약 20g, 약30g 및 약 40g의 3개로 1조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20g이하 또는 70g이상의 운동기구를 제작하여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자는 우선 복수개의 운동기구중 가장 가벼운 것을 중심추(10)의 반구부(11)가 먼저 삽입되도록 자신의 질내에삽입하게 된다. 일정한 무게의 운동기구가 질내에 삽입되어 지면 사용자는 삽입된 운동기구를 자신의 질내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자신의 골반근육을 수축시키게 된다. 운동기구의 상부가 반구형인 것은 질내의 삽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그 하부가 원추형인 것은 사용자가 골반근육을 지속적으로 수축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질내에 삽입된 운동기구가 질로부터 빠져버리도록하여 사용자가 골반근육을 지속적으로 수축시키도록 함으로써 운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고, 인출부재(40)는 운동이 끝난 후 운동기구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에 의하면, 질내의 운동기구의 삽입 및 취출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가장 효율적인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운동기구의 외피(20) 부분의 직경과 길이는, 사람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평균적으로 약 20mm 및 약 50mm 전후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가장 가벼운 중량의 운동기구를 소정시간이상 다양한 운동상태(예를 들면, 서있거나, 걷거나, 뛰는 등의 일상생활에서 가능한 여러가지의 운동상태)에서 질내에 유지할 수 있게되면, 사용자는다음으로 무거운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상술한 운동을 반복하고, 점차로 무거운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의 강도를 높여나가게 된다.
제 5 도 및 제 5A 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 및 작용은 도면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운동기구의 구성중, 제 1 설시예에서는 증심추(10)의 밀봉부재삽입공(14)의 내부가 빈공간으로 남아 있으나, 제 2 실시예에서는 중심추(10)의 밀봉부재삽입공(14)의 내부에 영구자석(50)이 삽입되어 있다는 점 및 이 영구자석(50)의 자기장에 의하여 골반근육 및 그 주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용시 골반근육의 강화효과를 보다 촉진시킬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와 그 구성 및 작용이 전적으로 동일하므로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6 도 및 제 6A 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 및 작용은 또한 도면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운동기구의 구성중, 제 2 실시예에서는 중심추(10)의 밀봉부재삽입공(14)의 내부에 영구자석(50)이 삽입되어 있으나, 제 3 실시예에서는 중심추(10)의 원통부(12)의 원주상에 복수의 영구자석(61,62,63,64)이 상기 원통부(12)의 원주를 균등분할하는 관계로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제의하고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와 그 구성 및 작용이 전적으로 동일하므로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7 도 및 제 7A 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강화용 운동기구의 제 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 및 작용은 또한 도면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운동기구의 구성중, 제 2 실시예에서는 중심추(10)의 밀봉부재삽입공(14)의 내부에 영구자석(50)이 삽입되어 있고, 제 3 실시예에서는 중심추(10)의 원통부(12)의 원주상에 복수의 영구자석(61,62,63,64)이 걸합되어 있으나, 제 4 실시예에서는 양자 모두에 영구자석(50,61,62,63,64)이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와 그 구성 및 작용이 전적으로 동일하므로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에 의하면, 일정한 형상과 중량을 갖는 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하기 때문에, 소정의 운동효과를 얻고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객관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고, 따라서 자의적인 판단이 아닌 개관적인 데이터에 의하여 운동시간, 운동강도 및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8)

  1. 반구부와, 상기 반구부와 연이어 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와 연이어 형성된 원추부 및 상기 원추부의 꼭지점으로부터 그 중심축을 따라 상기 반구부 쪽으로 연장되는 밀봉부재삽입공을 구비하는 중심추와;
    상기 중심추의 외곽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되며 또한 그 일측에는 상기 중심추의 밀봉부재삽입공과 연속되도록 형성된 관통공을 구비하는 외피와;
    그 중심축을 따라 원추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피의 관통공과 결합하여 상기 중심추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격리시키는 밀봉부재; 및
    상기 밀봉부재의 원추형 관통공과 기밀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또한 상기 중심추의 반대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요성의 인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는 비중이 서로 다른 2이상의 금속의 합금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피 및 상기 밀봉부재는 폴리스틸렌(polystyrene)으로 구성 되고, 또한 상기 인출부재는 합성수지재의 피아노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는 비중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금속의 합금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피 및 상기 밀봉부재는 실리콘으로 구성 되고, 또한 상기 인출부재는 합성수지재의 피아노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는 아연과 알미늄의 합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직경 및 길이는 약 20mm 및 약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직경 및 길이는 약 20mm 및 약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7.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의 밀봉부재 삽입공에는 영구자석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의 밀봉부재 삽입공에는 영구자석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의 밀봉부재 삽입공에는 영구자석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중심추의 밀봉부재 삽입공에는 영구 자석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운동기구.
  11.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의 원통부의 원주상에는 2이상의 영구자석이 원주를 균등분할하는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의 원통부의 원주상에는 2이상의 영구자석이 원주를 균등분할하는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의 원통부의 원주상에는 2 이상의 영구자석이 원주를 균등분할하는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의 원통부의 원주상에는 2 이상의 영구자석이 원주를 균등분할하는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의 원통부의 원주상에는 2 이상의 영구자석이 원주를 균등분할하는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의 원통부의 원주상에는 2 이상의 영구자석이 원주를 균등분할하는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의 원통부의 원주상에는 2 이상의 영구자석이 원주를 균등분할하는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의 원통부의 원주상에는 2 이상의 영구자석이 원주를 균등분할하는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KR1019960032282A 1996-08-02 1996-08-02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KR100227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282A KR100227037B1 (ko) 1996-08-02 1996-08-02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282A KR100227037B1 (ko) 1996-08-02 1996-08-02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703A true KR19980013703A (ko) 1998-05-15
KR100227037B1 KR100227037B1 (ko) 2000-02-01

Family

ID=1946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282A KR100227037B1 (ko) 1996-08-02 1996-08-02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313B1 (ko) * 1999-11-09 2002-03-07 명 섭 장 골반근육 강화운동구
KR100620528B1 (ko) * 2002-12-10 2006-09-13 (주)투데이우먼 한약재를 주재로한 요실금 치료용 운동기구의 제조방법 및그 조성물과 그 구조
WO2016021753A1 (ko) * 2014-08-08 2016-02-11 원지환 질근육 또는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상기 운동기구를 위한 살균 및 온열케이스 및 이들을 포함하는 운동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7037B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05543A1 (en) Device for exercising or supporting the pelvic floor muscles
EP1588680B1 (en) Intravaginal set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is effective in treatment of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but how does it work?
US555409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nd exercising pelvic muscles
JP4153027B2 (ja) 尿失禁検査治療及び骨盤底筋と膣筋肉の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訓練用装置
US6165108A (en) Feminine personal trainer
EP0198641B1 (en) A set of parts for testing and/or strengthening pelvic floor muscles
US6183402B1 (en) Self-positioning vaginal weight with facilitation
US5407412A (en) Method, set of parts and device for testing and/or strengthening pelvic floor muscles
EP2852443B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WO2020190243A2 (en) An exercise probe for pelvic floor muscles training
KR101130273B1 (ko) 여성용 괄약근 운동 장치
KR19980013703A (ko)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KR200173082Y1 (ko) 요도 괄약근 운동구
KR200195615Y1 (ko) 요실금 치료기구
KR200193888Y1 (ko) 여성 괄약근력 강화운동구
KR100327313B1 (ko) 골반근육 강화운동구
KR200254852Y1 (ko) 요실금 치료기구
RU2727764C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и удержания вагинальных приспособлений и универс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и удержания вагинальных приспособлений
CA2350530C (en) Therapeutic sexual device for women
KR20230044853A (ko) 여성용 골반저근 운동 장치
KR200348862Y1 (ko) 콘형 요실금 치료기구
TWI717867B (zh) 骨盆底肌訓練器
JP3246549U (ja) 膣圧トレーニング器具
JP3081871B1 (ja) 膣の筋群を鍛える補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