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441B1 - 휴대용 콧물 흡입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콧물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441B1
KR100300441B1 KR1019990037191A KR19990037191A KR100300441B1 KR 100300441 B1 KR100300441 B1 KR 100300441B1 KR 1019990037191 A KR1019990037191 A KR 1019990037191A KR 19990037191 A KR19990037191 A KR 19990037191A KR 100300441 B1 KR100300441 B1 KR 100300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y nose
air
intake
vacuu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955A (ko
Inventor
서정주
Original Assignee
서정주
주식회사 지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주, 주식회사 지인텍 filed Critical 서정주
Priority to KR2019990018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796Y1/ko
Priority to CA 2288455 priority patent/CA2288455A1/en
Priority to JP31469899A priority patent/JP2000325466A/ja
Priority to EP99122336A priority patent/EP1051984A3/en
Priority to CN99122292A priority patent/CN1273863A/zh
Publication of KR1999008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955A/ko
Priority to HK99105769A priority patent/HK1021482A2/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4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02Suction pumps by vacuum created above a liquid flowing from a clos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1Piston pumps, e.g.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4/00Surgery
    • Y10S604/904Tampons

Abstract

휴대가 가능하고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콧물을 흡입할 수 있는 진공이 발생되도록 하여 콧물 안내 부재를 통하여 콧물 통에 콧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전동 콧물 흡입기를 제공하여 스스로 코를 풀지 못하는 유아나 어린이 또는 환자 등의 콧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콧물 흡입기는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안전성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콧물 흡입기{A portable inhaler of snivel}
본 발명은 콧물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나 어린이 또는 환자의 콧물을 가정에서 쉽게 제거하고 휴대할 수 있는 가정용 전동 콧물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보통 가정에서 유아나 어린이들은 콧물을 스스로 풀어 내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콧물을 흡입하는 기구를 이용하여 유아나 어린이들의 콧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콧물을 흡입하는 기구들은 수동으로 동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한 이러한 기구를 사용할 때에는 두손으로 사용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구들을 사용하여 유아나 어린이들의 콧물을 제거할 때에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움직이게 되는데 두손으로 기구를 작동시키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할 수 있으며 한 손으로 콧물을 제거하는 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며, 전동으로 콧물 흡입기를 구동하여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지속적인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콧물 흡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터리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회전 운동을 직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 전달수단과;
상기 동력 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수단과;
상기 진공 발생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 발생수단 내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콧물통의 공기를 흡입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있는 공기 유통 관로와;
상기 공기 유통 관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된 콧물을 저장하는 콧물 통과;
상기 콧물 통의 일측에 결합되어 코 속으로 삽입되어 흡입되는 콧물이 콧물 통으로 인입되도록 콧물을 안내하는 콧물 안내 부재;
를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예의 공기 출입 장치를 설명하기 일부 구성 요소의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공기 출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구동원을 작동시키기 위한 회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콧물의 흡입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
도 7은 도 6의 주요 부분인 공기 흡입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주요 부분인 공기 배출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콧물의 흡입 상태 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주요 부분인 공기 흡입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주요 부분인 공기 배출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길이 가변 피스톤의 신축 및 이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콧물 흡입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동력전달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13에 적용되는 흡, 배기 밸브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흡, 배기 밸브에서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개폐부재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콧물 흡입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구성도,
도 19는 콧물 흡입 상태를 일시 정지시키기 위하여 콧물 흡입기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20은 콧물 안내 부재를 케이스로부터 연장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내부의 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를 가지고 있으며, 이 케이스(1) 내에는 배터리(3)를 포함하여 이 배터리(3)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원인 모터(5), 이 모터(5)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전달 수단 그리고 이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하여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 수단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외측에는 진공 발생 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공기 유통 관로(7), 이 공기 유통 관로(7)와 연결되어 있는 콧물 통(9) 및 콧물 통으로 콧물을 안내 할 수 있는 콧물 안내 부재(11)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케이스(1)의 외측에는 모터(5)를 구동할 수 있는 스위치(13)가 배치되어 있다.
동력 전달 수단은 모터(5)의 회전에 따라 역시 회전하는 편심 캠(15)이 모터 축과 결합되어 있다. 이 편심 캠(15)은 회전 중심부가 모터(5)의 축과 결합되어 있으며, 이 회전 중심부에서 일정한 거리를 이격하여 모터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편심 축(15a)이 마련되어 있다. 이 편심 축(15a)은 편심 캠(5)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편심 축(15a)의 외주에는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 동력 전달 부재(1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17)는 편심 축(15a)과 직각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1 동력 전달 부재(17)는 편심 축(15a)과 결합되는 반대측에 제2 동력 전달 부재(19)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1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동력 전달 부재(19)는 일단이 제1 동력 전달 부재(17)의 결합공(17a)과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또 다른 결합공(19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2 동력 전달 부재(17, 19)는 결합공(17a, 19a)이 각각 겹쳐지도록 배치한 후 연결핀(21)에 의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5)와 연결되는 동력 전달 수단은 모터(5)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제2 동력 전달 부재(19)의 다른 일단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진공 발생 수단의 길이 가변 피스톤과 결합됨과 동시에 이 길이 가변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진공 수단은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와, 실링 부재(23)와, 실린더 부재(25) 그리고 길이 가변 피스톤(27)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며 공기가 인입될 수 있는 제1 흡입 관로(2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흡입 관로(21a)와 연결되어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의 내부에 제2 흡입 관로(21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흡입 관로(21b)는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의 아래 부분으로 연장되어 관로가 뚫어져 있다(도 3 기준). 그리고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에는 제2 흡입 관로(21b)의 일측에 일정한 공간부(21c)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21c)를 연장하여 외부와 연결되는 배출 관로(21d)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 부재(23)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에 밀착되어 결합되며 제2 흡입 관로(21b)와 배출 관로(21d)와 연통되는 공간부(21c)와 연통되는 위치에 각각 구멍(23a, 23b)이 뚫려져 있다. 그리고 이 구멍(23a)의 하단 및 구멍(23b)의 상단에는 첵 밸브의 역할을 하는 제1, 2 개폐부재(29, 31)가 결합되어 있다. 제1, 2 개폐부재(29, 31)는 구멍(23a, 23b)의 크기를 가릴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적당하고,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무재질의 탄성체가 바람직하며 일측을 연장하여 접착 수단,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실링 부재(23)에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1, 2 개폐부재(29, 31)는 제1, 2 개폐부재(29, 31)측에서 공기의 압력이 가해지면 구멍(23a, 23b)을 폐쇄하고, 그 반대측에서 공기의 압력이 가해지면 구멍(23a, 23b)을 개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지므로 아무런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구멍(23a, 23b)을 폐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실링 부재(23)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실링 역할을 하며 실리콘 고무재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한 첵 밸브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방향으로 공기가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장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적용할 수 있다.
실린더 부재(25)는 상단부에 실링 부재(23) 및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가 각각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별도의 체결 부재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평면에는 상술한 구멍(23a, 23b)과 연통하도록 또 다른 구멍(25a, 25b)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부재(25)는 상술한 평면의 하단(도 2 참조)에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통형의 부재 내측에는 길이 가변 피스톤(27)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길이 가변 피스톤(27)은 상단부(도 2 참조)가 실린더 부재(25)의 안쪽 상면에 별도의 체결 부재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어 있다. 또한 길이 가변 피스톤(27)의 하단은 상술한 제2 동력 전달 부재(19)의 상단부(도 2 참조)가 역시 체결 부재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길이 가변 피스톤(27)는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주면에 반복적인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벨로우즈로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길이 가변 피스톤(27)은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개재하고 있다(도 12에 도시하고 있음). 상기 탄성부재는 길이 가변 피스톤(27)이 신축 및 이완 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피아노줄, 낚시줄 또는 탄성력이 있는 와이어 등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21)의 결합되어 있는 제1 흡입 관로(21a)의 외주에는 공기 유통 관로(7)의 일단이 끼움 결합된다. 제1 흡입 관로(21a)의 외주에 공기 유통 관로(7)를 끼울 때 직경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33)를 결합한 후 이 인터페이스(33)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공기 유통 관로(7)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 유통 관로(7)의 타단은 콧물 통(9)과 결합되어 있다.
콧물 통(9)은 내부에 콧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공기 유통 관로(7) 측에 세로(도 1 참조)로 격벽(7a)을 형성한 후, 이 격벽(7a)의 상단부에 통공(7b)을 형성한다. 이 통공(7b)은 콧물이 이루는 수면 보다 상측에 형성하여 콧물이 진공 수단 측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만이 유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콧물 통의 다른 측에는 콧물 안내 부재(11)가 끼움 결합되어 있다. 이 콧물 안내 부재(11)는 관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유아나 어린이의 코에 직접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1)의 외측에는 모터(5)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13)가 배치되어 있으며 도 5에 연결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스위치(13)는 단지 모터(5)에 선택적으로 배터리(3)의 전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저항 등을 사용하는 등의 응용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콧물 안내 부재(11)의 선단부의 일부를 유아 또는 어린이의 코에 삽입하고, 스위치(13)를 온 시키면 배터리(3)의 전원이 모터(5)로 전달되어 모터가 구동하게 된다. 모터(5)의 구동에 따라 편심 캠(15)이 회전하게 되고, 이 편심 캠(15)의 회전에 따라 제1 동력 전달 부재(17)를 통하여 회전 모터 축의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 구동력은 제2 동력 전달 부재(19)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2 동력 전달 부재(19)는 상, 하 이동을 하게 된다.
우선 제2 동력 전달 부재(19)가 하방으로 내려오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길이 가변 피스톤(27) 역시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길이 가변 피스톤(27)의 내부에는 진공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유아나 어린이의 코속에 있는 콧물은 콧물 안내 부재(11)를 따라 흡입되어 콧물통(9)에 고이게 된다. 그리고 콧물 통(9)의 콧물은 격벽(7a)에 의하여 진공 수단 측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콧물 통(9)에만 고여 있게 된다. 그리고 격벽(7a)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7b)을 통하여 공기만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공기는 공기 유통 관로(7)를 통하여 제1 흡입 관로(21a) 및 제2 흡입 관로(21b)로 이동한다. 이때 공기는 실링 부재(23)의 구멍(23a)을 통과하면서 제1 개폐 부재(29)를 밀게 된다(도 7에 도시하고 있음). 그리고 계속해서 공기는 실린더 부재(25)의 구멍을 통하여 길이 가변 피스톤(27) 내로 인입되어 길이 가변 피스톤(27)의 인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길이 가변 피스톤(27)가 인장되는 경우에 실링 부재(23)에 결합되어 있는 제2 개폐 부재(31)는,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동력 전달 부재(19)가 상승하면, 길이 가변 피스톤(27)의 내부는 압축되는데(도 9에 도시하고 있음), 공기의 압력 및 제1 개폐부(29)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되어 실링 부재(23)의 구멍(23a)이 폐쇄되고(도 10에 도시하고 있음), 제2 개폐부(31)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밀리게 되어(도 11에 도시하고 있음) 배출 관로(21d)를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길이 가변 피스톤(27) 내부의 인장 및 압축 상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콧물을 제거한다.
특히, 콧물 안내 부재(11) 및 공기 유통 관로(7)는 유연한 고무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유아나 어린이들의 코속에 자극을 줄여줄 수 있으며, 케이스(1)와 콧물 안내 부재(11) 각도가 변하여도 정상적인 기구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외형을 이루고 있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3) 및 모터(5) 그리고 진공 발생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진공 발생 수단은 진공이 발생되는 실린더(100) 및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104)를 포함하고 있다.
스위치(13)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배터리(3)의 전기를 선택적으로 모터(5)에 전달하여 모터(5)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전기적인 회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터(5)는 축부에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재(10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101)는, 도 1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모터(5)의 구동에 따라 모터(5)의 축부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01)의 일측면에는 돌출부(10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01a)는 회전부재(10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01a)에는 회전부재(10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기 위한 동력 전달부재(103)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103)의 타단은 실린더(100)의 피스톤 로드(105)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로드(105)는 실린더(100)의 내부를 왕복 운동하며, 진공을 발생시키는 피스톤(10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100)는 양측에 각각 진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제1, 2 진공 포트(100a, 100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2 진공 포트(100a, 100b)는 피스톤(107)이 이동하는 행정(피스톤이 일끝에서 일끝까지 이동하는 거리)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2 진공 포트(100a, 100b) 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어 제1, 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104)를 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제1, 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104)는, 도 1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편의상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를 예로 들어 설명함), 상기 제1, 2 진공 포트(100a, 100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109)와, 상기 커넥터(109)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흡, 배기 부재(111)와, 상기 제1 흡, 배기 부재(111)의 일면에 배치되는 개폐부재(113)와, 상기 제1 흡, 배기 부재(111) 및 개폐부재(113)를 수납하면서 제1 흡, 배기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제2 흡, 배기 부재(1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109)는 일측이 상기 실린더(100)의 제1, 2 진공포트(100a, 100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결합부(109a)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앙부에는 축 중심 방향으로 에어 통로(10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9)는 결합부(109a)가 형성되어 있는 반대측에 일정한 수납공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수납공간의 외주에는 제2 흡, 배기 부재(115)와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9)의 수납공간부 내주면은 내측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 흡, 배기부재가 결합될 때 일정한 공간(109c)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이 공간(109c)은 에어의 유통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흡, 배기부재(111)는 양면을 관통하도록 공기 흡입공(111a)과 공기 배출공(111b)을 구비하고 있으며, 외주면이 상기한 커넥터(109)의 테이퍼진 부분과 대응하도록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109)와 결합시 공간(109c)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개폐부재(113)는 제1 흡, 배기부재(111)의 일측에 배치되며,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2 개폐부(113a, 113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폐부재(113)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 개폐부(113a, 113b)는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113)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개폐부(113a)는 공기 배출부(11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흡, 배기부재(115)는 내부에 상기 제1 흡, 배기부재(111) 및 개폐부재(113)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수납공간측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넥터(109)의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흡, 배기부재(115)는 상술한 수납 공간부와 다른 면이 서로 연통되어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공기 흡입공(115a) 및 공기 배출공(11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기 흡입공(115a)은 수납공간 측에서 개폐부재(113)의 제1 개폐부(113a)가 공기 흡입공(115a)에 접촉되어 공기 흡입공(115a)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와 제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4)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만 실린더(10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피스톤의 왕복에 따라 진공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의 에어통로(109b)와 제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4)의 에어통로(도면의 부호는 생략함)와 관로(117)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로(117)를 분지한 분지 관로(117a)를 형성하여, 이 분지 관로(117a)와 콧물통(9)을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콧물통(9)은 제1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제2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의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콧물통(9)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의 외측에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설계상 편의에 따라 다양한 위치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콧물통(9)의 일측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콧물 안내부재(11)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콧물을 제거할 대상자의 코에 콧물 안내 부재(11)를 넣고, 스위치(13)를 온 상태로 작동시키면, 배터리(3, 도 13참조)의 전원에 의하여 모터(5)가 구동하여 모터(5)의 축부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재(101)가 회전한다. 그러면 동력 전달부재(103)는 일측이 회전부재(101)의 돌출부(101a)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부재(101)의 회전에 따라서 일단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103)의 타단은 피스톤 로드(105)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부재(101)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바뀌면서 피스톤(107)이 실린더(100)의 내부에서 일정한 행정을 왕복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피스톤(107)의 왕복 운동에 따라 콧물통(9)에 진공이 형성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104)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피스톤(107)이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의 위치에서 제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4) 측으로 실린더(100)를 따라 이동하면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측의 실린더(100)에는 진공압이 형성되고, 이 진공압에 의하여 제1 개폐부재(113a)가 제2 흡, 배기 부재(115)의 공기 흡입공(115a)을 오픈하여 콧물통의 공기를 빨아들이면서 콧물통(9)은 진공이 형성된다. 이때 콧물통(9)의 공기는 분지 관로(117a) 및 관로(117)를 따라 제2 흡, 배기 부재(115)의 공기 흡입공(115a)을 통하여 제1 흡, 배기 부재(111)의 공기 흡입공(111a)을 거쳐 에어 통로(109b)를 지나 실린더(100) 측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콧물통(9)에 진공이 형성되어 콧물이 콧물 안내부재(11)를 통하여 콧물통(9)으로 흡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피스톤(107)이 제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4) 측에서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측으로 이동하면 제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4) 측에서 상술한 제1 흡, 배기 어셈블리(102)에서 일어난 작용이 동일하게 일어나면서 콧물통(9)을 진공상태로 만든다. 이에 대한 작용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동시에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측의 실린더(100)에 있는 공기는 압축되어 에어 통로(109b)를 통하여 제1 흡배기 부재(111)의 공기 배출공(111b) 및 제2 흡, 배기 부재(115)의 공기 배출공(115b)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작용은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제2 개폐부(113b)가 오픈되어 공기 배출공(111b, 115b)을 연통시킴과 동시에 제1 개폐부(113a)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공기 흡입공(115a)을 닫음으로서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콧물통(9)에 진공압이 형성되어 콧물을 빨아들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콧물통(9)은 빨아들인 콧물만 저장하고 공기는관로(117) 등을 통하여 이동시킨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피스톤이 한번 왕복을 할 때 한번의 진공 발생 상태가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2 실시예는 피스톤이 한번 왕복할 때 2번의 진공 발생 상태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콧물통에 어느 정도 일정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콧물을 효율적으로 빨아들일 수 있게 되어 제1 실시예에 비하여 그 콧물의 흡입 효과가 뛰어난 이점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콧물 흡입기의 구성도로서, 콧물 흡입기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부분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우선 실린더(301)는 일측이 개구를 이루고 있으며, 그 내면에 왕복 운동할 수 있는 피스톤(30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실린더(301)의 일측은 피스톤(303)의 이동에 따라 실린더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을 구비하고 있으며, 콧물통에 진공이 발생할 수 있도록 콧물통과 관로로 연결되어 있고, 개폐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폐 밸브는 상술한 제2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만 제2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있어 연속적인 진공 형성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제3 실시예에서는 피스톤이 1행정으로 한번의 진공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나의 개폐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처럼 하나의 개폐밸브를 사용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구조는, 부품의 수를 줄여 제작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의 콧물통(305)은 케이스(1)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점이 제2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즉, 케이스(1)의 일측에 오목부(307)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30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콧물통(305)을 성형 제작하여 상기 케이스(1)의 오목부(307)와 상기 콧물통(305)이 억지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콧물통(305)에는 진공 관로와 연결될 수 있는 구멍을 마련하고, 케이스(1)에도 진공 관로와 연결되는 구멍을 마련하여 각각의 구멍을 일치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진공 관로는 일측에 일시적으로 진공상태를 정지시켜 필요시에만 콧물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진공 일시 정지 수단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진공 일시 정지 수단은, 도 19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에 푸쉬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311)과, 상기 버튼(311)에 탄지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311)을 초기 위치로 리턴 시키기 위한 압축 코일 스프링(313)과, 상기 버튼(311)에 결합되어 있으며 진공 관로에 뚫려져 있는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멍 마개부재(3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멍 마개 부재(315)는 진공 관로의 내측에 배치되어 버튼(311)의 가압에 따라 진공 관로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대기와 연통시키고 버튼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압축 코일 스프링(313)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311)을 리턴시켜 진공 관로의 구멍을 폐쇄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콧물의 흡입 상태를 일시 정지시키고자 하면 버튼(311)을 가볍게 누름으로서 진공 관로와 대기가 구멍(316)을 통하여 연결되어 진공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콧물통(305)에 결합되어 있는 콧물 안내 부재를 제거하고, 진공 연장 관로(321)를 끼움 결합하여 이 진공 연장 관로(321)를 보조 케이스(323)에 연결하고, 이 보조 케이스(323)에 보조 콧물통(327) 및 콧물 안내 부재(11)를 각각 연결한 콧물 안내부재 연장 수단을 도 20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보조 케이스(323)에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진공 일시 정지 수단과 동일한 구조의 또 다른 진공 일시 정지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진공 일시 정지 수단은 상술한 구조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치하며,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한다.
이러한 콧물 안내부재 연장 수단은 사용자가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는 일정한 위치에 놓아둔 채 단지 연장부만을 잡고서 다양한 위치에서 콧물 제거를 할 수 있으므로 제1, 2 실시예에 비하여 사용상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콧물 제거기는 모터에 의하여 진공 수단에서 진공이 형성되고 이 진공으로 유아나 어린이의 콧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한 손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편리하고, 안전성 및 콧물 제거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진공 효율이 증대되어 일정한 진공압을 지속적으로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터리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회전 운동을 직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 전달수단과;
    상기 동력 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수단과;
    상기 진공 발생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 발생수단 내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콧물통의 공기를 흡입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있는 공기 유통 관로와;
    상기 공기 유통 관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된 콧물을 저장하는 콧물 통과;
    상기 콧물 통의 일측에 결합되어 코 속으로 삽입되어 흡입되는 콧물이 콧물 통으로 인입되도록 콧물을 안내하는 콧물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발생수단은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를 통하여 공기가 선택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실린더 부재와; 상기 실린더 부재의 내측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동력 전달수단의 구동력에 의하여 압축 및 인장되어 진공을 발생시키는 길이 가변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길이 가변 피스톤은 내주면에 외측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탄성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콧물 통은 저장되는 콧물이 공기 관로를 통하여 상기 진공 발생 수단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공기만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에 콧물이 고이는 수면보다 위쪽에 배치되도록 통공을 형성하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원의 축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원의 회전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회전축에서 일정한 거리를 띄워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편심 위치에 편심 축이 마련되어 있는 편심 캠과;
    상기 편심 캠에 결합되어 있는 편심축에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원의 회전운동을 직선으로 변화하는 제1 동력 전달 부재와;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와 연동하여 직선 이동하는 제2 동력 전달 부재;
    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발생수단은
    상기 동력 전달수단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진공을 발생시키는 실린더;
    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통관로는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고무재로 이루어져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는
    공기 흡입 관로와 공기 배출관로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와;
    상기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와 결합되어 있으며 공기 흡입 관로 및 공기 배출 관로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공기를 통과시키거나 공기의 인입 및 배출을 차단하는 복수의 첵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실링의 역할을 하는 실링 부재;
    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
  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첵 밸브는
    상기 실링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흡입구가 길이 가변 피스톤의 하강시에 오픈되고 상승시에는 닫힐 수 있도록 상기 실링 부재의 길이 가변 피스톤 측에 탄성체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제1 개폐부재와;
    상기 실링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배출구가 길이 가변 피스톤의 하강시에는 닫히고 상승시에 오픈될 수 있도록 상기 실링 부재의 길이 가변 피스톤 반대측에 탄성체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제2 개폐부재;
    로 이루어져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진공 발생수단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발생수단과 연통되는 에어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 수납되며 공기 배출구 및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흡, 배기 부재와;
    상기 제1 흡, 배기 부재를 수납하고 있으며, 상기 관로와 연통되는 공기 흡입공 및 상기 콧물통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어 있는 제2 흡, 배기부재와;
    상기 제1 흡, 배기 부재와 제2 흡, 배기 부재의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흡, 배기 부재의 공기 배출공 및 제2 흡, 배기 부재의 공기 흡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제1, 2 개폐부를 가지는 개폐부재;
    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
  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는 진공 발생수단의 작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진공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진공 발생수단의 양측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
  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는 일측에 설치되는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 중의 공기 흡입공과 또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 중의 공기 흡입공을 관로로 연결하고, 이 관로를 분지한 분지 관로를 콧물 통에 연결하여 구성한 휴대용 콧물 흡입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측에 콧물통의 진공을 일시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결합되며 진공 관로와 대기를 연통하는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멍 마개 부재;
    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콧물통에 일단이 연결되는 진공 연장 관로와;
    상기 진공 연장 관로의 타단이 결합되는 보조 케이스와;
    상기 보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진공 연장 관로와 연통되는 보조 콧물통과;
    상기 보조 콧물통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조 콧물 안내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
  1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케이스는
    일측에 진공을 일시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결합되며 진공 관로와 대기를 연통하는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멍 마개 부재;
    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
KR1019990037191A 1999-05-12 1999-09-02 휴대용 콧물 흡입기 KR100300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555U KR200170796Y1 (ko) 1999-05-12 1999-09-02 휴대용 콧물 흡입기
CA 2288455 CA2288455A1 (en) 1999-05-12 1999-11-04 A portable snivel inhaler
JP31469899A JP2000325466A (ja) 1999-05-12 1999-11-05 携帯用鼻水吸入器
EP99122336A EP1051984A3 (en) 1999-05-12 1999-11-09 A portable snivel inhaler
CN99122292A CN1273863A (zh) 1999-05-12 1999-11-10 便携式鼻涕吸入器
HK99105769A HK1021482A2 (en) 1999-05-12 1999-12-09 A portable snivel inha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16980 1999-05-12
KR1019990016980 1999-05-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555U Division KR200170796Y1 (ko) 1999-05-12 1999-09-02 휴대용 콧물 흡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955A KR19990083955A (ko) 1999-12-06
KR100300441B1 true KR100300441B1 (ko) 2001-11-07

Family

ID=3752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191A KR100300441B1 (ko) 1999-05-12 1999-09-02 휴대용 콧물 흡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585Y1 (ko) * 2000-02-08 2000-07-15 주식회사지인텍 휴대용 콧물 흡입기
KR20010095994A (ko) * 2000-04-14 2001-11-07 김형완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323U (ko) * 1996-08-05 1998-05-15 정장호 통신기기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323U (ko) * 1996-08-05 1998-05-15 정장호 통신기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955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325466A (ja) 携帯用鼻水吸入器
US11744690B2 (en) Toothbrush tip
US5941851A (en) Pulsed lavage handpiece with improved handle
KR100611875B1 (ko) 피부 관리기
US6257847B1 (en) Diaphragm pump and pump for double-breast pumping
KR100371618B1 (ko) 유축기
KR200188585Y1 (ko) 휴대용 콧물 흡입기
US4212300A (en) Rubber band powered piston valve aspirator
US7569031B2 (en) Breast pump
GB2245833A (en) Mucus extractor
KR20000068899A (ko) 정확성이 높은 연동 펌프
EP1532992B1 (en) Manual breast pump
KR100300441B1 (ko) 휴대용 콧물 흡입기
US20070100259A1 (en) Massage apparatus
KR100997032B1 (ko) 포터블 피부마사지장치
US6248059B1 (en) Powered external vacuum appliance for the treatment of impotence
KR200170796Y1 (ko) 휴대용 콧물 흡입기
RU203630U1 (ru) Многораз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норектального лигирования
JPS645893B2 (ko)
JP3599093B2 (ja) 内視鏡の送気送水バルブ構造
US7219667B2 (en) Hand press type rapid positioning first-aid device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N218106463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吸黑头仪
KR200300845Y1 (ko) 휴대용부항펌프
JP3189356B2 (ja) 内視鏡の吸引機構
RU2151616C1 (ru) Узел управления к устройству для отсоса кров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