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0323U - 통신기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통신기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0323U
KR19980010323U KR2019960023717U KR19960023717U KR19980010323U KR 19980010323 U KR19980010323 U KR 19980010323U KR 2019960023717 U KR2019960023717 U KR 2019960023717U KR 19960023717 U KR19960023717 U KR 19960023717U KR 19980010323 U KR19980010323 U KR 199800103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hanger
locker
bolt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3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종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2019960023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0323U/ko
Publication of KR19980010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32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내에 장착되어 핸드폰을 착탈시키는 기능을 하는 거치대의 록킹부 폭을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각종 핸드폰의 크기에 따른 제품의 호환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누름버튼에 의해 회전되는 캠과,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양측으로 밀리는 록커와, 상기 각각의 록커와 함께 유동하여 핸드폰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행거와, 상기 행거간의 폭을 조절하도록 일측에 록커가 연결되고 중단부에 행거가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어퍼케이스면에 삽입홀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기기용거치대
도 1은 종래 거치대로서,
a는 내부 구성도.
b는 a의 A-A'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거치대로서,
a는 내부 구성도.
b는 a의 B-B'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버튼102 : 록커
103 : 캠104, 105 : 스프링
106 : 행거107 : 볼트
108 : 어퍼케이스109 : 삽입홀
111 : 가이드핀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통신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내에 장착되어 핸드폰의 충전 및 보관을 하기위한 거치대가 여러 가지 모델의 핸드폰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의 착, 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종래 일반적인 거치대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핸드폰 본체(1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양측에 형성되는 록커(2)와, 상기 록커(2)를 유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한 캠(3)과, 상기 캠(3)이 회전되도록 외부에서 눌러주는 버튼(1)으로 구성되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 5는 각각 록커(2)와 버튼(1)에 복원력을 주기위한 스프링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거치대로부터 핸드폰 본체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버튼(1)을 눌러주면 이에 의해 캠(3)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양측의 록커(2)를 밀어주게 된다.
그리고 록커(2)가 양측으로 이동하면 핸드폰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는 양측에서 작동하는 록커(2)가 가변이 불가능한 단일부품으로 되어 있으므로 핸드폰 사용자가 새로운 제품을 사용하게 되면 거치대도 그에 따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각종 핸드폰의 크기에 맞추어 거치대의 록커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핸드폰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거치대가 호환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본 고안을 제2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구성을 살펴보면 누름버튼(101)에 의해 회전되는 캠(103)과, 상기 캠(103)의 회전에 의해 양측으로 밀리는 록커(102)와, 상기 각각의 록커(102)와 함께 유동하여 핸드폰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행거(106)와, 상기 행거(106)간의 폭을 조절하도록 일측에 록커(102)가 연결되고 중단부에 행거(106)가 체결되는 볼트(107)와, 상기 볼트(107)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어퍼케이스면(108)에 삽입홀(109)을 구비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1은 가이드핀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핸드폰 본체를 거치대에 삽입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행거(106)가 걸어주게 되는데, 핸드폰의 종류에 따라 행거(106)간의 조절이 필요한 때에는 록커(102)에 고정된 볼트(107)를 회전시켜 행거(106)간의 폭(W)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볼트(107)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삽입홀(109)에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행거(106)가 볼트(107)에 의해 유동될 때에는 록커(102)의 2개로 되어있는 가이드핀(111)이 좌우 흔들림 등을 방지하여 안정된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은 차량내에 장착되는 거치대의 록킹부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이 가능하도록하여 각종 핸드폰의 크기에 따른 호환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고안이다.

Claims (3)

  1. 누름버튼에 의해 회전되는 캠과,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양측으로 밀리는 록커와,
    상기 각각의 록커와 함께 유동하여 핸드폰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행거와,
    상기 행거간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일측에 록커가 연결되고 중단부에 행거가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어퍼케이스면에 삽입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용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와 좌, 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록커에 가이드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용 거치대.
KR2019960023717U 1996-08-05 1996-08-05 통신기기용 거치대 KR199800103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717U KR19980010323U (ko) 1996-08-05 1996-08-05 통신기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717U KR19980010323U (ko) 1996-08-05 1996-08-05 통신기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323U true KR19980010323U (ko) 1998-05-15

Family

ID=5397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3717U KR19980010323U (ko) 1996-08-05 1996-08-05 통신기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032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441B1 (ko) * 1999-05-12 2001-11-07 서정주 휴대용 콧물 흡입기
KR100810733B1 (ko) * 2007-08-30 2008-03-07 (주)모바일컴피아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441B1 (ko) * 1999-05-12 2001-11-07 서정주 휴대용 콧물 흡입기
KR100810733B1 (ko) * 2007-08-30 2008-03-07 (주)모바일컴피아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071A (en) Mobile phone holder structure
US6446923B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on a support surface
CA2888023C (en) Rotatable power center for a work surface
AU2001268117A1 (en) Bicycle carrier
CA2472812A1 (en) Charging stand having open and closed positions
JP2000515673A (ja) 組み合わせ留め具・電気コネクタを有する無線電話機
EP1739767B1 (en) Battery cover fixing means for portable terminal
USD416252S (en) Housing for a two-way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KR890003572B1 (ko) 무선통신 장치용 수납 및 고정장치
USD405413S (en) Battery pack for a mobile radiotelephone device
USD382873S (en)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KR19980010323U (ko) 통신기기용 거치대
US5555489A (en) Portable PC combination
JPH03227158A (ja) 車載・携帯兼用電話機の車載収納装置
CN207240150U (zh) 一种汽修用工具箱
CN107809019B (zh) 电子设备
KR100517896B1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
KR200411628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의 거치구조
JPH1040890A (ja) 二次電池ロック構造
USD422585S (en) Housing for a two-way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201118686Y (zh) 移动通信装置的夹持结构
KR200210962Y1 (ko)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CN216565235U (zh) 一种手机支架及其带有该手机支架的全包裹式手机壳
CN105762566B (zh) 一种连接结构、卡连接器保护装置及电子设备
CN108545132B (zh) 踏板机构及其独轮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