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0438U - 자동변속기의 역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역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0438U
KR19980010438U KR2019960023852U KR19960023852U KR19980010438U KR 19980010438 U KR19980010438 U KR 19980010438U KR 2019960023852 U KR2019960023852 U KR 2019960023852U KR 19960023852 U KR19960023852 U KR 19960023852U KR 19980010438 U KR19980010438 U KR 199800104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hamber
oil
hou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3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조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 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 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23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0438U/ko
Publication of KR19980010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438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2Final output mechanisms for rever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종래 수동변속기의 역전장치는 하우징내에 저류하는 오일이 부축을 감싸고 있는 슬리이브의 챔버내로 유입되어 충진되면, 상기 슬리이브의 내측에 설치된 스피도센서가 오일에 잠기게되어오동작이 발생되고, 아울러 수명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된 챔버가 형성된 슬리이브와, 상기 슬리이브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부축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역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20)의 챔버(22) 일측에는 배유공(22a)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역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역전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부축에 설치된 스피도미터가 오일에 의해 작동불능되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축의 챔버내에 고이는 오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된 수동변속기의 역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변속기는 클러치와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상태 변화에 따른 기관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과 함께, 기관을 조정할 때나 기관을 워엄 업 시키기위해 기관과 구동륜과의 연결을 일정시간 동안 끊어두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후진변속을 하기 위한 역전장치도 갖추고 있다.
상기한 역전장치는 기어를 선택하게되는 선택부와, 상기한 선택부에 의해 동작됨으로써 실질적으로 기어를 맞물기게 하는 싱크로부와,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갖는 다수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내에 볼팅체결된 슬리이브(20)의 내측에 부축(30)이 회전가능하도록 내재되어 있고, 드리븐기어(40)는 도시하지 않은 시프트레버에 의해 일정스트로크 만큼 이동되는 아이들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부축(30)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리이브(20)의 내측에 형성된 챔버(22)에는 부축의 회전각속도 즉, 차량의 속도를 알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스프도미터(50)가 설치되는 바, 상기 스피도미터(50)에는 커넥터(60)가 연결되어 차량내부의 미터셋트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차의 역전장치는, 아이들기어가 시프트레버의 동작에 연동되어 일정 스트로크 만큼 이동함으로써 주축의 드라이브기어와 부축(30)의 드리븐기어(40)를 연결하여 부축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후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부축(30)에 고정된 드리븐기어(40)가 회전하게되면 하우징(10)의 내측에 저류하는 오일은 부축(30)이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열을 저감시키도록 슬리이브(20)와 부축(30)의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간극을 통하여 슬리이브(20)의 챔버(22)내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이브(20)의 챔버(22)내에 오일이 가득하게 충진되면 다시 역류하게 되어 하우징(10)과 챔버(22)의 압력이 대체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내에 저류하는 오일이 슬리이브의 챔버내로 유입되어 충진되면, 상기 슬리이브의 내측에 설치된 스피도미터가 오일에 잠기게되어오동작이 발생되고, 아울러 수명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의 내측에 저류하는 오일이 슬리이브의 챔버에 유입되더라도 상기 슬리이브의 챔버내에서 고여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일을 순환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역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역전장치를 나타내는 일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동변속기의 역전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일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슬리이브
22 : 챔버 22a : 배유공
30 : 부축 40 : 드리븐기어
50 : 스피도미터 60 : 커넥터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된 챔버가 형성된 슬리이브와, 상기 슬리이브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부축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역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의 챔버 일측에는 배유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역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역전장치는 슬리이브의 챔버 일측에 배유공이 형성된 구조이므로, 상기 슬리이브의 챔버에는 일정량 이상의 오일이 정체되지 않고, 상기 슬리이브의 챔버내에 설치된 스피도미터는 오일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역전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내에 볼팅체결된 슬리이브(20)의 내측에 부축(30)이 회전가능하도록 내재되어 있고, 드리븐기어(40)는 도시하지 않은 시프트레버에 의해 일정스트로크 만큼 이동되는 아이들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부축(30)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리이브(20) 내측에 형성된 챔버(22)에는 부축(20)의 회전각속도 즉, 차량의 속도를 알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스프도미터(50)가 설치되는 바, 상기 스피도미터(50)에는 커넥터(60)가 연결되어 차량내부의 미터셋트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슬리이브 챔버(22)의 일측에는 배유공(22a)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역전장치는 시프트레버가 움직이게 됨에 따라 아이들기어가 연동되어 일정 스트로크 만큼 이동함으로써 주축의 드라이브 기어와 부축(30)의 드리븐기어(40)를 연결하게되고, 이로써 후진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때 부축(30)을 감싸고 있는 슬리이브(20)와 마찰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축(30)과 슬리이브(20)가 형성하고 있는 미세한 간극으로 오일이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이브(20)의 챔버(22)내에 소량의 오일이 고여지게 되지만, 상기 슬리이브(20)의 챔버(22) 일측에 형성된 배유공(22a)를 통하여 다시 하우징(10)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역전장치는 슬리이브(20)의 챔버(22) 일측에 배유공(22a)이 형성된 구조이므로, 상기 슬리이브(20)의 챔버(22)에는 일정량 이상의 오일이 정체되지 않고, 상기 슬리이브(20)의 챔버(22)내에 설치된 스피도미터(50)는 오일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역전장치는 슬리이브의 내측에 형성된 챔버의 일측에는 배유공이 형성된 구조이므로, 부축과 슬리이브의 간극으로 유입된 오일이 다시 배유공을 통하여 하우징으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슬리이브의 챔버내에 설치된 스피도미터는 오일에 영향을 받지않게되어 오동작이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는 효과도 있다.
상기 설명에서 본 고안은 하나의 배유공을 천공하였으나, 다수개의 배유공을 형성할 수 도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고안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변경 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1)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된 챔버가 형성된 슬리이브와, 상기 슬리이브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부축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역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20)의 챔버(22) 일측에는 배유공(22a)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역전장치
KR2019960023852U 1996-08-06 1996-08-06 자동변속기의 역전장치 KR199800104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852U KR19980010438U (ko) 1996-08-06 1996-08-06 자동변속기의 역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852U KR19980010438U (ko) 1996-08-06 1996-08-06 자동변속기의 역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438U true KR19980010438U (ko) 1998-05-15

Family

ID=5397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3852U KR19980010438U (ko) 1996-08-06 1996-08-06 자동변속기의 역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043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447B1 (ko) 유압기계식 변속장치
US6938512B2 (en) Lubricating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KR19980010438U (ko) 자동변속기의 역전장치
US6546830B2 (en) Transmission device of four-wheel drive vehicle
KR100474583B1 (ko) 기어펌프
KR970000855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의 오일 펌프내의 잉여 오일 배출구조
KR19980019597U (ko) 수동변속기의 리버스 아이들 샤프트
KR200263342Y1 (ko) 유성기어세트의 롱 피니언 유격방지용 캡
KR20000019175U (ko) 수동 변속기의 오일 공급 장치
KR100309336B1 (ko) 수동변속기의윤활구조
KR100259654B1 (ko) 유체 제어식 수동 변속기
KR200198398Y1 (ko) 자동변속기의 마찰기구 작동장치
KR100300010B1 (ko) 오토트랜스미션의공기유입방지장치
KR19980039740U (ko) 수동 변속기의 인풋 베어링 리테이너
KR0138949Y1 (ko) 자동 변속기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재 연결구조
KR100309335B1 (ko) 수동변속기의메인드라이브피니언구조체
KR100289304B1 (ko) 수동변속기의입력축윤활구조
KR0168287B1 (ko) 자동차용 클러치의 변속기 오일 유입방지구조
KR19990039858A (ko)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KR970008486B1 (ko) 유압식 변속기 구조(Structure of hydraulic transmission)
KR19980037005U (ko) 자동변속기용 유성기어 세트
KR19980055070U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토오크컨버어터
KR20000004645A (ko)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KR0168290B1 (ko) 수동 변속기의 후진 변속시 기어 울림 방지장치
KR19980031602A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윤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