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1996U - 엔드 밀 구조 - Google Patents

엔드 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1996U
KR19980011996U KR2019960025531U KR19960025531U KR19980011996U KR 19980011996 U KR19980011996 U KR 19980011996U KR 2019960025531 U KR2019960025531 U KR 2019960025531U KR 19960025531 U KR19960025531 U KR 19960025531U KR 19980011996 U KR19980011996 U KR 199800119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mill
cooling
cutting
workpiece
shan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만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25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1996U/ko
Publication of KR19980011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99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06Details of the milling cutt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20Number of cutting edges
    • B23C2210/203Number of cutting edges f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milling
    • B23C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드 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크부와, 상기 생크부의 하측에 연장되고 선단부 및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절삭날을 포함하는 엔드 밀에 있어서, 상기 엔드 밀 본체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냉각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 통로에는 비틀림 홈과 연통되는 다수의 냉각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엔드 밀 본체 내에 형성된 냉각 통로 및 다수의 냉각 홀에 의해 절삭 가공시에 발생되는 칩이 배출됨은 물론 공기나 냉각제의 유통에 따라 냉각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절삭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공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공작물의 경화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엔드 밀 구조
본 고안은 엔드 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드 밀의 내측에 다수의 냉각 홀을 형성하여 절삭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방열시킴과 동시에 칩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엔드 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 기계를 이용하여 가공을 행하는 작업을 절삭 가공과 연삭 가공 등을 포함하여 절삭 기계 가공 또는 기계 가공이라 하고, 공작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각종 수공구를 사용하여 행하는 가공을 수가공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기계 가공은 절삭날 또는 입자에 의해 가공을 행하는 방식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상기 절삭날에 의한 방식은 바이트에 의해 회전되는 공작물을 가공하는 선삭, 회전되는 공구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드릴링, 직선 왕복 운동과 직선 이송 운동을 하면서 가공을 하는 평삭, 원주에 많은 절삭날을 가진 공구를 회전 운동시키면서 절삭을 행하는 밀링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입자에 의해 가공을 행하는 방식은 연삭 숫돌에 회전운동을 주어 고속도에서 절삭을 행하는 연삭, 주로 구멍이나 내면의 완성 가공에 적용되는 호우닝, 비교적 작은 압력으로 특수한 숫돌이 공작물의 표면을 가압하고 숫돌을 진동시키면서 공작물에 회전 이송을 주어 공작물의 표면을 정밀하게 가공하는 슈퍼 피니싱 등으로 나누어진다.
상술한 방식중 공구를 회전시키면서 회전축 방향의 이송으로 공작물에 구멍을 가공하는 드릴링은 가공된 구멍을 완성 가공하거나 혹은 가공된 구멍을 넓히면서 가공하는 보오링 등을 비롯하여 기계 공작 과정에서 각종 작업에 이용되고, 가공할 지름, 구멍의 가공 위치 및 요구되는 정밀도 등에 따라 사용할 공구 및 공작 기계의 종류들이 달라져 그 형식이 매우 많게 된다.
종래에 이와 같은 밀링 등의 공작 기계에서 절삭 가공을 행하는 엔드 밀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드 밀(1)의 상측에는 척 등에 결합 고정되는 생크부(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생크부(2)의 하측에는 선단부와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절삭날(3)이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삭날(3)의 사이에는 절삭시 발생되는 칩을 배출하기 위한 비틀림 홈(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작물의 절삭 가공시에는 엔드 밀의 회전력에 의해 절삭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공작물과 엔드 밀의 열이 발생하게 된다.
즉, 절삭시 공작물의 전단면에서 전단 변형을 일으킬 때 칩의 변형이나 엔드 밀 절삭날의 절삭에 의한 마찰 또는 엔드 밀의 선단이 공작물의 절삭 표면을 통과할 때 마찰 등으로 인하여 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된 열의 일부는 칩에 의해 제거되고 일부는 엔드 밀에 전달됨으로써 공구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칩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측에 다수의 냉각 홀을 형성하여 절삭시 발생되는 마찰 열을 방열 시켜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칩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엔드 밀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엔드 밀 구조는 생크부와, 상기 생크부의 하측에 연장되고 선단부 및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절삭날을 포함하는 엔드 밀에 있어서, 상기 엔드 밀 본체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냉각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 통로에는 비틀림 홈과 연통되는 다수의 냉각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엔드 밀을 나타내는 일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엔드 밀 구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엔드 밀 12:생크부
14:절삭날 16:비틀림 홈
18:냉각 통로 18a:냉각 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엔드 밀 구조를 나타내는 일측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부호 (10)은 엔드 밀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척 등에 삽입 고정되는 생크부(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선단부 및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절삭날(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삭날(14)의 사이에는 공작물의 절삭시 발생되는 칩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비틀림 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생크부(12)는 일직선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내에는 길이 방향으로 냉각 통로(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각 통로(18)에는 비틀림 홈(16)으로 연통되는 다수의 냉각 홀(1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각 통로(18) 및 냉각 홀(18a)내로는 공작물의 절삭시 공기가 유통됨에 따라 엔드 밀 본체(10) 및 공작물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절삭시에 발생되는 칩이 배출되어 진다.
또한, 상기 냉각 통로(18) 및 냉각 홀(18a)내로는 냉각수 또는 냉각 오일 등을 공급하여 절삭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한 엔드 밀 본체(10) 및 공작물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엔드 밀 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엔드 밀 본체(10)가 도시하지 않은 척에 생크부(12)가 고정된 상태에서 밀링 머신 또는 드릴링 머신 등에 장착되어 소정의 속도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엔드 밀 본체(10)를 하강시키면서 공작물에 절삭 가공을 행하게 된다.
이때, 회전되는 절삭날(14)은 공작물에 절삭력을 가하면서 절삭을 행하게 되며, 절삭시에 발생되는 칩은 다수의 냉각 홀(18a)을 통하여 냉각 통로(18)내로 배출됨으로써 칩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홀(18a) 및 냉각 통로(18)내로는 절삭날(14)과 공작물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방열됨으로써 앤드 밀 본체(10)의 열화 등을 방지하여 공구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 홀(18a) 및 냉각 통로(18)내로 유통되는 공기에 의해 절삭날(14)과 공작물의 마찰에 의한 공작물의 경화 작용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공면의 조도가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각 통로(18)내로 냉각수나 냉각 오일 등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냉각 홀(18a)을 통하여 냉각수 또는 냉각 오일의 공급이 이루어져 절삭날(14)의 냉각 효과가 더욱 증대됨으로써 공구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킴과 동시에 공작물의 열경화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엔드 밀 구조에 의하면 엔드 밀 본체내에 형성된 냉각 통로 및 다수의 냉각 홀에 의해 절삭 가공시에 발생되는 칩이 배출됨은 물론 공기나 냉각제의 유통에 따라 냉각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절삭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공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공작물의 경화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생크부와, 상기 생크부의 하측에 연장되고 선단부 및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절삭날을 포함하는 엔드 밀에 있어서, 상기 엔드 밀 본체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냉각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 통로에는 비틀림 홈과 연통되는 다수의 냉각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 밀 구조.
KR2019960025531U 1996-08-23 1996-08-23 엔드 밀 구조 KR199800119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531U KR19980011996U (ko) 1996-08-23 1996-08-23 엔드 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531U KR19980011996U (ko) 1996-08-23 1996-08-23 엔드 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996U true KR19980011996U (ko) 1998-05-25

Family

ID=5397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531U KR19980011996U (ko) 1996-08-23 1996-08-23 엔드 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199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6345A1 (en) * 2018-08-30 2020-03-05 5Me Ip, Llc External axial flow cryogenic endmill
KR20230035858A (ko) 2021-09-06 2023-03-14 유림툴스주식회사 드릴 및 엔드밀 복합 공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6345A1 (en) * 2018-08-30 2020-03-05 5Me Ip, Llc External axial flow cryogenic endmill
KR20230035858A (ko) 2021-09-06 2023-03-14 유림툴스주식회사 드릴 및 엔드밀 복합 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081B1 (ko) 절삭 인서트, 절삭 인서트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절삭 인서트로 작업편을 기계가공 하는 방법
US53780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ing a workpiece
KR0150427B1 (ko) 연마 드릴
KR100298065B1 (ko) 공구홀더및이러한공구홀더내에절삭공구를장착하기위한방법
KR100853978B1 (ko) 백테이퍼 웹을 갖는 심공 드릴 및 구멍을 뚫는 방법
Senthil Kumar et al. Effect of high-pressure coolant on machining performance
JP2011506111A (ja) 旋盤作業における切削インサート回転用アセンブリ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インサート
US9555485B2 (en) Diamond plated grinding endmill for advanced hardened ceramics machining
US4625707A (en) Core drill apparatus
KR20140005946A (ko) 드릴 구멍을 생성하기 위한 천공 기구 및 방법
KR20030024562A (ko) 콜릿
JPH10225814A (ja) 切削加工方法
CN109789495B (zh) 用于去除钻孔毛刺的切削加工工具
US6139414A (en) Flexible tool for plateauing a surface
JP2002059314A (ja) 加工工具
JP2894924B2 (ja) 切削加工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11996U (ko) 엔드 밀 구조
JP2005319544A (ja) 穴加工用工具とその工具の外周研削方法
JP2511368B2 (ja) ク―ラント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7244650B2 (ja) ホーニングツールおよびホーニング加工方法
CN112351852B (zh) 深孔钻、以及用于生产深孔钻的方法
JP3218754B2 (ja) リーマ
JPH0553812U (ja) 深穴加工工具
CN112262009A (zh) 切削表面中具有一个或多个凹陷的深孔钻和钻具
KR19980011995U (ko) 볼 엔드 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