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313B1 - 골반근육 강화운동구 - Google Patents

골반근육 강화운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313B1
KR100327313B1 KR1019990049327A KR19990049327A KR100327313B1 KR 100327313 B1 KR100327313 B1 KR 100327313B1 KR 1019990049327 A KR1019990049327 A KR 1019990049327A KR 19990049327 A KR19990049327 A KR 19990049327A KR 100327313 B1 KR100327313 B1 KR 100327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elvic
exercise
weights
pelvic mus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5847A (ko
Inventor
명 섭 장
Original Assignee
명 섭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 섭 장 filed Critical 명 섭 장
Priority to KR1019990049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3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45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5User-manipulated weights worn on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중량)조절용 추를 갖는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광물질로 형성된 원추형상의 골반강화 운동구 몸체에 설치된 인출용 끈에는 운동구 몸체에 미치는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중량 조절추들을 구비한 것에 의해, 기존의 각 무게별로 되어 다수개로 제작되는 골반 강화 운동구의 숫자를 줄일 수 있는 이점과, 사용자들로 하여금 각자의 특성에 맞는 중량 추를 선택하여 자유롭게 무게를 조절할 수 있게하여 골반근육 강화 운동을 효과적으로 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골반근육 강화운동구{Training Implement For Pelvic Floor Muscles}
본 발명은 여성들의 요실금 방지 및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특히 골반근육 강화운동구 몸체의 무게(중량)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중량추들을 구비한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골반근육이 약해짐으로써 발생되는 신체변화의 대표적인 현상으로서 요실금(尿失禁)을 들 수 있다. 요실금이란 소변을 보려고 하는 의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할 때, 크게 웃을 때, 무거운 것을 들 때, 뛰거나, 줄넘기 또는 에어로빅 등과 같은 격심한 운동 등을 할 때 복압이 올라가는 경우 방광을 제어할 수 없게 되어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이와 같은 요실금은 여성의 출산 등으로 인하여 방광과 요도를 지탱하고 있는 골반근육이 약해짐으로 인하여 방광이 본래의 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처지거나, 요도의 닫히는 힘이 약해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와 같이 요실금은 소변을 보려고 하는 당사자의 의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나오게 되기 때문에 많은 여성들이 당혹케 됨은 물론, 사회 활동을 하는데에도 많은 지장을 주고 있고, 심한 경우에는 우울증에 빠지게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요실금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성의 골반근육을 강화시키기는 몇 가지의 방법이 종래부터 행하여져 왔다. 이는 크게 수술에 의한 방법과 수술에 의하지 않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수술에 의하지 않는 방법은 또한 약물요법, 전기자극요법 및 운동에 의한 방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에서 운동에 의한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방법이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별도의 운동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자신 스스로가 자신의 골반근육을 의식적으로 수축 및 이완시키는 노력을 주기적으로 그리고 장기간에 걸쳐 행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골반근육 강화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운동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타의 다른 방법에 비하여 경제적인 부담없이 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한 것이 아닌 자의적인 판단에 의하여 운동시간과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고 또한 운동을 중지하게 되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의 운동 강도와 운동량을 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자가 출원 제96-32282호로 출원하여 제227,037호로 특허 등록된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와, 이에 더 큰 의학적 효과를 사용자들에게 부여토록 하고자 운동보조기구를 옥부(玉部)나 혹은 석부(石部)등의 광물을 이용하여 만들어 특허 출원한 제98-16533호의 골반 근육 강화운동구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들의 골반 강화운동구는 단계적으로 골반 강화운동효과를 얻을수 있도록 하고자 운동구 자체를 무게 별로 하여 적어도 4개 내지 5개를 1셋으로 만들고 있기 때문에 골반 강화 운동구의 제작 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골반 강화운동구를 옥으로 만드는 경우에는 그 원가는 더 많이 소요된다. 또 골반강화 운동구의 갯수가 많은 만큼 부피가 크게되어 휴대 및 보관상에 큰 어려움이 있고, 또한 골반 강화 정도에 따라서 그 골반 강화 운동구자체를 무게에 맞는 것으로 일일히 교환해야만 하는 불편과 번거로움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점들에 비추어 개발한 것으로,골반강화 운동구에는 그 운동구의 무게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한 중량추들을 구비하여 운동구 자체는 하나만으로도 가능하게 한 것에 의해, 운동구 제작에 따른 원가를 감소하는 경제적인 이점과, 운동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무게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성과 그리고 휴대 및 보관성이 개선된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는 청구항 1의 발명과 관련된 인체에 유익한 광물질로 형성되며 여성 사용자들의 신체 일부위로의 삽탈이 용이하게 곡면을 갖도록 한 원추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그 몸체에는 연질재의 인출용 끈이 길게 연장되는 상태로 결합된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독립된 중량체로 형성되며,상기 인출용 끈의 상기 몸체와의 반대 단부에 분리되게 결합할수 있게 하여 몸체에 미치는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중량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량조절 수단은 상기 인출용 끈을 삽입하여 결속하기위한 결속공들이 형성된 금속, 수지 혹은 광물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한 중량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량조절 수단은 상기 인출용 끈의 단부에 고정된 비자성 혹은 자성물질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편에 부착할수 있도록 자성물질로 형성한 중량 자성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중량추들은 서로 다른 무게를 이루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에 사용되는 추(錘)의 또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3B는 도 3A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2와 같은 방향에서 보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을 사용한 후 사용자들의 요실금 양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을 사용한 후 사용자들의 질 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운동구 몸체 20 : 결속끈
50 : 중량조절구 51 : 고정편
52a ~ 52d: 중량 자성추 60 : 중량조절추
64 : 결속공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운동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는 여성들의 의 골반측으로 삽입함에 지장을 주지않는 형태로 형성한 몸체(10)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 몸체(10)은 양단부가 여성 사용자의 신체 일 부위에 삽입시 전연 저항감을 주지 않는 반 구면을 이룸과 아울러 몸통 역시 원형 단면을 이루게 하고 있다.
상기 몸체(10)에는 인출용 끈(20)을 착탈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공(12)는 상기 인출용 끈(20)의 직경보다는 약간 큰 직경으로 상기 몸체(10)의 축 방향을 따라서 관통 설치되며, 상기 고정공(12)의 어느 일단에는 그 고정공(12)에 연속하여 상기 인출용 끈(20)의 결속부(24)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4)가 상기 고정공(12)보다는 더 큰 직경으로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출용 끈(20)은 상기 몸체(10)의 고정공(12)를 통하여 관통되게 삽입된 후 어느 단부를 결속부(24)를 이루게 결속함에 의해, 상기 인출용 끈(20)은 몸체(10)으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인출용 끈(20)은 인체에 무해하며 신체에 저항을 주지 않는 연질의 수지재로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끈(20)은 위생상 주기적으로 교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동구 몸체(10)에는 그 몸체(10)에 대한 무게(중량)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중량 조절구(50)이 구비되는데, 상기 중량 조절구(50)은 상기 인출용 끈(20)의 상기 몸체(10)과의 반대 단부에는 분리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 편(5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편(51)은 비 자성 혹은 자성물질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고정편(51)에는 상기 인출용 끈(20)에 결속 하기위한 결속공 (54)이 관통 설치되어 상기 고정편(51)을 인출용 끈(20)에 견고하게 고정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고정편(51)에 대하여는 자성 물질로 형성한 중량의 자성추(磁性錘) (52a ~ 52d)를 임의로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는데, 골반의 강화 정도에 따라서 하나 혹은 두개 혹은 그 이상을 순차적으로 부착할수가 있다. 상기 추들(52a~52d)는 자성체이기 때문에 상호 결합되게 부착할수가 있으며, 또한 추들(52a~52d)의 무게는 모두 동일하게 하거나 혹은 각각 다르게 구성 할수가 있는 데, 바람직하게는 각각 상이하게 구성함이 바람 직하다. 상기 추들(52a~52d)의 개수는 본 실시 예에 표시한 개수의 이하나 혹은 그 이상으로 변형 가능하며, 또한 모양역시 원형 이외의사각,오각 ,육각등의 어떠한 형상이나 모양으로도 변형제작이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운동구 몸체(10)의 무게는 대략 20g 내지 70g의 범위 내에서 제작되며, 상기 운동구 몸체(10)에 설치되는 중량조절구(50)의 각 추들(52a~52d)는하나의 운동구 몸체(10)에 대하여 1 내지 6개 정도가 하나의 셋으로 되어 판매된다. 또한 상기 각 추들(52a~52d)의 무게는 가장 가벼운 5g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무게로 증가되는 상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5g, 10g, 20g,30g,40g,50g 이나 혹은 5g,15g,20g,25g,30g,35g,40g 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동일무게로 형성할수도 있다. 상기 무게 표시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각추의 무게는 임의로 형성이 가능하다. 사용시에는 가벼운 것에서부터 무거운 순으로 순차적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운동구 몸체(10)은 사용자들에게 더욱 유익한 치료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옥부나 혹은 석부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제작되는데, 상기 몸체 (10)은 옥부나 혹은 석부 등의 원석을 직접 깍 아서 만들거나 혹은 소정의 메쉬를 갖는 옥분이나 석분을 강하게 압축하여 만들기도 한다. 상기 옥부에는 경옥과 연옥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연옥을 사용함이 의학적 효능이 탁월하다. 또한 상기 석부는 주사(朱砂), 운모, 석종유, 반석(백반)등이 있으며, 이중에서 하나의 광물이 사용된다. 광물로서 몸체를 만드는 방법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에 사용되는 무게추의 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3B는 도 3A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의 중량 조절용 추(錘)(60)은,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이, 추들(52a ~52d)를 자성체로 구성하여 자력으로써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각 추(60)들을 비자성 금속 물질로 형성하는 경우 중앙으로 결속공(64)를 관통 설치한 것에 의해, 상기 추(60)들은 결속공(64)를 통해 인출용 끈(20)(도1,2참조)에 하나씩 결속하면서 운동구 몸체에 대한 무게를 조절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추(60)의 무게 역시 모두 동일하게 하거나 혹은 각각 다르게 구성 할수가 있으며, 상기 추(60)의 개수나 혹은 모양은 상기 일 실시 예와 같이 임의로 변형제작이 가능하다. 그밖의 구성은 상기 일실시 예와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의 사용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일 예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우선 몸체(10)의 인출용 끈(20)이 길게 연장된 부위의 반대측을 상부로 하여 사용자의 질 내에 도 4의 표시와 같이, 상기 몸체(10)을 완전히 몰입되게 삽입하고, 상기 인출용 끈(20)은 사용자의 질의 외부로 놓여지게 한다. 한편 외부로 연장된 상기 끈(20)에 달린 고정편(51)에는 여러 개가 한조를 이루는 중량 추(50)중 가능하면 가벼운 하나의 추(52a)를 선택하여 부착한다. 상기 추(52a)는 자성체이므로 상기 고정편(51)에 대하여 쉽게 결합 시킬수가 있으며, 상기 추(52a)들의 각각에는 무게를 쉽게 확인하기 위한 무게 표시가 되어 있다.
이와같이 사용자의 질 내부로 삽입된 상기 운동구 몸체(10)은 그 몸체(10)의 자중과 이에 가해지는 추의 무게에 의해 사용자의 질 외부로 이탈되려고 하는데,이러한 느낌을 받게되는 사용자들은 감각적 신경 반응을 일으키면서 순간적으로 질을 형성하는 골반근육(괄약근)을 수축시키면서 상기 몸체(10)이 질의 외부로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억제작용을 하게 된다. 이 순간 상기 몸체(10)은 다시 질의 내부로 몰입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며, 상기 몸체(10)이 중량에 의해 다시 질 외부로 이탈되려고 하면 상기와 같은 신경반응에 의하여 근육의 수축 운동이 실행된다.
만약 상기 몸체(10)이 사용자의 질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되는 일이 있게되면 사용자들은 손을 사용하여 질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상기와 같은 골반근육운동을 반복하여 실행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골반근육의 반복운동은 골반근육을 강화한다. 이러한 근육의 반복 수축운동은 최고 15분까지 상기 몸체(10)이 질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여 하루에 두 번씩 반복하여 시행함이 가장 효과적이며, 사용자가 편안히 최고 15분 동안 상기 몸체(10)을 질의 내부에 유지 할 수가 있게되면, 최초의 추의 무게보다는 더 나가는 다음 단계의 추들을 사용하거나 혹은 기존의 추위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각 사용자들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1단계에서 3개월간의 기간이 권장된다.
대체적으로 처음에는 사용자들은 단지 서 있는 자세에서 상기 몸체(10)이 각 사용자의 질의 외부로 이탈됨이 없도록 하는 것에 집중을 하여야 하며, 골반 근육이 강해질수록 최고 15분까지는 걸으면서 하는 운동량을 증대시켜야 한다. 그 이유는 요실금은 주로 계단을 오르거나 , 뛰거나 , 기침을 하거나, 손을 씻을 때 등 주로 신체의 움직임이 많을 시에 발생되기 때문이다.
한편 골반근육운동의 완료로 상기 몸체(10)를 질의 외부로 이탈시키려고 할시에는 그 질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있는 인출용 끈(20)을 사용하면 된다.
한편 상기 실시 예에서는 도 1표시의 자성을 갖는 중량추들(52a ~ 52d)의 사용일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3표시의 중량추(6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결속공(64)을 사용하여 끈에 하나씩 끼워서 사용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2와 같은 방향에서 보아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일 실시 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일 실시 예와는 인출용 끈(20)의 고정 기술만을 달리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어느 일단에 형성된 체결공(8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체결공(82)에는 그 체결공(82)의 내부로 나사 체결할 수 있는 직경을 이루고, 축 방향으로는 상기 인출용 끈(20)을 삽입하여 결속 고정하기 위한 결속공(86)을 갖는 체결구(80)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80)역시 상기 몸체(10)과 같은 재질인 옥부나 혹은 석부로 제작된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일 실시 예와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이와같이 제조된 본 발명 제품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예 1>
이하의 실험 예는 본 발명의 제품을 서울에 소재하는 삼성 제일병원에 의뢰하여 수행한 임상실험의 일 예를 기술한 것이다.
*임상목적
본 발명의 운동구를 이용한 골반근육훈련을 통하여 복압성 요실금 환자에 대한 치료를 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치료 효과가 있는가를 판정하고자 하였다.
*임상기간
임상 실험을 위한 훈련일정은 임의 공급후 4주 또는 8주 동안 가정에서 환자 스스로에 의해 수행하도록 하였다. 물론 모든 환자에게는 개인별로 상세한 구두설명과 함께 4주 이상에 걸쳐 주행하게 될 훈련 내용이 담긴 참고 유인물을 배부하였다.
*피험자의 선정기준 및 선정방법
피험자의 연령은 27세 ∼ 59세(평균 46.2세)로 복압성 또는 긴장성 요실금을 가진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산후 합병증으로 고통을 받은 경험자는 아무도 없었고, 환자 모두의 방광은 정상이었다.
또한 임상의 목적이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사용한 골반 훈련을 통해 질의 수축, 이완을 지속적으로 함으로 골반 괄약근을 강화시켜 요도의 폐쇄 력을 증대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여타의 치료 요법의 병행은 배제하였다.
*관찰종목 및 검사방법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이용한 골반 훈련 실시전과 실시 1달 후의 질압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골반 근육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검사방법은 개인별 훈련 실시 1달 후 환자의 주관적 증상 변화, 1시간 패드검사로 요실금의 양 변화, 질압 측정기(Perineometer)로 측정된 질압의 변화를 훈련전과 비교 분석하였다.
*평가기준 및 평가방법
①.환자에 의한 평가
주관적 평가로 환자가 상당한 개선이 있었다던가, 개선되었다던가 혹은 훈련전과 비교해서 별다른 개선이 없었다던가 하는 것을 느끼게 되는 4주 이후 개인별 상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②.소변일지
배뇨의 빈도, 억제하지 못한 배뇨의 횟수, 최초 5일 동안의 1일별 패드/팬티 교환횟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③.회음측정기
훈련전과 훈련 4주 후의 골반 수축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④.패드 테스트
가정패드 테스트는 가사일 또는 긴장되는 업무 수행 시 흘리는 소변 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평가방법에 대한 통계적 수치는 하기 표1 에 요약하여 표시하였다.
구 분 훈 련 전 훈 련 후 측 정 값
배 뇨 빈 도 7.5+2.4 6.7+2.2 P < 0.05
실 금 횟 수 2.9+3.6 1.7+2.9 P < 0.05
패드교환횟수 1.7+2.6 1.2+2.4 P < 0.01
회음측정기(cmH2O) 12.9+10.4 15.3+10.2
상기 표를 보면 일일별 요 실을 경험한 횟수, 패드 교환과 소변 횟수에 있어 현저한 감소가 있었으며, 회음 측정기 판독상으로도 실제적인 수축력의 향상이 있음을 보이고 있다. 그 외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사용으로 인한 여타의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다음의 표 2는 환자 개인별 훈련 전과 후의 패드검사 및 질압의 변화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환자 1시간 Pad 검사(gm) 질압의 변화(cmHg) 결과(주관적 증상 변화)
전 후 전 후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 23.6 4.348.2 20.06.1 0.93.5 06.5 0.910.9 5.37.5 1.058.5 60.06.5 2.811.8 8.25.8 0.59.0 2.815.6 20.025.0 10.05.5 0.54.0 2.55.5 2.05.2 1.83.8 2.66.1 1.5 15 3010 155 1510 1510 2010 205 1010 1010 2010 1510 2010 2010 2010 2020 2010 1510 1010 2010 155 15 I*ⅠIIII*INIⅠIINI*IⅠIIⅠI
상기에서 I*는 증상의 호전이 우수함을, I는 증상이 호전되었음을, N은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음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2에서 알 수 있듯이 20명의 환자 중 18명(90)에서 본 발명의 제품을 사용하여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시간 패드검사에 의한 요실금 양은 본 발명의 운동구로 골반근육훈련 후 5.7 ± 10.2gm으로 치료 전 13.4 ± 15.0gm에 비하여 매우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질압 측정기로 측정한 질압의 변화는 본 발명의 운동구로 골반근육훈련 후 18.7 ± 5.2cmHg으로 치료 전 10.0 ± 3.2cmHg에 비하여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구분 호전 무 개선 개선우수 합계
인원 2명 15명 3명 20명
백분율 10 75 15 100
상기 결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품을 사용한 환자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대상환자 20명중 15인 3명이 크게 개선되었고, 75인 15명이 개선되는 우수성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골반의 강화운동으로 요실금이 현저하게 방지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이거니와 여러개의 추들을 이용하여 운동구의 무게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에 의해, 운동구 몸체는 하나 만을 제작해도 되기 때문에 종래 운동구 자체를 무게별로 제작함으로써 많이 소비되는 원가를 줄일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고, 또 사용자들이 운동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무게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휴대 및 보관성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인체에 유익한 광물질로 형성되며 여성 사용자들의 신체 일부위로의 삽탈이 용이하게 곡면을 갖도록 한 원추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그 몸체에는 연질 재의 인출용 끈이 길게 연장되는 상태로 결합된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독립된 중량체로 형성되며, 상기 인출용 끈의 상기 몸체와의 반대 단부에 분리되게 결합할수 있게 하여 몸체에 미치는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중량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조절 수단은 상기 인출용 끈을 삽입하여 결속하기위한 결속공들이 형성된 금속, 수지 혹은 광물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한 중량추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조절 수단은 상기 인출용 끈의 단부에 고정된 비자성 혹은 자성물질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편에 부착할수 있도록 자성물질로 형성한 중량 자성추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추들은 서로 다른 무게를 이루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
KR1019990049327A 1999-11-09 1999-11-09 골반근육 강화운동구 KR100327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327A KR100327313B1 (ko) 1999-11-09 1999-11-09 골반근육 강화운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327A KR100327313B1 (ko) 1999-11-09 1999-11-09 골반근육 강화운동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847A KR20010045847A (ko) 2001-06-05
KR100327313B1 true KR100327313B1 (ko) 2002-03-07

Family

ID=1961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327A KR100327313B1 (ko) 1999-11-09 1999-11-09 골반근육 강화운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645A (ko) 2018-12-14 2020-06-2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골반근 재활운동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528B1 (ko) * 2002-12-10 2006-09-13 (주)투데이우먼 한약재를 주재로한 요실금 치료용 운동기구의 제조방법 및그 조성물과 그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2449A (ja) * 1988-11-18 1990-06-12 Stanislay Plevnik 骨盤底部筋の試験及び/または強化用器具及び部品
US5213557A (en) * 1989-04-14 1993-05-25 John Firth Device for exercising pelvic floor muscles
WO1995033527A1 (en) * 1994-06-03 1995-12-14 Dacomed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nd exercising pelvic muscles
KR100227037B1 (ko) * 1996-08-02 2000-02-01 장명섭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2449A (ja) * 1988-11-18 1990-06-12 Stanislay Plevnik 骨盤底部筋の試験及び/または強化用器具及び部品
US5213557A (en) * 1989-04-14 1993-05-25 John Firth Device for exercising pelvic floor muscles
WO1995033527A1 (en) * 1994-06-03 1995-12-14 Dacomed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nd exercising pelvic muscles
KR100227037B1 (ko) * 1996-08-02 2000-02-01 장명섭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645A (ko) 2018-12-14 2020-06-2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골반근 재활운동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847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724B2 (en) Device for exercising or supporting the pelvic floor muscles
Anderson et al. The use of breathing exercise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Berghmans et al. Efficacy of biofeedback, when included with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treatment, for genuine stress incontinence
Calatayud et al. Muscle activity levels in upper-body push exercises with different loads and stability conditions
Arvonen et al. Effectiveness of two conservative modes of physical therapy in women with urinary stress incontinence
Rajan Balakrishnan et al. Effectiveness of the core stabilisation exercise on floor and Swiss ball on individual with non-Specific low back pain
US20020000233A1 (en) Intravaginal catheter for peineal self-re-education
KR100327313B1 (ko) 골반근육 강화운동구
Avramova Specialized kinesitherapy program for core stabilization and low back pain in women sports
Hopper et al. The effects of Feldenkrais awareness through movement on hamstring length, flexibility, and perceived exertion
Kaur et al. Effectiveness of Maitland mobilization and mulligan mobilization in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a comparative study
Shivkumar et al. Effects of bladder training and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in urinary stress incontinence during postpartum period
KR101226108B1 (ko)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KR200195615Y1 (ko) 요실금 치료기구
KR100261016B1 (ko) 광물질을 이용한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
KR100227037B1 (ko) 여성의 골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Lee et al. Effects of Open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on the Balance Using Elastic Bands for the Health Care of the Elderly Females.
KR200421981Y1 (ko) 여성 질 근육 운동기구
Lim et al. Core and Lower limb Activations of the two-handed and Single-Handed Kettlebell Exercises
Nouri et al. Effect of six-week resistance training with thera-band and combined training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breast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linical controlled trial
Tosun et al. Does multiple-component intensive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decrease muscle fatigue and symptoms in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KR200348862Y1 (ko) 콘형 요실금 치료기구
HerBert TOTAL BODY FITNESS--ARE WE FORGETTING SOMETHING: THE ROLE OF THE PELVIC FLOOR MUSCLES IN CORE STABILITY AND BLADDER AND BOWEL HEALTH.
Saxena et al. Scapular and Pelvic PNF Pattern for Female Physical Education Students with Low Back Pain
Lehvilä Diastasis recti abdominis–Guide for the maternity clinic clients of Perusturvakeskus Po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